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362A -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 Google Patents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362A
KR20130104362A KR1020120025787A KR20120025787A KR20130104362A KR 20130104362 A KR20130104362 A KR 20130104362A KR 1020120025787 A KR1020120025787 A KR 1020120025787A KR 20120025787 A KR20120025787 A KR 20120025787A KR 20130104362 A KR20130104362 A KR 20130104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sinking
short
range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1978B1 (ko
Inventor
오세홍
Original Assignee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97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8/00Practice or training ammunition
    • F42B8/12Projectiles or missiles
    • F42B8/20Mortar grenades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과 운용 방법이 실제 박격포탄인 고폭탄과 동일한 형태와 구조로 구성되어 안전핀스프링의 제거, 신관조정, 연습탄 장입 등 실제 고폭탄의 운영과 동일하게 훈련을 실시하며 실사격 훈련을 통해 폭음 및 연막발생으로 탄착지의 명중 여부를 관측할 수 있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장전과 장전의 특징을 갖는 신관결합체와 상기 신관결합체를 이용하여 연막제가 충전된 생분해성 탄체와 날개로 구성된 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은 사격장소가 협소한 곳이나 사격장이 부족한 부분을 해소하며 부대의 병력 이동이 불필요한 연병장에서 포술훈련 후 단거리 탄착지(축사거리)를 실사격하여 폭음 및 연막발생으로 탄착점을 확인하는 전투병의 기초훈련용 친환경 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의 제공과 함께, 상기 신관결합체를 이용하여 금속탄체 내부에 고폭약 대신 파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흙을 충전하여 박격포의 실사거리 탄착지를 실사격하여 폭음 및 연막발생으로 탄착점을 확인하고 측정 결과를 반영하는 전문훈련용의 친환경 장거리 박격포 연습탄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은, 공기의 저항이 적게 받는 유선형으로 형성하되 신관몸체에 장착되며 시한신관과 순발신관의 조작 연습을 위한 신관노브와 취급부주의에 의한 낙탄이 발생하여도 폭발하지 않도록 신관 동작을 제한하는 1차 안전장치의 기능을 갖으며 사격시에는 제거하는 방법을 연습하는 안전핀스프링과 연습탄이 비행후 탄착지에 충돌시 빗겨 맞아도 격침이 기폭뇌관을 정확히 타격하도록 격침노브와 타격봉을 분리, 수용하며 상기 격침 가이드와 신관봉 및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격침이 일치되지 않도록 구속하여 기폭뇌관의 타격에 의한 폭발을 방지하는 비장전 상태와 발사시 셋백(SETBACK)에 의한 작동으로 격침이 기폭뇌관과 일치하게 정렬하여 장전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관결합체(10,20)와; 상기 신관결합체에 결합되는 탄체 결합체(30)와; 상기 탄체결합체에 결합되며 상기 탄체결합체와 신관결합체를 탄착지까지 비행하도록 하는 날개결합체(40)와; 상기 날개결합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박격포의 공이에 의해 뇌관이 폭발하여 발화하는 뇌관결합체(50)와; 상기 날개결합체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장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ECO SHORT-LONG DISTANCE MORTAR PRACTICE AMMUNITION}
본 발명은 형상과 운용 방법이 박격포 고폭탄과 동일하며 실 사격시 폭음 및 연막발생으로 탄착지의 명중 여부를 관측할 수 있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에 관한 것이다.
박격포는 산악지대나 건물의 뒤편, 참호 등,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한 적군을 고각사격에 의해 타격하는 화포의 일종으로 포탄이 곡사로 떨어져 폭발하므로 살상반경이 넓어 인명살상에 효과적인 무기이다.
따라서 박격포는 전투병이 사격훈련 성과를 숙달, 배양시키고 실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동일절차로 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전투병이 박격포 고폭탄을 실사격하여 탄착지 폭발까지의 절차를 설명하면, (1) 고폭탄 포장박스 개봉 ~> (2) 단발, 지환통의 고폭탄 개봉 ~> (3) 사거리 따른 날개부에 부착될 장약의 선정 ~> (4) 안전핀 제거 ~> (5) 고폭탄을 박격포 발사대에 장입 ~> (6) 고폭탄 발사 ~> (7) 고폭탄 비행 ~> (8) 탄착지에 고폭탄 폭발의 순서로 진행된다.
그러나 현재 고성능의 화약이 들어 있는 고폭탄의 사용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고폭탄의 발당 가격이 비싸며 또한 건기나 동절기에는 산불화재 발생의 위험 및 실사거리 사격장 확보의 어려움으로 사격훈련이 제한되어 전투병의 전투력이 떨어진다.
2. 고폭탄의 폭발에 의한 탄착지 주변의 파열음, 파편비산, 도비, 진동 등으로 유리창의 파손, 벽의 균열, 가축유산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민의 민원제기에 의한 사격중지 요구가 빈번하다.
3. 탄착지 주변의 파편 및 화약 잔해물에 의한 토양오염으로 자연환경을 훼손한다.
4. 파편 잔해물 처리로 훈련시간을 낭비한다.
5. 탄착지 주변의 불발탄 발생으로 폭발물 처리반의 불발탄 처리가 뒤따르며, 불발탄 처리시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2869호(박격포 전술 훈련탄)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박격포 전술훈련탄은, 박격포의 포신 내에 수납되고, 상기 박격포 축사기의 잠금 뭉치와 결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박격포의 공이가 타격되는 뇌관; 상기 뇌관과 연결되고, 상기 공이가 상기 뇌관을 타격하는 경우 연소하는 추출장약; 상기 추출장약의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추출장약의 연소에 따라 연쇄적으로 연소되는 폭음/연막제; 및 상기 추출장약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가스를 분출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는 분출구로 구성된다.
종래 박격포 전술훈련탄은, 폭음과 연막을 발생하지만 폭음과 연막이 탄착 지점에서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박격포에서 발사되는 순간에 발생되는 것이기 때문에 박격포 사격에 따른 실제 상황을 연출하지 못하므로 훈련 효과가 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폭탄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협소한 훈련장(부대 내 연병장 등)에서도 쉽게 훈련할 수 있도록 대체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41290호(박격포 연습사격용 축사탄)의 22mm 축사탄을 60mm, 81mm, 4.2'를 겸용으로 하여 각각의 축사기(이하 샤보트)에 결합한 축사탄을 군에서 운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박격포 연습사격용 축사탄의 실사격부터 탄착지 폭발까지의 절차를 설명하면, (1) 축사탄 포장박스 개봉 ~> (2) 축사탄의 장약기호(뇌관부근에 오목 요철 홈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추진제 양으로 축사거리 조정) 확인 ~> (3) 축사탄의 뇌관 보호덮개 제거 ~> (4) 축사기의 플랜지 분해 ~> (5) 축사탄의 안전핀 제거 ~> (6) 축사탄을 축사기에 삽입~> (7) 플랜지 결합 ~> (8) 축사탄(축사기 포함)을 박격포 발사대에 장입 ~> (9) 축사탄 발사 ~> (10) 축사탄은 축사기에서 방출 ~> (11) 축사탄 비행 ~> (12) 탄착지에 축사탄 폭발 ~> (13) 박격포 앞 약 15m 전방에 축사기 축출 ~> (14) 축사기 회수~> (15) 플렌지 분해 ~> (16) 축사탄 탄피의 축사기에서 분리 ~> (17) 플렌지를 축사기에 재결합하는 순서로 진행되며 축사기는 재사용 한다.
따라서 종래 박격포 연습사격용 22mm 축사탄이 축사거리 탄착점에 떨어질 때 소량의 연막과 폭음으로 시각 및 청각효과를 도출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박격포 연습사격용 22mm 축사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위에서 절차를 설명하였듯이 형태, 크기 및 사격절차와 방법이 실제 고폭탄과 전혀 다르다.
2. 따라서 사격하고자 하는 사거리에 부합되는 고폭탄 탄약운용(사격방법 및 절차, 장약의 선택 등 모든 행위) 방법의 숙달훈련을 전투병이 제대로 습득하지 못하여 실전력이 부족하다.
3. 실사격한 22mm 축사탄은 비행시 무게가 가벼워 바람의 영향에 의한 탄도 궤적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므로 탄착점에 대한 정확도가 현저히 낮아 사격훈련의 실효성이 매우 저조하다.
4. 탄착지 주변의 불발탄 발생으로 폭발물 처리반의 불발탄 처리가 뒤따르며, 불발탄 처리시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5. 22mm 축사탄은 모두 금속재질로 구성된 탄두여서 탄착지에 폭발 후 밖힌 잔해물의 수거가 어렵다.
6. 22mm 축사탄은 겸용이나 박격포 구경에 따라 장약 장착부가 구분되어 사용시 취급이 번거롭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4129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286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군에서 사용하는 고폭탄과 22mm 축사탄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며 실 사격시 폭음 및 연막발생으로 탄착지의 명중 여부를 관측하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에 관한 것으로, 사격장소가 협소한 곳이나 사격장이 부족한 부분을 해소하며 부대의 병력 이동이 불필요한 연병장에서 포술훈련 후 단거리 탄착지(이하 축사거리)를 실사격하여 폭음 및 연막발생으로 탄착점을 확인하는 전투병의 기초훈련용의 친환경 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의 제공과 함께,
신관결합체를 이용하여 금속탄체 내부에 고폭약 대신 파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친환경 흙을 충전한 친환경 장거리 박격포 연습탄으로 탄착지를 실사격하여 폭음 및 연막발생으로 탄착점을 확인하고 측정 결과를 반영하는 전문훈련용의 친환경 장거리 박격포 연습탄을 제공함으로서 2가지 목적을 달성한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례로 60mm의 신관결합체로 81mm(이하 4.2", 120mm 도 동일적용) 어댑터 부품을 추가, 결합하여 81mm 신관결합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공용, 사용하므로 취급 및 조달의 용이성과 함께 예산절감에도 기여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은, 형상과 운용 방법이 박격포 고폭탄과 동일하며 실 사격시 폭음 및 연막발생으로 탄착지의 명중 여부를 관측할 수 있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으로서, 장전과 비장전이 가능하며 장전 상태에서 탄착점에 충돌하여 폭발하는 신관결합체와; 상기 신관결합체에 결합되며 탄착점에 충돌하여 폭음과 연막을 발현하는 탄체 결합체와; 상기 탄체결합체에 결합되며 상기 탄체결합체와 신관결합체를 탄착지까지 비행하도록 하는 날개결합체와; 상기 날개결합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박격포의 공이에 의해 뇌관이 폭발하여 발화하는 뇌관결합체와; 상기 날개결합체의 둘레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탄체 결합체와 날개 결합체가 상대적으로 단거리와 장거리로 비행하도록 함으로써 단거리용과 장거리용의 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투병이 고폭탄과 동일절차로 훈련하여 사격훈련 성과를 숙달, 배양시켜 실전감을 느끼므로 전투력을 향상 시키고,
(2) 사격장 협소 및 부족현상으로 인한 훈련 부족을 해소할 수 있으며,
(3) 취급부주의에 의해 낙탄이 발생하여도 소량의 화약에 의한 폭발위험이 배제되어 안전을 보장하고,
(4) 사격전이나 사격 간에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배치하던 별도 병력이 불필요하므로 실사격 훈련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보장하며,
(5) 친환경 재질의 탄체 파편은 회수하지 않아도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므로 탄체 파편의 수거에 따른 훈련시간을 낭비하지 않으며,
(6) 산불화재 위험이 감소하여 건기나 동절기에 관계없이 실사격 훈련을 전념할 수 있고,
(7) 탄체의 폭발에 의한 탄착지 주변의 파열음, 파편비산, 도비, 진동 등으로 인한 유리창의 파손, 벽의 균열, 가축유산 등이 발생하지 않아 주민의 민원제기가 해소되며,
(8) 탄착지 주변에 불발탄이 발생하지 않아 폭발물 처리반의 불발탄 처리 요인이 감소하며,
(9)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이 탄착지에서 폭음과 연막을 발생하여 관측병에 의한 탄착지 확인이 용이하므로 박격포의 재조정 등을 통해 명중률을 높일 수 있고,
(10) 60mm 친환경 신관결합체를 사용하여 81mm 어댑터를 연결하면 81mm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필요에 따라 4.2" 및 120mm 박격포 연습탄으로도 공용 대처)으로 사용 가능하여 고가의 고폭탄 비용을 친환경 박격포 연습탄으로 대체하므로 국방비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11) 수출 확대로 기업 및 국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거리(축사거리) 탄착지 및 장거리(실사거리) 탄착지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에 적용된 신관결합체의 확대 단면도.
도 5a 내지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에 적용된 신관결합체의 작동 상태도로,
도 5a와 도 5b는 각각 격침 가이드에 의해 격침의 작동을 구속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와 외관 사시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각각 격침 가이드가 격침의 구속을 해제한 상태의 단면도와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에 어댑터가 적용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은, 신관결합체(10), 탄체 결합체(30), 날개 결합체(40), 뇌관결합체(50)로 구성되어 단거리(축사거리)와 장거리(실사거리)에 사용되도록 2중 목적으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신관결합체(예를 들어 60mm)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도3,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관결합체(10)는, 신관몸체(11), 격침노브(12), 격침노브 스프링(12a), 타격봉(13), 안전핀스프링(14), 신관노브 결합체[신관노브(15), 노브받침대(15a), 나사(15b)], 상부커버(21), 격침(22), 격침홀더(23), 격침가이드(24), 뇌관홀더(25), 신관봉(26), 기폭뇌관(27), 하부커버(28), 폭음관(29)로 구성될 수 있다.
신관몸체(11)는 공기저항을 적게 받도록 예를 들어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충격에 쉽게 기폭되는 구조를 취함이 바람직하며 안전핀스프링의 삽입홈과 신관 노브결합체가 일측에 조립되며 내부는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여 폭음관(29)으로 삽입, 조립되고 연설돤 일측은 탄체와 나사조립 하도록 되어있다.
격침노브(12)는 신관 결합체(10)가 탄착지에 충돌할 때 격침을 타격하는 것으로, 신관몸체(11)의 선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격침노브(12)는 신관몸체(11)에 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격침노브 스프링(12a)을 통해 전진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신관몸체(11)와 분리 구성되면 신관몸체(11)가 탄착지에 경사지게 충돌하더라도 격침노브(12)가 타격봉(13)을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격침노브(12)는 예를 들어 원통형이며 둘레부에 가이드돌기(12b)가 형성되고 신관몸체(11)의 내부에는 가이드돌기(12b)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1a)이 형성될 수 있다.
격침노브(12)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신관두부(11) 내부에 삽입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후진 가능한 모든 방식이 가능하다.
타격봉(13)은 격침노브(12)의 후퇴를 통해 격침을 타격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격침노브(12)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전술한 것처럼, 신관두부(11)가 경사지게 충돌하더라도 격침을 타격할 수 있도록 분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관몸체(11)의 보스(13a)에 끼움,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관몸체(11)와 격침노브(12)가 분리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신관노브(11)와 격침노브(12)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안전핀스프링(14)은 일측이 신관몸체(11)에 삽입되며 신관몸체(11) 내의 격침가이드(24)가 비장전 상태로 격침(22)이 기폭뇌관(14)을 타격하지 못하도록 막는 1차 안전장치 상태의 역할과 함께 나머지 일측은 손잡이로 착탈을 쉽게 하기 위함이다.
고폭탄은 신관노브의 조작을 통해 공중에서 폭파되거나 탄착지에 충돌시 폭파되도록 용도에 맞게 셋팅 하지만, 본 발명의 신관노브(15)는 고폭탄의 신관노브를 조작하는 행위훈련이 같되 행위만 묘사한 것으로서 신관노브(15)는 노브받침대(15a)와 조립되에 나사(15b)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지만 실지 신관의 기능은 된다. 즉, 신관노브(15)는 신관몸체(20)의 작동을 제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a와 도 5b에서 보이는 것처럼 신관결합체(10)의 상부커버(21)와 하부커버(28)는 전술한 비장전상태와 장전상태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며 신관몸체(11)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격침(22)은 기폭뇌관(27)쪽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격침홀더(23)에 장착되고, 탄착지에 충돌하기 전까지는 기폭뇌관(27)을 타격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격침(22)의 둘레부에는 걸림홈(22a)이 형성되고 격침홀더(23)에는 걸림턱(23a)이 형성되어 끼움, 유지한다.
단, 탄착지에 충돌하는 순간 격침(22)이 기폭뇌관(27)을 타격하여야 하므로 걸림턱(23a)은 충돌에너지에 의해 격침(22)이 부드럽게 이탈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턱(23a)은 격침홀더(23)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부커버(21)와 격침홀더(23)가 단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격침가이드(24)는 비장전상태시(평상시) 안전핀스프링(14)과 하측의 신관봉(26)이 삽입되는 비장전홈(24c)에 의해 격침(22)을 구속하여 연습탄이 땅에 떨어지더라도 격침(22)이 기폭뇌관(27)을 타격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한다.
안전핀 스프링(14)을 제거하고 친환경 박격포 연습탄을 발사하면 신관봉(26)이 셋백(set-back)에 의한 자중으로 격침가이드(24)의 비장전홈(24c)에서 이탈하고 탄성부재로 이동된 격침가이드(24)는 장전홈(24d)에 정렬되면 신관봉(26)의 셋백이 제거되며 코일스프링(26a) 탄성에 의해 장전홈(24d)으로 삽입 상태로 탄착지 충돌(비행 중)까지 격침(22)과 기폭뇌관(27)이 일직선상에 정렬되도록 격침가이드(24)가 장전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신관봉(26)이 비장전홈(24c)에서 장전홈(24d)으로 부드럽게 결합되도록 즉, 격침가이드(24)가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비장전홈(24c)과 장전홈(24d)의 사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격침가이드(24)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뇌관홀더(25)에는 안내레일의 형성과 함께 격침(22)이 기폭뇌관(27)을 원활히 타격하기 위해 상부는 격침(22)을 원활히 수용하며 하부는 기폭뇌관(27)을 정확히 타격하기 위해 구배가 진 격침홀(24b)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격침(22)에 의한 오발을 보다 안전하게 막기 위하여 구성한 안전장치에 대한 작용은 신관봉(26)의 설명시 구체화한다.
폭음관(29)은 신관몸체(11)의 개방부에 나사 결합되어 기폭뇌관(27) 후방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기폭뇌관(27)의 폭발에 의해 연소되는 폭음제가 충전된다.
상기 폭음제는 연습탄, 연습용 수류탄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제품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신관봉(26)은 뇌관홀더(25)에 탄성부재 예컨대 코일스프링(26a)을 통해 일측이 격침가이드(24)의 비장전홈(24c)과 장전홈(24d)에 선택적으로 끼워 결합되도록 지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연습탄에 대해 설명한다.
1. 친환경 단거리(축사거리) 박격포 연습탄(60mm).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은, 탄착지에 탄착되어 폭발하는 신관몸체를 수용하는 신관결합체(10)와 신관결합체(10)의 폭발로 폭음과 함께 연막제가 연소하여 연막을 발현하는 탄체결합체(30)와; 탄착지까지 비행하도록 하는 날개결합체(40)와; 날개결합체(40)의 내부에 장착되며 박격포의 공이에 의해 뇌관이 폭발하여 발화하는 뇌관결합체(50)와; 날개결합체(40)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모의장약(42)으로 구성되며, 박격포로부터 단거리(축사거리) 사격훈련용으로 사용된다.
탄체결합체(30)는 신관몸체(11)에 결합되는 탄체(31) 및 탄체(31)에 내장(충진식, 성형식 등)되며 기폭뇌관(27)의 폭발에 의해 연소하는 연막두부(32)로 구성된다.
탄체(31)는 생분해성 수지로 구성된다.
연막두부(32)는 연막을 발현하기 위한 유색의 연막안료와 흙이 혼합되며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체(31)의 둘레부에는 박격포 내부(박격포의 공이와 뇌관 결합체(50)의 작용에 의한 큰 팽창 가스압력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쇄링(33)이 결합된다.
날개결합체(40)는 탄체결합체(30)의 탄체(31)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후방을 향해 개방된 뇌관결합체 장착부가 형성된다.
뇌관결합체(50)는 화염관(51), 점화관(52), 헤드(53), 뇌관(54), 공이(55), 지지대(56)로 박격포용 고폭탄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한편으로 친환경 박격포 연습탄(100)을 비행시킬 수 있는 모든 구성이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을 생략한다.
고폭탄은 사거리 등에 따라 장약의 수량을 달리하며, 따라서, 장약의 장착과 탈거의 행위가 발생되고, 모의 장약(42)은 이러한 행위훈련을 위하여 적용된 것이다.
따라서, 모의장약(42)은 화약은 없는 모형으로 실장약과 외형만 같이한 형태로 날개결합체(40)의 둘레부에 장착, 착탈되도록 구성되고, 단거리용 박격포 연습탄(100)의 장입시에는 모의장약(42) 모두를 탈거한다. 왜냐하면 모의장약(42)을 사용하지 않아도 단거리 비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모의장약(42)은 소량의 화약이 사용될 수 도 있고, 날개결합체(40)에서 탈거되지 않고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단거리(축사거리) 박격포 연습탄(100)은 회수작업을 덜어주고 훈련지의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신관결합체(10)에서 신관두부(11), 격침노브(12), 타격봉(13), 노브받침대(15b), 신관노브(15), 신관몸체(20)에서 상부하우징(21), 격침홀더(23), 격침가이드(24), 뇌관홀더(25), 하부하우징(28), 폭음관(29), 탄체결합체(30)에서 탄체(31), 연막두부(32)는 모두 생분해성 수지 또는 외력에 의해 깨지는 친환경 재질(인체에 무해하고 자연 친화적이며 자연스럽게 분해되는 흙, 황토, 제올라이트, 고령토, 납석, 도석, 규조토, 벤토나이트, 석회석, 규회석, 규사 등이 하나 이상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단거리(축사거리) 연습탄(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을 단거리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므로 하기에서는 친환경 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이라 칭함)의 사용방법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가. 신관노브 조작.
본 발명의 친환경 단거리 박격포 연습탄(100)을 단거리를 실사격할 때, 전투병은 안전핀 스프링(14)을 제거하고, 고폭탄의 신관(시한신관, 순발신관)조정방법과 동일하게 신관노브(15)로 조정하는 조정방법을 숙지할 수 있다.
나. 모의장약 장착, 착탈
고폭탄에 장착된 실장약을 사거리에 맞게 사용하듯이 모의장약을 날개(41)에 장착, 착탈하는 훈련을 숙지할 수 있다.
다. 친환경 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장입.
단거리 실사격을 위해 박격포 발사대에 본 발명의 친환경 단거리 연습탄(100)을 장입한다.
라. 친환경 단거리 연습탄 발사.
친환경 단거리 연습탄은 자중에 의해 상기 박격포 발사대의 안쪽으로 내려가며, 이 과정 중에 발사대 내부에 장착된 공이가 뇌관결합체(50)의 뇌관(54)을 강타한다.
이로써 뇌관(54)의 폭발에 의해 발생한 점화력이 점화관(52) 내부의 점화제를 연소하고,
상기 점화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팽창 가스는 박격포 발사대 내부에 팽창 가스압력을 형성하여 친환경 단거리 연습탄의 탄체(31) 하부를 밀어준다.
이때 폐쇄링(33)은 팽창 가스압력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발사대 내부로 팽창, 밀착되며 누출가스를 막아 탄체를 원활히 밀어내주는 역할을 하며 이후 친환경장단거리 연습탄이 전진하면서 상기 박격포 발사대를 이탈하여 비행한다.
이와 같이 친환경 단거리 연습탄(100)이 전진할 때 받는 순간적인 힘(SETBACK)에 의해 신관결합체(20)의 신관봉(26)이 자중에 의한 하향으로 1차 이동을 하므로 격침가이드(24)의 비장전홈(24d)을 이탈한다.
신관봉(26)이 격침가이드(24)의 비장전홈(24c)에서 해제되면 격침가이드(24)는 코일스프링(24a)의 탄성력에 의해 장전상태로 이동하고 신관봉(26)이 장전홈(24d)에 일치되면 신관봉(26)이 스프링(26a)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여 장전홈(24d)에 결합된다(도 5a와 도 5b 참고).
신관봉(26)은 비장전홈(24c)과 장전홈(24d) 사이의 경사형 가이드부에 의해 순조롭게 장전상태로 이동한다.
따라서, 격침가이드(24)는 신관봉(26)에 의해 흔들림 없이 장전상태를 유지하며, 친환경 단거리 연습탄(100)은 격침(22) - 격침가이드(24)의 격침홀(24b) - 기폭뇌관(27)이 일직선으로 정렬된 상태로 비행한다.
격침가이드(24)의 격침홀(24b)이 격침(22)과 일치되더라도 격침(22)은 격침홀더(23)의 걸림턱(23a)에 의해 지지되어 이탈되지 않으므로 비행 중에는 기폭뇌관(27)을 타격하지는 못한다.
5. 친환경 단거리 연습탄 충돌.
친환경 단거리 연습탄(100)이 비행(축사거리 비행)하여 신관몸체(11)의 선단부가 탄착지의 지면에 충돌하면 격침노브(12)가 후진하여 타격봉(13)을 통해 격침(22)을 밀며, 이에 따라 격침(22)은 격침홀더(23)의 걸림턱(23a)에서 이탈하여 기폭뇌관(27) 쪽으로 전진함으로써 기폭뇌관(27)을 타격하게 된다.
이러한 타격력에 의해 기폭뇌관(27)이 폭발하고, 이 점화력으로 폭음관(29) 내부의 폭음제가 폭발하여 폭음을 발생하며, 상기 폭음제의 폭발력으로 탄체(31) 내부에 있는 연막두부(32)가 연소하여 연막을 발생하며 또한 폭음제의 폭발력으로 탄체(31)가 파손되며 파편을 형성한다.
따라서 폭음을 통해 청각효과 및 연막을 통해 탄착점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폭음제의 폭발시 발생하는 탄체 파편은 생분해성 수지(PLA) 또는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져 탄착지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날개(41)와 뇌관결합체(50) 등, 폭발력에 의해 깨지지 않는 것은 필요시 회수작업을 통해 회수된다.
2. 친환경 장거리(실사거리) 박격포 연습탄(60mm).
친환경 장거리 박격포 연습탄은 단거리(축사거리) 연습탄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단, 모의장약 대신 실장약(고폭탄용 실장약)이 적용되고, 탄체는 고폭탄의 탄체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하며, 두부는 친환경 충진재로서 흙으로 이루어진다.
친환경 장거리 박격포 연습탄은 단거리(축사거리) 연습탄과 동일한 외형이면서 탄체 재질만 달라진 것이므로 도면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장거리 박격포 연습탄은, 전술한 단거리 연습탄과 동일한 방법으로 훈련하며, 단 실장약을 통해 실사거리로 비행한다.
3. 81mm 친환경 신관몸체결합체.
본 발명의 신관결합체(10)를 서로 다른 구경의 연습탄(60mm, 81mm, 4.2", 120mm)에 공용할 수 있도록 구경별 어댑터(60)(도 7)를 사용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신관 결합체(10)는 60mm용 탄체 결합체(30)가 결합되며, 이를 상대적으로 소구경의 60mm 탄체 결합체(30)라 하면, 81mm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신관 결합체(10)에 어댑터(60)를 결합하여 81mm용 탄체 결합체(30-1)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어댑터를 120mm, 4.2"의 탄체결합체와 연결되는 크기로 제작함으로써 하나의 신관결합체(10)를 모든 탄에 공용할 수 있다.
10 : 신관결합체,
11 : 신관몸체, 12 : 격침노브
13 : 타격봉, 14 : 안전핀
15 : 신관노브,
21 : 상부커버, 22 : 격침
23 : 격침홀더, 24 : 격침가이드
25 : 뇌관홀더, 26 : 신관봉
27 : 기폭뇌관, 28 : 하부커버
29 : 폭음관,
30 : 탄체결합체,
31 : 탄체, 32 : 연막두부
33 : 폐쇄링,
40 : 날개결합체,
41 : 날개, 42 : 모의장약
50 : 뇌관결합체,
51 : 화염관, 52 : 점화관
53 : 헤드, 54 : 뇌관
55 : 공이, 56 : 지지대
60 : 어댑터,

Claims (14)

  1. 형상과 운용 방법이 박격포 고폭탄과 동일하며 실 사격시 폭음 및 연막발생으로 탄착지의 명중 여부를 관측할 수 있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으로서,
    장전과 비장전이 가능하며 장전 상태에서 탄착점에 충돌하여 폭발하는 신관결합체(10)와;
    상기 신관결합체에 결합되며 탄착점에 충돌하여 폭음과 연막을 발현하는 탄체 결합체(30)와;
    상기 탄체결합체에 결합되며 상기 탄체결합체와 신관결합체를 탄착지까지 비행하도록 하는 날개결합체(40)와;
    상기 날개결합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박격포의 공이에 의해 뇌관이 폭발하여 발화하는 뇌관결합체(50)와;
    상기 날개결합체의 둘레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탄체 결합체와 날개 결합체가 상대적으로 단거리와 장거리로 비행하도록 함으로써 단거리용과 장거리용의 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은, 생분해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체 내부에 연막제가 충진되면서 모의장약이 장착되어 단거리용으로 사용되거나, 금속재질 탄체 내부에 흙이 충진되면서 실장약이 장착되어 장거리용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관 결합체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포탄의 탄체결합체에 결합되는 신관두부(11), 상기 신관두부에 장착되며 시한신관과 순발신관의 조작을 위한 행위를 연습하기 위한 신관노브(15), 상기 신관두부에 결합되며 상기 신관두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폭발하는 신관몸체(20), 상기 신관몸체를 장전 또는 비장전 상태로 조작하는 안전핀(14)을 포함하고,
    상기 신관몸체(20)는, 상기 신관두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격침(22), 상기 격침의 후방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격침이 통과하는 격침홀(24b)이 구비되어 상기 격침홀을 통해 상기 격침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격침가이드(24), 상기 격침가이드의 후방에 상기 격침가이드를 통과하는 상기 격침의 타격에 의해 폭발하는 기폭뇌관(27), 상기 신관두부의 후방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기폭뇌관의 폭발에 의해 폭음을 발생하는 폭음제가 충진된 폭음관(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격침 가이드는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격침홀이 상기 격침에 일치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고, 상기 안전핀은 상기 신관두부에 결합되며 단부가 상기 격침 가이드를 눌러 상기 격침홀이 상기 격침과 일치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침 가이드는 비장전홈(24c) 및 장전홈(24d)이 구비되며, 상기 격침 가이드의 비장전홈과 장전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격침 가이드를 비장전 위치에서 장전 위치로 유지시키는 신관봉(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격침 가이드는 상기 비장전홈과 장전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신관봉이 상기 비장전홈에서 장전홈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경사형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관봉은 상기 기폭뇌관이 장착되는 뇌관 홀더에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비장전홈 또는 장전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8. 청구항 5에 있어서, 격침은 둘레부에 걸림홈(22a)이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홈이 상기 하우징에 일체 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격침홀더에 형성된 걸림턱에 이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신관두부의 선단부에 상기 격침을 향해 후진 가능하게 장착되어 탄착지에 충돌할 때 후진하여 상기 격침을 이동시키는 격침노브(12)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격침노브의 안쪽에 형성되며 상기 격침노브의 후진에 의해 상기 격침을 타격하는 타격봉(13)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타격봉은 상기 격침노브와 분리 구성되며 상기 신관두부에 형성되는 보스에 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폭뇌관의 폭발에 의해 점화하는 도화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신관결합체.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신관두부(11), 격침노브(12), 타격봉(13), 신관노브(15), 신관몸체(20)에서 하우징, 격침가이드(24), 폭음관(29)은 생분해성 수지 또는 외력에 의해 깨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신관결합체.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관결합체와 상기 탄체결합체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신관결합체가 서로 다른 구경의 탄체결합체에 공용되도록 하는 어댑터(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KR1020120025787A 2012-03-13 2012-03-13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KR101381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787A KR101381978B1 (ko) 2012-03-13 2012-03-13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787A KR101381978B1 (ko) 2012-03-13 2012-03-13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362A true KR20130104362A (ko) 2013-09-25
KR101381978B1 KR101381978B1 (ko) 2014-04-07

Family

ID=4945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787A KR101381978B1 (ko) 2012-03-13 2012-03-13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9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12B1 (ko) * 2014-05-14 2014-10-22 고려화공 주식회사 발사효과를 제공하는 묘사탄을 구비한 박격포용 축사기
KR20200036306A (ko)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풍산 전차 사격 훈련용 연습탄
WO2021126040A1 (en) * 2019-12-20 2021-06-24 Bae Systems Bofors Ab Brake arrangement for a projecti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9579A (en) * 1976-10-29 1978-08-29 Carter Pol Development Corp. Practice ammunition device
KR200306031Y1 (ko) * 2002-11-28 2003-03-03 연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관연결용 어탭터
KR100915421B1 (ko) * 2009-06-08 2009-09-03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훈련용 항공탄
KR101127316B1 (ko) * 2009-12-18 2012-04-12 주식회사 풍산 추진부 조립체 분리기구가 구비된 포 발사식 탄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12B1 (ko) * 2014-05-14 2014-10-22 고려화공 주식회사 발사효과를 제공하는 묘사탄을 구비한 박격포용 축사기
KR20200036306A (ko)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풍산 전차 사격 훈련용 연습탄
WO2021126040A1 (en) * 2019-12-20 2021-06-24 Bae Systems Bofors Ab Brake arrangement for a projectile
US11953298B2 (en) 2019-12-20 2024-04-09 Bae Systems Bofors Ab Brake arrangement for a project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978B1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84640B (zh) 一种模拟训练弹自动发射系统
KR100915706B1 (ko) 유탄발사기용 40㎜ 연습탄
RU2526329C1 (ru) Ручная граната
KR101381978B1 (ko)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RU2722193C1 (ru) Отделяющаяся осколочно-фугасная головная часть снаряда
RU140656U1 (ru) Ручная граната
CN210159118U (zh) 一种手掷式灭火弹
RU2622063C2 (ru) Игровой патрон
KR102041828B1 (ko) 분산자탄과 고폭약을 구비한 발사체
CN209027377U (zh) 一种撞击击发式增程防暴枪榴弹
US6971314B2 (en) Munitions mines
KR101768823B1 (ko) 슬라이더 조립체 강제 장전장치가 구비된 분산탄용 자탄
US8607708B1 (en) Impact igniting incendiary device for projectiles
KR102106402B1 (ko) 전차 사격 훈련용 연습탄
CN205373548U (zh) 一种二次杀伤箭装置
US11287236B1 (en) Training cartridge with day/night/thermal visible signature
KR101210583B1 (ko) 155mm 연습탄
US4421033A (en) Exercise projectile
RU180139U1 (ru) Имитатор ручной гранаты
KR100935087B1 (ko) 40 밀리미터 연습 유탄
RU2355998C2 (ru) Запал для учебной ручной гранаты
US3589293A (en) Explosive device comprising separate hollow bodies with glycerin and nitric acid therein
RU2740958C1 (ru) Учебно-боевой снаряд
CN109211030A (zh) 一种撞击击发式增程防暴枪榴弹
GB191305338A (en) Improvements in Projec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