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062B1 -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062B1
KR101397062B1 KR1020120020674A KR20120020674A KR101397062B1 KR 101397062 B1 KR101397062 B1 KR 101397062B1 KR 1020120020674 A KR1020120020674 A KR 1020120020674A KR 20120020674 A KR20120020674 A KR 20120020674A KR 101397062 B1 KR101397062 B1 KR 101397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unit
predetermined amoun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283A (ko
Inventor
여훈구
황경찬
남후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
Priority to KR1020120020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0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의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은 피복에 고정되며, 작동모드에 대응하는 도안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작동모드를 결정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사용자가 작동모드를 입력하는 작동스위치를 구비하는 조작부와,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빛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발광 장치의 가속도 및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3축 가속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축 가속도센서가 일정량 이상의 가속도 감소를 감지할 때, 상기 발광부에 정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Light-emit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녁이나 어두운 터널에서 사용자의 후방에 방향 및 정지 등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오토바이나 자전거는 교통 수단뿐만 아니라 놀이기구나 레저 스포츠로서도 각광을 받고 있어서, 오토바이나 자전거 동호회가 많이 생겨나고 있는 추세이다.
오토바이나 자전거의 동호회는 오프라인 모임을 할 때 다수의 오토바이나 자전거를 타고 도로를 달리는 경우가 많다.
오토바이를 타고 도로를 달릴 때는 선두의 운전자가 도로의 상태와 방향 지시 등을 파악하여 후방의 운전자에게 전달한다. 선두의 운전자는 뒤의 후방 운전자에게 수신호로 전달하고 수신호를 전달 받은 운전자는 다시 뒤의 후방 운전자에게 수신호로 전달한다.
그러나, 수신호로 후방 운전자에게 도로의 상태나 방향 지시를 하는 것은 저녁이나 어두운 터널을 지나갈 때 신호 전달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위험을 초래한다.
그리고, 운행중인 동호회 운전자들 모두 수신호를 해야하는데 운전이 미숙한 초보자는 수신호를 제대로 하기 힘들며, 수신호를 하더라도 신호 전달이 늦어져서 신호 전달이 명확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녁이나 어두운 터널에서 사용자의 후방에 사용자의 방향 전환 및 정지 등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축 가속도 센서에 의해 운행중에 방향 전환 장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작동하는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은 피복에 고정되며, 작동모드에 대응하는 도안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작동모드를 결정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사용자가 작동모드를 입력하는 작동스위치를 구비하는 조작부와,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빛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발광 장치의 가속도 및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3축 가속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축 가속도센서가 일정량 이상의 가속도 감소를 감지할 때, 상기 발광부에 정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축 가속도센서가 일정량 이상의 회전을 감지할 때, 상기 발광부에 방향 전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작동스위치는 사용자가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방향 전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향 조절부와, 상기 발광부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태양광을 수광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리드선과, 상기 조작부를 상기 제어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리드선 상에 구비되는 분리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무선으로 상기 제어부를 조작할 수 있다.
광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빛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자동 설정 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3축 가속도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가속도 감소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3축 가속도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회전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3축 가속도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가속도 감소가 감지되면, 정지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3축 가속도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회전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방향 전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광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빛이 감지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발광 장치가 발광하여 어두운 곳에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3축 가속도센서가 구비되어 있어서 운전 중에 발광 장치 등을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를 광섬유로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복에 발광 장치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에 따른 발광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조작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를 광섬유로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피복에 고정되며, 작동모드에 대응하는 도안을 발광하는 발광부(100)와,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를 조작하는 조작부(300)와,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130)와, 가속도 및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3축 가속도센서(210)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부(100)는 다수의 소형 LED(110) 또는 광섬유(140) 등을 피복에 고정하여 미리 설정해 놓은 도안을 발광한다. 피복에 다수의 소형 LED(110)를 고정할 때에는 피복의 내부에 소형 LED(110)를 발광하게 하는 각종 리드선(500)이 구비되어 있는 패드(120)가 구비되어 있고, 피복의 외부에 소형 LED(110)를 고정하여 패드(120)의 리드선(500)과 접촉할 수 있게 한다.
리드선(500)이 구비되어 있는 패드(120)는 소형 LED(110)를 고정하는 피복과 동일한 재질 또는 섬유재질로 되어 있으며, 광센서(130)를 구비하여 빛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피복에 다수의 광섬유(140)를 고정할 때는 제어부(200)의 신호를 감지하는 소정의 소형 LED(110)가 피복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소형 LED(110)의 단부에는 다수의 광섬유(140)를 연결하여 제어부(200)에서 소형 LED(110)에 신호를 보내면 소형 LED(110)가 발광하게 되고, 소형 LED(110)에 발광한 빛을 광섬유(140)가 외부로 발광하게 되므로 피복 외부에서 미리 설정해 놓은 도안이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100)는 소형 LED(110)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해 놓은 도안을 발광할 때는 다수의 소형 LED(110)를 피복에 고정하여 미리 설정해 놓은 도안에 맞는 위치에 있는 소형 LED(110)만 발광한다. 그러나, 광섬유(140)를 사용하여 도안을 발광할 때는 광섬유(140)를 도안과 동일하게 피복에 고정하여 발광하게 한다.
예를 들어, 소형 LED(110)를 사용하여 도안을 발광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소형 LED(110)를 피복에 고정하고, 제어부(200)에 도안을 설정하면 도안에 해당하는 소형 LED(110)만 발광하고 나머지의 소형 LED(110)는 발광하지 않는다. 그러나, 소정의 소형 LED(110)에 의해 발광하는 광섬유(140)는 피복의 외부에 도안과 동일하게 광섬유(140)를 고정하여 발광하게 한다.
상기 발광부(100)는 피복의 외부에 고정한 소형 LED(110) 또는 광섬유(140)가 비, 눈 등 외부의 영향을 받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는 비닐수지 등 소형 LED(110)나 광섬유(140)가 발광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발광부(100)의 작동모드를 결정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제어회로는 광센서(130)와 3축 가속도센서(210)에서 얻어지는 정보를 통해 발광부(100)의 작동모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광센서(130)에서 얻어진 정보를 통해 발광부(100)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전원을 공급하고, 3축 가속도센서(210)를 통해 얻어지는 정보를 통해 발광부(100)에 지시를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광센서(130)와 3축 가속도센서(210)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발광부(100)로 신호를 전송하는 자동 설정 모드와 조작부(300)를 사용하여 조작부(300)의 신호를 발광부(100)로 전송하는 수동 조작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설정 모드를 사용할 때 조작부(300)를 조작하면 수동 조작 모드로 전환되어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조작 모드일 때 비상정지모드를 사용하여야 할 때는 조작부(300)의 비상버튼을 조작하여 수동으로 비상정지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부(300)나 외부기기를 사용하여 다수의 도안을 제어회로에 입력하여 제어부(20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0)는 발광부(100)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조작부(300)는 제어부(2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부(100)가 도안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부(200)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작동스위치(310)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는 수은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을 수광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400)을 설치하여 발광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배터리를 충전 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0)는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하는 리드선(500)을 구비하며, 조작부(300)를 제어부(20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리드선(500) 상에 구비되는 분리부재(600)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200)와 조작부(300)를 분리부재(600)에 의하여 분리하므로 제어부(200)와 조작부(300)를 각각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분리하여 고장난 부분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130)는 빛을 감지하며 조도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센서(130)에서 외부의 빛이 일정량 이상 감지하면 제어부(200)는 발광부(100)의 전원을 차단하며, 광센서(130)에서 외부의 빛이 일정량 이하로 감지하면 제어부(200)는 발광부(100)의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 장치를 작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오토바이 운전자가 터널에 진입하거나 일몰 시간에 광센서(130)에 빛이 일정량 이하로 감지되면 발광 장치에 전원이 공급하게 된다.
상기 3축 가속도센서(210)는 가속도 및 기울기를 감지한다. 3축 가속도센서(210)에서 가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200)에서 발광부(100)로 정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3축 가속도센서(210)가 일정량 이상의 회전을 감지하면 제어부(200)는 회전이 감지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방향 전환 신호를 발광부(10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300)는 제어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사용자가 작동모드를 입력하는 작동스위치(310)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300)는 무선으로 제어부(200)를 조작할 수 있으며, 조작부(300)에는 태양광 모듈(400)의 리드선(500)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을 구비한다.
상기 작동스위치(310)는 사용자가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방향 전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향 조절부(311)와, 발광부(100)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부(312)를 구비한다.
상기 방향 조절부(311)는 왼쪽방향, 오른쪽방향, 정지, 비상정지모드의 버튼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200)에서 정보를 인식하여 발광부(100)로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오토바이 운전자가 발광 장치를 수동으로 사용할 때 속도를 줄여야하거나 방향전환을 해야할 경우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서 뒤의 운전자에게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밝기 조절부(312)는 주위 환경에 따라 발광부(100)의 소형 LED(110) 또는 광섬유(140)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원형의 조절부를 돌려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작동스위치(310)의 형상은 도면에 표기하지 않았지만, 원형으로 돌리거나 막대형상으로 아래 위로 조절하는 등의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에서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200)에 미리 설정해 놓은 도안이 변경되어 발광부에서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토바이나 자전거 동호회에서 운행을 할 때는 순서를 정하여 선두주자를 변경하면서 운행을 한다. 운행 중에 선두주자가 변경되는 과정에서 다음 후속주자가 누군지 모를 경우가 생기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200)에 다수의 도안을 저장해서 선두주자가 변경될 때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제어부(200)에 저장해 놓은 도안이 변경되어 발광부(100)의 도안을 변경하여 선두주자가 변경되는 과정에서 착오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복에 발광 장치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에 따른 발광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피복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장치는 의류 또는 가방 등에 활용 가능하며, 의류의 뒷면에 고정하여, 후방으로 방향 등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발광한다.
예를 들어, 오토바이나 자전거 동호회는 운행중에 선두의 운전자가 수신호로 후방의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한다. 하지만, 저녁이나 어두운 터널에서는 수신호가 보이지 않으므로 갑작스런 방향전환이나 위험 순간에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토바이나 자전거 동호회의 유니폼의 후방에 발광 장치를 설치하여 운행을 하면 저녁이나 어두운 터널에서 방향전환이나 위험 순간에 후방의 운전자에게 상황을 전달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장치는 제어부(200)에서 연장된 리드선(500)을 피복의 소매로 연결하고, 소매에서 리드선(500)과 조작부(300)의 리드선(500)을 분리부재(600)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장치를 고정한 의류를 입고 오토바이 등을 운행할 때 몸을 기울이거나 방향 전환을 하면 3축 가속도센서(210)에 의해 발광부(100)에서 방향 전환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오토바이 운전 중에 우측으로 핸들을 돌리면 3축 가속도센서(210)에 우측으로 일정량 이상의 회전이 감지되며, 발광부(100)의 우측 소형 LED(110) 또는 광섬유(140)가 점등을 하고, 정지를 하면 가속도가 감소하므로 정지에 해당하는 소형 LED(110)가 점등을 한다. 또한, 조작부(300)의 비상정지버튼을 누르면 소형 LED(110)로 형성된 도안이 전체적으로 점등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조작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조작방법은 조작부(300)를 조작한 신호가 제어부(200)에서 인식을 하여 발광부(100)로 신호를 전달한다.
수동 설정 모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300)의 작동스위치(310)를 조작한 신호가 제어부(200)로 전달되어 제어부(200)가 작동모드를 결정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발광부(100)로 전달하여 발광부(100)가 작동하게 된다. 또한, 조작부(30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조작부(300)에 태양광을 수광하여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400)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모듈(400)은 발광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낮에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수동 설정 모드일 때 조작부(300)의 신호를 받아서 발광부(100)를 작동하게 하고, 자동 설정 모드일 때는 3축 가속도센서(210)와 광센서(130)의 얻어진 정보를 통해 발광부(100)를 작동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710는 피복의 외부에 설치한 광센서(130)에 일정량 이상의 빛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
단계 720는 단계 710에서 일정량 이상의 빛이 광센서(130)에 감지되지 않았으면, 자동 설정 모드인지 판단한다.
단계 721는 단계 720에서 자동 설정 모드가 아니라면 발광 장치의 전원을 ON시킨다.
단계 722는 발광 장치를 조작부(300)를 통해 수동 조작하는 것이다.
단계 730은 단계 720에서 발광 장치가 자동 설정 모드로 되어있으면 발광부(100)의 도안이 발광하며 3축 가속도센서(210)가 작동을 한다.
단계 740에서 가속도가 감소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745는 단계 740에서 3축 가속도센서(210)가 가속도가 감소 된 것을 감지하였으면 발광부(100)의 정지 신호가 점등을 하는 등의 작동을 한다.
단계 750은 단계 740에서 가속도가 감소하지 않았으면 운행을 하다 3축 가속도센서(210)에 일정량 이상의 회전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 3축 가속도센서(210)에 일정량 이상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으면 가속도가 감소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760은 단계 750에서 3축 가속도센서(210)에 일정량 이상의 회전이 감지되면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방향 전환 신호가 발광부(100)로 전달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발광부
130 : 광센서
200 : 제어부
210 : 3축 가속도센서
300 : 조작부
400 : 태양광 모듈

Claims (10)

  1. 피복에 고정되며, 작동모드에 대응하는 도안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작동모드를 결정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사용자가 작동모드를 입력하는 작동스위치를 구비하는 조작부와,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스위치는 사용자가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방향 전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향 조절부와,
    상기 발광부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빛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의 가속도 및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3축 가속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축 가속도센서가 일정량 이상의 가속도 감소를 감지할 때, 상기 발광부에 정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축 가속도센서가 일정량 이상의 회전을 감지할 때, 상기 발광부에 방향 전환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태양광을 수광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을 더 구비하는 발광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리드선과,
    상기 조작부를 상기 제어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리드선 상에 구비되는 분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발광부의 도안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8. 광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빛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자동 설정 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3축 가속도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가속도 감소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3축 가속도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회전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3축 가속도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가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방향 전환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3축 가속도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가속도 감소가 감지되면,
    정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
  10. 삭제
KR1020120020674A 2012-02-29 2012-02-29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 KR101397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674A KR101397062B1 (ko) 2012-02-29 2012-02-29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674A KR101397062B1 (ko) 2012-02-29 2012-02-29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283A KR20130099283A (ko) 2013-09-06
KR101397062B1 true KR101397062B1 (ko) 2014-05-27

Family

ID=4945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674A KR101397062B1 (ko) 2012-02-29 2012-02-29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0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509B1 (ko) 1995-08-18 2000-03-02 류정열 자동차의 좌우깜박이자동작동장치
KR20080076456A (ko) * 2007-02-16 2008-08-20 (주)유비트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주행상태감지방법
KR20100024593A (ko) * 2008-08-26 2010-03-08 이윤희 기능성 점퍼
KR20110034489A (ko) * 2009-09-28 2011-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509B1 (ko) 1995-08-18 2000-03-02 류정열 자동차의 좌우깜박이자동작동장치
KR20080076456A (ko) * 2007-02-16 2008-08-20 (주)유비트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주행상태감지방법
KR20100024593A (ko) * 2008-08-26 2010-03-08 이윤희 기능성 점퍼
KR20110034489A (ko) * 2009-09-28 2011-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283A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9894B2 (ja) 自転車装備
US11027187B2 (en) Electrically powered transport vehicle with a lighting system
US11407475B2 (en) Bicycle derailleur
KR101184409B1 (ko) 자전거 후미등 및 그 제어방법
KR101098640B1 (ko) 휴대용 방향지시등
JP6531299B2 (ja) 多機能スマートバックパック
US10336400B2 (en) Bicycl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US9408422B2 (en) Illuminated garm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963200B2 (en) Bicycle control apparatus
EP2868563B1 (en) Electrically assisted bicycle
KR101413145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지시등 및 방향지시시스템
KR101240614B1 (ko) 유도등이 부착된 자전거
JP5872999B2 (ja) 電動機付自転車
KR101397062B1 (ko)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어방법
KR101116920B1 (ko) 자전거 방향 전환 표시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06501A (ko) 자전거 주행 상태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62926B1 (ko) 장갑과 가방의 연동형 방향표시장치
WO2023288144A2 (en) Automated bicycle light system
US10282947B2 (en) Device for signaling direction
US10647382B2 (en) Charge system and charge method
JP2015178287A (ja) 電動アシスト自転車
KR20130105116A (ko) 동체 감지를 이용한 방향정보 지시기
KR101873654B1 (ko) 자전거 안전장치
CN207075634U (zh) 一种带转向指示灯的安全头盔
CN215075801U (zh) 用于头盔的体感控制器及非机动车体感控制头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