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915B1 -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915B1
KR101395915B1 KR1020120068740A KR20120068740A KR101395915B1 KR 101395915 B1 KR101395915 B1 KR 101395915B1 KR 1020120068740 A KR1020120068740 A KR 1020120068740A KR 20120068740 A KR20120068740 A KR 20120068740A KR 101395915 B1 KR101395915 B1 KR 101395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one
collecting
polish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845A (ko
Inventor
강현녀
Original Assignee
박정현
강현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현, 강현녀 filed Critical 박정현
Priority to KR102012006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9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0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5Sawing grooves in walls; sawing stones from rocks; sawing machines movable on the stones to b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03Multipurpose machine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수대용 석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집수홈의 가공 - 집수홈의 연마 - 석재판 외관의 연마가 자동화로 이루어져 동일한 형상과 구조의 음수대용 석재판을 대량 생산할 수 있고, 단위 시간 당 생산수량을 증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수대용 석재 가공장치는, 배수를 위하여 상하로 관통하는 코어(1a)가 구비된 석재판(1)이 거치되는 석재 거치부(20)와; 상기 석재 거치부에 거치된 석재판의 상면을 절삭하여 상기 석재판의 상면에 상부를 향해 개방된 오목한 집수홈(2b)을 가공하는 집수홈 가공부(30)와; 상기 집수홈 가공부를 통해 가공된 상기 석재판의 집수홈의 표면을 평탄하게 연마하는 집수홈 연마부(40)와; 상기 석재판의 둘레부를 연마하는 측면 연마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수대용 석재 가공 방법은, 코어(1a)가 구비된 석재판(1)을 거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거치된 석재판 상면에 상부를 향해 오목한 집수홈을 가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집수홈의 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집수홈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석재판의 측면을 연마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 및 방법{METHOD AND PROCESS MACHINE STON FOR DRINKING FOUNTAIN}
본 발명은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수홈의 가공 - 집수홈의 연마 - 석재판 외관의 연마가 자동화로 이루어져 동일한 형상과 구조의 음수대용 석재판을 대량 생산할 수 있고, 단위 시간 당 생산수량을 증가할 수 있는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석재 음수대는 통상 공원이나 유원지 등에 설치되어 공원이나 유원지를 찾은 사람들이 손쉽게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위락시설중 하나이다.
석재 음수대는 간단한 청소를 통해 청결을 유지할 수 있고 자연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조형미와 고급스러움을 표현하는 이점을 통해 최근 들어 사용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석공이 소형의 공구를 이용한 수작업으로 음수대용 석재판을 가공하기 때문에 단위 시간 당 생산 수량이 매우 적고 그에 따라 공급가액이 매우 고가이므로 석재판의 보급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078378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수홈의 가공 - 집수홈의 연마 - 석재판의 외관 연마 등의 일련의 공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져 양질의 음수대용 석재판을 생산할 수 있는 음수대용 석재 가공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수대용 석재 가공장치는, 배수를 위하여 상하로 관통하는 코어가 구비된 석재판이 거치되는 석재 거치부와; 상기 석재 거치부에 거치된 석재판의 상면을 절삭하여 상기 석재판의 상면에 상부를 향해 개방된 오목한 집수홈을 가공하는 집수홈 가공부와; 상기 집수홈 가공부를 통해 가공된 상기 석재판의 집수홈의 표면을 평탄하게 연마하는 집수홈 연마부와; 상기 석재판의 둘레부를 연마하는 측면 연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수대용 석재 가공 방법은, 코어가 구비된 석재판을 거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거치된 석재판 상면에 상부를 향해 오목한 집수홈을 가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집수홈의 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집수홈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석재판의 측면을 연마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수대용 석재 가공장치에 의하면, 집수홈의 가공 - 집수홈의 연마 - 석재판 외관의 연마가 자동화로 이루어져 동일한 형상과 구조의 음수대용 석재판을 대량 생산할 수 있고, 단위 시간 당 생산수량을 증가함으로써 음수대용 석재판의 공급가액을 낮출 수 있으므로 음수대용 석재판의 보급을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와 방법에 따른 석재판의 가공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에 적용된 석재 거치부의 확대도.
도 5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에 적용된 집수홈 가공부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에 적용된 집수홈 연마부의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에 적용된 측면 연마부의 사시도와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에 의한 집수홈의 가공 공정도.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수대용 석재 가공장치는,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0), 프레임(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석재 거치부(20), 석재 거치부(20)에 거치된 석재판(1)의 상면에 음수대의 물을 집배수하기 위한 홈을 가공하는 집수홈 가공부(30), 집수홈 가공부(30)에 의해 석재판(1)의 표면을 평탄하게 그라인딩하는 집수홈 연마부(40), 석재판(1)의 둘레부를 매끄럽게 가공하는 측면 연마부(50)로 구성된다.
프레임(10)은 전술한 석재 거치부(20) 등의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판의 형태 육면체의 틀의 형태 등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중앙에 코어(1a)(음수대에서 버려진 물을 배수하기 위한 구멍)를 갖는 석재판(1)을 음수대용 석재판(2)으로 가공하는 것이며, 음수대용 석재판(2)은 중앙에 코어(2a)가 있고, 상면에 집배수를 위한 오목한 형태의 집수홈(2b)이 형성된다. 이때, 상면(바닥면)은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코어(2b)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가공된다.
도 1은 석재판(1)을 음수대용 석재판(2)으로 가공하는 공정을 보인 것으로, 먼저 1차 가공을 통해 집수홈(2b)을 형성하고, 2차 가공을 통해 경사형 바닥면(2c)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석재 거치부(20)는 석재판(1)이 올려지는 석재 거치판(21)으로 구성된다. 석재 거치판(21)은 석재판(1)을 저부에서 지지할 수 있는 스틸 등의 판재이며, 석재판(1)의 이탈과 미끄러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1개 이상의 고정봉(22)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봉(22)은 석재 거치판(21)의 상면에 돌출된 형태이며, 석재판(1)의 저부에는 고정봉(22)이 끼워지는 고정홈(1b)이 형성된다. 고정봉(22)은 2단 구조로서 고정홈(1b)에 끼워지는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며 석재판(1)의 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석재판(1)의 가공시 석재판(1)의 흔들림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재판(1)의 코어(1a)를 고정하는 고정척(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척(23)은 코어(1a)의 내부에 삽입되는 거치봉(24)의 둘레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예를 들어, 거치봉(24)의 내부이면서 고정척(23)의 하부에는 상면에 나선형의 홈(25a)(동심원을 그리는 홈일 수도 있음)이 형성된 회전판(25)이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도 4에서처럼, 고정척(23)의 저부에는 동심원을 그리는 다수의 홈(23a)이 형성되어 회전판(25)에 끼움 결합되고, 회전판(25)의 회전시 고정척(23)이 거치봉(24)의 밖으로 돌출되거나 거치봉(24)의 안으로 삽입된다. 또한, 고정척(23)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거치봉(24)에는 가이드돌기(24a)(고정척(23)의 좌우 양측에 대응되는 한 쌍)가 형성되고, 고정척(23)의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돌기(2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레일(23b)(예컨대 홈의 형태)이 형성된다.
석재 거치판(21)은 회전수단을 통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석재판(1)의 회전은 집수홈 가공부(30)와 집수홈 연마부(40) 및 측면 연마부(50)와 연계하는 것으로, 석재판(1)이 회전함에 따라 집수홈 가공부(30)와 집수홈 연마부(40)를 동일한 레일에 좌우 양측으로 설치할 수 있고, 집수홈 가공부(30)와 집수홈 연마부(40)가 제자리에서 작동하여도 석재판(1)의 회전을 통해 집수홈(2b)을 원형으로 가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모터(26), 거치봉(24)의 둘레부에 베어링 등을 통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7), 회전모터(26)와 회전축(27)을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인 등의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되며, 석재 거치부(20)를 일정 각도만큼 스텝회전시켜 다단계의 절삭 공정을 통해 집수홈을 가공하도록 한다. 동력전달부재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 것이므로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제품이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석재 거치부(20)는 상부에 집수홈 가공부(30) 등이 설치되어 석재판(1)을 거치하고 인출할 때 간섭이 일어날 수 있으며, 석재판(1)의 거치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석재 거치부(20)는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수단(60)은 모터(61), 석재 거치부(20)가 상부에 장착되는 이동판(62), 모터(61)의 동력에 의해 이동판(62)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볼스크류 등 다양한 것이 사용 가능하고, 이동판(62)은 바퀴(63)와 레일(64)을 통해 베이스(65)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퀴(63)는 이동판(62)의 저부에 장착되고, 레일(64)은 베이스(65)의 상면에 장착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 것이므로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제품이 사용 가능하다.
도 2, 3, 5 내지 8에서 보이는 것처럼, 집수홈 가공부(30)는, 석재판(1)의 상면을 절삭하여 집수홈(2b)을 가공하는 절삭휠(31)로 구성된다.
절삭휠(31)은 다수의 다이아몬드 휠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치 구조에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절삭휠(31)은 집수홈(2b)을 다양한 깊이로 가공하고 석재판(1)의 크기에 상관없이 집수홈(2b)의 가공이 가능하도록 즉 모든 크기의 석재판(1)을 음수대용 석재판(2)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승강 및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절삭휠(31)은 제1승강판(32)을 통해 설치된다.
제1승강판(32)은 자체적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제1좌우 이동판(33)을 통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1승강판(32)과 제1좌우 이동판(33)은절삭휠(31)의 승강 및 좌우 이동을 위한 제1캐리어수단인 것이다.
먼저 제1좌우 이동판(33)은 모터(33a), 모터(33a)에 의해 제자리 회전하는 볼스크류(33b), 제1좌우 이동판(33)에 고정되며 볼스크류(33b)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너트 형태일 수 있음)로 구성된다. 제1좌우 이동판(33)의 좌우 이동시 모든 방향에 대해 비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가이드수단(33c)이 적용된다. 가이드수단(33c)은 프레임(10)에 좌우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 제1좌우 이동판(33)에 장착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며, 이들은 LM 가이드 형태일 수 있다.
제1승강판(32)은 제1좌우 이동판(33)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며, 승강을 위한 구성은 제1좌우 이동판(33)의 좌우 이동을 위한 구성과 동일한 방식(모터(32a), 볼스크류(32b), 너트, 가이드수단)일 수 있다. 즉, 모터(32a)의 구동에 의해 볼스크류(32b)가 제자리 회전하고, 이 회전력에 의해 제1승강판(32)이 승강하는 것이다.
절삭휠(31)은 제1승강판(32)의 저부에 결합되는 휠 고정플레이트(31a)와 휠 지지축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절삭휠(31)은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휠 지지축(31b)은 절삭휠(31)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양측에서 절삭휠(31)을 지지하는 제1,2지지축으로 이루어지되, 예를 들어 제1지지축(31b)은 고정이며, 제2지지축(31c)은 절삭휠(31)에 대해 직선 왕복 이동[절삭휠(31)을 록킹하는 방향 및 록킹 해제 방향]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지지축(31c)은 휠 고정플레이트(31a)에 가이드수단(예컨대 LM 가이드)(31d)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절삭휠(31)은 제1지지축(31b)을 통해 제1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석재판(1)을 절삭한다. 상기 제1구동수단은 제1승강판(32)에 탑재되는 모터(34), 모터(34)와 제1지지축(31b)의 풀리에 연결되어 모터(34)의 동력을 제1지지축(31b)에 전달하는 벨트(34a)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3, 5, 6 및 9에서 보이는 것처럼, 집수홈 연마부(40)는 석재판(1)의 집수홈(2b)의 표면을 평탄하게 그라인딩하는 그라인더(41)로 구성한다.
그라인더(41)는 공지의 모든 제품이 사용 가능하며 제2구동수단[모터(44), 벨트(44a)]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집수홈(2b)의 표면을 그라인딩한다.
집수홈 연마부(40)의 그라인더(41)는 집수배홈(2b)의 깊이와 면적에 맞춰 그라인딩이 가능하도록 승강 및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예를 들어 제2승강판(42)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좌우 이동판(43)을 통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제2승강판(42)과 제2좌우 이동판(43)은 그라인더(41)의 승강 및 좌우 이동을 위한 제2캐리어수단인 것이다.
제2좌우 이동판(43)은 집수홈 가공부(30)의 제1좌우 이동판(33)과 동일한 방식[모터(43a), 볼스크류(43b), 가이드수단(43c)]을 통해 좌우로 이동하며, 제2승강판(42)은 제1승강판(32)과 동일한 방식(모터, 볼스크류, 슬라이더)으로 승강한다.
제2승강판(42)과 제2좌우 이동판(43)의 원활한 동작을 위하여 레일이 적용된다.
도 2, 3, 10, 11에서처럼, 측면 연마부(50)는, 석재판(1)의 측면(모서리 포함)을 그라인딩하는 그라인더(51)가 구비된다.
그라인더(51)는 제3구동수단[모터(52), 벨트(52a)]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석재판(1)의 측면을 그라인딩한다.
그라인더(51)는 석재판(1)의 크기에 맞춰 그라인딩이 가능하도록 제3캐리어수단인 제3승강판(53)과 제3좌우 이동판(54)을 통해 승강 및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측면 연마부(50)의 상기 제3캐리어는 전술한 제1,2승강판(32,42)과 동일한 방식(모터, 볼스크류, 가이드수단 등)으로 승강 및 좌우로 이동하며, 이에 대한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3승강판(53)이 모터(53a)의 동력에 의해 전동식으로 승강하고 제3좌우 이동판(54)이 핸들(54a)의 조작에 의해 좌우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음수대용 석재판 가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S10) 석재판 거치.
석재판(1)을 석재 거치판(21) 위에 거치 및 고정한다. 석재판(1)의 저부에 있는 홈(1b)에 맞춰 고정돌기(22)를 끼워 석재판(1)을 고정하고, 이어서, 고정척(23)을 코어(1a)의 벽면쪽으로 이동시켜 석재판(1)을 고정한다.
즉, 석재판(1)은 고정돌기(22)와 고정척(23)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석재판(1)의 가공시 흔들림이 없고 따라서 양질의 음수대용 석재판(2)을 가공할 수 있다.
(S20) 집수홈 가공.
집수홈(2b)은 집수홈 가공부(30)를 통해 가공되며, 절삭휠(31)은 제1승강판(32)을 통해 석재판(1)의 상면으로 하강하며, 제1승강판(32)의 하강과 좌우 이동을 통해 집수홈(2b)을 가공한다. 집수홈(2b)의 가공 공정은 예를 들어, 절삭휠(31)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일정 깊이로 절삭 - 절삭휠(2b)을 하강시킨 후 좌우로 이동시켜 더 깊은 깊이로 절삭할 수 있고, 다르게는 절삭휠(2b)을 하강시키면서 좌우로 이동시켜 일정 깊이의 집수홈(2b)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집수홈 가공 - 집수홈 그라인딩 - 측면 그라인딩의 순서로 진행되며, 집수홈 가공과 집수홈 그라인딩은 석재판(1)을 단계적으로 회전시키면서 단계별로 이루어진다. 즉 예를 들어, 집수홈이 원형인 경우 절삭휠(31) 등의 크기에 맞춰 석재판(1)을 예를 들어 10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10회의 공정을 통해 원형의 집수홈(2b)을 가공하고, 집수홈(2b)의 가공을 완료한 후 다수회의 공정을 거쳐 집수홈(2b)을 그라인딩한다.
집수홈(2b)의 가공은 사용자의 셋팅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한 센서 등이 갖추어질 것이다.
도 12는 집수홈(2b)의 가공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집수홈(2b)이 없는 석재판(1)에 일정 구간의 1차 홈(2b-1)을 1차 가공하고, 1차 가공이 완료된 후 석재판(1)을 일정 스텝만큼 회전시켜 집수홈(2b)의 가공을 준비하며, 이어서, 1차 홈(2b-1)과 연계하도록 2차 홈(2b-2)을 가공한다. 이와 같은 동작[석재판(1)의 스텝 회전 - 절삭]을 반복하면서 단일 형태의 집수홈(2b)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집수홈(2b)은 코어(1a)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가공하기 위하여 2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는 석재판(1)을 시소수단을 통해 시소형태로 동작하여 코어(1a)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가공하는 방법이며, 다른 하나는 절삭휠(31)을 점진적으로 하강시켜 코어(1a)를 향해 경사지게 가공하는 방법이다. 상기 시소수단은 예를 들어, 석재 거치판(21) 또는 이동판(62)의 일측을 힌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힌지의 반대쪽에 장착되어 석재 거치판(21) 또는 이동판(6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실린더(유압, 공압 등)로 구성될 수 있다.
(S30) 집수홈 그라인딩.
집수홈(2b)의 가공이 완료되면 집배수 가공부(30)의 동작을 종료하고, 평탄성 가공부(40)를 통해 집수홈(2b)의 표면을 평탄하게 그라인딩한다.
예를 들어, 그라인더(41)를 집수홈(2b)의 바닥면에 셋팅 및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석재판(1)을 회전하는 방법을 통해 집수홈(2b)의 표면을 그라인딩한다. 또는 집수홈(2b)의 가공시와 마찬가지로 석재판(1)을 스텝 회전시키면서 그라인딩할 수도 있다.
(S40) 측면 그라인딩.
집수홈 그라인딩이 완료되면 집수홈 연마부(40)를 초기 위치(측면 그라인딩 등의 작업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위치)로 셋팅하고, 그라인더(51)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석재판(1)의 측면에 셋팅하며, 제3구동수단을 통해 그라인더(51)를 구동[또는 그라인더(51) 구동과 석재판(1) 회전]하여 석재판(1)의 측면을 그라인딩한다.
이상의 공정을 통해 음수대용 석재판(2)의 가공을 완료하며, 가공된 음수대용 석재판(2)을 석재 거치부(20)에서 인출한다.
1 : 석재판, 2 : 음수대용 석재판
2a : 코어, 2b : 집수홈
10 : 프레임, 20 : 석재 거치부
21 : 석재 거치판, 22 : 고정돌기
23 : 고정척, 24 : 거치봉
25 : 회전판, 30 : 집수홈 가공부
31 : 절삭휠, 32 : 제1승강판
33 : 제1좌우 이동판, 40 : 집수홈 연마부
41 : 그라인더, 42 : 제2승강판
43 : 제2좌우 이동판, 50 : 측면 연마부
60 : 회전수단,

Claims (12)

  1.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코어(1a)가 구비되면서 상기 코어의 둘레부에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한편 바닥면이 상기 코어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집수홈(1b)이 구비된 음수대용 석재를 가공하는 음수대용 석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수를 위하여 상하로 관통하는 코어(1a)가 구비된 석재판(1)이 거치되는 석재 거치부(20)와;
    상기 석재 거치부에 거치된 석재판의 상면을 절삭하여 상기 석재판의 상면에 상부를 향해 개방된 오목한 집수홈(2b)을 가공하는 집수홈 가공부(30)와;
    상기 집수홈 가공부를 통해 가공된 상기 석재판의 집수홈의 표면을 평탄하게 연마하는 집수홈 연마부(40)와;
    상기 석재판의 둘레부를 연마하는 측면 연마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홈 가공부는, 제1구동수단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석재판의 상면을 절삭함으로써 집수홈을 가공하는 절삭휠(31), 상기 절삭휠을 승강 및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캐리어수단과;
    상기 석재판의 코어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석재 거치부를 시소형태로 구동하여 상기 집수홈이 상기 석재판의 코어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가동하도록 하는 시소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석재 거치부는, 상기 석재가 올려지는 석재 거치판(21), 상기 석재 거치판의 저부에 형성되는 고정홈(1b)에 끼워지는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며 석재판(1)의 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된 고정봉(22) 상기 석재 거치판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석재판의 코어 내부에 삽입되는 거치봉(24), 상기 거치봉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출몰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석재판의 코어의 내주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석재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척(23), 상기 석재판을 제자리에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상기 집수홈 가공부와 집수홈 연마부가 동일선상으로 배열되어 설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다단계의 절삭공정을 통해 집수홈을 가공하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대용 석재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수단은, 상기 석재 거치부 위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좌우 이동판(33), 상기 제1좌우 이동판(33)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절삭휠이 결합되는 제1승강판(32)으로 이루어져, 상기 절삭휠은 상기 제1승강판과 제1좌우 이동판을 통해 승강 및 좌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대용 석재 가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수홈 연마부는 제2구동수단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상기 집수홈의 표면을 그라인딩하는 그라인더(41), 상기 그라인더(41)를 승강 및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2캐리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대용 석재 가공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캐리어수단은, 상기 석재 거치부 위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좌우 이동판(43), 상기 제2좌우 이동판(43)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그라인더(41)가 결합되는 제2승강판(42)으로 이루어져, 상기 그라인더(41)는 상기 제2승강판과 제2좌우 이동판을 통해 승강 및 좌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대용 석재 가공장치.
  8. 삭제
  9. 삭제
  10. 코어(1a)가 구비된 석재판(1)을 거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거치된 석재판 상면에 상부를 향해 오목한 집수홈을 가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집수홈의 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집수홈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석재판의 측면을 연마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석재판을 일정 각도만큼 스텝 회전시켜 다단계의 절삭 공정을 통해 집수홈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대용 석재 가공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석재판을 좌우로 시소 동작하여 상기 집수홈이 상기 석재판의 코어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수대용 석재 가공 방법.
KR1020120068740A 2012-06-26 2012-06-26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 및 방법 KR101395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740A KR101395915B1 (ko) 2012-06-26 2012-06-26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740A KR101395915B1 (ko) 2012-06-26 2012-06-26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845A KR20140002845A (ko) 2014-01-09
KR101395915B1 true KR101395915B1 (ko) 2014-05-15

Family

ID=5013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740A KR101395915B1 (ko) 2012-06-26 2012-06-26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200A1 (en) 2015-05-12 2016-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and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thereof
CN105799070B (zh) * 2016-05-05 2017-07-28 王本霞 一种石材锣边机
CN109049348B (zh) * 2018-08-10 2020-04-17 方鼎科技有限公司 一种钢化玻璃加工系统及其钢化玻璃加工方法
CN110815589A (zh) * 2019-11-28 2020-02-21 刘洋 一种玻璃自动打孔磨边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539A (en) * 1985-06-04 1987-04-28 Battaglia Gino C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nd polishing marble slabs
JPH0783896B2 (ja) * 1989-12-22 1995-09-13 清春 藤井 ターンテーブル装置
KR100466793B1 (ko) * 2001-09-18 2005-01-24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석재가공장치
KR101013756B1 (ko) * 2009-03-16 2011-02-16 이익규 석재절삭용 이송 대차
JP7083896B2 (ja) * 2018-06-05 2022-06-13 株式会社Fuji テープフィー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83B1 (ko) 2007-04-18 2007-12-07 강현녀 야외용 석재 음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539A (en) * 1985-06-04 1987-04-28 Battaglia Gino C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nd polishing marble slabs
JPH0783896B2 (ja) * 1989-12-22 1995-09-13 清春 藤井 ターンテーブル装置
KR100466793B1 (ko) * 2001-09-18 2005-01-24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석재가공장치
KR101013756B1 (ko) * 2009-03-16 2011-02-16 이익규 석재절삭용 이송 대차
JP7083896B2 (ja) * 2018-06-05 2022-06-13 株式会社Fuji テープフィ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845A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78417B (zh) 板材双头自动抛光机
KR101395915B1 (ko) 음수대용 석재 가공 장치 및 방법
KR200406859Y1 (ko) 석재용 자동 연마기
CN103144013A (zh) 用于石材表面抛光的振动抛光设备
CN110653703A (zh) 一种建筑专用打磨设备
CN201516573U (zh) 平面砂带机打磨装置
CN109015180B (zh) 建筑钢筋材料两端的自动抛光倒角设备
CN210281769U (zh) 一种用于矿山石材打磨效率高的打磨加工设备
CN202479946U (zh) 一种玻璃饰品机自动上料装置
CN206066152U (zh) 一种螺杆抛光机旋转磨削单元
CN203141287U (zh) 一种用于石材表面抛光的振动抛光设备
CN113770914B (zh) 一种打磨设备用自动锁紧定位机构及其定位方法
CN200984705Y (zh) 一种自动研磨抛光装置
KR200418263Y1 (ko) 석재용 다축 연마기
CN211589581U (zh) 一种稀有金属打磨机
CN209021801U (zh) 一种固定效果好的圆形玻璃打磨机
CN208409530U (zh) 一种玻璃加工用抛光设备
CN207058230U (zh) 一种磨具端面加工装置
CN214237598U (zh) 一种手机外壳加工装置
CN210281765U (zh) 一种机械圆环形工件批量内壁打磨装置
CN206066115U (zh) 一种铸件表面打磨处理装置
CN215393718U (zh) 一种集打磨钻孔于一体的传动杆加工装置
CN216030143U (zh) 石材边缘研磨抛光机
CN115582768B (zh) 一种铸造件打磨设备
CN216371465U (zh) 一种用于磨边机的45度下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6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