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650B1 - 다연발 발사기 - Google Patents

다연발 발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650B1
KR101398650B1 KR1020130167339A KR20130167339A KR101398650B1 KR 101398650 B1 KR101398650 B1 KR 101398650B1 KR 1020130167339 A KR1020130167339 A KR 1020130167339A KR 20130167339 A KR20130167339 A KR 20130167339A KR 101398650 B1 KR101398650 B1 KR 101398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artridge
body block
launch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홍
Original Assignee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 F41F1/08Multibarrel guns, e.g. twin 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06Plural barr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연발 발사기에 관한 것으로, 발사탄 카트리지의 교체를 통해 다수의 발사탄을 신속하게 장전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신속한 진압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연발 발사기는, 베이스 블록(10)과; 전면부에 카트리지 장착부가 구비된 입체형이며 상기 베이스블록에 설치되는 본체 블록(20)과; 상기 본체 블록의 내부에 종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 블록의 카트리지 장착부를 향해 출몰되는 다수의 공이를 갖는 공이 블록(40)과; 상기 공이 블록의 공이를 전진시키는 다수의 격발체(30)와; 상기 본체 블록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격발체의 격발에 의해 전진하는 상기 공이에 의해 타격되어 발사되는 다수의 발사탄이 수납되는 발사탄 카트리지(50)와; 상기 다수의 격발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탄 카트리지는 판상의 카트리지 본체(51), 전후방이 각각 개방된 관형이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종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발사탄 삽입관(52)을 포함하며, 상기 격발체는 솔레노이드(41), 상기 솔레노이드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진에 의해 상기 공이를 타격하는 해머(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연발 발사기{MULTI-SHOOTING MACHINE}
본 발명은 다연발 발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사탄 카트리지의 교체를 통해 다수의 발사탄을 신속하게 장전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신속한 진압이 가능하도록 한 다연발 발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법 시위, 불법 조업 등 불법 행위를 진압하기 위한 방법으로 섬광탄, 최루탄, 충격탄 등을 사용하고 있다.
전술한 발사탄을 발사하는 방법으로는 유탄발사기 등에 발사탄을 하나씩 장전하여 발사하는 방법, 다수의 발사탄을 한꺼번에 장착한 후 단발 또는 다연발로 발사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다연발 발사기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다연발 발사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다연발 발사기는 발사탄이 삽입되는 발사탄 카트리지, 상기 발사탄 카트리지에 삽입된 발사탄을 발사시키는 본체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다연발 발사기는 발사탄이 삽입되는 발사탄 카트리지가 본체 블록에 힌지식으로 고정되어 발사탄을 발사한 후 재발사를 위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사탄을 발사한 후 재발사를 위해서는 발사탄 카트리지의 로킹을 해제한 후 회전시켜 발사탄 카트리지의 후방이 개방되도록 하고, 발사탄 카트리지의 후방에서부터 다수의 발사탄을 일일이 삽입하며, 발사탄이 삽입된 발사탄 카트리지를 본체쪽으로 돌려 로킹하여야 하므로 발사탄의 삽입을 위하여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
이와 같이 발사탄을 삽입하는 오랜 시간 동안은 다연발 발사기를 사용하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진압이 불가능하므로 진압 시간이 길어지고 그만큼 피해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다연발 발사기는 전기적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발사탄을 발사시키기 때문에 불발율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59123호 등록실용신안 제20-0114983호 등록실용신안 제20-008129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발사탄을 신속하게 장전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신속한 진압이 가능하도록 한 다연발 발사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이에 의한 기계적 충격을 통해 발사탄의 뇌관을 폭발하여 불발을 방지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연발 발사기는, 베이스 블록과; 전면부에 카트리지 장착부가 구비된 입체형이며 상기 베이스블록에 설치되는 본체 블록과; 상기 본체 블록의 내부에 종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 블록의 카트리지 장착부를 향해 출몰되는 다수의 공이를 갖는 공이 블록과; 상기 공이 블록의 공이를 전진시키는 다수의 격발체와; 상기 본체 블록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격발체의 격발에 의해 전진하는 상기 공이에 의해 타격되어 발사되는 다수의 발사탄이 수납되는 발사탄 카트리지와; 상기 다수의 격발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탄 카트리지는 판상의 카트리지 본체, 전후방이 각각 개방된 관형이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종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발사탄 삽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격발체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진에 의해 상기 공이를 타격하는 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연발 발사기에 의하면, 여분의 발사탄 카트리지에 발사탄을 삽입하여 미리 준비하고 발사탄의 발사 후 여분의 발사탄 카트리지로 교체하는 단일 작업을 통해 발사탄의 후속 발사가 가능하므로 작업 시간이 종래 보다 매우 짧아지므로 시위 등을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분의 카트리지로 교체하여 발사탄을 발사하는 동안 다른 발사탄 카트리지에 발사탄을 삽입하여 미리 준비함으로써 발사탄 카트리지의 연속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기계식 공이를 이용하여 발사탄의 뇌관을 정확하게 타격함으로써 불발을 없애므로 다연발 발사기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연발 발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연발 발사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연발 발사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연발 발사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연발 발사기에 적용된 격발체와 공이블록을 보인 확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연발 발사기에 적용된 격발체와 공이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연발 발사기에 적용된 컨트롤패널의 정면도.
도 8a와 도 8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다연발 발사기가 차량의 루프에 탑재된 도면과 지면에 거치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다연발 발사기(100)는, 차량에 탑재(도 8a)되거나 지면에 거치(도 8b)되는 베이스 블록(10), 베이스 블록(10) 위에 설치되는 본체 블록(20), 본체 블록(20)의 내부에 종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격발체(30), 각각의 격발체(30)의 전방에 설치되며 격발체(30)의 격발에 의해 전진하여 발사탄의 뇌관을 타격하는 다수의 공이(43)를 갖는 공이 블록(40), 다수[공이(43)와 동일한 수량]의 발사탄(1)이 삽입되는 발사탄 삽입관(51)이 구비되며 본체 블록(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사탄 카트리지(50), 격발체(30)의 격발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베이스 블록(10)은 본체 블록(20)의 지지기반으로 고정장치를 통해 차량의 루프, 본닛, 트렁크, 화물룸 등에 탑재되는 이동형,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형이 가능하고, 스틸 판재,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예를 들어 육면체형의 스틸 박스 등이 가능하다. 베이스 블록(10)은 내부에 후술하는 카메라와 메모리 등이 장착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론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구성된다.
베이스 블록(10)의 저부에는 차량의 루프에 고정되거나 지면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고정 및 지지프레임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및 지지프레임은 다수의 자재(각관, 봉, 앵글 등)들이 일정 형태(예컨대 격자형)로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체 블록(20)은 발사탄(1)의 발사를 위한 구성이 갖추어지도록 공간을 제공하며 내부에 격발체(30)와 공이 블록(40)이 장착된다. 본체 블록(20)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육면체형의 스틸 박스이며, 즉 전면판, 후면판, 상부판, 하부판, 좌측판 및 우측판의 결합(분리가 가능하도록 체결구에 의한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전면에는 카트리지 장착부가 구성된다.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본체 블록(20)의 전면의 상하좌우 4개소의 테두리부 중에서 2개소 이상 바람직하게 3개소에 형성되는 장착레일(21), 장착레일(21)이 없는 곳에 설치되어 장착레일(21)에 장착된 발사탄 카트리지(50)를 고정하는 로커(22)로 구성된다.
장착레일(21)은 각각 마주보는 방향에 홈이 형성[발사탄 카트리지(50)가 앞쪽으로 빠지지 않는 형태의 홈]된 막대 형태이며, 본체 블록(20)의 전면의 상부와 하부 및 우측에 각각 체결구로 체결된다. 즉 발사탄 카트리지(50)는 장착레일(21)이 없는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끼워져 3곳(상부와 하부와 우측)의 테두리부가 장착레일(2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장착레일(21)이 상하부와 우측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발사탄 카트리지(50)가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끼워지도록 장착레일(21)은 좌측과 우측 및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로커(22)는 장착레일(21)에 발사탄 카트리지(50)가 격발 위치를 유지하고 발사탄(1)의 발사시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며 장착레일(21)이 없는 곳에 설치된다.
로커(22)는 예를 들어 본체 블록(20)의 내부에 출몰(전,후진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즉 본체 블록(20)의 전면보다 뒤쪽으로 삽입되어 발사탄 카트리지(50)를 수납 및 분리하도록 하고 본체 블록(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발사탄 카트리지(50)를 고정한다. 로커(22)는 레버(22a)가 구비되어 조작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로커(22)는 본체 블록(20)의 전면쪽에 이 전면보다 돌출되는 위치를 초기 위로 하며 발사탄 카트리지(50)를 장착할 때에는 뒤쪽으로 밀리고 발사탄 카트리지(50)의 장착이 완료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여 발사탄 카트리지(50)를 로킹하도록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블록(20)의 전면에는 공이가 출몰하는 공이홀이 구비되어야 하며 본체 블록(20)의 전면과 발사탄 카트리지(50)의 배면 사이에서 격발과 발사가 이루어지므로 본체 블록(20)의 전면은 손상이 일어나며 이러한 손상을 용이하고 저렴하게 치유할 수 있도록 보호판(23)이 적용된다. 보호판(23)은 공이홀(23a)이 구비된 예컨대 스틸 판이며 본체 블록(20)의 전면에 체결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따라서, 손상된 보호판(23)만을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함으로써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격발체(30)는 공이를 전진(또는 전후진도 가능)시켜 상기 공이가 발사탄(1)의 뇌관을 타격하도록 하는 것이며, 격발체 케이스(31), 전기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41), 공이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타격하는 타격부재로서 해머(42), 격발체 케이스(31) 안에 설치되며 해머(42)를 리턴시키는 탄성부재로서 예컨대 해머 리턴스프링(32)으로 구성된다. 격발체 케이스(31)는 본체 블록(20)의 내부에 체결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솔레노이드(41)는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전류를 일정 시간 동안 인가받아 해머(42)를 전진시켜 상기 공이를 타격하도록 하며 즉 해머(42)는 솔레노이드(41)에 전기가 인가되면 전자석이 되면서 전진하여 공이를 타격하여 전진시키는 것이다. 상기 공이를 전진시키는 것은 솔레노이드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공이의 전진(또는 전후진)이 가능한 모든 구성이 사용 가능하다.
솔레노이드(41)가 전진만 가능한 일방향인 경우 상기 공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로 코일스프링(44)이 적용된다. 코일스프링(44)은 공이 블록(40)에 적용된다.
공이 블록(40)은 다수의 공이(43) 및 공기(43)를 출몰 가능하게 지지하는 공이 케이스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41)는 해머(42)와 해머 리턴스프링(32)이 서로 연동하도록 후방이 개방되어야 하고 공이(43)가 출몰하도록 전방도 개방되어야 하고 내부에 해머(42)와 공이(43)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관형이며 본체 블록(20) 또는 격발체 케이스(31)에 체결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해머(42)는 솔레노이드(41)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전자석이 되면서 전진하여 공이(43)로 하여금 발사탄(1)의 뇌관을 타격하도록 한다.
공이(43)는 해머(42)의 앞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머(42)의 전진에 의해 전진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보호판(23)의 공이홀(23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발사탄(1)의 뇌관을 타격한다.
공이(43)의 타격이 완료되면 공이(43)와 해머(42)를 후진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켜야 하며 이를 위하여 공이(43)의 앞에는 공이(43)를 후진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갖는 코일스프링(44)이 적용된다.
공이(43)는 코일스프링(44)을 지지하기 위하여 후방에 단면적이 큰 스프링 지지부가 구비되고 코일스프링(44)은 공이(43)의 둘레부에 끼워지면서 양측이 본체 블록(20)의 면과 공이(43)의 스프링 지지부에 지지되어 공이(43)를 후진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이와 같이 공이(43)가 해머(42)를 통해 타격되도록 한 것은 충격 등에 의한 공이(43)의 오동작을 막기 위함이며, 해머(42)와 공이(43)는 미발사시 넓은 간격을 유지한다.
발사탄 카트리지(50)는 다수의 구멍이 종횡방향으로 구비[공이(43)와 동일한 수량과 배열이 바람직함]된 판상의 카트리지 본체(51), 전후방이 각각 개방된 관형이며 카트리지 본체(51)의 구멍과 연통하거나 구멍에 삽입되는 다수의 발사탄 삽입관(5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발사탄 카트리지(50)를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 본체(51)에는 손잡이(53)가 갖추어진다. 손잡이(53)는 장착레일(21)이 없는 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사탄 카트리지(50)의 배면에는 본체 블록(20)의 로커(22)가 걸리는 걸림턱(54)(또는 걸림홈)(도 6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발사탄 카트리지(50)의 후방에는 발사탄(1)의 후단부에 형성된 턱이 걸려 지지되는 지지턱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연발 발사기(100)는 발사탄 카트리지(50)의 회전을 통해 발사 위치를 조정하고 발사탄 카트리지(50)의 각도 조정을 통해 사거리를 조정한다.
회전수단(60)은 모터 등이 사용 가능하며 베이스 블록(10)의 저부에 모터 케이스나 플레이트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설치되어 베이스 블록(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거나 베이스 블록(10) 저부에 형성되며 차량이나 지면 등의 지지기반에 고정되는 고정 및 지지프레임(11)에 형성되는 회전 안내축을 베이스 블록(10) 내부에 설치하고 이 회전 안내축을 매개로 하여 회전모터와 베이스 블록(10)을 연결하여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회전수단(60)을 통해 베이스 블록(10)과 본체 블록(20)을 회전시킨다.
각도조정수단(70)은 본체 블록(20)만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베이스 블록(10)과 본체 블록(20) 사이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본체 블록(20)은 회전축(71)을 통해 베이스 블록(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71)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본체 블록(20)을 회전시켜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또는 본체 블록(20)을 유압실린더(72) 등으로 지지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의 출몰에 의해 본체 블록(20)을 회전시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물론, 베이스 블록(10)은 위치와 각도가 변하지 않고 본체 블록(20)만 위치와 각도가 조정되도록 회전수단(60)과 각도조정수단(70)이 적용될 수도 있다.
회전수단(60)과 각도조정수단(7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호되도록 둘레부에 보호 커버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 커버는 주름관 형태로서 상하 양측이 본체 블록(20)의 저면과 베이스 블록(10)의 상면에 고정되어 각도조정수단(70)을 보호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연발 발사기(100)는 발사탄(1)의 발사와 탄착 등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80)가 추가될 수 있다. 카메라(80)는 렌즈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베이스 블록(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야간에도 선명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바람직하고 아울러 조명이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베이스 블록(10)은 각도가 변하지 않고 위치[본체 블록(20)에 탑재된 발사탄 카트리지(50)와 동일한 위치]만 변하기 때문에 카메라(80)는 항상 탄착 지점과 폭발 상황 등을 촬영한다.
카메라(8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메모리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는 하드 메모리, USB, SD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사용자가 카메라(8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다연발 발사기(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가 함께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컨트롤박스와 함께 조작실(차량의 실내 등)에서 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카메라(8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카메라(8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화면 출력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격발체(30)의 격발을 제어하며 단발, 시간차에 의한 연발 등으로 제어한다. 컨트롤러는 박스 형태로 구성되며 전면에는 각종 스위치와 램프 등이 구성된 컨트롤패널(90)(도 7에 도시됨)이 설치된다. 또한 컨트롤패널(90)에는 본체 블록(20)의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가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는 단발 스위치(91), 연발 스위치 등의 격발 스위치, 회전과 각도 조정을 위한 스위치로 구분된다. 단발 스위치(91)는 선택된 하나의 격발체(30)만 작동시켜 선택된 공이(43)가 전진하여 선택된 발사탄(1)만을 발사시키는 것이다.
상기 연발 스위치는 전체 연발 스위치(92), 소수의 패키지 연발 스위치(93-1,93-2,93-3)로 구성된다. 전체 연발 스위치(92)는 모든 격발체(30)를 시간차로 작동시켜 모든 발사탄(1)이 순차적으로 발사되도록 하는 것이고, 소수의 패키지 연발 스위치(93-1,93-2,93-3)는 소속된 격발체(30)만을 작동시켜 소속된 소수의 발사탄(1)만 일정 시간차를 두고 발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은 3개의 패키지로 구분하여 1열, 2열, 3열에 소속된 발사탄(1)만 발사시키도록 구성된 예이다. 물론, 모든 발사탄(1)이 동시에 발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각도 표시부(94)는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는 다수의 각도표시램프와 각도 수치로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다수의 각도 표시램프 중에서 본체 블록(20)의 각도에 해당하는 각도 표시램프만 점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연발 발사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발사탄 카트리지(50)의 발사탄 삽입관(52)에 발사탄(1)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삽입한다. 발사탄 카트리지(50)를 뒤집어 후방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고 발사탄(1)을 발사탄 삽입관(52)의 후방에서부터 앞쪽으로 삽입한다. 발사탄(1)의 턱이 발사탄 카트리지(50)의 걸림턱에 걸릴 때까지 삽입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발사탄 카트리지(50)의 모든 발사탄 삽입관(52)에 발사탄(1)을 삽입한다.
이와 같이 발사탄(1)이 삽입된 2개의 발사탄 카트리지(50)를 준비한다.
발사탄 카트리지(50)를 들고 발사탄 카트리지(50)의 상부와 하부를 본체 블록(20)의 상부와 하부의 장착레일(21)에 맞추고 밀어 넣어 발사탄 카트리지(50)를 본체 블록(20)에 장착하며, 발사탄 카트리지(50)의 단부가 우측의 장착레일(21)에 닿을 때까지 밀어 넣어 장착한다. 이때, 로커(22)에 의해 발사탄 카트리지(50)가 본체 블록(20)에 로킹된다.
전술한 것처럼 발사탄 카트리지(50)를 본체 블록(20)에 장착한 후 컨트롤박스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본체 블록(20)의 위치와 각도를 세팅한다. 사용자는 회전 스위치를 통해 베이스 블록(10)을 회전시켜 발사탄 카트리지(50)가 탄착점과 일렬로 배치되도록 하고 각도 조정 스위치를 통해 본체 블록(20)의 각도를 조정하여 사거리를 조정한다, 이러한 모든 상황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 출력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발사탄의 위치를 세팅한다.
발사탄 카트리지(50)의 위치를 세팅한 후 격발 스위치를 조작하여 발사탄(1)을 격발하며, 단발 스위치(91)를 조작하여 어느 하나의 발사탄(1)을 하나씩 발사하거나, 전체 연발 스위치(92)를 조작하여 모든 발사탄(1)을 시차를 두고 연속으로 발사하거나, 소수의 패키지 연발 스위치(93)를 조작하여 특정 그룹의 발사탄(1)을 발사한다.
발사탄(1)의 발사가 완료되면 새로운 발사탄(1)이 삽입된 다른 발사탄 카트리지(50)(미리 준비한 발사탄 카트리지)로 교체하여야 하며, 먼저, 로커(22)를 조작하여 로킹을 해제한 상태에서 본체 블록(20)에 장착된 발사탄 카트리지(50)를 잡고 당겨 본체 블록(20)에서 발사탄 카트리지(50)를 분리한다.
이어서, 미리 준비한 발사탄 카트리지(50)를 전술한 방법을 통해 본체 블록(20)에 장착한다.
즉, 본체 블록(20)에서 발사탄 카트리지(50)를 분리하고 미리 준비한 발사탄 카트리지(50)를 장착하는 단시간 안에 새로운 발사탄(1)의 세팅이 완료되므로 준비 시간이 매우 짧으며 결과적으로 연속적인 발사탄(1)의 발사가 가능하다.
교체된 발사탄 카트리지(50)의 발사탄(1)을 발사하는 중에 빈 발사탄 카트리지(50)에 발사탄(1)을 삽입하여 미리 준비한다.
10 : 베이스 블록, 20 : 본체 블록
21 : 장착레일, 22 : 로커
30 : 격발체, 31 : 격발체 케이스
32 : 해머 리턴스프링, 40 : 공이 블록
41 : 솔레노이드, 42 : 해머
43 : 공이, 50 : 발사탄 카트리지
60 : 회전수단, 70 : 각도조정수단
80 : 카메라,

Claims (10)

  1. 베이스 블록(10)과;
    전면부에 카트리지 장착부가 구비된 입체형이며 상기 베이스블록에 설치되는 본체 블록(20)과;
    상기 본체 블록의 내부에 종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 블록의 카트리지 장착부를 향해 출몰되는 다수의 공이를 갖는 공이 블록(40)과;
    상기 공이 블록의 공이를 전진시키는 다수의 격발체(30)와;
    상기 본체 블록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격발체의 격발에 의해 전진하는 상기 공이에 의해 타격되어 발사되는 다수의 발사탄이 수납되는 발사탄 카트리지(50)와;
    상기 다수의 격발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탄 카트리지는 판상의 카트리지 본체(51), 전후방이 각각 개방된 관형이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종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발사탄 삽입관(52)을 포함하며,
    상기 격발체는 솔레노이드(41), 상기 솔레노이드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진에 의해 상기 공이를 타격하는 해머(42)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발 발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블록의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본체 블록의 상하좌우 4개소 중 2개소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사탄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본체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삽입되는 장착레일(21), 상기 장착레일이 없는 곳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레일에 탑재된 발사탄 카트리지를 로킹하는 로커(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발 발사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머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발 발사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블록의 전면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이 블록의 공이가 수용되는 공이홀을 갖는 보호판(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발 발사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블록의 경사를 조정하는 각도조정수단(70), 상기 본체 블록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발 발사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베이스 블록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을 통해 상기 본체 블록을 회전시키며, 상기 각도조정수단은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본체 블록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블록만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발 발사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에 설치되며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화상을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발 발사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사탄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발 발사기.
KR1020130167339A 2013-12-30 2013-12-30 다연발 발사기 KR101398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339A KR101398650B1 (ko) 2013-12-30 2013-12-30 다연발 발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339A KR101398650B1 (ko) 2013-12-30 2013-12-30 다연발 발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650B1 true KR101398650B1 (ko) 2014-05-28

Family

ID=5089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339A KR101398650B1 (ko) 2013-12-30 2013-12-30 다연발 발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6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461B1 (ko) * 2019-04-09 2019-10-01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단발과 다양한 발사 모드를 구현하는 멀티 발사기
KR20200119127A (ko) * 2019-04-09 2020-10-19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단발과 연발 멀티 발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406B1 (ko) * 2013-08-28 2013-12-30 진연창 최루탄 발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406B1 (ko) * 2013-08-28 2013-12-30 진연창 최루탄 발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461B1 (ko) * 2019-04-09 2019-10-01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단발과 다양한 발사 모드를 구현하는 멀티 발사기
KR20200119127A (ko) * 2019-04-09 2020-10-19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단발과 연발 멀티 발사기
KR102187298B1 (ko) * 2019-04-09 2020-12-04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단발과 연발 멀티 발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7687B (zh) 电子空弹
US20180306548A1 (en) Weapon emulators and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KR102289899B1 (ko) 드론용 탄 발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드론의 탄 발사방법
CN109716055A (zh) 预包装虫枪弹匣
KR101398650B1 (ko) 다연발 발사기
WO2016169120A1 (zh) 多连发防暴枪
KR101548253B1 (ko) 완구총
RU2571837C2 (ru) Двухсредовое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снайперское оружие и патроны для стрельбы из оружия кущенко в.а.
US20150241164A1 (en) Paintball loading device for a paintball gun
JP3180507U (ja) 真鍮弾頭付きアルミ薬莢型発火式モデルガン用カートリッジ
KR101234277B1 (ko) 서바이벌 게임용 모의 화기
US8978561B1 (en) Multi barrel paint ball mine powered by firearm cartridge primer
KR101677241B1 (ko) 2열 사열(斜列) 소총
KR20170014876A (ko) 탄환의 장착이 용이한 최루탄 발사기
CN101660887B (zh) 激光模拟射击训练用枪
KR20130104362A (ko)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KR102352186B1 (ko) 리필 탄피, 모의 총기 및 이를 이용한 사격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210583B1 (ko) 155mm 연습탄
KR102204722B1 (ko) 모의 사격용 총기
JP3207035U (ja) 光線銃玩具
CN203422020U (zh) 警用电击发自锁式发射枪
CN110470182A (zh) 炮投式武器站
RU183244U1 (ru) Стрелков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военно-тактических игр
CN201421293Y (zh) 实验用模拟枪
CN1063845C (zh) 迫击炮模拟炮弹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