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406B1 - 최루탄 발사장치 - Google Patents

최루탄 발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406B1
KR101345406B1 KR1020130102313A KR20130102313A KR101345406B1 KR 101345406 B1 KR101345406 B1 KR 101345406B1 KR 1020130102313 A KR1020130102313 A KR 1020130102313A KR 20130102313 A KR20130102313 A KR 20130102313A KR 101345406 B1 KR101345406 B1 KR 101345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ullet
cover
shaft
tea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연창
Original Assignee
진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연창 filed Critical 진연창
Priority to KR1020130102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 F41F1/08Multibarrel guns, e.g. twin 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06Plural barr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9/00Equipment for attack or defence by spreading flame, gas or smoke or leurres; Chemical warfare equipment
    • F41H9/04Gas-blowing apparatus, e.g. for tea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루탄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에 의해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공이부를 통해 최루탄의 뇌관을 타격하여 연속적인 격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기계식으로 작동되는 공이부를 통해 최루탄의뇌관을 타격함으로써 기존에 제작된 최루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최루탄의 발사 각도 및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최루탄의 장전이나 운반시에 최루탄이 총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최루탄 발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공이부를 작동시켜 탄환이 격발될 수 있도록 하는 격발수단과, 상기 공이부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탄환이 장전되고 격발수단의 작동에 의해 탄환이 격발되도록 하는 탄환장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최루탄 발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발수단은, 전, 후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격발부커버; 상기 격발부커버의 전방에 설치되어 격발부커버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상기 탄환장착수단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전방프레임과 및 상기 격발부커버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프레임; 상기 후방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되 후방프레임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결합되는 후면커버; 상기 격발부커버의 후방 외측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고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탄환장착수단을 구속해주는 잠금쇠; 상기 전방프레임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후방프레임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후면커버 방향으로 압축되었다가 전방프레임 방향으로 이완되면서 탄환장착수단에 장전된 탄환을 타격해주는 다수의 공이부; 상기 격발부커버의 내측에서 전방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공이부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공이부가 순차적으로 탄환을 격발할 수 있도록 하는 공이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최루탄 발사장치{Apparatus for launching tear gas bomb}
본 발명은 최루탄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에 의해 기계식으로 작동되고 순차적으로 최루탄의 뇌관을 타격하는 공이부를 통해 최루탄을 연속적으로 발사할 수 있도록 하는 최루탄 발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의 총알과 유사한 형태의 최루탄을 발사하기 위해서는 총 또는 유탄발사기 형태의 발사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의 종래의 최루탄 발사장치는 대부분 단발로만 발사할 수 있을 뿐이고, 복수 개의 최루탄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발사할 수 있는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번호 10-2009-0005602호에서와 같이 다연발 형태의 최루탄 발사장치가 공개되었으나, 이는 전기공이부를 사용하는 최루탄 발사장치로서, 전기공이부에 각각 음극과 양극의 전류가 공급되면, 최루탄의 이면에 있는 연통부분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면서 전자뇌관에 있는 필라멘트가 발열하면서 최루탄의 전자뇌관이 폭발하게 되어 최루탄의 발사가 가능하게 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자뇌관을 사용하는 최루탄은 일반뇌관을 사용하는 최루탄에 비해 제작하기가 힘들고 가격 또한 비싼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뇌관을 사용하는 최루탄은 외부작용에 민감해서 낙뢰에 의해 오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최루탄 발사장치는, 전자뇌관을 사용하는 최루탄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고, 기존에 제작된 일반뇌관이 사용된 최루탄을 사용할 수가 없어 사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뇌관을 타격하는 전기공이부 또한 가격이 고가라서 경제성 및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9-000560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에 의해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공이부를 통해 최루탄의 뇌관을 타격하여 연속적인 격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기계식으로 작동되는 공이부를 통해 최루탄의뇌관을 타격함으로써 기존에 제작된 최루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최루탄의 발사 각도 및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최루탄의 장전이나 운반시에 최루탄이 총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최루탄 발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공이부를 작동시켜 탄환이 격발될 수 있도록 하는 격발수단과, 상기 공이부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탄환이 장전되고 격발수단의 작동에 의해 탄환이 격발되도록 하는 탄환장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최루탄 발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발수단은, 전, 후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격발부커버; 상기 격발부커버의 전방에 설치되어 격발부커버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상기 탄환장착수단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전방프레임과 및 상기 격발부커버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프레임; 상기 후방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되 후방프레임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결합되는 후면커버; 상기 격발부커버의 후방 외측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고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탄환장착수단을 구속해주는 잠금쇠; 상기 전방프레임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후방프레임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후방프레임 방향으로 압축되었다가 전방프레임 방향으로 이완되면서 탄환장착수단에 장전된 탄환을 타격해주는 다수의 공이부; 상기 격발부커버의 내측에서 전방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공이부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공이부가 순차적으로 탄환을 격발할 수 있도록 하는 공이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이작동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전방프레임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구동모터; 상기 마주하는 구동모터에 양단이 연결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되, 원주상에서 일부 영역에만 기어 이빨이 형성되고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등 각도로 회동된 상태로 위치함으로써 공이부에 걸려지거나 걸림이 해지되면서 공이부가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이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공이집; 상기 공이집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방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탄환장착수단에 장전된 탄환의 뇌관을 타격해주는 공이; 상기 공이집의 타측으로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은 후방프레임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외면에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작동에 의해 공이를 타격해주는 해머; 상기 해머의 타측단에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은 후방프레임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해머가 구동기어에 맞물려 후면커버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압축되고 해머의 랙기어와 구동기어의 맞물림이 해지될 경우 이완되면서 해머가 공이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공이작동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고정프레임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구동모터; 상기 마주하는 구동모터에 양단이 연결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되,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등 각도로 회동된 상태의 위치로 설치되어 공이부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주는 구동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이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공이집; 상기 공이집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방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탄환장착수단에 장전된 탄환의 뇌관을 타격해주는 공이; 상기 공이집의 타측으로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은 후방프레임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캠에 맞물릴 수 있도록 외면에 캠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캠의 작동에 의해 공이를 타격해주는 해머; 상기 해머의 타측단에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은 후방프레임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해머가 구동캠에 맞물려 후방커버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압축되고 해머의 캠 걸림홈에서 구동캠의 걸림이 해지될 경우 이완되면서 해머가 공이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탄환장착수단은, 전, 후방이 개방되고 격발수단의 격발부커버 전방으로 삽입되는 탄환부커버; 상기 공이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탄환부커버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탄환이 장착되는 다수의 총열; 상기 탄환부커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총열이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총열고정프레임 및 후방총열고정프레임; 상기 탄환부커버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탄환장착수단을 용이하게 핸들링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잠금쇠가 걸려지게 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총열의 일측단 외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돌출되되, 돌출된 중심부가 링부재의 중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총열에 형성되는 슬롯형태의 끼움홀을 통해 총열 내부로 삽입되어 총열내부의 탄피가 총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압해주는 가압핀으로 구성된 탄피고정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발부커버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탄환장착수단의 끼움 결합시 상기 손잡이부가 가이드 되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판; 상기 마주보는 측면판의 상부면 일부를 덮어주는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발수단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샤프트에 의해 상기 격발수단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격발수단 및 탄환장착수단을 받쳐주는 주 받침대; 상기 주 받침대의 타측으로 끼워지고 제2샤프트에 의해 주 받침대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며, 제3샤프트를 통해 받침대에 놓여진 격발수단의 하부에 연결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3샤프트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각도조절부가 제2샤프트를 힌지축으로 주 받침대 상에서 상부로 회동할 경우 제3샤프트가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격발수단이 제1샤프트를 힌지축으로 하여 주 받침대 상에서 상부로 회동됨으로써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주 받침대의 타측으로 끼워져 제2샤프트에 의해 주 받침대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가이드판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판; 상기 가이드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샤프트가 끼워지는 수평홀과 상기 수평홀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3샤프트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홀로 이루어진 가이드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받침대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고 주 받침대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어 격발시 주 받침대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시켜 돌출시켜 놓음으로써 격발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보조받침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 또는 캠의 설치 각도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기 때문에 공이작동부의 구동모터 작동에 의해 공이부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탄환의 연속적인 격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탄환장착수단이 손잡이부를 통해 격발수단에 가이되도록 끼워지고 잠금쇠를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격발시 충격에 따른 오작동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도조절부를 통한 격발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다양한 각도로 탄환을 격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총열에 설치되는 탄피고정스프링을 통해 탄환 격발 후 탄피를 제거하거나 탄환 설치 후 탄환장착수단을 이동시키거나 컨트롤 하는 과정에서 탄환이나 탄피가 총열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탄환의 유실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머로 공이를 타격함으로써 탄환의 격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전기뇌관이 아닌 일반뇌관을 사용하는 탄환을 활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우수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최루탄 발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최루탄 발사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최루탄 발사기를 나타낸 배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최루탄 발사기에서 격발수단과 탄환장착수단을 분리하여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격발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격발수단의 공이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이부와 공이작동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이부와 공이작동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탄환장착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총열과 탄피고정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의한 주 받침대와 각도조절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주 받침대, 각도조절부, 격발수단이 샤프트를 통해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토션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받침대의 설치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부를 통해 격발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최루탄 발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최루탄 발사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최루탄 발사기를 나타낸 배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최루탄 발사기에서 격발수단과 탄환장착수단을 분리하여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격발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격발수단의 공이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되고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다수의 공이부(260)를 통해 다수의 탄환이 격발될 수 있도록 하는 격발수단(200)과, 상기 공이부(260)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탄환이 장전되고 격발수단(200)의 작동에 의해 탄환이 격발되도록 하는 탄환장착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격발수단(200)은, 전, 후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격발부커버(210)와, 상기 격발부커버(210)의 전방에 설치되어 격발부커버(210)를 지지해주고 격발부커버(210)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상기 탄환장착수단(100)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전방프레임(220)과, 상기 격발부커버(210)의 후방에 설치되어 격발부커버(210)를 지지해주는 후방프레임(230)과, 상기 후방프레임(230)의 외측에 결합되되 후방프레임(230)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결합되는 후면커버(240)와, 상기 격발부커버(210)의 외측에 양단이 힌지(255) 결합되고 힌지(255)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격발부커버(210)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탄환장착수단(100)을 구속해주는 잠금쇠(250)와, 상기 전방프레임(22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후방프레임(23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후면커버(240) 방향으로 압축되었다가 전방프레임(220) 방향으로 이완되면서 탄환장착수단(100)에 장전된 탄환을 타격해주는 다수의 공이부(260)와, 상기 격발부커버(210)의 내측에서 전방프레임(2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271)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공이부(26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공이부(260)가 순차적으로 탄환을 격발할 수 있도록 하는 공이작동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격발부커버(210)는,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판(211)과, 상기 하부판(211)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판(212)과, 상기 측면판(212)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판(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판(212)의 상부에는 후술되는 탄환장착수단(100)의 손잡이부(150)가 가이드 되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2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214)은 측면판(212)의 전, 후 방향으로 2개가 형성되어 ㄷ 형태의 손잡이부(150)가 걸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220)과 후방프레임(230)은 격발부커버(2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하부판(211)과 측면판(212) 및 덮개판(213)에 볼트 조립된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220)과 후방프레임(230)은 상기 공이부(260)의 설치개수에 맞게 다수의 공이작동홀(221)(23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 에서와 같이 상기 전방프레임(220)과 후방프레임(230) 사이에는 전방프레임(220)과 후방프레임(230)을 연결하는 연결바(280)를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여 전방프레임(220)과 후방프레임(230)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220)의 전면에는 상기 탄환장착수단(100)이 정확한 위치에 끼워지고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핀(222)이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후면커버(240)는 후방프레임(230)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ㄷ 형태로 형성되는 후면커버본체(241)와, 상기 후면커버본체(241)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형성되어 후방프레임(230)에 조립되는 날개판(2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후면커버(240)는 탄환 격발을 위한 공이부(260)의 압축시 공이부(260)의 해머가 후방프레임(2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공간을 형성해준다.
한편 상기 잠금쇠(250)는, 격발부커버(210)의 측면판(212)에 일측단이 힌지(255) 결합되고 타측단에는 탄환장착수단(100)의 손잡이부(150)가 걸려질 수 있도록 걸림홈(252)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걸림대(251)와, 상기 한 쌍의 걸림대(251)를 연결해주고 격발부커버(210)의 덮개판 위로 놓여지는 연결판(2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7 에서와 같이 제1실시예에 의한 공이작동부(270)는, 전방프레임(220)의 폭 방향 양측에 고정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전방프레임(220)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구동모터(271)와, 상기 마주하는 구동모터(271)에 양단이 연결되어 구동모터(271)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72)과, 상기 회전축(27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되, 원주상에서 일부 영역에만 기어 이빨(274)이 형성되고 회전축(272)의 둘레를 따라 등 각도로 회동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이부(260)에 순차적으로 걸려지거나 걸림이 해지되면서 공이부(260)가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구동기어(2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271)는 전방프레임(220)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회전축(272)의 양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회전축(272)을 구동시켜 줌으로써 회전축(272)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구동기어(273)와 공이부(260)가 기밀하게 맞물리고 공이부(260)를 통한 탄환 격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272)은 양단에 형성되는 제1기어(275)가 구동모터(271)에 형성되는 제2기어(276)에 맞물림으로써 구동모터(271)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272)에 설치되는 구동기어(271)는 원주상에서 일부분에만 기어 이빨(274)이 형성되며, 회전축(272)의 둘레를 따라 등 각도로 회동된 상태로 위치함으로써 상기 공이부(260)에 순차적으로 걸려질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즉 회전축(272)의 회전시 상기 구동기어(273) 또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구동기어(273)가 회전축(272)의 둘레를 따라 등 각도로 회동된 상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구동기어(273)가 공이부(260)에 순차적으로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 에서와 같이 공이부(260)는, 전방프레임(220)의 공이작동홀(221)과 연통되도록 전방프레임(220)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공이집(261)과, 상기 공이집(26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이작동홀(221)을 통해 전방프레임(220)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탄환장착수단(100)에 장전된 탄환의 뇌관을 타격해주는 공이(262)와, 상기 공이집(261)의 타측으로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은 후방프레임(230)의 공이작동홀(231)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273)에 맞물릴 수 있도록 외면에 랙기어(265)가 형성되며, 구동기어(273)의 작동에 의해 공이(262)를 타격해주는 해머(263)와, 상기 해머(263)의 타측단으로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은 상기 후방프레임(230)의 공이작동홀(231)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해머(263)가 구동기어(273)에 맞물려 후면커버(240)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해머(263)에 걸려진 상태로 후방프레임(230) 방향으로 압축되고 해머(263)의 랙기어(265)와 구동기어(273)의 맞물림이 해지될 경우 전방프레임(220) 방향으로 이완되면서 해머(263)가 공이(262)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이스프링(2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이집(261)은 내부 중공이 전방프레임(220)의 공이작동홀(221)과 연통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전방프레임(220)에 볼트 결합된다.
상기 공이(262)는 해머(263)에 의해 타격되어 탄환장착수단(100)에 장전된 탄환의 뇌관을 타격해주게 된다.
상기 해머(263)는 원형의 금속봉으로써 외면에 랙기어(265)가 형성되고 공이(262)를 직접적으로 타격하는 타격부(264)와, 상기 타격부(26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이스프링(268)이 삽입되어 걸려지는 스프링삽입부(2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해머(263)는 상기 타격부(264)가 공이집(261)에 끼워진 상태로 랙기어(265)가 공이작동부(270)의 구동기어(273)에 걸려지고 공이스프링(268)을 통해 일방향으로 가압되었다가 구동기어(273)와 의 걸림이 해지되면서 공이(262)를 타격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이스프링(268)은 후방프레임(230)의 공이작동홀(231)에 설치되는 공이스프링 고정캡(269)에 구속되어 압축되는 압축스프링으로써 해머(263)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격발수단(200)은 공이작동부(270)를 통해 공이부(26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탄환의 연속적인 격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도 8 에서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공이작동부(270)는, 전방프레임(220)의 폭 방향 양측에 고정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전방프레임(220)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구동모터(271)와, 상기 마주하는 구동모터(271)에 양단이 연결되어 구동모터(271)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72)과, 상기 회전축(2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되, 회전축(272)의 둘레를 따라 등 각도로 회동된 상태의 위치로 설치되어 상기 공이부(260)에 걸려지거나 걸림이 해지되면서 공이부(260)가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구동캠(27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예의 공이작동부(270)는 회전축(272)에 구동캠(277)을 설치하여 구동캠(277)을 통해 공이부(260)를 작동시켜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이부(260)는 상기 구동캠(277)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해머(263)의 타격부(264) 외면에 구동캠(277)에 맞물리기 위한 캠 걸림홈(26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격발수단(200)은 구동모터(271)에 의해 구동되는 공이작동부(270)에 공이부(260)가 순차적으로 맞물리고 해머(263)가 공이부(260)를 물리적으로 타격하여 탄환의 격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가의 전기공이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기존에 대량으로 생산되고 일반뇌관을 사용하는 최루탄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우수하다.
한편 미설명부호 (278)는 회전축(272)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이다.
한편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탄환장착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총열과 탄피고정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탄환장착수단(100)은, 전, 후방이 개방되고 격발수단(200)의 격발부커버(210) 전방으로 삽입되는 탄환부커버(110)와, 상기 탄환부커버(11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공이부(260)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관통홀(121)(131)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총열고정프레임(120) 및 후방총열고정프레임(130)과, 상기 전방총열고정프레임(120) 및 후방총열고정프레임(130)의 관통홀(121)(131)에 전, 후방이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탄환이 장착되는 다수의 총열(140)과, 상기 탄환부커버(11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탄환장착수단(100)을 용이하게 핸들링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잠금쇠(260)에 걸려지게 되는 손잡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총열고정프레임(120)과 후방총열고정프레임(130)은 탄환부커버(110)의 내측으로 끼워져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탄환부커버(110)에 볼트나 피스등을 통해 조립된다.
또한 상기 후방총열고정프레임(130)에는 상기 전방프레임(220)의 돌출핀(222)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핀삽입홀(132)이 더 형성된다.
상기 총열(140)은 탄환이 장착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태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내부 중공으로 연통되는 슬롯 형태의 끼움홀(141)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탄피고정스프링(160)을 통한 탄피(17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부(150)는 탄환부커버(110)의 측면에서 수직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수직부(151)와 상기 한 쌍의 수직부(151)를 연결하는 수평부(152)로 이루어지며 탄환장착수단(100)이 격발수단(200)에 끼워질 경우 상기 손잡이부(150)의 수직부(151)가 격발부커버(210)의 측면판(212)에 형성된 가이드홈(214)에 끼워짐으로서 탄환장착수단(10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안정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환부커버(110)의 상부에도 손잡이부(150)를 더 설치하여 사용자가 탄환장착수단(100)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키거나 핸들링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총열(140)의 외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총열(140)의 끼움홀(141)을 통해 총열 내부의 탄피(170)를 고정해주는 탄피고정스프링(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피고정스프링(160)은 탄환장착수단(100)을 격발수단(200)에서 분리하여 이동시키거나 탄환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총열 내부에 남겨진 탄피(170)가 총열(140)에서 미끄러져 총열(140)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피고정스프링(160)은, 총열(140)의 일측단 외측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링부재(161)와, 상기 링부재(161)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돌출되되, 돌출된 중심부가 링부재(161)의 중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총열(140)에 형성된 끼움홀(141)을 통해 총열(140)의 내부로 삽입되어 탄피(170)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압해주는 가압핀(1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11 은 본 발명의 의한 주 받침대와 각도조절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주 받침대, 각도조절부, 격발수단이 샤프트를 통해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토션스프링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받침대의 설치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부를 통해 격발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본 발명은 도면에서와 같이, 격발수단(200)과 탄환장착수단(100)의 하부를 받쳐주도록 설치되는 주 받침대(300)와, 일측은 상기 주 받침대(300)와 힌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격발수단(200)과 힌지 연결되어 탄환장착수단(100)과 격발수단(200)의 격발각도를 조절해주는 각도조절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 받침대(300)는, 탄환장착수단(100)과 격발수단(200)이 놓여지는 하부받침판(310)과, 상기 하부받침판(310)의 양측면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면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격발수단(200)은 하부 일측이 주 받침대(300)의 후방에 제1샤프트(340)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샤프트(340)는 주 받침대(300)의 측면판(320)을 통해 끼워져 상기 격발수단(200)의 하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격발수단(200)은 상기 제1샤프트(340)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격발부커버(210)의 하부면에 상기 제1샤프트(340)가 삽입되는 힌지결합부(330)가 더 부착된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부(400)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411)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판(410)과, 상기 가이드판(410)의 일측단을 연결해주는 연결판(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홀(411)은 가이드판(4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 형태의 수평홀(412)과, 수평홀(412)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샤프트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홀(4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각도조절부(400)는 가이드판(410)이 주 받침대(300)의 전방에서 측면판(320)의 외측으로 끼워지고 주 받침대(300)의 전방에서 제2샤프트(341)를 통해 주 받침대(300) 상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400)는 상기 가이드판(410)의 가이드홀(411)을 통해 상기 격발수단(200)의 격발부커버(210) 하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제3샤프트(342)를 통해 격발수단(200)과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격발수단(200)은 주 받침대(300)의 후방에 제1샤프트(340)를 통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부(400)는 주 받침대(300)의 전방에 제2샤프트(341)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각도조절부(400)와 격발수단(200)은 각도조절부(400)의 가이드홀(411)을 통해 설치되는 제3샤프트(342)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격발수단(200)이 제1샤프트(340)를 회전축으로 하여 주 받침대(300) 상에서 상부로 회동되고, 각도조절부(400)가 제2샤프트(341)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부방향으로 회동될 경우 상기 제3샤프트(342)가 가이드홀(411)의 수평홀(412)을 통해 이동되고 적절한 위치에서 걸림홀(413) 방향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격발수단(200)과 각도조절부(400)의 각도가 조절되어 격발수단(200)에 결합된 탄환장착수단(100)의 탄환의 격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2샤프트(341)를 통해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제2샤프트(341)를 축으로 상부방향으로 회동된 각도조절부(400)의 연결판(420) 하부에서 각도조절부(400)를 하부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각도조절부(400)의 걸림홀(413)에 제3샤프트(342)가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해주는 토션스프링(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주 받침대(300)의 하부에 설치되고 탄환의 격발시 주 받침대(30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바닥면에 밀착됨으로써 격발에 의한 충격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받침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받침대(350)는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홀(351)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홀(351)의 끝단에는 슬라이딩홀(351)에서 직교되도록 형성되는 걸림홀(352)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받침대(350)는 상기 슬라이딩홀(351)을 통해 설치되는 볼트를 통해 주 받침대(300)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탄환의 격발시에 슬라이딩홀(351)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주 받침대(30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상태에서 보조받침대(350)를 회전시켜 볼트가 걸림홀(352)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주 받침대(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한편 상기 잠금쇠(250)에는 일측단이 상기 걸림대(251)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주 받침대(300)의 측면판(320)에 연결되어 잠금쇠(250)를 하부방향으로 잡아당겨 줌으로써 잠금쇠(250)가 탄환장착수단(100)의 손잡이부(150)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25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최루탄 발사장치는 상기 격발수단(200)의 후방프레임(230)에 설치되는 커넥터(232)에 컨트롤러(500)를 연결하여 컨트롤러(500)의 조작을 통해 격발수단(200)을 작동하여 탄환의 격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이용하여 탄환을 격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탄환장착수단(100)의 총열에 탄환을 장전한다.
이때 탄환은 후방총열고정프레임(130)의 관통홀(121)을 통해 총열(140)의 내부에 삽입되며, 탄피고정스프링(160)에 의해 총열(140)의 내부에서 가압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각각의 총열(140)에 탄환이 장착되면, 탄환장착수단(100)을 격발수단(200)의 전방으로 끼움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탄환장착수단(100)은 주 받침대(300) 상에서 받쳐진 상태로 격발수단(200)의 격발부커버(210)에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손잡이부(150)가 격발부커버(210)의 가이드홈(214)에 끼워져 가이드된 상태로 격발부커버(210)에 장착된다.
또한 잠금쇠(250)의 걸림대(251)가 걸림홈(252)를 통해 손잡이부(150)에 걸려지게 되어 탄환장착수단(1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격발수단(200)에 탄환장착수단(100)이 결합되면, 컨트롤러(500)를 통해 격발수단(200)을 작동하여 탄환장착수단(100)에 장착된 탄환이 격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격발수단(200)의 작동과정은, 컨트롤러(500)를 통해 공이작동부(270)의 구동모터(271)를 구동시키고, 구동모터(271)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272)이 회전되며, 상기 회전축(272)에 설치된 구동기어(273) 또는 구동캠(277)이 회전하면서 공이부(26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주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기어(273) 또는 구동캠(277)이 공이부(260)의 해머(263)에 걸려져 해머(263)를 후면커버(24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공이스프링(268)이 공이스프링 고정캡(269)에 걸려져 압축되고 해머는 공이스프링(268)을 압축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구동기어(273) 또는 구동캠(277)이 해머(263)에서의 걸림이 해지되면 압축된 공이스프링(268)에 의해 해머(263)가 전방프레임(220)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되어 공이(262)를 타격함으로써 공이(262)가 탄환장착수단(100)에 장착된 탄환의 뇌관을 타격하여 탄환이 격발 되는 것이다.
한편 탄환의 격발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2샤프트(341)를 회전축으로 하여 각도조절부(400)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고, 격발수단(200) 또한 탄환장착수단(100)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1샤프트(340)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부방향으로 되는데, 이때 상기 제3샤프트(342)가 각도조절부(400)에 형성된 가이드홀(411)의 수평홀(412)을 통해 이동됨으로써 각도조절부(400)와 격발수단(200)이 회동되는 것이다.
이후 각도조절부(400)와 격발수단(200)이 경사진 형태로 회동되면, 원하는 각도에 맞도록 회동시킨 다음 제3샤프트(342)를 걸림홀(413)에 끼워 넣음으로써 원하는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고 탄환을 격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환 격발시 안정적인 자세 유지를 위하여 주 받침대(300)의 외측으로 보조받침대(350)를 슬라이딩시켜 고정함으로써 보조받침대(350)를 통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격발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탄환장착수단 (110) : 탄환부커버
(120) : 전방총열고정프레임 (121) : 관통홀
(130) : 후방총열고정프레임 (131) : 관통홀
(132) : 핀삽입홀 (140) : 총열
(141) : 끼움홀 (150) : 손잡이부
(151) : 수직부 (152) : 수평부
(160) : 탄피고정스프링 (161) : 링부재
(162) : 가압핀 (170) : 탄피
(200) : 격발수단 (210) : 격발부커버
(211) : 하부판 (212) : 측면판
(213) : 덮개판 (214) : 가이드홈
(220) : 전방프레임 (221) : 공이작동홀
(222) : 돌출핀 (230) : 후방프레임
(231) : 공이작동홀 (232) : 커넥터
(240) : 후면커버 (241) : 후면커버본체
(242) : 날개판 (250) : 잠금쇠
(251) ; 걸림대 (252) : 걸림홈
(253) : 연결판 (254) : 탄성스프링
(255) : 힌지 (260) : 공이부
(261) : 공이집 (262) : 공이
(263) : 해머 (264) : 타격부
(265) : 랙기어 (266) : 캠 걸림홈
(267) : 스프링삽입부 (268) : 공이스프링
(269) : 공이스프링 고정캡 (270) : 공이작동부
(271) : 구동모터 (272) : 회전축
(273) : 구동기어 (274) : 기어 이빨
(275) : 제1기어 (276) : 제2기어
(277) : 구동캠 (278) : 베어링
(280) : 연결바 (300) : 주 받침대
(310) : 하부받침판 (320) : 측면판
(330) : 힌지결합부 (340) : 제1샤프트
(341) : 제2샤프트 (342) : 제3샤프트
(350) : 보조받침대 (351) : 슬라이딩홀
(352) : 걸림홀 (400) : 각도조절부
(410) : 가이드판 (411) : 가이드홀
(412) : 수평홀 (413) : 걸림홀
(420) : 연결판 (430) : 토션스프링
(500) : 컨트롤러

Claims (11)

  1.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공이부를 작동시켜 탄환이 격발될 수 있도록 하는 격발수단과, 상기 공이부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탄환이 장전되고 격발수단의 작동에 의해 탄환이 격발되도록 하는 탄환장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최루탄 발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발수단은,
    전, 후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격발부커버;
    상기 격발부커버의 전방에 설치되어 격발부커버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상기 탄환장착수단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전방프레임과 및 상기 격발부커버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프레임;
    상기 후방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되 후방프레임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결합되는 후면커버;
    상기 격발부커버의 후방 외측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고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탄환장착수단을 구속해주는 잠금쇠;
    상기 전방프레임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후방프레임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후면커버 방향으로 압축되었다가 전방프레임 방향으로 이완되면서 탄환장착수단에 장전된 탄환을 타격해주는 다수의 공이부;
    상기 격발부커버의 내측에서 전방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공이부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공이부가 순차적으로 탄환을 격발할 수 있도록 하는 공이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탄 발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작동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전방프레임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구동모터;
    상기 마주하는 구동모터에 양단이 연결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되, 원주상에서 일부 영역에만 기어 이빨이 형성되고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등 각도로 회동된 상태로 위치함으로써 공이부에 걸려지거나 걸림이 해지되면서 공이부가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탄 발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공이집;
    상기 공이집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방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탄환장착수단에 장전된 탄환의 뇌관을 타격해주는 공이;
    상기 공이집의 타측으로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은 후방프레임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외면에 랙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작동에 의해 공이를 타격해주는 해머;
    상기 해머의 타측단에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은 후방프레임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해머가 구동기어에 맞물려 후면커버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압축되고 해머의 랙기어와 구동기어의 맞물림이 해지될 경우 이완되면서 해머가 공이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탄 발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작동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고정프레임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구동모터;
    상기 마주하는 구동모터에 양단이 연결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되,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등 각도로 회동된 상태의 위치로 설치되어 공이부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주는 구동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탄 발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공이집;
    상기 공이집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방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탄환장착수단에 장전된 탄환의 뇌관을 타격해주는 공이;
    상기 공이집의 타측으로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은 후방프레임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캠에 맞물릴 수 있도록 외면에 캠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캠의 작동에 의해 공이를 타격해주는 해머;
    상기 해머의 타측단에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은 후방프레임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해머가 구동캠에 맞물려 후방커버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압축되고 해머의 캠 걸림홈에서 구동캠의 걸림이 해지될 경우 이완되면서 해머가 공이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탄 발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환장착수단은,
    전, 후방이 개방되고 격발수단의 격발부커버 전방으로 삽입되는 탄환부커버;
    상기 공이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탄환부커버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탄환이 장착되는 다수의 총열;
    상기 탄환부커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총열이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총열고정프레임 및 후방총열고정프레임;
    상기 탄환부커버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탄환장착수단을 용이하게 핸들링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잠금쇠가 걸려지게 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탄 발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총열의 일측단 외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돌출되되, 돌출된 중심부가 링부재의 중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총열에 형성되는 슬롯형태의 끼움홀을 통해 총열 내부로 삽입되어 총열내부의 탄피가 총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압해주는 가압핀으로 구성된 탄피고정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탄 발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부커버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탄환장착수단의 끼움 결합시 상기 손잡이부가 가이드 되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판;
    상기 마주보는 측면판의 상부면 일부를 덮어주는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탄 발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수단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샤프트에 의해 상기 격발수단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격발수단 및 탄환장착수단을 받쳐주는 주 받침대;
    상기 주 받침대의 타측으로 끼워지고 제2샤프트에 의해 주 받침대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며, 제3샤프트를 통해 받침대에 놓여진 격발수단의 하부에 연결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3샤프트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각도조절부가 제2샤프트를 힌지축으로 주 받침대 상에서 상부로 회동할 경우 제3샤프트가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격발수단이 제1샤프트를 힌지축으로 하여 주 받침대 상에서 상부로 회동됨으로써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탄 발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주 받침대의 타측으로 끼워져 제2샤프트에 의해 주 받침대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의 일측단을 연결하여 가이드판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판;
    상기 가이드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샤프트가 끼워지는 수평홀과 상기 수평홀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3샤프트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홀로 이루어진 가이드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탄 발사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받침대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고 주 받침대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어 격발시 주 받침대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시켜 돌출시켜 놓음으로써 격발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보조받침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루탄 발사장치.












KR1020130102313A 2013-08-28 2013-08-28 최루탄 발사장치 KR101345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313A KR101345406B1 (ko) 2013-08-28 2013-08-28 최루탄 발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313A KR101345406B1 (ko) 2013-08-28 2013-08-28 최루탄 발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406B1 true KR101345406B1 (ko) 2013-12-30

Family

ID=4998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313A KR101345406B1 (ko) 2013-08-28 2013-08-28 최루탄 발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4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650B1 (ko) * 2013-12-30 2014-05-28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다연발 발사기
CN106597952A (zh) * 2016-12-27 2017-04-26 东莞市狮王安防科技有限公司 通讯基站主动式催泪控制器
KR102007461B1 (ko) 2019-04-09 2019-10-01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단발과 다양한 발사 모드를 구현하는 멀티 발사기
KR20200119127A (ko) 2019-04-09 2020-10-19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단발과 연발 멀티 발사기
KR102273952B1 (ko) 2020-09-15 2021-07-06 진연창 다 연발 최루탄 발사장치
KR102273951B1 (ko) 2020-11-27 2021-07-06 진연창 다 연발 최루탄 발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2990B1 (en) 1998-02-06 2001-04-10 Rheinmetall W & M Gmbh Cam-controlled firing system for a large-caliber weapon
US7077117B1 (en) 2004-12-29 2006-07-18 Chen-Tang Chu Detachable driving assembly for a toy gun
KR20090005602A (ko) * 2007-07-09 2009-01-14 이규환 최루탄 발사장치
US8166862B2 (en) 2007-04-18 2012-05-01 Foster-Miller, Inc. Firing pin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2990B1 (en) 1998-02-06 2001-04-10 Rheinmetall W & M Gmbh Cam-controlled firing system for a large-caliber weapon
US7077117B1 (en) 2004-12-29 2006-07-18 Chen-Tang Chu Detachable driving assembly for a toy gun
US8166862B2 (en) 2007-04-18 2012-05-01 Foster-Miller, Inc. Firing pin assembly
KR20090005602A (ko) * 2007-07-09 2009-01-14 이규환 최루탄 발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650B1 (ko) * 2013-12-30 2014-05-28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다연발 발사기
CN106597952A (zh) * 2016-12-27 2017-04-26 东莞市狮王安防科技有限公司 通讯基站主动式催泪控制器
KR102007461B1 (ko) 2019-04-09 2019-10-01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단발과 다양한 발사 모드를 구현하는 멀티 발사기
KR20200119127A (ko) 2019-04-09 2020-10-19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단발과 연발 멀티 발사기
KR102187298B1 (ko) * 2019-04-09 2020-12-04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단발과 연발 멀티 발사기
KR102273952B1 (ko) 2020-09-15 2021-07-06 진연창 다 연발 최루탄 발사장치
KR102273951B1 (ko) 2020-11-27 2021-07-06 진연창 다 연발 최루탄 발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406B1 (ko) 최루탄 발사장치
US9927200B2 (en) Trigger mechanics for auto-loading firearm without trigger motion bar with direct control of firing pin catch through one-arm trigger lever
KR102364948B1 (ko) 모듈식 무기
PT2350550E (pt) Armas de fogo de recuo retardado com novos mecanismos para o controle do recuo e subida da boca
KR102071565B1 (ko) 유도결합 기능을 구비한 수류탄 투하 장치 및 드론을 이용한 수류탄 투하 방법
EP3294691B1 (en) Firing device
KR101592292B1 (ko) 탄약 이송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160122385A (ko) 공기총의 분할형 탄창
KR200483256Y1 (ko) 활 사격 부스
AU2009208917A1 (en)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shell into breech-loading weapon barrel, and method
KR101096736B1 (ko) 리볼버형 최루탄 발사기
KR101763240B1 (ko) 탄환의 장착이 용이한 최루탄 발사기
KR20170072648A (ko) 포탄 및 장약을 위한 복합장전장치 및 복합장전방법
KR101761243B1 (ko) 탄창 자동회전 리볼버형 최루탄 발사기
BR112020004260A2 (pt) metralhadora
KR101312823B1 (ko) 최루탄 발사 장치
CN105066779B (zh) 一种四管催泪枪
CN109210987B (zh) 一种可遥控迫击炮炮口装填装置及其装填方法
CN107339907B (zh) 一种枪支电控击发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273951B1 (ko) 다 연발 최루탄 발사장치
KR102273952B1 (ko) 다 연발 최루탄 발사장치
WO2003002927A1 (en) A trigger assembly
KR102142667B1 (ko) 탄창의 호환이 가능한 자동회전 리볼버형 최루탄 발사기
KR101079162B1 (ko) 모터식 리볼버형 최루탄 발사기
KR101022732B1 (ko) 링크식 격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