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637B1 -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637B1
KR101395637B1 KR1020120079473A KR20120079473A KR101395637B1 KR 101395637 B1 KR101395637 B1 KR 101395637B1 KR 1020120079473 A KR1020120079473 A KR 1020120079473A KR 20120079473 A KR20120079473 A KR 20120079473A KR 101395637 B1 KR101395637 B1 KR 101395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vette
sample
concentration
residual oxidan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037A (ko
Inventor
박규원
김성태
이해돈
박용석
이광호
문현주
Original Assignee
(주) 테크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로스 filed Critical (주) 테크로스
Priority to KR1020120079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6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6Organic contamination in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021/7769Measurement method of reaction-produced change in sens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은 큐벳 세척 단계, 제1 큐벳 내부 샘플수 비움 단계, 큐벳 내부 탁도 측정 단계, 큐벳 내부에 샘플수를 유입하는 단계, 샘플수 농도 측정 단계, 제2 큐벳 내부 샘플수 비움 단계, 큐벳 내부에 DPD 시약 + 샘플수 유입 단계, DPD 시약 농도 측정 및 잔류 옥시던트 농도 산출 단계, 제3 큐벳 내부 샘플수 비움 단계,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을 수행함으로 인해 기존에 10 단계로 수행되었던 잔류 옥시던트 측정 단계를 4단계로 줄여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값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MEASURING METHOD FOR TOTAL RESIDUAL OXIDANT OF BALLAST WATER}
본 발명은 선박 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평형수 처리장치가 선박에 유입되는 선박평형수를 전기분해한 후 외부로 배출하면,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장치는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total residual oxidant, TRO) 농도를 측정하여 처리 대상 선박 평형수의 전기 분해 처리 상태를 판단한다.
잔류 옥시던트란 중성 요오드화 칼륨 용액과 반응하여, 요오드를 유리(遊離)하는 물질의 총칭이며, 광화학 옥시던트, 오존(ozone) 등과 마찬가지의 산화성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은, DPD(diethyl-p-phenylendediamine) 시약을 측정 대상 선박평형수에 반응시켜 이루어지고, 선박 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와 DPD 시약의 반응으로 잔류 염소들의 양을 측정하여 잔류 옥시던트의 농도를 측정한다.
하지만,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 측정 시간이 길어 실시간으로 잔류 옥시던트 농도를 측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의 측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선박평형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은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장치의 큐벳 내부에 샘플수를 유입하여 큐벳 내부를 세척하는 큐벳 세척 단계, 큐벳 내부의 샘플수를 큐벳 외부로 배출하는 제1 큐벳 내부 샘플수 비움 단계, 큐벳 내부가 비워진 큐벳의 내부 탁도를 측정하는 큐벳 내부 탁도 측정 단계, 큐벳 내부에 샘플수를 유입하는 단계, 큐벳 내부에 유입된 샘플수에 대해서, 큐벳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력에 따라 샘플수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샘플수의 농도를 기준 농도로 지정하는 샘플수 농도 측정 단계, 큐벳 내부에 유입되어 농도 측정된 샘플수를 큐벳 외부로 배출하는 제2 큐벳 내부 샘플수 비움 단계, DPD 시약과 샘플수가 섞인 액체를 큐벳 내부에 유입하는 단계, 큐벳 내부에 유입된 DPD 시약 + 샘플수에 대해서, 큐벳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력에 따라 DPD 시약 측정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DPD 시약 측정 농도와 상기 샘플수 농도 측정 단계로부터 측정된 상기 샘플수 기준 농도를 이용함으로써 DPD 시약이 혼합된 샘플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를 산출하는 DPD 시약 측정 농도 측정 및 잔류 옥시던트 농도 산출 단계, 큐벳 내부의 DPD 시약 + 샘플수를 큐벳 외부로 배출하는 제3 큐벳 내부 샘플수 비움 단계, 그리고 큐벳 내부에 샘플수를 유입하여 큐벳 내부를 세척하고, 샘플수를 큐벳 외부로 배출하는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큐벳 세척 단계에서 상기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에 이르는 단계들을 제1 루프로 지정하고, 상기 DPD 시약과 샘플수가 섞인 액체를 큐벳 내부에 유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에 이르는 단계들을 제2 루프로 지정하여 상기 제1루프가 1회 수행될 때 상기 제2 루프가 10회 내지 20회 수행되는 것이 좋다.
상기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하며, 반복 횟수는 외부에서 입력받는 것이 좋다.
상기 샘플수 농도측정 단계 또는 상기 DPD 시약 측정 농도 측정 및 잔류 옥시던트 농도 산출 단계에서 측정된 샘플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에 따라, 상기 제2 루프를 시행할 횟수를 설정한다.
상기 샘플수는 잔류옥시던트 농도값 측정 대상 선박평형수이다.
상기 DPD 시약 측정 농도 측정 및 잔류 옥시던트 농도 산출 단계로부터 측정된 샘플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값은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 측정장치에 구비된 서버를 통해 온라인으로 실시간 업로드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통신 제어프로그램으로 선박평형수가 들어있는 큐벳의 세척 횟수를 제어함으로써,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할 수 있어 온라인에서 실시간으로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를 확인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 측정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 측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은,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장치를 이용한 것이다. 이 때 사용되는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장치는, 큐벳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먼저, 도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장치(이하, '잔류 옥시던트 측정 장치'라 함)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 옥시던트 측정장치(100)는 선박 평형수가 유입되는 제1 배관(200), 제1 배관(200)과 연결된 제2 배관(300), 제1 배관(200)으로부터 유입된 선박 평형수가 유입되는 큐벳(cuvette)(130), 제1 배관(200)에 위치하여 큐벳(130)으로 유입되는 선박평형수의 유입 상태를 제어하는 제1 밸브(201), 큐벳(130) 표면의 탁도와 큐벳(130) 내부의 선박 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140), 제2 배관(300)과 연결되어 있고 DPD 시약을 제2 배관(300)으로 출력하는 DPD 시약통(120), 제1 배관(201)과 DPD 시약통(120) 사이에 위치한 제2 배관(300)에 위치하는 제2 밸브(301), 저장부(111)를 구비하고 있고 감지부(140)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제1 및 제2 밸브(201, 301)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10), 큐벳(130)과 연결되어 큐벳(130) 내에 존재하는 선박 평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3 배관(400), 제3 배관(400)에 위치하고 제어부(110)와 연결되어 있는 제3 밸브(401), 그리고 제어부(110)와 연결된 표시부(114)를 구비한다.
제1 배관(200)에 설치된 제1 밸브(201)는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상태에 따라 개폐 상태가 제어되어, 제1 배관(200)으로부터 큐벳(130)으로의 선박 평형수의 유입을 제어한다.
제2 배관(300)에 설치된 제2 밸브(301) 역시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상태에 따라 개폐 상태가 제어되어, DPD 시약통(120)으로부터 제2 배관(300)으로의 DPD 시약의 유입을 제어한다.
또한, 제3 배관(400)에 설치된 제3 밸브(401) 역시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상태에 따라 개폐 상태가 제어되어, 큐벳(130) 내에 존재하는 선박 평형수를 제3 배관(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1 배관(200)으로부터 큐벳(130)으로 선박 평형수가 유입되면, 큐벳(130) 내부는 유입된 선박평형수에 의해 세척된다.
DPD 시약통(120) 내부에 존재하는 DPD 시약은 제2 밸브(301)가 개방될 때, 제2 배관(200)을 통해 제1 배관(200)으로 유입되어, 제1 배관(200)과 제2 배관(300)이 만나는 부분에서 제1 배관(200)을 통해 유입된 선박 평형수에 DPD 시약이 섞이게 되므로, 큐벳(130)으로 유입되는 선박 평형수에는 DPD 시약이 혼합되어 있다.
큐벳(130)은 구(球) 형태 또는 육면체 형태를 갖고 그 내부에 선박 평형수가 채워지는 빈 공간을 갖고 있다. 이러한 큐벳(130)은 유리 또는 석영 등과 같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빛이 큐벳(130) 내부로 투과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큐벳(130)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선박 평형수는 '샘플수'라 한다.
감지부(14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같은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포토 센서로서, 큐벳(130)의 표면의 탁도, DPD 시약이 혼합되지 않은 선박 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 및 DPD 시약이 혼합된 선박 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감지부(140)는 발광부에서 발사된 빛을 큐벳(130)으로 조사한 후, 큐벳(130) 내에 존재하는 선박 평형수에 의해 반사되어 입사되는 빛을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수광되는 빛의 양에 따라 해당하는 크기의 전기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이때 빛의 투과도는 선박 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에 따라 변하여, 선박 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가 증가할수록 빛의 투과도는 감소한다.
이 때, 제어부(110)의 저장부(111)에는 선박 평형수가 전혀 채워지지 않은 큐벳(130)의 빛의 투과도인 기준값이 이미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기준값과 측정된 빛의 투과도를 비교하여 큐벳(130) 표면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부(111)는 제어부(110)의 외부에 위치하여 제어부(11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및 제2 밸브(201, 301) 각각으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고, 감지부(140)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큐벳(130) 표면의 탁도, 큐벳(130) 내에 존재하고 DPD 시약이 혼합되지 않은 선박 평형수(샘플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 및 큐벳(130) 내에 존재하고 DPD 시약이 혼합된 선박 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를 판정한다.
한 예로서, 제어부(110)에서 DPD 시약이 혼합되지 않은 샘플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TRO)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수학식 1]
TRO = a × (DPD 시약 측정농도 - 기준 농도)
여기에서, a는 보정 계수로서 상수이고, DPD 시약 측정 농도는 큐벳(130) 내에서 DPD 시약이 섞여 있는 선박 평형수에 대한 빛의 투과율을 이용하여 산출된 잔류 옥시던트 농도이고, 기준 농도는 큐벳(130) 내에서 DPD 시약이 혼합되지 않은 선박 평형수에 대한 빛의 투과율을 이용하여 산출된 잔류 옥시던트 농도이다.
이러한 제어부(110)의 동작에 의해 잔류 옥시던트 농도의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제3 밸브(401)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로 인해 제3 밸브(401)는 개방되어 제3 배관(400)을 통해 큐벳(130) 내의 선박 평형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표시부(114)는 제어부(110)에서 산출된 잔류 옥시던트 농도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액정 표시 장치나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2를 참고로 하여 선박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 측정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은 큐벳 세척 단계(S1), 제1 큐벳 내부 샘플수 비움 단계(S2), 큐벳 내부 탁도 측정 단계(S3), 큐벳 내부에 샘플수 유입 단계(S4), 샘플수 농도 측정 단계(S5), 제2 큐벳 내부 샘플수 비움 단계(S6), 큐벳 내부에 DPD 시약 + 샘플수 유입 단계(S7), DPD 시약 측정 농도 측정 및 잔류 옥시던트 농도 산출 단계(S8), 제3 큐벳 내부 샘플수 비움 단계(S9), 그리고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로 이루어진다.
먼저, 큐벳 세척 단계(S1)는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샘플수를 이용하여 큐벳(130) 내부를 세척하는 단계로,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장치를 동작시키면 최초 수행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제1 배관(200)에 위치한 제1 밸브(201)를 개방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밸브(201)가 개방된다. 따라서, 제1 배관(200)을 통해 유입되는 선박 평형수는 큐벳(130) 내부에 샘플수로서 유입 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큐벳(130)을 세척할 때 사용되는 샘플수는 선박평형수로, 본 명세서에서 큐벳 내부 세척을 위해 사용되는 샘플수와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유입되는 샘플수는 모두 동일한 선박 평형수이다.
제1 큐벳 샘플수 비움 단계(S2)는, 큐벳 세척 단계(S1)로부터 큐벳 내부 세척이 완료된 큐벳 내부의 샘플수를 큐벳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제3 밸브(401)를 개방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로 인해 제3 밸브(401)가 개방되어 제3 배관(400)을 통해 큐벳(130) 내에 존재하는 샘플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큐벳 내부 탁도 측정 단계(S3)에서는 큐벳 세척 단계(S1)의 수행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인 큐벳(130)의 유리 안쪽면이 오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큐벳(130)의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큐벳(130)의 탁도 측정은 감지부(140)의 발광부에서 큐벳(130) 쪽으로 빛을 발사하고, 큐벳(130)을 투과한 빛을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수광된 빛의 양에 따라 해당하는 크기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110)에 출력한다.
제어부(110)는 감지부(140)로부터 수신한 빛 감지 신호에 따라 큐벳(130)의 탁도를 판단한다. 이 때, 저장부(111)에 기준 큐벳(130)의 탁도 기준값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10)에서는 큐벳(130)의 탁도를 판단 가능하다.
이 단계(S3)에서 측정된 큐벳(130)의 탁도를 기준으로, 측정된 큐벳(130) 내부의 탁도가 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제어부(110)는 큐벳(130)을 교체해야 하는 시기로 판정하여 표시부(114)에 큐벳(130)의 교체시기를 외부에 알리는 표시 신호를 출력한다. 이로 인해, 표시부(114)는 제어부(110)로부터 인가되는 표시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큐벳(130)의 교체 시기를 감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표시부(114)는 영상을 표시하지만, 이와는 달리 원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경고등이나 스피커(speak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 장치는 큐벳(130) 내부에 샘플수 유입 단계(S4)를 실시하여 큐벳(130) 내부에 샘플수를 유입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제1배관(200)에 위치한 제1 밸브(201)를 개방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밸브(201)가 개방된다. 따라서, 제1 배관(200)을 통해 유입되는 선박 평형수가 큐벳(130) 내부에 샘플수로서 유입 된다.
샘플수 농도 측정 단계(S5)에서는 샘플수 유입 단계(S4)로부터 큐벳(130) 내부에 유입된 DPD 시약이 혼합되지 않은 선박 평형수에 대한 잔류 옥시던트 샘플수의 농도를 측정한다.
큐벳(130) 내부의 샘플수 농도 측정은 감지부(140)의 발광부에서 큐벳(130) 쪽으로 빛을 발사하고, 큐벳(130)을 투과한 빛을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수광된 빛의 양에 따라 해당하는 크기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110)에 출력한다.
제어부(110)는 감지부(140)로부터 수신한 빛 감지 신호에 따라 큐벳(130) 내부의 샘플수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단계(S5)에서 측정된 샘플수의 농도는 기준 농도로 저장부(111)에 저장된다.
제2 큐벳 내부 샘플수 비움 단계(S6)에서는, 제어부(110)가 제3 배관(400)의 제3 밸브(401)를 개방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열도록 제어함으로써 농도 측정이 완료된 큐벳(130) 내부의 샘플수를 제3 배관(400)을 통해 잔류 옥시던트 농도 측정장치(100) 외부로 배출한다. 이 단계(S6)를 수행하면 큐벳(130) 내부는 비어있게 된다.
그리고, 큐벳 내부에 DPD 시약+ 샘플수 유입 단계(S7)에서는 내부가 비어있는 큐벳(130)에 DPD 시약과 샘플수가 섞인 액체가 유입된다. 이 때, 제어부(110)가 제1 배관(200)에 구비된 제1 밸브(201) 및 제2 배관(300)에 구비된 제2 밸브(301)를 열도록 제어함으로써, 큐벳(130)으로 유입되는 샘플수에 DPD시약통(120)으로부터 토출된 DPD 시약이 섞이게 된다.
DPD 시약은 N, N-diethyl-p-phenylendediamine sulfate 1.0g을 석영유발 중에서 잘 분쇄하고, 무수황산 나트륨 24g을 넣은 뒤 결정 알맹이가 분쇄되지 않을 정도로 혼합한 후 이를 백색병에 넣어 습기를 막아 어두운 곳에 보존함으로써 제조된다.
위와 같이 제조된 DPD 시약을 이용하여 잔류 옥시던트 농도를 측정하는 DPD법은 DPD 시약은 다른 산화성 물질과의 반응에 의한 오차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잔류 옥시던트 농도 측정 대상 샘플수의 잔류염소가 DPD 시약과 반응하여 생긴 도색을 표준비색액과 비교하여 잔류염소를 측정한다.
잔류염소가 있는 샘플수에 DPD 시약을 섞었을 때, 염소와 DPD시약이 반응하여 붉은색 계열로 발색되게 된다.
DPD 시약 측정 농도 측정 및 잔류 옥시던트 농도 산출 단계(S8)에서는 큐벳(130) 내부에 유입된 DPD 시약이 혼합된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를 측정하고, 제어부(110)에서 DPD 시약이 혼합된 샘플수의 측정농도를 저장부(111)에 저장된 DPD시약이 섞이지 않은 샘플수의 기준농도를 이용하여 잔류 옥시던트 농도를 산출한다.
DPD 시약이 혼합된 선박 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 측정은 감지부(140)의 발광부에서 큐벳(130) 쪽으로 빛을 발사하고, 큐벳(130)을 투과한 빛을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수광된 빛의 양에 따라 해당하는 크기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110)에 출력한다.
제어부(110)는 감지부(140)로부터 수신한 빛 감지 신호에 따라 큐벳(130) 내부에 존재하는 DPD 시약이 혼합된 샘플수의 농도를 측정한다. 이 단계(S8)에서 측정된 DPD 시약이 혼합된 샘플수의 농도는 DPD 시약 측정 농도이다.
제어부(110)는 측정된 DPD 시약 측정 농도와 기준 농도 측정 단계(S5)로부터 저장부(111)에 저장된 기준 농도를 이용하여 [수학식 1]에 따라 잔류 옥시던트 농도를 산출한다.
DPD 시약 측정 농도 및 잔류 옥시던트 농도 산출 단계(S8)로부터 산출된 잔류 옥시던트 농도(TRO 값)는 표시부(114)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다음으로, 제3 큐벳 내부 샘플수 비움 단계(S9)에서는, 제어부(110)가 제3 배관(400)에 위치한 제3 밸브(401)를 개방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 제어신호에 따라 제3 밸브(401)가 개방된다. 따라서, 제3 배관(400)을 통해 큐벳(130) 내부의 DPD 시약이 혼합된 선박 평형수가 잔류 옥시던트 측정 장치(100) 외부로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에서는 제어부(110)에서 제1 밸브(201)를 개방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1 배관(200)을 통해 샘플수가 큐벳(130)에 유입되고, 유입된 샘플수에 의해 큐벳(130) 내부가 세척된다. 그리고, 제어부(110)가 제3 배관(400)에 위치한 제3 밸브(401)를 개방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내부 세척이 완료된 큐벳(130) 내의 샘플수가 제3 배관(400)을 통해 큐벳(13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어부(110)에서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의 반복 횟수를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 단계(S10)가 수회 반복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를 1회 수행하도록 설정했다면,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0)를 한 번 수행 된 후 종료되거나, 큐벳 세척 단계(S1) 또는 큐벳 내부에 DPD 시약 + 샘플수 유입 단계(S7)로 이동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를 3회 수행하도록 설정했다면,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를 연속적으로 3회 수행한 이후에 종료되거나, 큐벳 세척단계(S1) 또는 큐벳 내부에 DPD 시약 + 샘플수 유입 단계(S7)로 이동한다. 즉, 큐벳(130) 내부에 샘플수를 유입하여 큐벳(130)을 세척하고 샘플수를 큐벳(130)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3회 수행한다.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의 수행 횟수는 사용자가 온라인에서 입력 가능하다.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가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를 3회 수행하라는 명령을 입력하면, 큐벳 세척 3회의 입력신호가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장치에 전달되고,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를 3회 세척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DPD 시약 측정 농도 측정 및 잔류 옥시던트 농도 산출 단계(S8)를 통해 확인되는 선박평형수의 TRO 농도 측정값에 따라 큐벳 세척 횟수를 지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에 구비된 표시부(114)를 조작함으로써 반복 횟수를 조작 가능하다.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가 완료된 후, 큐벳내부에 DPD 시약 + 샘플수 유입 단계(S7)를 수행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최초 큐벳 세척 단계(S1)가 수행되고, 다음 단계(S2 내지 S9)들을 거쳐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까지 순차적으로 수행된 다음, 동작이 종료되거나 최초 단계(S1)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단계들을 루프로 형성하여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에서는 큐벳 세척 단계(S1) 내지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에 이르는 단계들을 제1 루프로 지정한다. 그리고, 큐벳 내부에 DPD 시약 + 샘플수 유입 단계(S7) 내지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에 이르는 단계들을 제 2 루프로 지정한다.
따라서, 도2에 도시한 흐름도가 최초 시작되어 큐벳 세척 단계(S1) 내지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까지 순차적으로 수행되면, 제 2 루프를 10회 내지 20회 수행한다. 제2 루프의 수행 횟수는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값을 전달 받아 최초 입력되고, 이는 정정 가능하다.
제2 루프를 10회 내지 20회 반복하면, 큐벳 세척 단계(S1)로 돌아가 제1 루프를 수행한다. 제2 루프가 수행된 이후에 수행되는 제1 루프는 큐벳 세척 단계(S1) 내지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를 수행하고, 다시 제2 루프를 10회 내지 20회 수행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은 도 2와 같이 제1 루프 및 제2 루프를 형성하고, 제2 루프를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큐벳 세척 단계(S1)에서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S10)에 이르는 단계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했을 때 발생하는 시간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TRO 센서 110 : 제어부
120 : DPD 시약통 130 : 큐벳
140 : 감지부 200 : 제1 배관
300 : 제2 배관 400 : 제3 배관

Claims (6)

  1.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장치의 큐벳 내부에 샘플수를 유입하여 큐벳 내부를 세척하는 큐벳 세척 단계,
    큐벳 내부의 샘플수를 큐벳 외부로 배출하는 제1 큐벳 내부 샘플수 비움 단계,
    큐벳 내부가 비워진 큐벳의 내부 탁도를 측정하는 큐벳 내부 탁도 측정 단계,
    큐벳 내부에 샘플수를 유입하는 단계,
    상기 큐벳 내부에 샘플수를 유입하는 단계에서 유입된 상기 샘플수에 대해서, 큐벳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력에 따라 샘플수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샘플수의 농도를 기준 농도로 지정하는 샘플수 농도 측정 단계,
    큐벳 내부에 유입되어 농도 측정된 샘플수를 큐벳 외부로 배출하는 제2 큐벳 내부 샘플수 비움 단계,
    DPD 시약과 샘플수가 섞인 액체를 큐벳 내부에 유입하는 단계,
    상기 DPD 시약과 샘플수가 섞인 액체에 대해서, 큐벳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력에 따라 DPD 시약 측정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DPD 시약 측정 농도와 상기 샘플수 농도 측정 단계로부터 측정된 상기 샘플수 기준 농도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DPD 시약과 샘플수가 섞인 액체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를 산출하는 DPD 시약 측정 농도 측정 및 잔류 옥시던트 농도 산출 단계,
    상기 DPD 시약과 샘플수가 섞인 액체를 큐벳 외부로 배출하는 제3 큐벳 내부 샘플수 비움 단계, 그리고
    큐벳 내부에 샘플수를 유입하여 큐벳 내부를 세척한 후 상기 샘플수를 큐벳 외부로 배출하는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큐벳 세척 단계에서 상기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에 이르는 단계들을 제1 루프로 지정하고,
    상기 DPD 시약과 샘플수가 섞인 액체를 큐벳 내부에 유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에 이르는 단계들을 제2 루프로 지정하여
    상기 제1루프가 1회 수행될 때 상기 제2 루프가 10회 내지 20회 수행되는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큐벳 세척 후 샘플수 비움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하며, 반복 횟수는 외부에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기준 농도 및 상기 잔류 옥시던트 농도에 따라 상기 제2 루프를 시행할 횟수를 설정하는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샘플수는 잔류옥시던트 농도값 측정 대상 선박평형수인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DPD 시약 측정 농도 측정 및 잔류 옥시던트 농도 산출 단계로부터 측정된 샘플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값은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농도 측정장치에 구비된 서버를 통해 온라인으로 실시간 업로드 되는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
KR1020120079473A 2012-07-20 2012-07-20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 KR101395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473A KR101395637B1 (ko) 2012-07-20 2012-07-20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473A KR101395637B1 (ko) 2012-07-20 2012-07-20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037A KR20140017037A (ko) 2014-02-11
KR101395637B1 true KR101395637B1 (ko) 2014-05-16

Family

ID=5026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473A KR101395637B1 (ko) 2012-07-20 2012-07-20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984B1 (ko) * 2016-10-10 2018-05-21 (주) 테크로스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957804B1 (ko) * 2017-04-20 2019-03-13 (주) 테크로스 흡광광도법을 이용한 농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987349B1 (ko) * 2017-09-25 2019-06-11 (주) 테크로스 잔류 염소 농도 측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0524A (ja) * 1995-03-03 1996-09-17 Shimadzu Corp 自動化学分析装置
JPH10267935A (ja) * 1997-03-25 1998-10-09 Olympus Optical Co Ltd キュベット補正方法
KR100875963B1 (ko) 2008-04-11 2008-12-26 (주) 테크로스 농도측정장치 및 그의 측정방법
KR20110140095A (ko) * 2010-06-24 2011-12-30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밸러스트수 중의 잔류 옥시던트(tro) 농도의 측정 장치, 감시 방법, 및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0524A (ja) * 1995-03-03 1996-09-17 Shimadzu Corp 自動化学分析装置
JPH10267935A (ja) * 1997-03-25 1998-10-09 Olympus Optical Co Ltd キュベット補正方法
KR100875963B1 (ko) 2008-04-11 2008-12-26 (주) 테크로스 농도측정장치 및 그의 측정방법
KR20110140095A (ko) * 2010-06-24 2011-12-30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밸러스트수 중의 잔류 옥시던트(tro) 농도의 측정 장치, 감시 방법, 및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037A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65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determining of chemical oxygen demand of a liquid sample
CN106872452A (zh) 一种游离氯在线分析仪和其使用方法
US7988916B2 (en) Apparatus for mixing and/or testing small volumes of fluids
KR101395637B1 (ko)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
JP4795499B2 (ja) 液体混合装置、薬液試験装置及び内視鏡処理装置
JP5772886B2 (ja) 分析装置
CN107014807A (zh) 一种海水cod测定装置及方法
CN105738287A (zh) 水质分析仪
US20180136186A1 (en) Water quality analysis device
JP2012189550A (ja) ガス濃度測定装置
KR20150116313A (ko) 밸러스트 수의 tro 측정 장치 및 방법
JP6225522B2 (ja) 水質測定装置
CN113390808A (zh) 水质分析装置和水质分析方法
KR101303349B1 (ko) 연속측정방식의 티알오 측정장치
CN104820078A (zh) 一种用于多量程检测系统的检测方法及多量程检测系统
CN207163894U (zh) 新型水质检测仪及污水处理设备
US10345321B2 (en) Automatic analyzer and method
JP6643715B2 (ja) オゾン測定装置
CN109297959B (zh) 一种水体中Mn(Ⅱ)含量的半定量在线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JP6648390B2 (ja) pH自動測定器付き次亜塩素酸水生成装置
CN201156034Y (zh) 水质量测仪
JP6322953B2 (ja) シリカ濃度測定装置
CN206804530U (zh) 一种海水cod测定装置
JP4516364B2 (ja) 塩素要求量測定装置、水質管理システム、塩素要求量測定方法、及び水質管理方法
JP2023512773A (ja) 水性試料の無機炭素(ic)除外導電率測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