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358B1 -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358B1
KR101396358B1 KR1020080021155A KR20080021155A KR101396358B1 KR 101396358 B1 KR101396358 B1 KR 101396358B1 KR 1020080021155 A KR1020080021155 A KR 1020080021155A KR 20080021155 A KR20080021155 A KR 20080021155A KR 101396358 B1 KR101396358 B1 KR 10139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attery
tripod
connector
terminal pla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921A (ko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1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3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별도의 추가적인 부피를 차지 하지 않으면서도 삼각대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주 전지가 소모된 비상시에 보조 전지로 영상 촬영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보조 전지를 수납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영상 촬영 장치 본체의 아래쪽 내부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며,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삼각대 커넥터, (ⅱ) 상기 삼각대 커넥터와 나사 결합하여 체결되어 보조 전지를 상기 삼각대 커넥터 내부에 수납하는 보조 전지 마개, (ⅲ)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양극 또는 음극 중 일 극의 단자와 대응되는 상기 보조 전지의 일 극 단자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1 단자 플레이트, 및 (ⅳ)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타 극 단자와 대응되는 상기 보조 전지의 타 극 단자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2 단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삼각대 연결, 보조 전지 수납, 영상 촬영

Description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Tripod Incorporating Apparatus for Accommodating Auxiliary Battery}
본 발명은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존의 삼각대 연결을 위한 삼각대 커넥터를 개량함으로써 삼각대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보조 전지를 수납하여 주 배터리가 소모된 비상시에 보조 전지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 장치를 사용하면서 주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촬영 모듈을 가진 휴대용 전자 기기, 예를 들면 카메라, 휴대폰, 캠코더, PDA(portable digital assistance) 등은 안정된 촬영을 위하여 삼각대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 들어 휴대용 전자 기기의 다양하고 화려한 기능들로 인하여 전력 소모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 기기에 들어가는 전지들의 용량도 커져야 한다. 그러나 전력 소모량 증가율에 비하여 전지 용량의 증가율이 못 미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미지 촬영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삼각대에 연결하고 외부 전원을 연결하여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시되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999-0029383호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보조 배터리 팩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보조 배터리 팩에 구비된 DC 전원 단자 및 삼각대 결합 홈을 통하여 삼각대로 지지한 상태에서 외부 전원을 연결하여 촬영을 수행한다. 그러나 보조 배터리 팩을 별도로 휴대하고 다녀야 되며, 부피로 인하여 휴대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094284호는 카메라 삼각대 장착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충전 거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충전 거치 장치는 삼각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 수단을 구비하고, 단말기 삽입부와 충전단자를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동영상 촬영시 촬영 시간을 늘리고 삼각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충전 거치 장치를 별도로 휴대하고 다녀야 되며, 충전 거치 장치의 부피가 커서 휴대에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적인 부피를 차지 하지 않으면서도 삼각대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주 전지가 소모된 비상시에 보조 전지로 영상 촬영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보조 전지를 수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영상 촬영 장치 본체의 아래쪽 내부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며,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삼각대 커넥터, (ⅱ) 상기 삼각대 커넥터와 나사 결합하여 체결되어 보조 전지를 상기 삼각대 커넥터 내부에 수납하는 보조 전지 마개, (ⅲ)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양극 또는 음극 중 일 극의 단자와 대응되는 상기 보조 전지의 일 극 단자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1 단자 플레이트, 및 (ⅳ)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타 극 단자와 대응되는 상기 보조 전지의 타 극 단자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2 단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삼각대 커넥터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 본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영상 촬영 장치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삼각대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 본체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의 일 단은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삼각대 커넥터의 상부 홀을 통하여 상기 보조 전지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의 절곡 단이 상기 삼각대 커넥터의 측면 홀을 통하여 상기 보조 전지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도록, 상기 삼각대 커넥터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2 단자의 일 단은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양극 단자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보조 전지와 상기 보조 전지 마개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보조 전지와 상기 보조 전지 마개를 상기 삼각대 커넥터에 끼워 넣었을 때,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의 절곡 단이 상기 보조 전지 마개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 및 상기 보조 전지 마개는 도전성이며, 상기 삼각대 커넥터는 비도전성이다.
상기 보조 전지 마개의 일 면에는 일 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일 자 홈을 통하여 상기 보조 전지 마개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삼각대 커넥터에 체결되고,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삼각대 커넥터와의 체결이 해제된다.
상기 삼각대 커넥터 내부의 나사산은 삼각대의 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단이 상기 삼각대 커넥터 내부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며, 타 단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삼각대 어댑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삼각대 어댑터의 타 단 내부의 나사산은 삼각대의 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삼각대 어댑터의 측면에는 걸쇠가 장착되며,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커넥터는 상기 걸쇠에 지지되어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 장치를 구동하는 회로 기판, 주 전지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 전원 공급부,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공급부, 및 보조 전지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 공급부는 전기적으로 서로 병렬 연결된다.
삼각대와의 연결 겸 보조 전지 수납을 위한 개량된 삼각대 커넥터를 영상 촬영 장치 내에 함께 설치해 놓음으로써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보조 전지만 수납할 수도 있으며, 삼각대를 영상 촬영 장치와 연결한 상태에서 보조 전지를 수납하거나 외부 전원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주 전지가 소모된 경우에도 보조 전지로 영상 촬영 장치를 오랜 시간 구동할 수 있으며, 외부 전원 커넥터를 연결하여 주 전지를 충전하거나 영상 촬영 장치를 오랜 시간 구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에 의해 영상 촬영 장치가 삼각대에 연결되고 외부 전원 커넥터가 영상 촬영 장치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는 영상 촬영 장치 본체(1)의 아래쪽 내부의 수용부에 위치된다.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를 통하여 삼각대(60)가 영상 촬영 장치의 본체(1)에 결합, 지지된다. 즉, 영상 촬영 장치를 직접 삼각대(60)에 지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영상 촬영 장치 본체(1)의 아래쪽 측부에 구비된 외부 전원 연결구에는 외부 전원이 직접 입력되는 외부 전원 커넥터(8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않고도 삼각대(60)에 지지된 상태에서 외부 전원 커넥터(80)를 영상 촬영 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전력 소모가 큰 동영상 촬영 등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는 영상 촬영 장치 본체(1)의 아래쪽 내부에 배치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는 영상 촬영 장치의 본체(1)와 나사 결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Ⅲ-Ⅲ 라인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Ⅳ-Ⅳ 라인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는 삼각대 커넥터(10), 보조 전지 마개(50), 제1 단자 플레이트(20), 및 제2 단자 플레이트(30)를 구비한다.
삼각대 커넥터(10)는 영상 촬영 장치 본체(1)의 아래쪽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삼각대 커넥터(10)는 본체(1)의 수용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삼 각대 커넥터(10)는 본체(1)의 수용부에 삽입된 후, 영상 촬영 장치의 본체(1)와 나사 결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삼각대 커넥터(10)의 상부는 상부 홀(1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삼각대 커넥터(10)의 하부는 보조 전지(40), 보조 전지 마개(50), 및 삼각대(60) 상부의 수나사(60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완전히 개방되어 있다. 삼각대 커넥터(10)는 내부에 나사산(10a)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삼각대 커넥터(10)의 나사산(10a)의 직경은 보조 전지(4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삼각대(60) 상부에 구비된 수나사(60a)의 나사산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조 전지(40)를 삼각대 커넥터(10)의 내부에 삽입한 후, 보조 전지 마개(50)를 삼각대 커넥터(10)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보조 전지 마개(50)는 삼각대 커넥터(10)와 나사 결합하도록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전지의 마개를 삼각대 커넥터(10)에 용이하게 나사 결합하도록 보조 전지 마개(50)의 하부면에는 홈, 예를 들면 일 자 홈(50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 전지(40)를 삽입한 후, 보조 전지 마개(50)를 삽입하고 일 자 홈(50a)을 통해 보조 전지 마개(50)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삼각대 커넥터(10) 내부의 나사산(10a)과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보조 전지 마개(50)가 삼각대 커넥터(10)에 결합된다. 그럼으로써 보조 전지(40)도 삼각대 커넥터(1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제1 단자 플레이트(20)는 영상 촬영 장치의 본체(1)에 억지 끼움 등의 방법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1 단자 플레이트(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V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1 단자 플레이트(20)의 일 단은 영상 촬영 장치의 음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 단의 절곡부는 보조 전지(40)의 음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제1 단자 플레이트(20)의 절곡부는 삼각대 커넥터(10)의 상부 홀(10b)을 통하여 삼각대 커넥터(10) 내부로 삽입되어 보조 전지(40)의 음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단자 플레이트(30)는 삼각대 커넥터(10)의 측부에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 플레이트(30)는 양 단에 형성된 구멍들을 삼각대 커넥터(10)의 외측부에 형성된 돌기에 각각 끼움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제2 단자 플레이트(30)는 V형 단면을 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대 커넥터(10)의 내부를 향하는 제2 단자 플레이트(30)의 V형 절곡 단은 삼각대 커넥터(10)의 측부에 형성된 측면 홀(10c)을 통하여 보조 전지 마개(50)를 통해 보조 전지(40)의 양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보조 전지 마개(50)는 도전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하여 제2 단자 플레이트(30)는, 상기 보조 전지(40)와 보조 전지 마개(50)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보조 전지(40)와 보조 전지 마개(50)를 삼각대 커넥터(10)에 끼워 넣었을 때, 제2 단자 플레이트(30)의 절곡 단이 상기 보조 전지 마개(50)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제2 단자 플레이트(30)의 V형 절곡 단은 보조 전지(40)의 양극 단자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조 전지 마개(50)는 도전성을 가지지 않아도 무방하다. 삼각대 커넥터(10)의 외부에 돌출된 제2 단자 플레이트(30)의 어느 하나의 단부는 영상 촬영 장치의 양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에 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보조 전지(40)와 보조 전지 마개(50)를 순서대로 삽입한 후, 보조 전지 마개(50)를 회전시켜 나사 결합하면 보조 전지(40)가 수납되도록 보조 전지 마개(50)가 고정된다. 여기서, 보조 전지(40)는 일반적으로 일반인들이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전지일 수 있다. 따라서 주 전지가 떨어져서 촬영이 불가능한 경우, 본 발명의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에 보조 전지(40)를 끼워 넣기만 함으로써 촬영을 계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전지(40)가 수납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삼각대(60)를 영상 촬영 장치에 연결함으로써 영상 촬영 장치를 삼각대(60)에 지지한 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삼각대 어댑터(70)를 더 구비한다. 삼각대 어댑터(70)의 상부는 삼각대 커넥터(10)에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삼각대 어댑터(70)의 상부 일 단에는 삼각대 커넥터(10)의 나사산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수나사가 구비된다. 삼각대 어댑터(70)의 하부는 삼각대(60)와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삼각대 어댑터(70)의 하부 일 단에는 삼각대(60)의 수나사(60a)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암나사가 구비된다. 이 실시예는 보조 전지(40)를 수용하는 삼각대 커넥터(10)의 암나사의 직경이 삼각대(60) 상부의 수나사(60a)의 직경과 상이할 경우에 유용하다. 한편, 이전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삼각대 커넥터(10)에는 미리 보조 전지(40)와 보조 전지 마개(5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삼각대 어댑터(70)의 측부에 걸쇠를 통하여 외부 전원 커넥터(80)가 영상 촬영 장치의 외부 전원 연결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와 영상 촬영 장치 사이의 개략적인 회로도로서, 보조 전지 수납 장치 및 삼각대 연결 장치에 보조 전지(40)가 수납되고, 외부 전원 커넥터(80)가 영상 촬영 장치에 연결되는 경우까지 고려한 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 촬영 장치를 구동하는 주 회로 기판(main PCB), 주 전지(VMAIN)에 의해 주 회로 기판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 전원 공급부,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공급부, 및 보조 전지(VAUX)에 의해 주 회로 기판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 공급부는 전기적으로 서로 병렬 연결된다. 이와 같이, 서로 병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주 전지가 모두 소모되더라도 보조 전지(40)를 보조 전지 수납 장치에 끼움으로써 영상 촬영 장치의 주 회로 기판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영상 촬영 장치가 작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 전지나 보조 전지(40)가 없더라도 외부 전원 커넥터(80)를 영상 촬영 장치에 연결함으로써 영상 촬영 장치의 주 회로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여 영상 촬영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8a 내지 8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조 전지 수납 장치 겸 삼각대 연결 장치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8a와 같이 회로를 제어하면 보조 전원 공급부에 의해 영상 촬영 장치가 구동되고, 주 전지는 외부 전원 공급부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도 8b와 같이 회로를 제어하면 외부 전원 공급부는 영상 촬영 장치를 구동함 과 동시에 주 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8c와 같이 회로를 제어하면 외부 전원 공급부에 의해 영상 촬영 장치가 구동될 수 있다.
도 8d와 같이 회로를 제어하면 보조 전원 공급부에 의해 영상 촬영 장치가 구동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를 다양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영상 촬영 장치의 회로부는 제1 스위치(SW1) 내지 제4 스위치(SW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들은 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 소자 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영상 촬영 장치의 회로부는 제3 스위치(SW3) 또는 제4 스위치(SW4)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회로도의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는 보조 전지(40)나 외부 전원 커넥터(80)가 제거되면 제3 스위치(SW3) 또는 제4 스위치(SW4)가 열리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 촬영 모듈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에 의해 영상 촬영 장치가 삼각대에 연결되고 외부 전원 커넥터가 영상 촬영 장치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Ⅲ-Ⅲ 라인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Ⅳ-Ⅳ 라인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에 보조 전지가 수납되고 삼각대가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에 의해 영상 촬영 장치가 삼각대에 연결되고 외부 전원 커넥터가 영상 촬영 장치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와 영상 촬영 장치 사이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8a는 보조 전원 공급부에 의해 영상 촬영 장치가 구동되고, 주 전지는 외부 전원 공급부에 의해 충전될 때의 회로도이다.
도 8b는 외부 전원 공급부에 의해 영상 촬영 장치가 구동되면서 주 전지가 충전될 때의 회로도이다.
도 8c는 외부 전원 공급부에 의해 영상 촬영 장치가 구동될 때의 회로도이 다.
도 8d는 보조 전원 공급부에 의해 영상 촬영 장치가 구동될 때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영상 촬영 장치 본체 10: 삼각대 커넥터
20: 제1 단자 플레이트 30: 제2 단자 플레이트
40: 보조 전지 50: 보조 전지 마개
60: 삼각대 60a: 삼각대 연결용 수나사
70: 삼각대 어댑터 71: 걸쇠
80: 외부 전원 커넥터

Claims (12)

  1. 영상 촬영 장치 본체의 아래쪽 내부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며,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삼각대 커넥터;
    상기 삼각대 커넥터와 나사 결합하여 체결되어 보조 전지를 상기 삼각대 커넥터 내부에 수납하는 보조 전지 마개;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양극 또는 음극 중 일 극의 단자와 대응되는 상기 보조 전지의 일 극 단자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1 단자 플레이트; 및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타 극 단자와 대응되는 상기 보조 전지의 타 극 단자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2 단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 커넥터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영상 촬영 장치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삼각대 커넥터에 결합되는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 본체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의 일 단은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삼각대 커넥터의 상부 홀을 통하여 상기 보조 전지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의 절곡 단이 상기 삼각대 커넥터의 측면 홀을 통하여 상기 보조 전지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도록, 상기 삼각대 커넥터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2 단자의 일 단은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양극 단자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보조 전지와 상기 보조 전지 마개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보조 전지와 상기 보조 전지 마개를 상기 삼각대 커넥터에 끼워 넣었을 때,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의 절곡 단이 상기 보조 전지 마개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 및 상기 보조 전지 마개는 도전성이며, 상기 삼각대 커넥터는 비도전성인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지 마개의 일 면에는 일 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일 자 홈을 통하여 상기 보조 전지 마개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삼각대 커넥터에 체결되고,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삼각대 커넥터와의 체결이 해제되는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 커넥터 내부의 나사산은 삼각대의 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일 단이 상기 삼각대 커넥터 내부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며, 타 단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삼각대 어댑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삼각대 어댑터의 타 단 내부의 나사산은 삼각대의 수 나사산과 나사 결 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 어댑터의 측면에는 걸쇠가 장착되며,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커넥터는 상기 걸쇠에 지지되어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를 구동하는 회로 기판, 주 전지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주 전원 공급부,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공급부, 및 보조 전지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 공급부는 전기적으로 서로 병렬 연결된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KR1020080021155A 2008-03-06 2008-03-06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KR101396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155A KR101396358B1 (ko) 2008-03-06 2008-03-06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155A KR101396358B1 (ko) 2008-03-06 2008-03-06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921A KR20090095921A (ko) 2009-09-10
KR101396358B1 true KR101396358B1 (ko) 2014-05-16

Family

ID=4129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155A KR101396358B1 (ko) 2008-03-06 2008-03-06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3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0415A (ko) * 2007-06-15 2008-12-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삼각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0415A (ko) * 2007-06-15 2008-12-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삼각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921A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703B2 (en) Multipurpose adaptor with a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US9054541B2 (en) Portable power source apparatus capable of holding circular cylindrical batteries
CA2561810A1 (en) Apparatus for powering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TW200840171A (en) Power supply system, power supply plate and electronic equipment
EP2061117B1 (en) Power supply apparatus using fuel cell
US20080048612A1 (en) Wireless battery charger
CN1278661A (zh) 电池组件
CN209414978U (zh) 一种连接装置及手持云台设备
JPH08149718A (ja) 電源供給装置
JP2006504240A (ja) 外装型電池パック
JP3238671B2 (ja) 電気機器の接続構造
JP4462308B2 (ja) 縦位置グリップ装置
KR100572178B1 (ko) 전지를 내장한 휴대전기기기
KR101907795B1 (ko) 충전기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396358B1 (ko) 보조 전지 수납 겸 삼각대 연결 장치
US6737190B2 (en) Electronic apparatus
US20080095525A1 (en) Adjustable auxiliary camera power pack
KR200307585Y1 (ko) 휴대용 충전기
JPH1092404A (ja) 電池ケース
KR20080003040U (ko) 다기능 리튬 이온 충전기
US816421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3134484U (ja) 多用途充電ソケットを備えた充電器
KR200290674Y1 (ko) 핸드폰용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한 휴대용 모니터
KR200302762Y1 (ko) 외장형 전지팩
JP3099614U (ja) 携行用機器の共用補助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