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984B1 -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984B1
KR101859984B1 KR1020160130495A KR20160130495A KR101859984B1 KR 101859984 B1 KR101859984 B1 KR 101859984B1 KR 1020160130495 A KR1020160130495 A KR 1020160130495A KR 20160130495 A KR20160130495 A KR 20160130495A KR 101859984 B1 KR101859984 B1 KR 101859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gent
sample water
unit
measuring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779A (ko
Inventor
박규원
김성태
이해돈
이광호
박혜진
조유경
Original Assignee
(주) 테크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로스 filed Critical (주) 테크로스
Priority to KR102016013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984B1/ko
Priority to PCT/KR2017/009597 priority patent/WO2018070665A1/ko
Publication of KR20180039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01N1/203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by deviating part of a fluid stream, e.g. by drawing-off or tapping
    • G01N1/204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by deviating part of a fluid stream, e.g. by drawing-off or tapping using a piston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amp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103Atomic absorption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79Photometric ti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샘플수가 유입되는 샘플수 유입관이 설치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 시약을 주입하도록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시약 유입관이 구비되는 시약 저장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생성된 빛이 상기 샘플수를 투과한 후, 상기 수광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근거로 상기 샘플수의 산화제 농도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시약의 투입량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RO}
본 발명은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약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단순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시약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운송하는 화물 선박은 유사한 화물의 상호 교환을 위하여 왕복 항해하는 선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편도 운항을 한다. 그리고, 편도 운항을 만재 상태로 항해한 후 귀환 항해 시에는 선박의 균형, 안전성 및 조종 성능 향상 등을 위하여 선박평형수(ballast water)를 선내로 유입하여 밸러스트 상태로 항해를 하게 된다.
이때, 선박평형수는 한 항구에서 채워져서 다른 곳으로 이송되어, 거기서 새로운 항구 내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먼 위치로부터 실려져 온 선박평형수에 포함된 해양 생물 및 병원균의 방출은 새로운 환경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항구에서도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위험할 수 있다.
비-천연적인 해양 생물을 신규 생태계로 도입시키면, 신규 종에 대해 자연적인 방어체계를 지니고 있지 않을 수 있는 천연 식물군 및 동물군에게 파괴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 또한, 콜레라와 같은 해로운 세균성 병원균이 원래의 항구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병원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밸러스트 탱크 내에서 증식되어, 이들이 방출되는 영역에서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해양 생물 및 병원균에 의해 제기되는 위험은 선박평형수 내에 존재하는 상기한 종들을 치사(致死)시켜 조절할 수 있다.
선박평형수를 살균 처리하는데 주로 전기 분해 방식을 이용하는데, 전기 분해 방식을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 시스템은 밸러스트 수의 TRO 측정하기 위한 TRO 센서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TRO"는 "Total Residual Oxidant"의 약어로서, 밸러스트 수에 존재하는 전체 잔류 산화제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전기 분해 과정을 통하여 발생하는 염소가 밸러스트 수 내의 수중 생물을 산화시키고 남은 염소의 잔류 염소 수치를 측정하여 구한다. TRO는 바닷물이나 염분이 섞여있는 물을 전기분해 또는 염소 소독할 경우 활성 염소 대신 브로민 등의 원자로 대체되어 여러 종류의 산화제가 공존하게 되는데, 이때 존재하는 모든 활성 산화제를 가리킨다.
전술한 TRO 센서는 선박이 항해하는 경로에 따라 담수, 해수 등 다양한 수질 조건에서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수질변화에 덜 민감한 DPD 시약을 이용한 TRO 센서를 주로 사용한다.
DPD시약을 이용한 TRO 측정 센서는 시약통에서 측정부에 시약을 주입하기 위해 이송 펌프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 펌프를 통한 시약의 이송시에 역류를 막기 위해 공급관에 체크밸브 등을 포함하고 있어 구성이 매우 복잡하다.
TRO 측정센서에 포함된 이송 펌프는 화학제품인 DPD시약의 이송에 사용하므로 부식이 쉽게 발생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있고,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력에 따른 투입량 변화폭이 커서 DPD 시약을 정량으로 투입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선박평형수의 시약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보다 단순화하고, 시약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는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관점에 따른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샘플수가 유입되는 샘플수 유입관이 설치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 시약을 주입하도록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시약 유입관이 구비되는 시약 저장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생성된 빛이 상기 샘플수를 투과한 후, 상기 수광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근거로 상기 샘플수의 산화제 농도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약 유입관에는 시약 조절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시약 조절밸브는 핀치 밸브(Pinch Valve)로 구성할 수 있다.
시약 저장부는 연속적인 공급을 위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시약 저장부는,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탄성재질인 불소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측정부는, 상기 샘플수 유입관에 유입밸브가 설치되고, 측정이 완료된 샘플수가 배출되는 샘플수 배출관이 설치되고, 상기 샘플수 배출관에는 배출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약 유입관은 내화학성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는, 발광부는 백색 LED로 구성하고, 수광부는 RGB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잔류 염소농도 측정방법은,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샘플수가 유입/배출되는 샘플수 유입관과 샘플수 배출관이 설치되고, 상기 샘플수 유입관 및 상기 샘플수 배출관에 유입밸브 및 배출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 시약을 주입하도록 수축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시약이 수축 압력에 의해 배출되고, 시약 유입관이 구비되어 상기 시약 유입관에 시약 조절밸브가 설치되는 시약 저장부; 및 상기 유입밸브와 상기 배출밸브, 상기 시약 조절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를 이용하되, 상기 측정부에서 시약이 주입되지 않은 샘플수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기준 흡광도를 획득하는 단계; 기준 흡광도 측정이 완료된 상기 샘플수를 배출하고, 새로운 샘플수를 주입하는 단계; 교체된 상기 샘플수에 시약을 주입하여 발색 흡광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준 흡광도와 상기 발색 흡광도를 근거로 잔류 염소 농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가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시약 저장부를 수축되는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약 조절밸브에 의해 시약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시약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에 구비된 수광부의 상대 반응도(Relative Responsivity)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 염소농도 측정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100)은, 샘플수의 잔류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110)와, 시약을 보관하고 있다가 상기 측정부(110)로 시약을 주입하는 시약 저장부(130)와,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센싱정보에 따라 밸브들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제어부(150)을 포함한다.
측정부(110)는, 양 측면부에 발광부(111)와 수광부(113)이 각각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측정부(110)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발광부(111)에서 생성된 빛이 측정부(110)를 관통하여 수광부(113)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111)는 3채널 파장대역을 모두 측정하기 위해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광부(113)는 Red, Green, Blue에 해당하는 color filter를 구비한 RGB 센서로 구성되어 3채널의 파장 모두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3개의 파장 대역을 확인하므로 DPD로 발색된 산화제의 농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서로 다른 색으로 발색하는 다양한 종류의 시약에 하나의 기기로 모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닐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발광부(111)의 백색 LED가 온(On)되면 수광부(113)의 RGB 센서에서 투과된 빛의 세기(광량)를 측정하여 잔류 염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정부(110)는, 샘플수가 유입되도록 샘플수 유입관(121)이 설치되고, 측정이 완료된 샘플수가 배출되도록 샘플수 배출관(125)이 설치된다.
또한, 샘플수 유입관(121)에는 유입밸브(123)가 설치되고, 샘플수 배출관(125)에는 배출밸브(127)가 설치됨으로써 시약 저장부(130)에서 유입된 시약이 샘플수와 반응된 후에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100)는, 선박평형수에 투입되는 산화제를 측정하는 여러가지 방식의 장치중에 DPD(diethyl-p-phenylende diamine) 시약을 측정 대상 선박평형수에 반응시켜 잔류 산화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이와 같은 DPD방식 산화제 측정장치는, 처리된 선박평형수의 일부를 채취한 후 DPD 시약을 투입하여 산화물질 농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DPD 시약을 보관하기 위한 시약 저장부(130)를 구성요소로 한다. DPD 시약은 완충(Buffer) 용액과 혼합되어 측정부(110)로 주입되는데, DPD 시약과 Buffer 용액이 하나의 용기에 혼합되어 보관될 수도 있으나, 각각 별도의 용기에 보관되는 것이 보관상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약 저장부(130)는 일정온도로 유지되는 온도유지수단(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시약의 반응성과 시약의 유효기간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100)에 포함된 시약 저장부(130)는, 별도의 가압수단이 없이 측정부(110)로 시약이 유입되도록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된다.
시약 저장부(130)는 수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균일한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대칭되는 형상, 예를 들면 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약 저장부(130)는, 그 일측에 마련된 시약 주입부(미도시)로 시약이 주입될 때 주입 압력에 의해 시약 저장부(130)가 팽창되고, 시약 주입이 완료된 다음, 시약 주입부(미도시)를 폐쇄하면 팽창된 시약 저장부(130)가 복원력에 의해 스스로 수축되는데, 이 때 발생되는 수축 압력에 의해 시약이 측정부(110)로 유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추가적인 가압수단이 필요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 재질로 형성된 시약 저장부(130)는, 후크(Hook)의 법칙에 의해 가압력을 발생시키는데, 가해지는 힘 F는 상수 k와 변위 또는 길이의 변화 x의 곱과 같게 된다. 즉, F=kx가 된다. 여기서, k의 값은 고려 대상인 시약 저장부(103) 재질의 종류뿐만 아니라 크기나 모양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시약 저장부(130)는 내부에 시약이 저장되고 팽창/수축 작용을 반복하기 때문에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소재가 바람직하다.
시약 저장부(130) 재질의 실시예들로서, 탄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천연 고무(NR), 부타디엔 고무(BR), 스틸렌부타디엔 고무(S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수소화니트릴부타디엔 고무(H-NBR), 클로로프렌 고무(CR),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탄성 뿐만 아니라 내약품성이 뛰어난 부틸 고무(IIR), 클로로술푼화 폴리에틸렌 고무(CSM), 아플라스(FEPM), 과불소고무(FFKM), 불소 고무(FKM, FPM)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특히, 내약품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불소 고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시약 저장부(130)에 구비된 시약 주입부(미도시)는, 측정부(110)로 시약을 공급하는 시약 유입관(141)과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시약 주입이 완료되면 시약 주입부(미도시)를 폐쇄시키지 않고 시약 유입관(141)과 연결되어 시약을 공급하는 경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100)은, 시약 저장부(130)에 보관된 DPD 시약이 샘플수를 담는 측정부(110)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시약 저장부(130)와 측정부(110) 사이에는 시약 유입관(141)이 설치되고, 시약의 유입 흐름을 제어하도록 시약 유입관(141)에는 시약 조절밸브(14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시약 저장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시약 저장부(130a) 및 제2 시약 저장부(130b)에 모두 시약을 저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제1 시약 저장부(130a)의 시약이 모두 소비되더라도 예비적으로 제2 시약 저장부(130b)를 통해 시약이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시약 공급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시약 유입관(141)은 공급되는 시약에 의해 부식,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화학성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약 조절밸브(143)는 핀치 밸브(Pinch Valve)로 구성할 수 있다. 핀치 밸브는 탄성체를 상하 2 개의 바(BAR)로 눌러 주었다가 띄어주었다 하면서 밸브 개폐를 조정하는 장치로서, 이송되는 유체는 오로지 탄성체 내부에만 접액이 되며 어떠한 구동파트도 접액이 되지 않기 때문에 밸브와 시약이 접촉하지 않아 밸브의 부식 우려가 없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100)에 구비된 시약 저장부(130)는 시약이 내측으로 주입되면 초기위치에서 일정 변위만큼 팽창되고 시약 주입이 완료되면 복원력에 의해 가압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전술한 후크의 법칙에 의해 동작하기 때문에 시약이 측정부(110)로 공급됨에 따라 변위가 축소되면서 가압력도 선형적으로 감소된다.
본 발명의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100)는 정량의 시약을 공급하기 위해서 이와 같은 가압력의 선형적 변화를 고려하여 시약 조절밸브(143)의 개방시간을 조절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시약 저장부(130)가 초기 팽창위치에서 수축되며 가압력이 초기에 비해 1/2이 되는 지점에서는 시약 조절밸브(143)의 개방시간을 2배로 하여 시약 주입량이 정량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발광부(111)에서 생성된 빛이 샘플수를 투과한 후, 수광부(113)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근거로 상기 샘플수의 잔류 염소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유입밸브(123)가 개방후 측정부(110)에 샘플수가 차지 않으면 샘플수가 유입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여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배출밸브(125)가 개방후 측정부(110)의 샘플수가 배출되지 않으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은 측정부(110)가 빈 상태에서 발광부(111)를 켜고 수광부(113)에서 측정된 광량을 저장하고, 이를 기준으로 충수(充水)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광량이 일정이상 약해지면 샘플수가 채워진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샘플수가 비워진 상태에서도 일정 이상 광량이 약해져 있으면 측정부(110)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측정부(110)에 주입된 시약이 잘 섞이도록 유입밸브(121)의 개방/폐쇄 동작을 반복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측정부(11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샘플수 유입부의 방향이 내측벽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형성하여 유입부를 따라 분사된 샘플수가 내측벽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측정부(110) 내의 샘플수가 넘칠 때 배출시키는 오버플로우 기능을 수행하도록 측정부(110)와 연결되는 오버플로우관(16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에 구비된 수광부의 상대 반응도(Relative Responsivity)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Red, Green, Blue 영역의 상대 반응도는 파장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예를 들면 Red 영역은 약 750nm 파장에서 상대 반응도가 올라가고, Green 영역은 약 560nm 파장에서 상대 반응도가 올라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정부(110)는, 도 2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샘플수의 충수(充水)여부는 RGB 센서의 RED 영역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샘플수의 잔류염소 농도는 RGB 센서의 GREEN 영역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즉, 측정부(110)가 빈 상태에서 발광부(111)를 켜고 수광부(113)로 RED(약 750nm 파장)영역으로 측정한 광량을 저장하여 충수여부의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측정부(11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시약을 샘플수에 투입하고 발광부(111)를 켠 다음, 수광부(113)의 GREEN 영역 (560nm 파장)을 이용하여 광량을 측정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 염소농도 측정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잔류 염소농도 측정방법은 도 1에 개시된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를 사용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 염소농도 측정방법은, 먼저, 유입밸브(123) 및 배출밸브(127)를 개방하여 샘플수를 바이패스한다(S110). 바이패스되는 샘플수는 샘플수 유입관(121) 및 샘플수 배출관(125), 측정부(110)의 샘플수 유입공간을 세척하게 된다.
다음으로, 배출밸브(127)를 폐쇄하여 측정부(110)에 샘플수를 채운다(S120). 샘플수의 충수 여부는 발광부(111)를 온(ON) 한 다음, 수광부(113)에서 광량을 측정하여 판단한다. 소정 용량의 샘플수가 채워지면 유입밸브(123)을 폐쇄한다.
그리고, 채워진 샘플수에 시약을 주입하지 않은 채 샘플수의 흡광도 측정해서 기준점을 설정한다(S130). 이 기준점이 기준 흡광도가 된다.
이후, 배출밸브(127)를 개방하여 기준 흡광도 측정이 완료된 샘플수를 측정부(110)에서 배출하고, 배출이 완료된 후 배출밸브(127)을 폐쇄하여 새로운 샘플수가 측정부(110)로 주입되도록 한다(S140).
이때, 샘플수의 배출 완료 확인을 위해서는 측정부(11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데, 배출이 확인된 다음에도 수초간 더 배출밸브(127)를 개방된 상태로 놔둔 후 폐쇄하도록 조작함으로써 샘플수가 보다 확실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조작을 통해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샘플수 교체 단계(S140)에서 새로운 샘플수가 측정부(110)로 주입될 때에는, 유입밸브(123)을 개방하여 샘플수를 채우는데, 샘플수의 충수 여부는 측정부(110)의 흡광도로 확인한다. 그리고, 샘플수를 채울 때에는 유입밸브(123)의 개방/폐쇄를 반복 조작한다. 예를 들면, 약 0.5초정도 개방한 후 약 0.5초정도 폐쇄하여 샘플수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측정부(110)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조작을 통해 유입되는 시약이 잘 섞이게 된다.
다음으로, 교체된 샘플수에 시약을 주입하고(S150), 측정부(110)에서 발색 흡광도를 측정한다(S160).
여기서, 시약을 주입하는 단계(S150)에서는, 유입밸브(123)의 개방/폐쇄 조작을 초기 2~3회 한 후에 미량의 시약을 주입하기 위해 시약 조절밸브(143)를 짧은시간 개방한 후에 폐쇄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와류가 형성되면서 측정부(110) 내에서 시약이 잘 섞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약의 주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시약 저장부(130)가 수축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시약이 수축 압력에 의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후, 제어부(150)에서는, 측정된 기준 흡광도와 발색 흡광도를 근거로 잔류 염소 농도를 환산한다(S170). 즉, 기준 흡광도를 측정할 때에는 시약을 넣지 않은 상태의 샘플수 광량을 측정하고, 발색 흡광도를 측정할 때에는 시약을 주입한 샘플수의 광량을 측정하여 서로의 광량 차이를 구한 후, 적절한 변환 공식으로 잔류염소 농도로 환산한다. 변환 공식의 예로서, 광량 차이값에 a 값을 곱하면 잔류염소 농도가 되는데, 상기 a값은 발광부(111)인 LED와, 측정부(110) 투과도, 수광부(113)인 RGB 센서에 정해진다. 시약을 섞은 후에는 샘플수가 발색되기 때문에 흡광력이 생겨 수광부(113)에서 측정된 광량값은 약해지는데, 잔류 염소 농도가 높을수록 발색이 많이 되어 광량값이 작아진다. 시약을 섞은 후 발색이 전혀 되지 않으면 기준 광량과 동일한 광량이 측정되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잔류염소 농도가 0이 된다.
다음으로, 잔류 염소 농도 측정이 완료된 샘플수는 배출밸브(127)가 개방되면서 배출된다(S180).
이후, 새로운 샘플수의 잔류 염소 농도 측정을 위해서 샘플수를 바이패스하는 단계(S110)부터 다시 반복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100)는 수축되는 재질로 시약 저장부(130)을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가압수단(예를 들면, 펌프)과 체크밸브 등이 구성이 필요 없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유지 관리가 보다 쉬워졌을 뿐만 아니라, 시약 조절밸브(143)의 개방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시약의 투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시약의 정량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110: 측정부
111: 발광부 113: 수광부
121: 샘플수 유입관 123: 유입밸브
125: 샘플수 배출관 127: 배출밸브
130: 시약 저장부 141: 시약 유입관
143: 시약 조절밸브 150: 제어부

Claims (10)

  1.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샘플수가 유입되는 샘플수 유입관이 설치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 시약을 주입하도록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시약 유입관이 구비되는 시약 저장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생성된 빛이 상기 샘플수를 투과한 후, 상기 수광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근거로 상기 샘플수의 산화제 농도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약 유입관에는 시약 조절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시약 조절밸브는,
    상기 시약 저장부의 복원력에 의한 가압력의 선형적 변화를 고려하여 개방시간이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약 저장부에는 시약을 주입하는 시약 주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약 주입부가 상기 시약 유입관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약 조절밸브는 핀치 밸브(Pinch Valve)인,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약 저장부는 복수개가 구비되는,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샘플수 유입관에 유입밸브가 설치되고,
    측정이 완료된 샘플수가 배출되는 샘플수 배출관이 설치되고, 상기 샘플수 배출관에는 배출밸브가 설치되는,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백색 LED로 구성되고,
    상기 수광부는 RGB 센서로 구성되는,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약 유입관은 내화학성 튜브로 구성되는,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약 저장부는,
    불소 고무로 형성되는,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10.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샘플수가 유입/배출되는 샘플수 유입관과 샘플수 배출관이 설치되고, 상기 샘플수 유입관 및 상기 샘플수 배출관에 유입밸브 및 배출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 시약을 주입하도록 수축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시약이 수축 압력에 의해 배출되고, 상기 수축 압력의 선형적 변화를 고려하여 개방시간이 조절되는 시약 조절밸브가 시약 유입관에 설치되고, 시약을 주입하는 시약 주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약 주입부가 상기 시약 유입관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시약 저장부; 및
    상기 유입밸브와 상기 배출밸브, 상기 시약 조절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를 이용하되,
    상기 측정부에서 시약이 주입되지 않은 샘플수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기준 흡광도를 획득하는 단계;
    기준 흡광도 측정이 완료된 상기 샘플수를 배출하고, 새로운 샘플수를 주입하는 단계;
    교체된 상기 샘플수에 시약을 주입하여 발색 흡광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준 흡광도와 상기 발색 흡광도를 근거로 잔류 염소 농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새로운 샘플수를 주입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유입밸브의 개방/폐쇄를 반복 조작하는, 잔류 염소농도 측정방법.
KR1020160130495A 2016-10-10 2016-10-10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859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95A KR101859984B1 (ko) 2016-10-10 2016-10-10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PCT/KR2017/009597 WO2018070665A1 (ko) 2016-10-10 2017-09-01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95A KR101859984B1 (ko) 2016-10-10 2016-10-10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779A KR20180039779A (ko) 2018-04-19
KR101859984B1 true KR101859984B1 (ko) 2018-05-21

Family

ID=6190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495A KR101859984B1 (ko) 2016-10-10 2016-10-10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9984B1 (ko)
WO (1) WO20180706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704B1 (ko) * 2018-05-18 2020-06-23 (주) 테크로스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464351B1 (ko) * 2020-12-14 2022-11-21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밸러스트 수 잔류 염소농도 측정시스템
KR102249269B1 (ko) * 2021-02-02 2021-05-10 주식회사 제이텍 차아염소산나트륨 광학 농도분석을 통한 실시간 부산물 정량 측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4709A (ja) * 2001-10-19 2003-07-09 Nippon Filcon Co Ltd 光分析用セルとこのセルを用いた光分析装置及び光分析方法
JP2007085881A (ja) * 2005-09-22 2007-04-05 Miura Co Ltd 成分濃度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JP2007093398A (ja) 2005-09-29 2007-04-12 Miura Co Ltd 残留塩素濃度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JP2008057996A (ja) 2006-08-29 2008-03-13 Miura Co Ltd 被測定水中の被検成分濃度の測定方法
KR101649968B1 (ko) * 2014-02-26 2016-08-22 남병현 잔류염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온라인 잔류염소 측정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637B1 (ko) * 2012-07-20 2014-05-16 (주) 테크로스 선박평형수의 잔류 옥시던트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4709A (ja) * 2001-10-19 2003-07-09 Nippon Filcon Co Ltd 光分析用セルとこのセルを用いた光分析装置及び光分析方法
JP2007085881A (ja) * 2005-09-22 2007-04-05 Miura Co Ltd 成分濃度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JP2007093398A (ja) 2005-09-29 2007-04-12 Miura Co Ltd 残留塩素濃度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JP2008057996A (ja) 2006-08-29 2008-03-13 Miura Co Ltd 被測定水中の被検成分濃度の測定方法
KR101649968B1 (ko) * 2014-02-26 2016-08-22 남병현 잔류염소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온라인 잔류염소 측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779A (ko) 2018-04-19
WO2018070665A1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704B1 (ko)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859984B1 (ko)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313625B1 (ko) 평형수 순환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KR101775927B1 (ko)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KR101285451B1 (ko) 밸러스트수 중의 잔류 옥시던트(tro) 농도의 측정 장치, 감시 방법, 및 감시 시스템
KR20150116313A (ko) 밸러스트 수의 tro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143278B1 (ko) 방폭형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KR101804835B1 (ko)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KR101302034B1 (ko) 수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709638B1 (ko) 이염화이소시아눌산나트륨을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102125704B1 (ko)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302734B1 (ko) 유압 유량 버퍼를 가지는 총잔류 산화물 농도 센서
KR102256635B1 (ko) 시약 저장부 및 이를 구비한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KR102200486B1 (ko) 방폭형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KR102389787B1 (ko) 방폭형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KR20170057541A (ko) 선박평형수의 총 잔류산화물 농도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KR101205960B1 (ko) 담수 및 해수를 이용할 수 있는 밸러스트 탱크를 구비하는 선박
KR101849717B1 (ko) 멀티제어를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JP4113105B2 (ja) 流水式魚類試験装置
KR20170089089A (ko)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101487405B1 (ko) 선박용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101987349B1 (ko) 잔류 염소 농도 측정 방법
WO2018084415A1 (ko) 잔류염소 측정 장치용 시약 공급 장치
KR102259664B1 (ko)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
KR102355766B1 (ko)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용 총 잔류산화제 농도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