KR101399427B1 -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427B1
KR101399427B1 KR1020120040332A KR20120040332A KR101399427B1 KR 101399427 B1 KR101399427 B1 KR 101399427B1 KR 1020120040332 A KR1020120040332 A KR 1020120040332A KR 20120040332 A KR20120040332 A KR 20120040332A KR 101399427 B1 KR101399427 B1 KR 101399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v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polariz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278A (ko
Inventor
단경식
곽기열
이세철
기정희
허영민
김철호
송경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42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L101/04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3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40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08J2401/04Oxycellulose; Hydro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폴리비닐알코올 및 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종래에 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비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비하여, 면내 위상차, 특히 횡방향(TD)의 위상차가 최소화되고, 기타 투과도 및 헤이즈 편차와 같은 광학 얼룩을 거의 갖지 않아,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 필름은 염색 얼룩이 거의 없어서 우수한 편광 성능을 나타낸다.

Description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 필름{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POLARIZING FILM USING SAME}
본 발명은 위상차가 최소화되어 면내 균일성이 우수한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광을 투과 및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PVA계 필름으로부터 유도된 편광 필름의 양 표면에 트리아세트산 셀룰로오스(TAC) 필름, 아세트산ㆍ부티르산 셀룰로오스(CAB) 필름 등과 같은 보호막을 접착시켜 제조된다. 또한, 상기 편광 필름은 PVA계 필름을 염색 및 1축 연신하고 붕소 화합물로 고정한 후 건조 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PVA계 필름은, 대한민국 특허 제81813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PVA 함유 원료 용액을 압출하여 가열된 드럼(drum)이나 스틸 벨트(steel belt) 같은 지지체 위에 캐스팅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고 있다. 건조된 PVA계 필름은 지지체로부터 박리되어 권취되는데, 이 때 박리가 균일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PVA계 필름이 부분적으로 연신되게 되고 이에 의해서 폭방향 굴절율 편차, 면내 위상차 편차, 투과도 편차, 헤이즈 편차 등과 같은 광학 얼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광학 얼룩이 발생한 PVA계 필름을 이용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할 경우 염색 얼룩 등이 발생하게 되어, 편광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PVA계 필름을 지지체로부터 원활하게 박리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PVA 함유 원료 용액에 계면활성제를 박리제로서 첨가하고 있으며, 이 때 박리제의 종류 및 양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206810호는 에테르형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와 2종 이상의 함질소형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PVA계 필름을 제조하고 있으나, 이로써는 광학 얼룩이 완전히 해소될 수 없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307059호는 음이온계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PVA계 원료 용액에 금속 양이온 등의 불순물이 소량이라도 존재한다면 양이온과 음이온이 반응하여 PVA 수용액 중에서 뭉침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이는 피쉬아이(fish eye)나 겔(gel)과 같은 이물질을 생성시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치명적인 결점을 만들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가 점점 박막화되는 시점에서 기존보다 얇은 PVA계 필름이 시장에서 요구되고 있으며, 두께가 얇아질수록 종래의 계면활성제로는 광학 얼룩의 문제를 해소하기가 더욱 쉽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818135호 (2008.03.31) 주식회사 구라레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206810호 (2005.08.04) 일본합성화학공업 주식회사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307059호 (2006.11.09) 일본합성화학공업 주식회사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상차 편차 등의 광학 얼룩이 최소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 및 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염색 및 연신하고 건조하여 얻어진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면내 위상차, 특히 횡방향(TD) 위상차, 및 그 외 투과도 및 헤이즈 편차와 같은 광학 얼룩이 최소화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 필름은 염색 얼룩 등을 거의 갖지 않아 우수한 편광 성능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PVA계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PVA계 필름에 광학 얼룩이 생기는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는, PVA계 필름의 제조시 드럼 및 스틸 벨트 등의 지지체 상에서의 캐스팅 공정 이후 지지체로부터 균일하고 수월하게 박리가 되지 않을 경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PVA계 필름은 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함으로써, PVA계 필름과 드럼 및 스틸 벨트와 같은 지지체와의 표면 장력을 조절하여 두께가 얇은 PVA계 필름, 예를 들어 두께가 40㎛ 이하, 심지어는 30㎛ 이하인 박막 필름의 제조시에 수월한 박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PVA계 필름은 지지체로서 드럼 및 스틸 벨트 이외에 플라스틱 지지 필름을 사용할 경우에도 박리가 수월하고 광학적으로 결점이 없으며, 이와 같은 플라스틱 지지 필름의 재질이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일 경우 외에도 싸이클로 올레핀, 올레핀 등의 재질에서도 모두 효과적이다.
또한, 종래에는 필름 제조시 박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한 예가 많았으나, 본 발명의 필름의 경우 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더라도 필름 제조시 우수한 박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PVA계 필름에 함유될 수 있는 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는 플루오로 작용기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알킬기를 함유하며, 예를 들어 플루오로알킬 설포네이트, 플루오로알킬 에테르, 플루오로알킬 아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가능하다.
이 중 플루오로알킬 설포네이트의 구체적인 예로는 퍼플루오로부탄 설포네이트, 퍼플루오로옥탄 설포네이트, 퍼플루오로메탄 설포네이트, 퍼플루오로에탄 설포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루오로알킬 에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퍼플루오로부틸 에테르, 퍼플루오로옥틸 에테르, 퍼플루오로메틸 에테르, 퍼플루오로에틸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루오로알킬 아마이드의 구체적인 예로는 퍼플루오로부탄 아마이드, 퍼플루오로옥탄 아마이드, 퍼플루오로메탄 아마이드, 퍼플루오로에탄 아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VA계 필름은 이와 같은 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PV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2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주성분인 PVA는 바람직하게는 99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5 몰% 이상의 비누화도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17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0 내지 5000의 중합도를 가질 수 있다. PVA가 99 몰% 미만의 비누화도를 가질 경우에는 PVA를 염색 및 연신하여 얻어진 편광판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700 미만의 중합도를 가질 경우에는 편광판 제조를 위한 연신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충분한 연신이 어려워 광학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VA계 필름은 PVA와 계면활성제 이외에,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가소제는 필름 형성시 수소 결합을 약하게 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다가 알코올 화합물이 가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PVA에 대한 친화성이 좋아 광학적 편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글리세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는 PVA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VA계 필름은 PVA 및 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원료 용액을 압출기를 통해 압출한 후 지지체 위에 코팅하고 1차 건조시키는 단계; 지지체 위에 형성된 PVA-함유 코팅 필름을 상기 지지체와 박리시키는 단계; 및 박리된 PVA-함유 코팅 필름을 2차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PVA-함유 원료 용액은 상술한 바와 같이 PVA를 용매에 용해시킨 후 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 및 가소제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 때 함량은 앞서 설명한 범위로 혼합할 수 있고, 압출기 내에서 이들을 더욱 혼련시킬 수 있다. 가소제 및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PVA의 균일한 용해와 비누화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용액과 동일한 온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50 내지 150 ℃가 적당하다.
PVA는 균일한 용해성을 고려하여 원료 용액 중에 1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용매로는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물,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다이에틸트라이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PVA의 균일한 용해를 달성하는 데에 적합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VA계 필름은 PVA-함유 원료 용액을 지지체 위에 코팅하고 건조시켜 얻어지는데, 상기 지지체로는 드럼(drum), 스틸 벨트(steel belt), 플라스틱 지지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1에 플라스틱 지지 필름을 지지체로서 사용하여 PVA계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의 PVA계 필름의 제조공정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조성의 PVA-함유 원료 용액(10)을 압출기(20), 특히 이축 압출기(twin extruder)를 통해 압출함으로써 용해 공정 중에 발생한 기포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며, 지지 필름(30) 위에 코팅하기에 앞서, 바람직하게는 이물질 제거를 위해 PVA-함유 원료 용액의 압출물을 필터(도 1에는 미도시)에 통과시킬 수 있다. 압출기의 온도는 95~100℃일 수 있다.
이어, PVA-함유 원료 용액의 압출물을 지지 필름(30) 위에 코팅하는데, 상기 지지 필름(30)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트리아세트산 셀룰로오스(TAC) 필름, 아크릴 필름, 싸이클로올레핀 필름, 올레핀 필름 등 다양한 일반 필름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코팅법은 다이(die) 코팅, 그라비아(gravuer) 코팅, 갭(gap) 코팅, 레이어 바(layer bar) 코팅 등 다양한 코팅 방법이 모두 활용 가능하다.
이어, 지지 필름(30) 위에 형성된 PVA-함유 코팅 필름(50)을 에어 챔버(air chamber)(40)에 통과시키면서 1차적으로 건조시켜 PVA-함유 코팅 필름(50)의 함수율이 대략 5 내지 20 %일 때 코팅 필름을 지지 필름(30)과 박리시킨다. 이후, 박리된 PVA-함유 코팅 필름(50)을 약 5 내지 15 개의 열처리 롤 및 플로팅 건조기(floating dryer)를 통과시키면서 2차로 다단 건조하고(도 1에는 미도시) 권취함으로써 목적하는 최종 PVA계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에어 챔버(1차 건조) 및 플로팅 건조기(2차 건조)의 온도는 각각 80 내지 150 ℃ 일 수 있으며, 에어 챔버의 온도에 비해 플로팅 건조기의 온도가 더 높은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PVA계 필름은 10㎛ 내지 2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10㎛ 내지 60㎛의 두께가 가능하고, 특히 10㎛ 내지 40㎛의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광학적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1M 이상, 나아가 6M 이상, 예를 들어 1M 내지 10M, 1M 내지 6M, 또는 6M 내지 10M의 폭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다양한 폭을 갖더라도 횡방향(TD 방향)의 위상차가 최소화되어 광학적으로 균일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PVA계 필름은 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므로, 종래에 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비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PVA계 필름에 비하여 면내 위상차, 특히 횡방향(TD)의 위상차가 최소화되고, 기타 투과도 및 헤이즈 편차와 같은 광학 얼룩을 거의 갖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VA계 필름을 염색 및 연신한 다음 건조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상기 PVA계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염색 및 연신은 순서에 관계없이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염색 얼룩이 거의 없고 매우 균일하여 우수한 편광 성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편광 필름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VA계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3: PVA계 필름의 제조(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
단계 (1): 원료 용액의 제조
비누화도 99.99 몰% 및 중합도 2400~3300의 PVA를 물에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 가소제를 첨가하고, 박리제로서 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인 퍼플루오로부탄 설포네이트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PVA-함유 원료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 때, PVA를 용액 중에 2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였고, 가소제 및 박리제는 각각 PV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중량부 및 0.10~0.12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단계 (2): PVA계 필름의 형성
이전 단계에서 얻은 원료 용액을 이축 압출기를 통해 95℃에서 압출한 후 압출물을 필터(재질: 알루미늄, Mesh size: 5㎛, 온도: 90℃)에 통과시킨 다음 드럼 위에 다이 코팅하였다. 이어, 드럼 위에서 1차적으로 건조된 코팅 필름을 스트리퍼 롤에 의해 드럼으로부터 박리하였다.
박리된 PVA-함유 코팅 필름을 수 개의 건조 롤 및 플로팅 건조기를 통과시키면서 80℃의 온도에서 2차로 다단 건조하고 권취함으로써 PVA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및 5: PVA계 필름의 제조(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
단계 (1): 원료 용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원료 용액을 제조하였다.
단계 (2): PVA계 필름의 형성
이전 단계에서 얻은 원료 용액을 이축 압출기를 통해 95℃에서 압출한 후 압출물을 필터를 통과시킨 다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지지 필름 위에 다이 코팅하였다. 이어, 지지 필름 위에 형성된 PVA-함유 코팅 필름을 에어 챔버를 통과시키면서 90℃에서 1차적으로 건조시켜 PVA-함유 코팅 필름의 함수율이 대략 5 내지 20 %일 때 코팅 필름을 지지 필름과 박리시켰다.
박리된 PVA-함유 코팅 필름을 수 개의 건조 롤 및 플로팅 건조기를 통과시키면서 80℃의 온도에서 2차로 다단 건조하고 권취함으로써 PVA계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및 2: PVA계 필름의 제조(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
박리제로서 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인 트리플루오로메틸 폴리옥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 나트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여 PVA계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및 4: PVA계 필름의 제조(비이온성 비불소계 계면활성제)
박리제로서 비이온성 비불소계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도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도데실아민 및 라우릴 디에틸아마이드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3의 경우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4의 경우 상기 비교예 2와 각각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여 PVA계 필름을 얻었다.
시험예 1: 박리성 평가
제조 공정 중에 드럼 또는 지지 필름 상에 코팅된 PVA계 필름에 대해, 접착력 측정기(Heidon사)를 이용해 180도 박리강도(peel strength)를 측정하여, 20g/inch 미만 범위는 "O", 20~50g/inch 범위는 "△", 및 50g/inch 초과 범위는 "X"로 분류하였다.
시험예 2: 광학 얼룩 및 이물질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PVA계 필름을 빔프로젝트에 투과시켜 광학 얼룩(다이 라인) 및 이물질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시험예 3: 면내 위상차 측정(횡방향)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PVA계 필름을 복굴절 측정기(KOBRA-WPR, Oji Scientific Instrument사)에서 파장 40nm의 빛을 필름 법선 방향으로 입사시켜, 면내 위상차 측정(횡방향)을 측정하였다.
편광 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PVA계 필름을 예비 팽윤, 염색, 1축 연신, 고정 처리, 건조 처리, 및 열처리의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편광필름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PVA계 필름을 30℃ 수중에 60초간 침지하여 예비 팽윤시킨 뒤, 붕산 40g/L, 요오드 0.4g/L 및 요오드화 칼륨 60g/L이 용해된 35℃의 수용액 중에 2분간 침지하여 염색을 행하였다. 염색 후의 PVA계 필름을 55℃의 4% 붕산 수용액 중에서 6배로 1축 연신한 뒤, 요오드화 칼륨 60g/L, 붕산 40g/L 및 염화아연 10g/L이 용해된 30℃의 수용액에 5분간 침지하여 고정시켰다. 그 후, PVA계 필름을 꺼내어 40℃에서 열풍 건조하고 다시 100℃에서 5분간 열처리를 하여, 최종 편광 필름을 얻었다.
시험예 4: 편광 필름의 얼룩 발생 평가
제조된 각각의 편광 필름을 LCD 백라이트(backlight) 상에 올려 놓고 염색 얼룩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시험예 5: 편광도 측정
제조된 각각의 편광 필름에 대해 JIS Z8701 방법에 따라 편광도 측정기(UV-2450, Simazu Instrument사)를 이용하여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성을 정리하고, 하기 표 2에 상기 시험예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PVA
중합도
계면활성제 건조
기재
두께
(㎛)

(M)
종류 투입량
(중량부)
실시예 1 2400 퍼플루오로부탄 설포네이트 0.12 드럼 75 1.0
실시예 2 2400 퍼플루오로부탄 설포네이트 0.10 드럼 25 1.5
실시예 3 3300 퍼플루오로부탄 설포네이트 0.10 드럼 25 2.8
실시예 4 3300 퍼플루오로부탄 설포네이트 0.10 필름 25 2.8
실시예 5 3300 퍼플루오로부탄 설포네이트 0.10 필름 75 2.8
비교예 1 2400 트리플루오로메틸 폴리옥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 나트륨
0.12 드럼 75 2.8
비교예 2 2400 트리플루오로메틸 폴리옥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 나트륨
0.12 드럼 25 2.8

비교예 3
3300 폴리옥시에틸렌 도데실 에테르 0.02
드럼

25

2.8
폴리옥시에틸렌 도데실아민 0.06
라우릴 디에틸아마이드 0.02

비교예 4
3300 폴리옥시에틸렌 도데실 에테르 0.02
필름

25

2.8
폴리옥시에틸렌 도데실아민 0.06
라우릴 디에틸아마이드 0.02

구분
PVA계 필름 편광 필름
박리성 광학
얼룩
이물질 면내 위상차
(nm)
염색
얼룩
편광도
(%)
실시예 1 3 99.99
실시예 2 5 99.99
실시예 3 4 99.99
실시예 4 3 99.99
실시예 5 4 99.99
비교예 1 25 99.97
비교예 2 35 99.98
비교예 3 33 99.97
비교예 4 20 99.98
상기 표 1 및 2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내지 5와 같이 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PVA계 필름은 광학 얼룩, 필름내 이물질, 박리성, 위상차 편차 및 편광판 염색후 얼룩 면에서 모두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으나, 비교예 1 내지 4와 같이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거나 불소계가 아닌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필름은 이들 물성면에서 저조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의 실시예를 이하에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PVA를 함유하는 원료 용액
20: 압출기 30: 지지 필름
40: 에어 챔버 50: PVA-함유 코팅 필름

Claims (10)

  1. 폴리비닐알코올; 및
    플루오로알킬 설포네이트, 플루오로알킬 에테르, 플루오로알킬 아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이온성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알킬 설포네이트가 퍼플루오로부탄 설포네이트, 퍼플루오로옥탄 설포네이트, 퍼플루오로메탄 설포네이트, 퍼플루오로에탄 설포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폴리비닐알코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글리세린을 5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이 99 몰% 이상의 비누화도 및 1700 내지 5000의 중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10㎛ 내지 6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1M 내지 6M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9.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염색 및 연신하고 건조하여 얻은 편광 필름.
  10. 제 9 항의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편광판.
KR1020120040332A 2012-04-18 2012-04-18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 필름 KR101399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332A KR101399427B1 (ko) 2012-04-18 2012-04-18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332A KR101399427B1 (ko) 2012-04-18 2012-04-18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278A KR20130117278A (ko) 2013-10-25
KR101399427B1 true KR101399427B1 (ko) 2014-05-27

Family

ID=4963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332A KR101399427B1 (ko) 2012-04-18 2012-04-18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4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2951A (zh) * 2016-05-27 2022-03-29 三菱化学株式会社 光学用聚乙烯醇系薄膜及其制造方法、以及利用该光学用聚乙烯醇系薄膜的偏光膜
EP3960798A4 (en) * 2019-04-23 2023-02-22 Kuraray Co., Ltd. WATER SOLUBLE FILM AND PACKAG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445A (en) * 1978-06-21 1980-01-1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Surface-modified film of vinyl alcohol polymer and its preparation
JP2001253993A (ja) 2000-03-10 2001-09-18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07059A (ja) * 2005-04-28 2006-11-09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偏光板
KR20100002719A (ko) * 2008-06-30 2010-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445A (en) * 1978-06-21 1980-01-1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Surface-modified film of vinyl alcohol polymer and its preparation
JP2001253993A (ja) 2000-03-10 2001-09-18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07059A (ja) * 2005-04-28 2006-11-09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偏光板
KR20100002719A (ko) * 2008-06-30 2010-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278A (ko) 201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528B1 (ko)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3827B1 (ko)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4339350B2 (ja) 偏光子の製造方法
JP5904725B2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偏光フィルム及び偏光板
TW200808514A (en)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 film with uneven structure, optical film, wire grid polarizer, and retardation film
KR20100049604A (ko)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및 그 제조법
KR101463799B1 (ko)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TWI757067B (zh) 聚乙烯醇系薄膜
KR20180105604A (ko) 편광자의 제조 방법
WO2016060097A1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フィルム、偏光板
JP6402096B2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フィルム
KR20100102292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편광자 및 이것이 구비된 편광판
WO2016093259A1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重合体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99427B1 (ko)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 필름
JP6564702B2 (ja) 偏光フィルム
WO2019208618A1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23053968A (ja) 偏光板、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偏光フィルム
JP6858499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328992B2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202248309A (zh) 聚乙烯醇系薄膜、及其製造方法、以及使用其之偏光膜、偏光板
CN115996974A (zh) 聚乙烯醇膜和使用其的光学膜的制造方法
WO2022113958A1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フィルム
KR101332381B1 (ko)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4236B1 (ko)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23097A (ko) 편광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