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899B1 - 드론용 탄 발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드론의 탄 발사방법 - Google Patents

드론용 탄 발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드론의 탄 발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899B1
KR102289899B1 KR1020190177896A KR20190177896A KR102289899B1 KR 102289899 B1 KR102289899 B1 KR 102289899B1 KR 1020190177896 A KR1020190177896 A KR 1020190177896A KR 20190177896 A KR20190177896 A KR 20190177896A KR 102289899 B1 KR102289899 B1 KR 102289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casing
bullets
firing
trans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154A (ko
Inventor
김세훈
김혜성
이운순
김의정
정용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90177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899B1/ko
Priority to US17/101,208 priority patent/US11485496B2/en
Publication of KR2021008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64D1/04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the articles being explosive, e.g. bo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64D1/04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the articles being explosive, e.g. bombs
    • B64D1/06Bomb releasing; Bombs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25/00Fall bombs
    • B64C2201/1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15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conventional or electronic warf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용 탄 발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드론의 탄 발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드론을 이용하여 EFP탄 등의 탄을 발사하여 드론을 다양한 무기 체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드론의 활용 시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드론용 탄 발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드론의 탄 발사방법{LAUNCHER OF SHELL FOR DRONE AND SHELL LAUNCHING METHOD OF DRO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론용 탄 발사 장치와 드론의 탄 발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드론을 이용하여 탄을 발사시켜 전시 상황에서 드론의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와 드론의 탄 발사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원격 제어되는 드론은 무인 비행체로 처음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단순한 사격 연습에 사용되었으나, 전자 통신기술의 지속적 발전에 따라 군사용뿐만 아니라 촬영용 또는 운송용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양력을 출력하는 복수의 팬과, 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제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팬은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프로펠러로 구성될 수 있다.
드론은 소형 비행체로 미래의 전시 상황에서 활용도가 높아지는 추세이고, 직접 전장에 투입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현재 드론은 전장에서 정찰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그 외의 작전 업무 수행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EFP탄은 미국의 BLU 108, M93 Hornet 또는 국내의 기동저지탄 체계에서 활용되는 탄으로 적 전차를 무력화 시키는 무기체계의 일종이다.
지뢰형태로 지상에 설치하여 적전차를 감지하여 EFP 탄을 발사하게 되고 EFP 탄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를 통해 전차 위치를 파악한 후 탄을 기폭 시켜 성형 관통자를 통해 적 전차 상부를 관통하여 적 전차를 무력화한다.
특히 M93 Hornet, 기동저지탄의 EFP 탄은 1회성으로 활용되며 적 전차를 감지하는 센서부의 높은 가격으로 인해 무기 운용에 있어 비용적 부담을 주는 부분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0001)한국특허등록 제1935262호 "근접 방어용 비행체, 드론 지능탄 또는 근접 방어용 드론의 동작 방법"(2018.12.28.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에 장착되어 드론을 이용하여 탄을 발사하여 드론을 다양한 무기 체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드론용 탄 발사 장치와 드론의 탄 발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복수의 탄이 위치되는 탄 저장공간이 구비되며 하면부에 탄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탄 발사용 개폐부가 위치된 탄 운반용 케이싱부,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상부면에 위치되며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회전시키는 발사용 회전부, 상기 발사용 회전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발사용 회전부를 드론에 결합시키는 드론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드론 결합부와 상기 발사용 회전부 사이에 위치되어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짐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경사지게 위치되어 하부로 방출되는 탄의 이동을 안내하여 발사되는 탄에 세차 운동을 발생시키는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탄 저장공간이 위치된 케이싱 본체부재 및 상기 케이싱 본체부재의 개방된 상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발사용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분리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사용 회전부는 상기 분리 커버부재를 나사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케이싱 본체부재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경사지게 위치되고, 상기 탄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돌출부가 삽입되며 하부 측으로 개방된 가이드 레일홈이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홈에 위치된 탄의 돌출부를 걸어 지지하고 상기 돌출부를 걸어 지지한 상태를 해제하는 탄 방출용 레일 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는 상단부가 베어링을 통해 상기 케이싱 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탄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고 한쌍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적층된 탄의 하부를 걸어 지지하며 적층된 탄을 순차적으로 개방된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하부를 통해 방출시키는 탄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부에 탄이 올려지며 상기 탄 받침부에 걸리는 탄 받침패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경사지게 위치되어 하부로 방출되는 탄의 이동을 안내하여 발사되는 탄에 세차 운동을 발생시키는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상기 탄 받침패널부재의 상면에는 경사진 상기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기울어진 탄의 하부를 지지하는 탄 지지돌기부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 받침부는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 내에 적층된 탄을 밀어 하강시키는 탄 가압기기 및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측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외주면에 탄의 하부 측을 걸어 받치는 복수의 탄 걸림부가 이격되게 위치되는 회전 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받침부재는 탄 가압기기의 작동에 의해 밀려 회전되어 탄이 방출되면서 하강되는 탄을 상기 탄 걸림부로 순차적으로 걸어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 받침부는 상기 회전 받침부재의 위치를 구속하고 기설정된 힘 이상으로 밀려 회전될 때에만 상기 회전 받침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받침 구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 구속부는 탄 걸림부의 측면에 삽입되는 볼이 탄성 지지된 구조를 가지는 볼플런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를 닫힌 상태로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여 열릴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잠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잠금부는 상기 발사용 회전부의 작동 후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의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탄 저장공간이 위치된 케이싱 본체부재 및 상기 케이싱 본체부재의 개방된 상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발사용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분리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사용 회전부는 상기 분리 커버부재를 나사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케이싱 본체부재에서 분리시키며, 상기 도어 잠금부는 상기 발사용 회전부가 상기 분리 커버부재를 나사 결합 방향으로 회전 시킨 후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의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는 일측이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고, 타단부에 상기 도어 잠금부가 위치되어 상기 도어 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되면 힌지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어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하부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를 닫힌 상태로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여 열릴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잠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잠금부는 상기 탄 가압기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을 기구적 구조로 전달받아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 잠금부는 일부분이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 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슬라이드 이동부재,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의 위치를 잠금하는 슬라이드 잠금부재, 상기 슬라이드 잠금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잠금해제용 스프링부재 및 상기 회전 받침부재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하강되어 상기 슬라이드 잠금부재를 눌러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의 잠금을 해제하는 슬라이드 잠금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는 상기 잠금해제용 스프링부재의 탄성 복원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 내로 삽입되어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드 잠금해제부는 상기 회전 받침부재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 받침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잠금 해제용 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측면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에 맞물려 세워져 위치되는 잠금 해제용 랙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탄 발사방법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탄이 내부에 보관된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드론으로 이동시킨 후 내부의 탄을 방출시켜 목표물을 타격하도록 하는 탄 발사방법이며, 탄 운반용 케이싱부 내에 적층되어 위치된 탄을 개별적으로 방출하는 개별 방출단계 또는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복수의 탄을 한번에 방출하는 전체 방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체 방출단계는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두 부분으로 분리시키는 케이싱 분리과정 및 상기 케이싱 분리과정 후 복수의 탄을 한번에 방출시키는 탄 방출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별 방출단계는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케이싱 회전과정, 탄 가압기기로 탄을 밀어 하강시키는 탄 가압과정,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하부에 위치된 탄 발사용 개폐부를 개방하는 하부 개방과정 및 제일 하층의 위치된 탄을 방출하고 바로 윗층의 탄을 받쳐 지지하는 개별 방출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별 방출과정은 탄을 기울어진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하부로 방출하여 방출된 탄이 세차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하여 탄을 발사하여 드론을 다양한 무기 체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드론의 활용 시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EFP탄을 드론을 이용하여 발사시킴으로써 EFP탄 운용에 있어 경제성을 확보하고, 전시 상황에서 EFP탄의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탄 받침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탄 발사용 개폐부를 잠금하는 도어 잠금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탄이 발사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탄 발사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복수의 탄이 위치되는 탄 저장공간(100a)이 구비된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를 포함한다.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는 탄 저장공간(100a) 내에 탄이 적층되는 형태로 보관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는 상면부, 하면부, 탄 저장공간(100a)을 감싸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하면부에는 탄 저장공간(100a) 내에 적층된 탄을 하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탄 발사용 개폐부(110)가 위치된다.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상면부에는 드론과 연결되어 드론을 통해 드론과 연결되기 위한 드론 결합부(300)가 위치된다.
드론 결합부(300)는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를 회전시키는 발사용 회전부(200)의 상부에 위치되어 발사용 회전부(200)와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를 함께 드론에 결합시켜 드론을 통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를 탄의 발사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드론 결합부(300)는 전자석을 이용한 유도 결합 등 드론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공지의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 내에 보관되는 탄은 대전차용인 EFP탄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는 다른 공지의 다른 탄을 이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드론 결합부(300)와 발사용 회전부(200) 사이에 위치되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짐벌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짐벌부(400)는 전후 및 좌우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떠 있는 기기 또는 장비를 수평 및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짐벌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짐벌부(400)는 드론의 비행 중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가 수평 및 연직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발사용 회전부(200)에 의해 안정적으로 회전되어 내부의 탄을 안정적으로 발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내부에 위치되며 경사지게 위치되어 하부로 방출되는 탄의 이동을 안내하여 탄에 세차 운동을 발생시키는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500)를 더 포함한다.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500)는 탄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돌출부(11)가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홈(510)이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고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개방된 하부로 방출되는 탄이 세차운동을 하도록 경사져 위치된다.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500)는 탄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고 한쌍으로 위치되어 탄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탄의 방출 시 세차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 레일홈(510)은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500)의 하단부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돌출부(11)가 걸리지 않고 탄을 하부로 방출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EFP탄에는 IR센서가 위치되는 데 IR센서가 위치된 부분에서 돌출된 부분이 존재한다.
이에 EFP탄의 IR센서가 위치되어 돌출된 돌출부(11)가 가이드 레일홈(510)에 삽입된 상태로 EFP탄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 내에 적층된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가이드 레일홈(510)에 삽입되기 위해 탄의 외주면에 별도의 돌출부(11)를 형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는 드론으로 탄의 발사 위치 즉, 목표 지점까지 이동된 후 발사용 회전부(200)에 의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가 회전하게 됨과 아울러 하부의 탄 발사용 개폐부(110)가 열리면서 개방된 하부 측으로 적층된 탄이 순차적으로 방출되게 된다.
이 때 탄은 발사용 회전부(200)에 의한 회전력을 받게 되고, 경사진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500)를 따라 이동하면서 방출되어 방출된 후 세차 운동을 하면서 목표 대상물 또는 목표 지점을 타격하게 된다.
탄은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내부에서 경사진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5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되고 방출될 때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500)를 따라 하강하면서 발사용 회전부(200)에 의한 회전력을 받기 때문에 방출된 후 세차 운동을 하게 된다.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탄 저장공간(100a)이 위치된 케이싱 본체부재(120), 케이싱 본체부재(120)의 개방된 상부에 나사 결합되며 발사용 회전부(200)에 의해 회전되는 분리 커버부재(130)를 포함한다.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500)는 상단부가 베어링(520)을 통해 케이싱 본체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분리 커버부재(130)의 회전 중에도 분리 커버부재(130)와 함께 회전되지 않고, 분리 커버부재(130)와 별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발사용 회전부(200)는 분리 커버부재(130)를 나사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케이싱 본체부재(12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분리 커버부재(130)의 나사 결합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 경우 발사용 회전부(200)는 분리 커버부재(1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분리할 수 있다.
이는 케이싱 본체부재(120) 내에 보관 중인 복수의 탄의 하중이 케이싱 본체부재(120)에 가해진 상태이므로 발사용 회전부(200)의 회전력이 발생될 때 케이싱 본체부재(120)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발사용 회전부(200)로 분리 커버부재(130)를 나사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케이싱 본체부재(120)와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발사용 회전부(200)가 분리 커버부재(130)의 나사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 즉, 분리 커버부재(130)의 나사 결합이 풀리는 방향으로 분리 커버부재(130)를 회전시켜 케이싱 본체부재(120)를 분리시켜 낙하 시킴으로써 케이싱 본체부재(120)의 상부를 개방시키고 개방된 케이싱 본체부재(120)의 상부를 통해 내부에 보관 중이 복수의 탄을 한번에 방출 시킬 수 있게 된다.
탄 발사용 개폐부(110)의 하부를 개방하여 적층된 탄을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하부 측으로 순차적으로 방출하는 경우 발사용 회전부(200)는 분리 커버부재(130)의 나사 결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켜 분리 커버부재(130)가 케이싱 본체부재(120)와 분리되지 않도록 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500)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가이드 레일홈(510)에 위치된 탄의 돌출부(11)를 걸어 지지하고 돌출부(11)를 걸어 지지한 상태를 해제하는 탄 방출용 레일 개폐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 방출용 레일 개폐부(900)는 가이드 레일홈(510) 내로 돌출되는 탄 걸림부를 직선 왕복 이동시켜 가이드 레일홈(510)의 적어도 일부분을 닫어 탄의 돌출부(11)를 걸어 지지하고 가이드 레일홈(510)을 완전히 개방시켜 돌출부(11)를 걸어 지지한 상태를 해제하여 탄이 가이드 레일홈(510)의 하부 측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탄 방출용 레일 개폐부(900)는 탄 걸림부가 피스톤 로드인 유압 실린더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 구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랙 피니언 구조 등 공지의 직선 이동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탄 방출용 레일 개폐부(900)는 기본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홈(510)의 하부 측을 개방한 상태로 위치되며 발사용 회전부(200)가 분리 커버부재(130)를 회전시켜 분리할 때 일차적으로 가이드 레일홈(510)의 적어도 일부분을 닫어 탄의 돌출부(11)를 걸어 지지한다.
분리 커버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케이싱 본체부재(120)가 분리 커버부재(130)와 분리되면 최하부에 위치된 탄의 돌출부(11)가 탄 방출용 레일 개폐부(900)에 의해 걸려 탄의 위치가 유지된다.
그리고, 케이싱 본체부재(120)가 분리 커버부재(130)와 분리된 후 가이드 레일홈(510)을 완전히 개방시켜 돌출부(11)를 걸어 지지한 상태를 해제하여 적층된 복수의 탄이 가이드 레일홈(510)의 하부 측으로 한번에 순차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내부에는 적층된 탄의 하부를 걸어 지지하며 적층된 탄을 순차적으로 개방된 하부를 통해 방출되도록 하는 탄 받침부(600)가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부에 탄이 올려지며 탄 받침부(600)에 걸리는 탄 받침패널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 받침패널부재(700)는 탄의 하부에 위치되어 탄을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탄 받침부(600)에 걸려 적층된 탄이 개방된 하부 측으로 순차적으로 방출될 때 방출 대기 중인 탄들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 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탄 받침패널부재(700)는 적층된 탄의 사이에 위치되고, 최하 측에 위치된 탄의 하부에 위치되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내부에 탄이 안정적으로 적층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탄 받침패널부재(700)의 상면에는 경사진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5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기울어진 탄의 하부를 지지하는 탄 지지돌기부(710)가 위치되어 탄이 기울어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탄 지지돌기부(710)는 기울어진 탄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경사면을 구비하여 탄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 받침부(600)는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 내에 적층된 탄을 밀어 하강시키는 탄 가압기기(610),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측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외주면에 탄의 하부 측을 걸어 받치는 복수의 탄 걸림부(621)가 이격되게 위치되는 회전 받침부재(620)를 포함하며, 회전 받침부재(620)는 탄 가압기기(610)의 작동에 의해 밀려 회전되어 탄이 방출되면서 하강되는 탄을 탄 걸림부(621)로 순차적으로 걸어 지지한다.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측면부에는 회전 받침부재(6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의 공간이 위치되고, 회전 받침부재(620)는 돌출된 탄 걸림부(621)가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측면부의 개방된 공간 내에 위치된다.
회전 받침부재(620)가 회전될 때 일부의 탄 걸림부(621)는 측면부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위치되고, 이로써 회전 받침부재(620)는 돌출된 탄 걸림부(621)가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고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내부로 돌출되는 탄 걸림부(621)에 의해 탄 받침패널부재(700)의 하부면을 걸어 탄의 위치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탄 걸림부(621)는 회전 받침부재(62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되게 위치되고 탄 받침패널부재(700)의 하부를 걸어 지지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회전 받침부재(62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적층된 탄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적층된 탄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탄 가압기기(610)는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 내에 위치되어 탄을 하부 측으로 미는 탄 가압패널부재(611), 탄 가압 패널부재를 하강시키는 승하강부(612)를 포함한다.
승하강부(612)는 전동식으로 컬럼이 다단으로 인출되는 전동 텔레스코프기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를 포함하는 직선 이동구조, 볼 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 등 공지의 직선 이동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한편, 탄 받침부(600)는 회전 받침부재(620)의 위치를 구속하고 기설정된 힘 이상으로 밀려 회전될 때에만 회전 받침부재(620)가 회전되도록 하는 받침 구속부(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을 탄 발사용 개폐부(110)를 닫힌 상태로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여 열릴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잠금부(800)를 더 포함한다.
탄 발사용 개폐부(110)는 일측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고, 타단부에 도어 잠금부(800)가 위치되어 도어 잠금부(800)의 잠금이 해제되면 힌지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하부를 개방한다.
도어 잠금부(800)는 발사용 회전부(200)의 작동 후 탄 발사용 개폐부(110)의 잠금을 해제하여 탄 발사용 개폐부(110)가 열리도록 함으로써 발사용 회전부(200)의 회전 후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하부 측으로 적층된 탄이 순차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탄 받침부(6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을 참고하면 받침 구속부(630)는 탄 걸림부(621)의 측면에 삽입되는 볼이 탄성 지지된 구조를 가지는 볼플런저(631)인 것을 일 예로 한다.
탄 걸림부(621)의 양 측면에는 볼플런저(631)의 볼이 삽입되는 볼삽입부가 위치되고 볼플런저(631)는 탄 걸림부(621)의 양 측에 위치되어 탄 걸림부(621)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볼 플런저는 탄 걸림부(621)가 탄 가압기기(610)에 의해 밀려 회전되기 전까지 탄 걸림부(621)의 위치를 구속한다.
탄 걸림부(621)는 볼플런저(631)에 의해 위치가 구속되어 탄 받침패널부재(70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탄 걸림부(621)가 탄 가압기기(610)에 의해 밀려 회전 받침부재(620)가 회전되면 제일 하층에 위치된 탄이 배출된 후 다음 탄 걸림부(621)가 볼 플런저에 위치가 구속되면서 배출된 탄의 바로 윗층의 탄을 걸어 지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탄 발사용 개폐부(110)를 잠금하는 도어 잠금부(8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어 잠금부(800)는 탄 가압기기(61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을 기구적 구조로 전달받아 탄 발사용 개폐부(110)의 잠금을 해제한다.
더 상세하게 도어 잠금부(800)는 일부분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탄 발사용 개폐부(110) 내에 삽입되어 위치되며 슬라이딩 이동되어 탄 발사용 개폐부(110) 내로만 삽입되는 슬라이드 이동부재(810),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부재(8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부재(810)의 위치를 잠금하는 슬라이드 잠금부재(820), 슬라이드 잠금부재(820)를 탄성 지지하는 잠금해제용 스프링부재(830), 회전 받침부재(620)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하강되어 슬라이드 잠금부재(820)를 눌러 슬라이드 이동부재(810)의 잠금을 해제하는 슬라이드 잠금해제부(84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이동부재(810)는 일부분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측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탄 발사용 개폐부(110) 내에 삽입되어 탄 발사용 개폐부(11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잠금부재(820)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부재(8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측면부에 걸려 잠금해제용 스프링부재(830)를 압축하면서 위치된 슬라이드 이동부재(81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슬라이드 이동부재(810)는 잠금해제용 스프링부재(830)를 압축한 상태로 슬라이드 잠금부재(82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부분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측면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탄 발사용 개폐부(110) 내에 삽입되어 탄 발사용 개폐부(110)를 닫힌 상태로 유지한다.
슬라이드 잠금해제부(840)는 회전 받침부재(620)에 위치되며 회전 받침부재(6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잠금 해제용 피니언 기어부(841),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측면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피니언 기어부에 맞물려 세워져 위치되는 잠금 해제용 랙기어부재(8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잠금 해제용 랙기어부재(842)는 잠금 해제용 피니언 기어부(841)의 회전에 의해 하강하여 슬라이드 잠금부재(820)를 눌러 슬라이드 이동부재(810)의 잠금을 해제하고, 슬라이드 이동부재(810)는 잠금해제용 스프링부재(8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밀려 이동하여 탄 발사용 개폐부(110) 내의 잠금 해제 공간(111) 내로 완전히 삽입되어 탄 발사용 개폐부(110)의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즉, 탄 가압기기(610)의 작동에 의해 탄이 밀려 하강하면서 회전 받침부재(620)가 회전하면 이와 함께 잠금 해제용 피니언 기어부(841)가 회전하고, 랙기어부재가 하강하면서 슬라이드 잠금부재(820)를 눌러 슬라이드 이동부재(810)의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슬라이드 이동부재(810)는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 잠금해제용 스프링부재(830)에 의해 밀려 전체가 탄 발사용 개폐부(110)의 잠금 해제 공간(111) 내로 삽입되어 탄 발사용 개폐부(110)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탄 발사용 개페부는 슬라이드 이동부재(810)가 잠금 해제 공간(111)으로 전체가 삽입되면서 잠금이 해제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하부를 개방시켜 탄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탄이 발사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는 발사용 회전부(200)로 분리 커버부재(130)를 나사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켜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를 회전시키면서 적층된 복수의 탄을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하부 측으로 순차적으로 방출시킬 수도 있고, 발사용 회전부(200)로 분리 커버부재(130)를 나사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분리시켜 케이싱 본체부재(120)를 분리시켜 케이싱 본체부재(120) 내 복수의 탄을 한번에 방출시킬 수도 있다.
도 1, 도 3, 도 4,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는 드론을 통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가 탄의 목표로한 발사 지점까지 이동된 후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를 분리 커버부재(130)의 나사 결합 방향으로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탄 가압기기(610)를 작동시켜 한층의 탄을 밀어 방출시킬 수 있다.
탄 가압기기(610)가 승하강부(612)로 한층의 탄을 밀어 방출시킬 수 있는 만큼만 탄 가압패널부재(611)를 하강시키면 제일 하층에 위치된 탄은 밀려 이동하면서 회전 받침부재(620)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때 회전 받침부재(620)의 회전에 의해 탄 발사용 개폐부(110)의 잠금이 해제되면서 탄 발사용 개폐부(110)가 힌지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면서 탄 발사용 개폐부(110)가 열려 제일 하층에 위치된 탄이 방출되게 된다.
그리고, 제일 하층에 위치된 탄이 밀려 이동하여 방출되면서 회전 받침부재(620)는 기설정된 각도만큼만 회전된 후 받침 구속부(630)에 의해 구속되어 방출된 탄의 바로 위에 적층된 탄을 받치는 탄 받침패널부재(700)를 걸어 지지하게 된다.
개별적으로 방출된 탄은 발사용 회전부(200)에 의한 회전력을 받게 되고, 경사진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500)를 따라 이동하면서 방출되어 방출된 후 세차 운동을 하면서 목표 대상물 또는 목표 지점을 타격하게 된다.
탄이 방출된 후 드론으로 다른 목표로 이동시킨 후 다시 탄 가압기기(610)를 작동시켜 다시 제일 하층에 위치된 탄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에 복수의 탄을 개별적으로 방출시켜 복수의 목표를 개별적으로 타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 도 1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는 드론을 통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가 탄의 목표로한 발사 지점까지 이동된 후 발사용 회전부(200)로 분리 커버부재(130)를 나사 결합 방향인 시계방향과 반대 방향 즉,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분리 커버부재(130)를 회전시켜 케이싱 본체부재(120)를 분리시킴으로써 개방된 케이싱 본체부재(120)의 상부를 통해 내부에 보관 중이 복수의 탄을 한번에 방출시킬 수 있다.
즉, 발사용 회전부(200)가 분리 커버부재(130)를 나사 결합 방향인 나사 결합 방향인 시계방향과 반대 방향 즉,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분리 커버부재(130)를 회전시켜 케이싱 본체부재(120)를 분리시키는 중에 탄은 돌출부가 방출용 레일 개폐부(900)에 의해 걸려 적층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케이싱 본체부재(120)가 분리 커버부재(130)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제거된 후 방출용 레일 개폐부(900)에 의해 가이드 레일홈(510)이 완전히 개방되면서 적층된 복수의 탄이 가이드 레일홈(510)의 하부 측으로 한번에 방출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탄 발사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의 (a)는 전체 방출단계(S200)를 예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의 (b)는 개별 방출단계(S100)를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탄 발사방법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탄이 내부에 보관된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를 드론으로 이동시킨 후 내부의 탄을 방출시켜 목표물을 타격하도록 하는 탄 발사방법이며,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 내에 적층되어 위치된 탄을 개별적으로 방출하는 개별 방출단계(S100) 또는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복수의 탄을 한번에 방출하는 전체 방출단계(S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탄 발사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탄 발사 장치를 이용한 탄 발사 방법임을 밝혀둔다.
개별 방출단계(S100)는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를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탄을 적층된 순서로 개별적으로 방출한다.
그리고, 전체 방출단계(S200)는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를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를 두 부분으로 분리시키는 케이싱 분리과정(S210), 케이싱 분리과정(S210) 후 복수의 탄을 한번에 방출시키는 탄 방출과정(S2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체 방출단계(S200)는 발사용 회전부(200)로 분리 커버부재(130)를 나사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분리 커버부재(130)와 케이싱 본체부재(120)를 분리시킴으로써 케이싱 본체부재(120) 내 복수의 탄을 한번에 방출시킨다.
또한, 개별 방출단계(S100)는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를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케이싱 회전과정(S110), 탄 가압기기(610)로 탄을 밀어 하강시키는 탄 가압과정(S120),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하부에 위치된 탄 발사용 개폐부(110)를 개방하는 하부 개방과정(S130), 제일 하층의 위치된 탄을 방출하고 바로 윗층의 탄을 받쳐 지지하는 개별 방출과정(S140)을 포함한다.
개별 방출과정(S140)은 탄을 기울어진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500)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의 하부로 방출하여 방출된 탄이 세차 운동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탄 발사방법은 EFP탄을 방출하여 목표물 즉, 일 예로 전차를 타격하는 탄 발사 방법이고, 개별 방출단계(S100) 또는 전체 방출단계(S200) 후 EFP탄을 통해 목표물을 타격하는 목표물 타격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목표물 타격단계(S300)는 EFP탄의 열전지 활성화과정(S310), 전자부 센서 작동과정(S320), 표적 감지과정(S330), 신호 처리과정(S340), 기폭과정(S350)을 포함하며 이는 EFP탄에서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한 작동 단계로 공지된 것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탄 발사방법은 개별 방출단계(S100)를 통해 탄 운반용 케이싱부(100) 내에 적층되어 위치된 탄을 개별적으로 방출하여 복수의 목표물을 개별적으로 타격할 수도 있고, 전체 방출단계(S200)를 통해 하나의 목표물에 복수의 탄을 한번에 타격시킬 수도 있어 탄의 운용에 있어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목표물에 따른 효율적인 탄의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하여 탄을 발사하여 드론을 다양한 무기 체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드론의 활용 시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
특히, 본 발명은 EFP탄을 드론을 이용하여 발사시킴으로써 EFP탄 운용에 있어 경제성을 확보하고, 전시 상황에서 EFP탄의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탄 운반용 케이싱부 100a : 탄 저장공간
110 : 탄 발사용 개폐부 111 : 잠금 해제 공간
120 : 케이싱 본체부재 130 : 분리 커버부재
200 : 발사용 회전부 300 : 드론 결합부
400 : 짐벌부
500 :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
600 : 탄 받침부 610 : 탄 가압기기
611 : 탄 가압패널부재 612 : 승하강부
620 : 회전 받침부재 621 : 탄 걸림부
630 : 받침 구속부 631 : 볼플런저
700 : 탄 받침패널부재 710 : 탄 지지돌기부
800 : 도어 잠금부 810 : 슬라이드 이동부재
820 : 슬라이드 잠금부재 830 : 잠금해제용 스프링부재
840 : 슬라이드 잠금해제부
841 : 잠금 해제용 피니언 기어부
842 : 잠금 해제용 랙기어부재
S100 : 개별 방출단계 S110 : 케이싱 회전과정
S120 : 탄 가압과정 S130 : 하부 개방과정
S140 : 개별 방출과정
S200 : 전체 방출단계 S210 : 케이싱 분리과정
S220 : 탄 방출과정
S300 : 목표물 타격단계 S310 : 열전지 활성화과정
S320 : 전자부 센서 작동과정 S330 : 표적 감지과정
S340 : 신호 처리과정 S350 : 기폭과정

Claims (21)

  1. 내부에 복수의 탄이 위치되는 탄 저장공간이 구비되며 하면부에 탄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탄 발사용 개폐부가 위치된 탄 운반용 케이싱부;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상부면에 위치되며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회전시키는 발사용 회전부;
    상기 발사용 회전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발사용 회전부를 드론에 결합시키는 드론 결합부; 및
    상기 드론 결합부와 상기 발사용 회전부 사이에 위치되어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짐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2. 삭제
  3. 내부에 복수의 탄이 위치되는 탄 저장공간이 구비되며 하면부에 탄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탄 발사용 개폐부가 위치된 탄 운반용 케이싱부;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상부면에 위치되며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회전시키는 발사용 회전부;
    상기 발사용 회전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발사용 회전부를 드론에 결합시키는 드론 결합부; 및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경사지게 위치되어 하부로 방출되는 탄의 이동을 안내하여 발사되는 탄에 세차 운동을 발생시키는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4. 내부에 복수의 탄이 위치되는 탄 저장공간이 구비되며 하면부에 탄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탄 발사용 개폐부가 위치된 탄 운반용 케이싱부;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상부면에 위치되며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회전시키는 발사용 회전부; 및
    상기 발사용 회전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발사용 회전부를 드론에 결합시키는 드론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탄 저장공간이 위치된 케이싱 본체부재; 및
    상기 케이싱 본체부재의 개방된 상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발사용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분리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사용 회전부는 상기 분리 커버부재를 나사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케이싱 본체부재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경사지게 위치되고, 상기 탄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돌출부가 삽입되며 하부 측으로 개방된 가이드 레일홈이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홈에 위치된 탄의 돌출부를 걸어 지지하고 상기 돌출부를 걸어 지지한 상태를 해제하는 탄 방출용 레일 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는 상단부가 베어링을 통해 상기 케이싱 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탄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고 한쌍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6. 내부에 복수의 탄이 위치되는 탄 저장공간이 구비되며 하면부에 탄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탄 발사용 개폐부가 위치된 탄 운반용 케이싱부;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상부면에 위치되며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회전시키는 발사용 회전부;
    상기 발사용 회전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발사용 회전부를 드론에 결합시키는 드론 결합부; 및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내부에 위치되어 적층된 탄의 하부를 걸어 지지하며 적층된 탄을 순차적으로 개방된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하부를 통해 방출시키는 탄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부에 탄이 올려지며 상기 탄 받침부에 걸리는 탄 받침패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경사지게 위치되어 하부로 방출되는 탄의 이동을 안내하여 발사되는 탄에 세차 운동을 발생시키는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 받침패널부재의 상면에는 경사진 상기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기울어진 탄의 하부를 지지하는 탄 지지돌기부가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 받침부는,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 내에 적층된 탄을 밀어 하강시키는 탄 가압기기; 및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측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외주면에 탄의 하부 측을 걸어 받치는 복수의 탄 걸림부가 이격되게 위치되는 회전 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받침부재는 탄 가압기기의 작동에 의해 밀려 회전되어 탄이 방출되면서 하강되는 탄을 상기 탄 걸림부로 순차적으로 걸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탄 받침부는,
    상기 회전 받침부재의 위치를 구속하고 기설정된 힘 이상으로 밀려 회전될 때에만 상기 회전 받침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받침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받침 구속부는 탄 걸림부의 측면에 삽입되는 볼이 탄성 지지된 구조를 가지는 볼플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12.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를 닫힌 상태로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여 열릴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잠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잠금부는 상기 발사용 회전부의 작동 후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의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가 열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를 닫힌 상태로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여 열릴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잠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잠금부는 상기 발사용 회전부의 작동 후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의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가 열리도록 하며,
    상기 도어 잠금부는 상기 발사용 회전부가 상기 분리 커버부재를 나사 결합 방향으로 회전 시킨 후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의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가 열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14. 내부에 복수의 탄이 위치되는 탄 저장공간이 구비되며 하면부에 탄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탄 발사용 개폐부가 위치된 탄 운반용 케이싱부;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상부면에 위치되며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회전시키는 발사용 회전부;
    상기 발사용 회전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발사용 회전부를 드론에 결합시키는 드론 결합부; 및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를 닫힌 상태로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여 열릴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잠금부는 상기 발사용 회전부의 작동 후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의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가 열리도록 하고,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는 일측이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고, 타단부에 상기 도어 잠금부가 위치되어 상기 도어 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되면 힌지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어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하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를 닫힌 상태로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여 열릴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잠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잠금부는 상기 탄 가압기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을 기구적 구조로 전달받아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부는,
    일부분이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 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슬라이드 이동부재;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의 위치를 잠금하는 슬라이드 잠금부재;
    상기 슬라이드 잠금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잠금해제용 스프링부재; 및
    상기 회전 받침부재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하강되어 상기 슬라이드 잠금부재를 눌러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의 잠금을 해제하는 슬라이드 잠금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는 상기 잠금해제용 스프링부재의 탄성 복원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 내로 삽입되어 상기 탄 발사용 개폐부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잠금해제부는,
    상기 회전 받침부재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 받침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잠금 해제용 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측면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에 맞물려 세워져 위치되는 잠금 해제용 랙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탄 발사 장치.
  18. 삭제
  19. 복수의 탄이 내부에 보관된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드론으로 이동시킨 후 내부의 탄을 방출시켜 목표물을 타격하도록 하는 탄 발사방법이며,
    탄 운반용 케이싱부 내에 적층되어 위치된 탄을 개별적으로 방출하는 개별 방출단계 또는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복수의 탄을 한번에 방출하는 전체 방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 방출단계는,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두 부분으로 분리시키는 케이싱 분리과정; 및
    상기 케이싱 분리과정 후 복수의 탄을 한번에 방출시키는 탄 방출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탄 발사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개별 방출단계는,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를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케이싱 회전과정;
    탄 가압기기로 탄을 밀어 하강시키는 탄 가압과정;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하부에 위치된 탄 발사용 개폐부를 개방하는 하부 개방과정; 및
    제일 하층의 위치된 탄을 방출하고 바로 윗층의 탄을 받쳐 지지하는 개별 방출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탄 발사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개별 방출과정은 탄을 기울어진 세차 운동용 가이드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탄 운반용 케이싱부의 하부로 방출하여 방출된 탄이 세차 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탄 발사방법.
KR1020190177896A 2019-12-30 2019-12-30 드론용 탄 발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드론의 탄 발사방법 KR102289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896A KR102289899B1 (ko) 2019-12-30 2019-12-30 드론용 탄 발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드론의 탄 발사방법
US17/101,208 US11485496B2 (en) 2019-12-30 2020-11-23 Shell launcher for drone and method of launching shell for dron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896A KR102289899B1 (ko) 2019-12-30 2019-12-30 드론용 탄 발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드론의 탄 발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154A KR20210085154A (ko) 2021-07-08
KR102289899B1 true KR102289899B1 (ko) 2021-08-12

Family

ID=7689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896A KR102289899B1 (ko) 2019-12-30 2019-12-30 드론용 탄 발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드론의 탄 발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85496B2 (ko)
KR (1) KR102289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4380B2 (en) * 2019-08-13 2023-09-12 Tetac Inc. Drone payload—energetic weapons pod
KR102605255B1 (ko) * 2021-07-20 2023-11-23 주식회사 아르고스다인 드론의 유탄 발사 반발 제어장치
KR102526498B1 (ko) * 2021-11-30 2023-04-28 우리랩스 주식회사 전투용 미사일 드론
KR102665681B1 (ko) * 2022-09-14 2024-05-13 주식회사 지에이 드론 장착용 포탄 투하 모듈 및 이를 갖는 드론
DE102023002210B3 (de) 2023-05-31 2024-04-04 Bundesrepublik Deutschland, vertr. durch das Bundesministerium der Verteidigung, vertr. durch das Bundesamt für Ausrüstung, Informationstechnik und Nutzung der Bundeswehr Hohlladung und damit ausgestattete Droh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578B1 (ko) * 2015-08-28 2017-05-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탄을 발사할 수 있는 화재 진압 드론
KR101912740B1 (ko) * 2016-04-15 2018-10-3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을 이용한 산불 감시 및 진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10053A (en) * 1919-07-15 Edward s
US2250240A (en) * 1936-11-12 1941-07-22 Messerschmitt Boelkow Blohm Load carrier for aircraft
US2608131A (en) * 1945-01-17 1952-08-26 Gen Motors Corp Bomb release system
US2975676A (en) * 1950-10-20 1961-03-21 Chance Vought Corp Missile launching systems for aircraft
US2937573A (en) * 1956-06-28 1960-05-24 Martin Co Bombing apparatus
GB8801311D0 (en) * 1988-01-20 1988-06-02 Secr Defence Missile launcher
KR20180066376A (ko) * 2016-12-08 2018-06-19 박성연 화재 진압 드론
CN107252531A (zh) * 2017-06-26 2017-10-17 深圳市雷凌广通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用于森林救火的无人机
US10793275B2 (en) * 2018-06-08 2020-10-06 Bell Textron Inc. Rotatable and extendable deployment system
KR101935262B1 (ko) 2018-06-29 2019-01-0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근접 방어용 비행체, 드론 지능탄 또는 근접 방어용 드론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578B1 (ko) * 2015-08-28 2017-05-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탄을 발사할 수 있는 화재 진압 드론
KR101912740B1 (ko) * 2016-04-15 2018-10-3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을 이용한 산불 감시 및 진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53250A1 (en) 2021-08-19
US11485496B2 (en) 2022-11-01
KR20210085154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899B1 (ko) 드론용 탄 발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드론의 탄 발사방법
US8820212B2 (en) Urban combat system automatic firearm having ammunition feed controlled by weapon cycle
US10222175B2 (en) Robot/drone multi-projectile launcher
RU2549599C1 (ru) Безгильзовое оружие
US7293492B2 (en) Multiple projectile launcher
WO2011010315A2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tected reloading of a remote controlled weapon station
WO2006091240A2 (en) Infantry combat weapons system
US1294240A (en) Aeroplane-gun.
US8807004B1 (en) Recoil attenuated payload launcher system
CN201093941Y (zh) 身管前冲自动武器
CN212458130U (zh) 一种二级火药发射部及其组成的捕网弹
KR20180100165A (ko) 비치사적 무력 장치
US3204530A (en) Rocket boosted automatic weapon and ammunition system
US11326854B2 (en) Modular grenade launcher assembly
RU2326322C2 (ru) Танковая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заряжания "скоропея"
RU2560181C1 (ru) Танковая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заряжания "скоропея-3"
CN111551079B (zh) 一种二级火药发射部、捕网弹及其二级启动方法
RU2363906C2 (ru) Танк с башенным автоматом заряжания
KR102526498B1 (ko) 전투용 미사일 드론
RU2612037C2 (ru) Разведывательно-огневой комплекс вооружения танка
US9546840B1 (en) Bi-directional recoil containment and double strike prevention system
CN110470182A (zh) 炮投式武器站
CN220608945U (zh) 多弹种灭火平台
US53036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trapping and discarding spent artillery shells
KR101340275B1 (ko) 대포의 포탄 격발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