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517B1 -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tunnel and, structure for the slab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tunnel and, structure for the slab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517B1
KR101396517B1 KR1020120108473A KR20120108473A KR101396517B1 KR 101396517 B1 KR101396517 B1 KR 101396517B1 KR 1020120108473 A KR1020120108473 A KR 1020120108473A KR 20120108473 A KR20120108473 A KR 20120108473A KR 101396517 B1 KR101396517 B1 KR 10139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wall
support
rectangular tube
tub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4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2132A (en
Inventor
김동우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김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김동우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120108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517B1/en
Publication of KR20140042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1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5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forcing prefabricated elements through the ground, e.g. by pushing lining from an access pit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5Transport or application of concrete specially adapted for the lining of tunnels or galleries ; Backfilling the space between main build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rock, e.g. with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5/00Props; Chocks, e.g. made of flexible containers filled with backfilling material
    • E21D15/02Non-telescopic p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선부를 가지는 지하터널을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저렴하고 시공이 용이한 비개착식 지하터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지중에 사각형관을 삽입하여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를 형성시키고, 상기 사각형관 복합체 내부에 슬래브용 지지구조체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구축하는 단계; b) 상기 슬래브의 양 단부에 위치한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의 하부에 사각형관을 삽입하여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를 형성시키고, 상기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 내부에 벽체용 지지구조체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단계; c) 예정 지하터널 저면의 소정의 위치에 도갱공을 굴착하고, 상기 도갱공의 저면에 도갱공 기초부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안식각을 유지하면서 도갱공 주변부에 대한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 e) 상기 도갱공 기초부 상면에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f) 잔여 터파기를 하면서 상기 벽체의 배면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수평지지체를 설치하는 단계; g) 잔여 터파기를 완료한 후, 터널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tunnel having a curved portion, which is inexpensive and easy to install, while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comprising the steps of: a) forming a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a slab by inserting a rectangular tube in the ground; Inserting a support structure for a slab into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and constructing a slab by pouring concrete; b) inserting a square tube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slab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lab to form a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the wall, inserting the support structure for the wall into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the wall, Thereby constructing a wall; c) excavating the excav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nned underground tunnel, and installing the excavation foundation at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d) performing a turfing operation on the perimeter of the pit while maintaining the angle of repose; e) providing a support column for supporting the slab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 installing a horizontal support to support the back earth pressure of the wall while leaving the remaining terrains; g) placing the tunnel bottom concrete after completing the remaining trenching.

Figure R1020120108473
Figure R1020120108473

Description

지하터널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용 지지구조체{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tunnel and, structure for the slab construc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tunnel and a support structure for a slab,

본 발명은 비개착식 지하터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곡선부를 가지는 지하터널을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저렴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비개착식 지하터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non-installation type underground tun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non-installation type underground tunnel in which an underground tunnel having a curved portion can be inexpensively and easily installed while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도로, 철도 등의 하부에 횡단공사를 통해 터널, 지하차도 등을 건설하기 위한 공법에는 개착공법과 비개착공법이 있다. 개착공법은 지표면에서 땅을 파들어간 뒤 구조물을 설치하고 흙을 다시 메우는 공법으로, 굴토 후 내부 공간에서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작업기간 중 보행 및 차량의 운행을 통제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를 점유하지 않고, 직접 측면에서 지하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비개착공법이 다수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There are construction and non-construction methods for the construction of tunnels and underground roads through crossings at the bottom of roads and railways. The construction method has the advantage of installing the structure after filling the ground from the ground surface and filling the soil again. Since the structure can be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after the excavation, it is advantageous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stably.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derground structure can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side without occupying the roa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비개착공법에는 대표적인 예로 함체견인공법과 파이프루프공법이 있다. 함체견인공법은 콘크리트 함체를 제작한 후 유압잭을 사용하여 함체를 시공지점으로 밀어 넣는 공법으로, 토공 절취량이 적어서 궤도를 수정하기 쉽고, 콘크리트 함체의 품질관리가 쉽고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단면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이므로 함체를 견인하는 도중에 방향을 바꾸거나 경사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함체의 규모가 커지면 견인에 제약이 따르게 되고 작업장의 규모가 큰 편이므로 심도가 깊은 지하공간에서의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견인과정에서 함체의 모서리 부분에서 토사가 유실되기 쉽고, 함체간의 연결부 처리가 미흡하면 누수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함체의 하중과 함체 견인을 위해 지중에 설치된 가설강관과의 틈에 의해 토공구조물의 침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Typical examples of non-adherent methods include a jacking method and a pipe loop method. It is easy to modify the orbit, the quality of the concrete enclosure can be easily controlled, and the accurate construction can be done. However, since it is easy to modify the orbit of the concrete enclosure, Since the front section is precast concrete,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or change the inclination while pulling the enclosure. When the size of the enclosure becomes large, the pulling is restricted and the work area is large. Therefore, .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oil is liable to be lost at the edge of the casing in the traction process, and 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sings is insufficient, leakage may occur. In order to pull the load of the casing and the cas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ettling of the substrate may occur.

이에 본 출원인은 특허 제1161332호의 '지하터널의 시공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지하터널의 시공방법'은, a) 지중에 기준 사각형관을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기준 사각형관의 좌, 우측으로 연결 사각형관을 지중에 삽입하여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40)를 형성시키는 단계, c) 상기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40) 내부의 수평공간에 강재로 된 슬래브용 지지구조물(41)을 삽입하는 단계, d) 지지구조물이 삽입된 상기 수평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슬래브(100)의 구축단계와; e) 상기 기준 사각형관 및 연결 사각형관들로 형성된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40)의 하부에 연결 사각형관을 포함한 다수의 사각형관을 지중에 삽입하여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50)를 형성시키는 단계, f) 상기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 내부의 수직공간에 강재로 된 벽체용 지지구조물(51)을 삽입하는 단계, g) 지지구조물이 삽입된 상기 수직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는 벽체(200)의 구축단계, 및 상기 슬래브와 벽체의 구축이 완료된 후, 슬래브와 벽체의 내부를 굴토하고,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터널 내부를 마감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nd filed an invention entitled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Tunnel " in Korean Patent No. 1161332. [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underground tunnel comprises the steps of: a) inserting a reference square pipe into the ground; b) inserting a connecting rectangular pipe in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ference square pipe to insert the rectangular pipe composite 40 for slabs C) inserting a slab supporting structure 41 made of steel into a horizontal space inside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40 for slabs, d) placing the concrete in the horizontal space into which the supporting structure is inserted A step of curing the slab 100, and a step of curing the slab 100; e) inserting a plurality of rectangular tubes including a connected square tube into the lower part of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40 for slabs formed of the reference square tube and the connected square tubes to form a rectangular tube tube composite 50 for a wall; , f) inserting a support structure (51) made of steel into the vertical space inside the square tube composite for the wall, g) placing the concrete in the vertical space in which the support structure is inserted, 200, and after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and the wall, the inside of the slab and the wall are pushed out, the floor concrete is laid, and the inside of the tunnel is closed.

상기한 선행기술은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원형관에 비해 단면확보가 용이한 사각형관을 사용하고, 다수개의 사각형관으로 구성된 사각형관 복합체에 지지구조물이 삽입됨으로써 종래 파이프루프 공법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지반침하의 우려가 없고, 내부 토사 굴착시 필요한 지지보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거푸집,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고도 슬래브 및 벽체를 완벽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공기가 단축되고, 안전성 확보 및 공사비가 절감된다는 긍정적인 효과가 발휘된다.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uses a rectangular tube that is easier to secure in cross section than a circular tube that has been used in the prior art, and a supporting structure is inserted into a rectangular tube composit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ctangular tubes, It is possible to form the slab and the wall completely without forming the formwork and the wall, so that the air is shortened, the safety is secur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Effect.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50)를 형성하기 위한 기준 사각형관 및 연결 사각형관이 직선형의 길이부재이기 때문에 지하터널이 곡선형인 경우에는 적용상에 한계가 있다. 특히 지하터널의 폭이 3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구조안전 및 차선분리를 위한 중앙벽체와 같은 구조체가 설치되어야 하나, 이를 상기의 선행기술에 의하는 경우 직선형의 중앙벽체를 형성시킨 후 이를 곡선으로 마감처리하는 경우 상기 마감처리에 의한 도로폭이 대폭으로 감소될 수 밖에 없으며, 또 상기와 같은 마감처리에 의한 도로폭의 상실량을 줄이기 위하여 터널의 양쪽에서 소정을 각도를 가지고 중앙벽체를 형성해 나가는 방법을 생각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매우 정밀한 시공이 요구되어 시공비가 지나치게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reference square tube and the connecting rectangular tube for forming the rectangular square tube composite body 50 for walls are linear members, the application is limited when the underground tunnel is curved. In particular, when the width of the underground tunnel is more than 30M, a structure such as a center wall for safety of construction and separation of lanes should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 straight central wall is formed, The road width due to the finishing treatment must be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road width loss due to the finishing treatment, a method of forming a center wall at predetermined angles on both sides of the tunnel However, in such a case, a very precise construction is requir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excessively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광폭을 가지는 곡선형의 지하터널에 대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지하터널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tunnel that can be safely and easily installed at a low cost with respect to a curved underground tunnel having a wide width .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a) 지중에 사각형관을 삽입하여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를 형성시키고, 상기 사각형관 복합체 내부에 슬래브용 지지구조체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구축하는 단계; b) 상기 슬래브의 양 단부에 위치한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의 하부에 사각형관을 삽입하여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를 형성시키고, 상기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 내부에 벽체용 지지구조체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단계; c) 예정 지하터널 저면의 소정의 위치에 도갱공을 굴착하고, 상기 도갱공의 저면에 도갱공 기초부를 설치하는 단계; d) 안식각을 유지하면서 도갱공 주변부에 대한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 e) 상기 도갱공 기초부 상면에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f) 잔여 터파기를 하면서 상기 벽체의 배면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수평지지체를 설치하는 단계; g) 잔여 터파기를 완료한 후, 터널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lab, comprising the steps of: a) inserting a rectangular tube in the ground to form a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a slab, inserting a slab support structure inside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Constructing a slab; b) inserting a square tube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slab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lab to form a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the wall, inserting the support structure for the wall into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the wall, Thereby constructing a wall; c) excavating the excav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nned underground tunnel, and installing the excavation foundation at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d) performing a tearing of the perimeter of the pit while maintaining the angle of repose; e) providing a support column for supporting the slab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 installing a horizontal support to support the back earth pressure of the wall while leaving the remaining terrains; g) installing the tunnel bottom concrete after completing the remaining trenches.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기둥은 제1지지기둥부와 제2지지기둥부가 연결된 구조이고, 상기 수평지지체는 제1수평지지체부와 제2수평지지체부가 연결된 구조이며, 상기 제1지지기둥부와 제2지지기둥부 및, 상기 제1수평지지체부와 제2수평지지체부의 사이에는 길이조절수단이 각각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colum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upporting column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column portion are connected, and the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and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ing member are connected, And a length adjust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column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column portion an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평지지체는 도갱공 기초부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support body is fixedly supported by the foundation of the tunnel.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갱공 기초부는 철근콘크리트로 구성되고, 상기의 도갱공 기초부의 저면에는 지지파일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tunnel, wherein the foundation is formed of reinforced concrete, and a support pile is furth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ound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갱공 기초부는 강재보로 구성되고, 상기 강재보의 양 단부에는 강재보와 결합된 지지파일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pouring base portion is constituted by a steel beam, and both ends of the steel beam are further provided with support piles coupled to the steel beams. / RTI >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슬래브용 지지구조체는, 다수 개로 분할된 형강을 접합하여 솟음이 형성되도록 한 강재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structure for slabs is a steel beam which is formed by joining a plurality of divided steel bars to form a soot.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슬래브용 지지구조체는, 한 쌍의 주형빔 사이에 다수 개의 가로보를 설치하고, 상기 주형빔의 양 단부에 위치한 가로보 사이에 긴장재를 긴장시켜 정착시켜 형성되는 주형빔 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structure for slab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ross beams between a pair of mold beams, and a tension member is tensioned between the cross beam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mold beam to fix 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underground tunnel is provided with a mold beam girder.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 내부에는 슬래브용 지지구조체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가 더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롤러는 높이가 조절되는 가변형 가이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roller for further facilitating the insertion of the support structure for slabs is provided inside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slabs, and the guide roller is a variable guide roller whose height is adjuste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tunnel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주형빔과, 상기 주형빔의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가로보와, 상기 가로보들 사이에 설치되는 긴장재와, 상기 주형빔의 양 단부에 위치한 가로보에 설치되는 긴장재 정착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긴장재는 양 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지지구조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ld assembly comprising a pair of mold beams, at least three cross beams positioned between the mold beams, a tensil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cross beams, Wherein the tension member is disposed in a downwardly convex shape from both ends toward a center portion of the slab fixing structure.

본 발명은 굴진 방향이 자유로운 도갱공을 이용함으로써, 직선형의 터널은 물론 곡선형의 터널에 대하여도 자유로우면서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는 범적용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utility in that it can be freely and economically applied to a curved tunnel as well as to a straight tunnel by using a piercing hole having a free direction of excavation.

또한 본 발명은 슬래브의 휨강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광폭의 슬래브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터널의 설계폭을 유지하면서 터널 벽체의 외면을 곡선 마감처리할 수 있어 시공의 정밀성을 꾀할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ufficiently secure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slab and can form a wide slab,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tunnel wall can be curved finishing while maintaining the design width of the tunnel, so that the precision of the construction can be achieved.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하터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슬래브를 구축하기 위하여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에 슬래브용 지지구조체를 삽입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3b는 상기 도 2에서의 슬래브용 지지구조체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슬래브 양 단부에 위치하는 벽체를 구축하기 위하여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에 벽체용 지지구조체를 삽입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지지기둥 설치를 위한 도갱공을 굴착하고, 도갱공의 저면에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도갱공 기초부를 형성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상기 도갱공의 저면에 강재보로 구성된 도갱공 기초부를 형성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6b는 도 5a, 5b에서의 도갱공 기초부에 지지파일을 각각 더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도갱공 주변부를 굴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도갱공 기초부의 상면에 지지기둥을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및 상기 지지기둥의 길이조절수단에 관한 일 실시예의 세부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도갱공 기초부와 벽체사이에 수평지지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터널의 굴토 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바닥을 형성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underground tunnel.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support structure for a slab is inserted into a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a slab in order to construct a sl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support structure for slabs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support structure for a wall is inserted into a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a wall to construct a wall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sl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le for installing a support column is excav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ase of a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le, and FIG. 5B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base of a step formed of a steel beam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Figs.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embodiments in which support piles ar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piercing base portions in Figs. 5A and 5B, respectively.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excavating a perimeter drill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support pillar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cing b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length control means of the support pillars.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rizontal support body is provided between a base of a piercing hole and a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laid on the bottom surface of a tunnel of a tunnel to form a tunnel bottom

진행방향에 대하여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터널에 대한 시공방법으로는, 슬래브의 폭을 터널의 설계폭보다 크게 형성시킨 후 직선형의 외벽 벽체를 곡선형으로 마감처리함으로서 터널을 곡선형으로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터널의 폭방향 중앙부에 구조안전 및 차선분리를 위한 중앙벽체와 같은 지지체가 요구되지 아니하는 정도의 폭에 대하여는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30M이상의 광폭을 가지는 터널에 대하여는 터널의 폭방향 중앙부에 슬래브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가 설치되어야 하고, 이러한 구조체를 직선형의 벽체로 형성시키고 이를 곡선형으로 마감처리하는 경우에는, 터널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요구되는 곡선 높이의 2배에 해당하는 폭을 잠식하기 때문에 매우 불합리하고 비경제적인 구조의 터널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널의 폭방향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지지체를 터널의 진행방향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As a construction method for a tunnel having a curved shape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the tunnel can be formed in a curved shape by forming the slab width larger than the design width of the tunnel and then finishing the straight outer wall wall in a curved shape. Such a construc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width of the center of the tunnel in the widthwise direction and to the extent that a support such as a center wall for separating lanes is not required. However, for a tunnel having a width of 30M or more, a supporting body capable of supporting a slab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unnel. When such a structure is formed into a straight wall and the tunnel is finely finished, Direction, a tunnel of a very unreasonable and uneconomical structure is formed because it encroaches the width corresponding to twice the required curve heigh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a support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unnel can easily correspond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unne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본 발명에 의한 지하터널은, ⅰ) 슬래브를 구축하는 단계, ⅱ) 벽체를 구축하는 단계, ⅲ) 도갱공 굴착 및 도갱공 기초부 설치 단계, ⅳ) 도갱공 주변부 터파기 단계, ⅴ) 지지기둥 설치단계, ⅵ) 수평지지체 설치단계, ⅶ) 터널바닥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underground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s of: i) constructing a slab, ii) constructing a wall, iii) installing the excavation and drilling foundation, iv) Installation steps, vi) installation of horizontal supports, and ⅶ) formation of tunnel bottoms. Each of the above step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ⅰ) 슬래브를 구축하는 단계I) step of constructing slab

지중에 사각형관을 삽입하여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40)를 형성시키고, 상기 사각형관 복합체 내부에 슬래브용 지지구조체(42)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100)를 구축하는 단계이다.A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a slab is formed by inserting a rectangular tube into the ground, a support structure for a slab is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and concrete is installed to construct the slab.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40)와 다음 단계의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50)를 지중에 형성시키는 것은 본 출원인의 특허 제116133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준 사각형관을 중심으로 상기 기준 사각형관의 연결리브에 연결 사각형관의 U자형 고리를 끼우면서 연결 사각형관을 지중에 삽입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40)와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50)는 내부에 지지구조체를 삽입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족하다고 할 것이다.The formation of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40 for a slab and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50 for a wall of the next stage in the ground is achieved by forming the connection of the reference square tube around the reference square tube as disclosed in the applicant's patent No. 1161332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rectangular pipe is inserted into the ground by inserting the U-shaped hook of the connecting rectangular pipe into the rib,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40 for a slab and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50 for a wall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pace capable of inserting a support structure therein.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40)가 지중에 형성되면, 상기 사각형관 복합체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슬래브용 지지구조체(42)를 삽입한다. 도 2는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40)에 슬래브용 지지구조체(42)를 삽입시킨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When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body 40 for slabs is formed in the ground, the support structure 42 for slabs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inside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body. 2 shows a shape in which the slab support structure 42 is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40 for slabs.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40)의 내부에는 상, 하로 다수의 가이드 롤러(60)가 더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60)는 상기 사각형관 복합체의 내부로의 지지구조체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60)는 높이가 조절되는 가변형으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guide rollers 60 are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40 for slabs. The guide rollers 60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support structure into the interior of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The guide roller 60 is formed to have a variable height that is adjustable in height.

도 3a, 3b는 상기 슬래브용 지지구조체(42)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Figures 3a and 3b show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support structure 42 for slabs.

도 3a에 도시된 슬래브용 지지구조체(42)는 다수 개로 분할된 형강을 접합하여 솟음이 형성되도록 한 강재빔(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접합방법은 용접방식에 의할 수도 있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 및 플랜지의 연결부위에 플레이트(81)를 매개로 하여 접합시킬 수도 있다.The support structure 42 for slabs shown in FIG. 3A is made of a steel beam 80 which is formed by joining a plurality of divided steel bars to form a soot. The bonding method may be a welding method, or may be bond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web and the flange via the plate 81 as shown in FIG. 3A.

도 3b는 슬래브용 지지구조체(42)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한 쌍의 주형빔(91)과, 상기 주형빔(91)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시키는 가로보(92)로 구성되는 주형빔 거더(90)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형빔 거더(90)는 PC강선과 같은 긴장재(93)를 통하여 상부로 볼록한 솟음이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가로보(92)는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긴장재(93)는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에서 주형빔(91)의 양 단부에 위치한 가로보(92)에 설치되는 긴장재 정착구(94)에 정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형빔 거더(90)가 상부로 볼록한 솟음이 형성되기 위해서 긴장재(93)는 양 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가로보(92)를 통한 프리스트레싱은 주형빔 거더(90) 전체에 대하여 균형있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게 한다.3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support structure 42 for a slab comprising a pair of mold beams 91 and a beam 92 positioned between and connecting the mold beams 91 And a mold beam girder (90). The mold beam girder 90 is formed with a convex upward upward through a tensile member 93 such as a PC steel wire. At least three cross beams 92 should be provided and the tension member 93 is inserted into the tension member fixing hole 94 provided at the cross beams 92 located at both ends of the mold beam 91 in a state in which a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s settl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form the convex rising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beam girder 90, the tension member 93 should be arranged in a downwardly convex shape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As such, prestressing through the beam 92 causes a balanced prestress to be introduced over the entirety of the mold beam girder 90.

상기와 같이 솟음이 형성된 강재빔(80) 또는 주형빔 거더(90)가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4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사각형관 복합체(40)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60)는 상기 솟음의 정도에 대응하도록 높이가 조절된다.The guide roller 60 installed in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body 40 so that the steel beam 80 or the mold beam girder 90 formed as a bulge is easily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40 for slabs, The height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degree of soaring.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40)에 대한 슬래브용 지지구조체(42)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사각형관 복합체(4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100)를 구축한다. 상기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40) 내부에는 철근이 더 배근될 수 있다.When the insertion of the slab support structure 42 into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40 for slabs is completed, concrete is placed in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40 to construct the slab 100. A reinforcing bar may be further disposed inside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40 for slabs.

상기한 바와 같이 솟음이 형성된 강재빔(80)과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주형빔 거더(90)를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구조체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체는, 슬래브의 구축 가능한 폭을 증가시켜 외벽마감에 의해 잠식됨으로써 감소되는 터널의 폭이 설계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teel-frame concrete structure or the steel-fram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teel beam 80 with the risen and the mold beam girder 90 with the prestress increases the constructable width of the slab, Thereby allowing the width of the tunnel to be maintained in the design width.

ⅱ) 벽체를 구축하는 단계Ii) Steps to build a wall

상기 슬래브(100)의 양 단부에 위치한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40)의 하부에 사각형관(45)을 삽입하여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50)를 형성시키고, 상기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50) 내부에 벽체용 지지구조체(52)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200)를 구축하는 단계이다. 도 4는 슬래브(100) 양 단부에 위치하는 벽체(200)를 구축하기 위하여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50)에 벽체용 지지구조체(52)를 삽입시킨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A rectangular tube 45 is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40 for slab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lab 100 to form a square tube composite 50 for a wall, And the wall 200 is constructed by inserting the concrete supporting structure 52 into the inside of the wall supporting structure 52. 4 shows a shape in which a wall supporting structure 52 is inserted into a square tube composite 50 for a wall to construct a wall 200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lab 100. [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50)의 형성방법과 상기 사각형관 복합체(50)에 벽체용 지지구조체(52)를 삽입시키는 방법은 상술한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40)에 슬래브용 지지구조체(42)를 삽입시키는 방법과 다르지 아니하다. 다만 벽체용 지지구조체(52)는 슬래브용 지지구조체(42)와는 달리 솟음을 형성시키지 않는다는 점에만 차이가 있다.The method of forming the rectangular square tube composite body 50 and the method of inserting the wall support structure 52 into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body 5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body 40 for slab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Only the wall support structure 52 differs from the support structure 42 for slabs in that it does not form a bulge.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50)에 대한 벽체용 지지구조체(52)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사각형관 복합체(5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골콘크리트 구조체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벽체(200)를 구축한다.When the insertion of the wall supporting structure 52 into the square tube composite 50 for a wall is completed, concrete is poured into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50 to construct a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or a wall frame 200 of a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do.

상기 벽체(200)의 외면중 터널쪽에 대하여는 향후 터파기가 완료된 후 터널이 진행하는 방향의 곡률에 맞게 마감처리함으로써 곡선부를 가지는 터널의 외벽을 완성시키게 된다.
After finishing the trenc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of the wall body 200 is finished in accordance with the curvature of the direction of the tunnel, thereby completing the outer wall of the tunnel having the curved portion.

ⅲ) 도갱공 굴착 및 도갱공 기초부 설치 단계Iii) Slot drilling and drilling Slot foundation step installation stage

예정 지하터널 저면의 소정의 위치에 도갱공(300)을 굴착하고, 상기 도갱공(300)의 저면에 도갱공 기초부(31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소정의 위치'라 함은 그 위치를 확정할 수 없는 것으로서 실시자가 필요에 따라 정하는 것임을 의미하는 것이다.The excavation hole 300 is also excav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underground tunnel and the excavation foundation 310 is also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300. Here, the term "predetermined position" means that the position can not be determined, which means that the practitioner is determined as necessary.

슬래브(100)와 벽체(200)의 구축이 완료되어, 슬래브(100) 상부에 대한 하중을 벽체(200)가 어느 정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면, 지지기둥(320)이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에서의 터널 바닥면 부위에 대한 도갱공(300)을 굴착한다. 상기 지지기둥(320)은 슬래브(100)의 규모 또는 지하터널의 사용 용도에 따라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When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100 and the wall 200 is completed and the loa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lab 100 can be securely supported by the wall 200, The tunnel 300 is also excavated against the tunnel floor area.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320 may be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depending on the scale of the slab 100 or the use of the underground tunnel.

상기 도갱공(300)의 굴진은 터널의 진행방향과 일치되어야 한다. 즉 터널의 진행방향이 곡선형이면 도갱공(300) 역시 동일한 곡률을 가지면서 굴착되어야 한다.The pivoting of the upper piercing hole 300 should coincide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unnel. That is, even i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unnel is curved, the drilling hole 300 should be excavated with the same curvature.

도갱공(300)의 굴착이 완료되면, 상기 도갱공(300)의 저면에 도갱공 기초부(310)를 형성시킨다. 상기 도갱공 기초부(310)는 철근콘크리트로 구성시킬 수 있고, 강재보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 도 5a는 도갱공(300)의 저면에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도갱공 기초부(310)를 형성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있으며, 도 5b는 도갱공(300)의 저면에 강재보로 구성된 도갱공 기초부(310)를 형성시킨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When the drilling of the drilling hole 300 is completed, the drilling hole 310 is also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lling hole 300. The piercing base 310 may be constructed of reinforced concrete, or may be constructed of steel beams. 5A shows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drilling base 31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lling hole 300. FIG. 5B shows a drilling hole base portion 310 formed of a steel beam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lling hole 300 310 are formed.

상기 도갱공 기초부(310)는 향후 설치되는 지지기둥(320)을 통해 슬래브(1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므로, 단단한 지반위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갱공 기초부(310)가 설치되는 지반이 연약지반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그 하부에 지지파일(340)을 설치함으로써 도갱공 기초부(310)에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도 6a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형성된 도갱공 기초부(310)의 저면에 지지파일(340)이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6b에서는 강재보로 형성된 도갱공 기초부(310)의 양 단부에 지지파일(340)이 결합된 형태로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The sloping foundation 310 supports the load of the slab 100 through the support pillars 320 installed in the future, so it must be installed on a hard ground. Accordingly, when the ground on which the pouring base 310 is installed is formed of soft ground,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is secured on the pouring base 310 by installing the support pile 340 under the ground. 6A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pport pile 340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pile foundation 310 formed by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 Fig. 6B, the support pile 340 is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pile foundation 310, The file 340 is installed in a combined form.

ⅳ) 도갱공 주변부 터파기 단계Iv) Also,

안식각을 유지하면서 도갱공 주변부에 대한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이다.While maintaining the angle of repose, it is a stage to perform the tapping to the perimeter of the hole.

도갱공(300)의 굴착 및 도갱공 기초부(310)의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단계에서 설치되는 지지기둥(320)의 설치장소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도갱공(300)의 주위를 깎아 넓히면서 도갱공 주변부에 대한 터파기를 실시한다. When the excavation of the excavation hole 300 and the installation of the excavation base 310 are completed, the circumference of the excavation hole 300 is widened around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support pillars 320 installed in the next step Perform a tappet on the perimeter of the pit.

상기 터파기 부위의 도갱공(300)에 대하여는 상기 도갱공을 구축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지지틀 등의 상부구조물 들은 절단 내지 해체되어야 한다. 도 7은 도갱공(300)의 상부 구조물을 해체시킨 후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도갱공 주변부를 굴착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The upper structure such as the supporting frame, which is installed to construct the above-mentioned piercing hole, should be cut or disassembled with respect to the piercing hole 300 at the terraced portion. FIG. 7 shows a process of dismantl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drill hole 300 and then drilling the drill hole using the drilling equipment.

ⅴ) 지지기둥 설치단계Ⅴ) step of supporting column installation

도갱공 기초부(310) 상면에 슬래브(1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둥(32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도 8은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도갱공 기초부(310) 상면에 지지기둥(320)을 설치하여 슬래브(100)를 지지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The support pillars 320 for supporting the slabs 10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foundation 310.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illars 32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uring base 310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o support the slab 100.

상기 지지기둥(320)은 일체로 된 길이부재로 구성시킬 수 있으나, 시공의 정밀성 및 용이성을 위하여 제1지지기둥부(321)와 제2지지기둥부(322)로 분할되고, 상기 제1지지기둥부(321)와 제2지지기둥부(322) 사이에 유압잭이나 스크류 잭과 같은 길이조절수단(323)이 설치되어 있는 형상으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pillars 320 may be formed as a single integral body, but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upport pillar 321 and a second support pillar 322 for precision and ease of installation, It is preferable that a length adjusting means 323 such as a hydraulic jack or a screw jack is provided between the column portion 321 and the second support column portion 322.

또한 상기 지지기둥(320)은 향후 철근콘크리트를 피복하여 본 기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기 지지기둥(320)은 본 기둥이 설치될 때까지 임시적으로 슬래브를 지지하는 가설기둥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column 320 may be used as a column by covering the reinforced concrete in the future. Alternatively, the support column 320 may be used as a temporary column supporting the slab temporarily until the column is installed.

ⅵ) 수평지지체 설치단계Vi) Step of installing a horizontal support

잔여 터파기를 하면서 상기 벽체(200)의 배면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수평지지체(33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And installing a horizontal support body 330 for supporting the back earth pressure of the wall body 200 while leaving the remaining trenches.

터파기가 완료되면, 슬래브 상부의 하중은 외벽을 구성하는 벽체(200)와 지지기둥(320)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하중에 대하여는 안정적 구조를 가지나, 상기 벽체(200)에는 배면토압에 의해 수평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벽체(200)는 상부만이 슬래브(100)의 단부와 고정되어 수평하중에 지지되는 것이어서, 상기 벽체(200)의 하부에 아무런 고정수단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상기 벽체(200)는 굴토된 터널 내부로 붕괴될 수 밖에 없다.The load on the upper part of the slab is supported by the wall 200 and the support pillars 320 constituting the outer wall so as to have a stable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oad. However, in the wall 200, a horizontal load And the wall 200 is fixed to the end portion of the slab 100 and is supported by the horizontal load so that the wall 200 can b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ll 200, It can only be collapsed into an excavated tunnel.

따라서 벽체(200) 주변에 대한 터파기가 완료되기 전에 소정의 간격으로 미리 벽체(200)의 배면토압을 지지할 수 있는 수평지지체(330)가 설치되어야 한다. 도 9는 도갱공 기초부(310)와 벽체(200)사이에 수평지지체(330)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수평지지체(330)의 하중을 도갱공 기초부(310)가 고정 지지하게 되면 별도의 수평지지체(330)의 고정 지지를 위한 가설수단을 구성하지 아니하고서도 안정되게 벽체의 배면토압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렇다고 하여 수평지지체(330)를 반드시 도갱공 기초부(310)에 지지시켜야 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상기 지지체(330)는 벽체의 배면토압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설치 위치 및 고정수단 등에 관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는 것으로서, 현장의 조건 및 토질의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 horizontal support 330 capable of supporting the earth pressure of the wall 200 in advanc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fore the trenches around the wall 200 are completed.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a horizontal support body 330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hole 310 and the wall body 200. When the piercing base 310 is fixedly supported by the horizontal support body 33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backside wall pressure of the wall without constructing the piercing means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horizontal support body 330 .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horizontal support body 33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supported by the punching base portion 310 as well. That is, if the support body 330 can support the earth pressure of the back surface of the wall,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to its installation position, fixing means, etc.,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at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ite, It is.

상기 수평지지체(330)는 상기한 지지기둥(320)과 마찬가지로, 일체로 된 길이부재로 구성시킬 수 있으나, 시공의 정밀성 및 용이성을 위하여 제1수평지지체부(331)와 제2수평지지체부(332)로 분할되고, 상기 제1수평지지체부(331)와 제2수평지지체부(332) 사이에 유압잭이나 스크류 잭과 같은 길이조절수단(333)이 설치되어 있는 형상으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orizontal support body 330 may be formed of a single integral body like the support pillars 320. However, for the sake of precision and ease of installation, the horizontal support body 330 and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body portion 332 and a length adjusting means 333 such as a hydraulic jack or a screw jack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 331 and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ing portion 332.

ⅶ) 터널바닥 형성단계Ⅶ) Tunnel bottom forming step

잔여 터파기를 완료한 후, 터널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다.After completing the remaining trenches, the tunnel bottom concrete is laid.

벽체(200)와 도갱공 기초부(310) 사이에 수평지지체를 설치하여 벽체 배면 토압에 의해 발생되는 수평하중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면, 잔여 터파기를 완료하고, 굴토 저면의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터널바닥(400)이 형성 완료된다. 도 10은 터널의 굴토 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바닥(400)을 형성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When a horizontal support body is provided between the wall body 200 and the piercing base portion 310 to secure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horizontal load generated by the wall back pressure, the remaining treading machine is completed and the concrete is pour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culvert So that the tunnel bottom 400 is formed. 10 shows a state in which a tunnel bottom 400 is formed by placing concrete on the bottom surface of a tunnel of a tunnel.

이와 함께 벽체(200)의 외면에 대한 마감과 지지기둥(320)에 대한 추가적인 작업을 마무리함으로써 지하터널의 시공이 완료된다.
In addition, finis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body 200 and completing the additional work on the support pillars 320 completes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tunnel.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곡선형의 터널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직선형의 터널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한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의 설명에서는 도로용 지하터널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도로 이외의 용도에 대하여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실시 및 적용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thereof. For example, although the curved tunnel has been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obvious that the same can be applied to a linear tunnel. 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with reference to the underground tunnel for road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uses other than road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40: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 42: 슬래브용 지지구조체
45: 사각형관 50: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
52: 벽체용 지지구조체 60: 가이드 롤러
80: 강재빔 81: 플레이트
90: 주형빔 거더 91: 주형빔
92: 가로보 93: 긴장재
94: 긴장재 정착구 100: 슬래브
200: 벽체 300: 도갱공
310: 도갱공 기초부 320: 지지기둥
321: 제1지지기둥부 322: 제2지지기둥부
323, 333: 길이조절수단 330: 수평지지체
331: 제1수평지지체부 332: 제2수평지지체부
340: 지지파일 400: 터널바닥
40: square tube composite for slab 42: support structure for slab
45: Rectangular tube 50: Rectangular tube complex for a wall
52: support structure for a wall 60: guide roller
80: steel beam 81: plate
90: mold beam girder 91: mold beam
92: Ribbon 93: Tension material
94: Tension material fixture 100: Slab
200: Walls 300:
310: Deep hole base 320: Support column
321: first support post part 322: second support post part
323, 333: Length adjusting means 330: Horizontal support
331: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32: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340: support file 400: tunnel floor

Claims (9)

지중에 슬래브 및 이를 지지하는 벽체로 구성된 터널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지중에 사각형관을 삽입하여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를 형성시키고, 상기 사각형관 복합체 내부에 슬래브용 지지구조체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구축하는 단계;
b) 상기 슬래브의 양 단부에 위치한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의 하부에 사각형관을 삽입하여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를 형성시키고, 상기 벽체용 사각형관 복합체 내부에 벽체용 지지구조체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단계;
c) 예정 지하터널 저면의 소정의 위치에 도갱공을 굴착하고, 상기 도갱공의 저면에 도갱공 기초부를 설치하는 단계;
d) 안식각을 유지하면서 도갱공 주변부에 대한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
e) 상기 도갱공 기초부 상면에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f) 잔여 터파기를 하면서 상기 벽체의 배면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수평지지체를 설치하는 단계;
g) 잔여 터파기를 완료한 후, 터널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슬래브용 지지구조체는, 한 쌍의 주형빔 사이에 다수 개의 가로보를 설치하고, 상기 주형빔의 양 단부에 위치한 가로보 사이에 긴장재를 긴장시켜 정착시켜 형성되는 주형빔 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시공방법
A method of constructing a tunnel comprising a slab and a wall supporting the slab,
a) inserting a rectangular tube into the ground to form a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a slab, inserting a support structure for the slab into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and constructing a slab by pouring the concrete;
b) inserting a square tube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slab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lab to form a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the wall, inserting the support structure for the wall into the rectangular tube composite for the wall, Thereby constructing a wall;
c) excavating the excav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nned underground tunnel, and installing the excavation foundation at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d) performing a tearing of the perimeter of the pit while maintaining the angle of repose;
e) providing a support column for supporting the slab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 installing a horizontal support to support the back earth pressure of the wall while leaving the remaining terrains;
g) pouring the tunnel bottom concrete after completing the remaining gravel,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structure for slabs is a mold beam girder which is form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beams between a pair of mold beams and fixing the tension beams between the cross beam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mold beam by tightening them. Construc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제1지지기둥부와 제2지지기둥부가 연결된 구조이고, 상기 수평지지체는 제1수평지지체부와 제2수평지지체부가 연결된 구조이며, 상기 제1지지기둥부와 제2지지기둥부 사이 및, 상기 제1수평지지체부와 제2수평지지체부의 사이에는 길이조절수단이 각각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시공방법[3]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column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support column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column portion are connected, the horizontal support body i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horizontal support portion are connected, And a length adjust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st portion and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체는 도갱공 기초부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시공방법The underground tunne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rizontal support body is fixedly supported by a foundation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갱공 기초부는 철근콘크리트로 구성되고, 상기의 도갱공 기초부의 저면에는 지지파일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 시공방법2. The underground tunne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ad piercing base portion i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and a support pile is furth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iercing bas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갱공 기초부는 강재보로 구성되고, 상기 강재보의 양 단부에는 강재보와 결합된 지지파일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의 시공방법2. The underground tunne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in is formed of a steel beam, and both ends of the steel beam are further provided with support piles coupled to the steel beam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용 사각형관 복합체 내부에는 슬래브용 지지구조체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가 더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롤러는 높이가 조절되는 가변형 가이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터널의 시공방법2. The slab-based rectangular tube composi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roller for facilitating the insertion of the slab support structure is further provided, and the guide roller is a variable guide roller whose height is adjusted. Construction method of 지하터널의 슬래브를 구축하기 위한 지지구조체로서, 한 쌍의 주형빔과, 상기 주형빔의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가로보와, 상기 가로보들 사이에 설치되는 긴장재와, 상기 주형빔의 양 단부에 위치한 가로보에 설치되는 긴장재 정착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긴장재는 양 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지지구조체A support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slab of an underground tunnel, comprising: a pair of mold beams; at least three cross beams positioned between the mold beams; a tension member disposed between the cross beams; Wherein the tension member is arranged in a downwardly convex shape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of the slab fixing structure,
KR1020120108473A 2012-09-28 2012-09-28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tunnel and, structure for the slab construction KR101396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473A KR101396517B1 (en) 2012-09-28 2012-09-28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tunnel and, structure for the slab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473A KR101396517B1 (en) 2012-09-28 2012-09-28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tunnel and, structure for the slab constr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132A KR20140042132A (en) 2014-04-07
KR101396517B1 true KR101396517B1 (en) 2014-05-20

Family

ID=5065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473A KR101396517B1 (en) 2012-09-28 2012-09-28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tunnel and, structure for the slab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51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3705A (en) * 2015-07-20 2015-10-07 上海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Underground space excavating and constructing method
CN105041348A (en) * 2015-07-20 2015-11-11 上海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Underground space subsurface excavation construction method adopting combined ro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561B1 (en) * 2018-01-17 2020-02-27 정인혁 Non-open tunnel construction method by a few quantity of steel pipe and deck steel plate
CN110593881A (en) * 2019-09-17 2019-12-20 中铁第六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Method for realizing large-section underground space excavation by using small-section combined jacking pipe
CN111322092B (en) * 2020-03-12 2020-11-24 精御(北京)矿业有限公司 Geological exploration mine hole construction method
CN117948163A (en) * 2024-03-26 2024-04-30 洛阳展尚建筑工程有限公司 Supporting frame for preventing tunnel from collaps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158B1 (en) * 2004-03-17 2006-03-23 원하종합건설 주식회사 Steel pipe roof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 roof structure therefor, and structure of steel pipe therefor
KR200440589Y1 (en) 2007-02-21 2008-06-20 (주)현이엔지 Support for lining member of mine
KR101161332B1 (en) * 2012-03-09 2012-07-03 김동수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tunnel
KR101255517B1 (en) 2010-07-14 2013-04-23 (주)고려씨엔씨 The tunel execution method and the using fabric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158B1 (en) * 2004-03-17 2006-03-23 원하종합건설 주식회사 Steel pipe roof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underground structure, roof structure therefor, and structure of steel pipe therefor
KR200440589Y1 (en) 2007-02-21 2008-06-20 (주)현이엔지 Support for lining member of mine
KR101255517B1 (en) 2010-07-14 2013-04-23 (주)고려씨엔씨 The tunel execution method and the using fabric
KR101161332B1 (en) * 2012-03-09 2012-07-03 김동수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tunn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3705A (en) * 2015-07-20 2015-10-07 上海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Underground space excavating and constructing method
CN105041348A (en) * 2015-07-20 2015-11-11 上海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Underground space subsurface excavation construction method adopting combined roof
CN104963705B (en) * 2015-07-20 2017-10-27 上海市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A kind of underground space tunneling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132A (en)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517B1 (en)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tunnel and, structure for the slab construction
KR102208793B1 (en) Under ground structure using column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19863B1 (en) Pc panel needless of concrete forms using construction method of cast-in-place step retaining wall for slope reinforcement
KR101161332B1 (en)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tunnel
CN110106892B (en) Construction method for large-span breaking of underground diaphragm wall
JP4013182B2 (en) Self-supporting mountain retaining wall method and self-supporting mountain retaining wall
KR100712593B1 (en) Construction method of pipe roof structures
JP4881555B2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KR101206860B1 (en) Excavation tunnel constructing method using vertical side wall and arch ceiling
KR102196532B1 (en) Under 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mposite steel pile underground column wall and top-down under ground structure therewith
KR20190022132A (en) Top-down method using precast-concrete colum
KR101401057B1 (en) Method to build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the pillars and the stigma and steel beam and slab structures are formed
JP4317322B2 (en) Arch support structure
KR101414155B1 (en) Self-supported shoring structure using shelf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relieving platform
KR101292717B1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es using the enclosure trac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enclosure
KR101011969B1 (en) Precast box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sliding apparatus
JP3896351B2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pass
KR20110027199A (en) Lathe type breast wall structure for using pc wall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12574B1 (en) Retaining wall system using strut assembly and excav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249660B1 (en) Earth pressure supporting method of walls trench applying construction of none- excavation underground structure
KR100813910B1 (en) Pipe roof structure
JP2007126936A (en) Semisubterranean roa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60023915A (en)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labs and walls using erection piles without preliminary wall-attached supports
KR102202598B1 (en) Double wall structure for top-down construction and top-dow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102106573B1 (en) The tunnel structure using corrugated multi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