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613B1 -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및 그를 위한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및 그를 위한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613B1
KR101395613B1 KR1020070088133A KR20070088133A KR101395613B1 KR 101395613 B1 KR101395613 B1 KR 101395613B1 KR 1020070088133 A KR1020070088133 A KR 1020070088133A KR 20070088133 A KR20070088133 A KR 20070088133A KR 101395613 B1 KR101395613 B1 KR 101395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terminal
platform
external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613A (ko
Inventor
심욱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8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61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2Graphics controller able to handle multiple formats, e.g. input or output for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가 사용중이던 콘텐츠를 외부디스플레이에서 연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상기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외부디스플레이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감지부가 상기 외부디스플레이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감지 단계; (b) 상기 이동단말기가 이용중이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일시정지시키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일시정지 및 콘텐츠 정보 저장 단계; (c)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연결된 상기 외부디스플레이로부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 및 외부디스플레이 입력장치 정보를 전송받는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 정보 수신 단계; (d) 상기 이동단말기가 현재 플랫폼의 플랫폼 해상도 정보와 플랫폼 입력장치 정보를 상기 (c)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 및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입력장치 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의 상기 현재 플랫폼을 모바일 플랫폼에서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으로 변경하는 이동단말기 플랫폼 변경 단계; (e)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유형이 저장 콘텐츠인지 스트리밍 콘텐츠인지 판단하는 콘텐츠 유형 판단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콘텐츠 유형이 상기 저장 콘텐츠라면,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b)단계에서 기 저장된 상기 콘텐츠 해상도 정보를 상기 (d)단계에서 변경된 상기 현재 플랫폼의 상기 플랫폼 해상도 정보로 변경하고, 상기 (b)단계에서 기 저장된 상기 콘텐츠 관련정보를 재설정하는 콘텐츠 정보 변경 단계; 및 (g) 상기 (e)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콘텐츠 유형이 상기 저장 콘텐츠라면,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외부디스플레이로부터 수신한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를 콘텐츠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와 동일한 내용 및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와 동일한 해상도 정보를 가지는 변경 콘텐츠에 대한 변경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변경 콘텐츠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b)단계에서 기 저장된 상기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상기 콘텐츠 관련 정보를 상기 변경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상기 변경 콘텐츠 관련 정보로 변경하여 재설정하는 이동단말기 플랫폼 변경 알림 및 콘텐츠 정보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며, 이동단말기의 플랫폼을 저 해상도의 콘텐츠에 적합한 모바일 플랫폼과 연결된 외부디스플레이로 고 해상도의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적합한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콘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이동단말기 또는 외부디스플레이)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두가지 플랫폼(모바일 플랫폼,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을 서로 변경하는 플랫폼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좋은 화질 또는 높은 가독성을 가지는 만족스러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70088133
콘텐츠, 이동단말기, 플랫폼, 외부디스플레이

Description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단말기{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Managing Platform of Mobile Terminal for Seamless Content Use}
본 발명은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의 플랫폼을 저 해상도의 콘텐츠에 적합한 모바일 플랫폼과 연결된 외부디스플레이로 고 해상도의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적합한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콘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이동단말기 또는 외부디스플레이)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두가지 플랫폼(모바일 플랫폼,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을 서로 변경하는 플랫폼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좋은 화질 또는 높은 가독성을 가지는 만족스러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는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s) 등의 이동단말기의 큰 발전이 있어왔으며, 그와 더불어 동영상, 음악, 게임 등의 멀티미디어 관련 콘텐츠 또한 많은 발전과 이러한 콘텐츠 사용자 저변도 매우 넓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많은 사용자는 이동단말기에서 위에서 언급한 콘텐츠를 지하철, 버스, 학교등의 외부 환경 또는 이동 환경에서 이용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ous Computing) 시대에 따른 사용자 욕구는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그 예로써, 사용자들은 집에 들어오기 전에 이용하고 있던 콘텐츠를 집에 들어온 이후에는 큰 화면의 TV 또는 모니터와 같은 외부디스플레이에서 끊김없이 이어서 이용하고 싶어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로써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변화에 따른 연속적인 콘텐츠 이용에는 아래와 같은 많은 불편함과 문제점이 있다.
우선, 특정 해상도의 콘텐츠는 특정 해상도를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좋은 화질 또는 높은 가독성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낮은 해상도를 가지는 콘텐츠는 낮은 해상도의 플랫폼을 가지는 이동단말기에서는 좋은 화질 또는 높은 가독성을 유지하지만, 낮은 해상도를 가지는 콘텐츠가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모니터 또는 TV와 외부디스플레이에서는 좋은 화질 또는 높은 가독성을 유지할 수가 없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보면, 낮은 해상도의 콘텐츠를 낮은 해상도를 가지는 이동단말기에서 재생하던 중, 이동단말기를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외부디스플레이로 연결하여 낮은 해상도의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하고자한다면, 동일한 낮은 해상도의 콘텐츠는 좋은 화질로 재생이 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플랫폼을 저 해상도의 콘텐츠에 적합한 모바일 플랫폼과 연결된 외부디스플레이로 고 해상도의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적합한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콘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이동단말기 또는 외부디스플레이)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두가지 플랫폼(모바일 플랫폼,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을 서로 변경하는 플랫폼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좋은 화질 또는 높은 가독성을 가지는 만족스러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이동단말기가 사용중이던 콘텐츠를 외부디스플레이에서 연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상기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외부디스플레이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감지부가 상기 외부디스플레이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감지 단계; (b) 상기 이동단말기가 이용중이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일시정지시키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일시정지 및 콘텐츠 정보 저장 단계; (c)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연결된 상기 외부디스플레이로부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 및 외부디스플레이 입력장치 정보를 전송받는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 정보 수신 단계; (d) 상기 이동단말기가 현재 플랫폼의 플랫폼 해상도 정보와 플랫폼 입력장치 정보를 상기 (c)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 및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입력장치 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의 상기 현 재 플랫폼을 모바일 플랫폼에서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으로 변경하는 이동단말기 플랫폼 변경 단계; (e)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유형이 저장 콘텐츠인지 스트리밍 콘텐츠인지 판단하는 콘텐츠 유형 판단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콘텐츠 유형이 상기 저장 콘텐츠라면,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b)단계에서 기 저장된 상기 콘텐츠 해상도 정보를 상기 (d)단계에서 변경된 상기 현재 플랫폼의 상기 플랫폼 해상도 정보로 변경하고, 상기 (b)단계에서 기 저장된 상기 콘텐츠 관련정보를 재설정하는 콘텐츠 정보 변경 단계; 및 (g) 상기 (e)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콘텐츠 유형이 상기 저장 콘텐츠라면,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외부디스플레이로부터 수신한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를 콘텐츠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와 동일한 내용 및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와 동일한 해상도 정보를 가지는 변경 콘텐츠에 대한 변경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변경 콘텐츠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b)단계에서 기 저장된 상기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상기 콘텐츠 관련 정보를 상기 변경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상기 변경 콘텐츠 관련 정보로 변경하여 재설정하는 이동단말기 플랫폼 변경 알림 및 콘텐츠 정보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외부디스플레이에서 사용중이던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플랫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저장 콘텐츠 및 스트리밍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이동단말기 플랫폼 변경 정보를 송신하 고, 상기 외부디스플레이로부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 및 외부디스플레이 입력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저장 콘텐츠 및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저장 관리부; 상기 콘텐츠 저장 관리부에 저장된 상기 저장 콘텐츠 및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콘텐츠 관련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콘텐츠 정보 관리부; 상기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관리를 위해서 사용중인 콘텐츠를 일시정지 또는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재생 관리부; 상기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해상도 정보 및 플랫폼 입력장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플랫폼 관리부; 상기 외부디스플레이와 연결이 된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상태 변경을 위해 외부디스플레이 연결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감지부; 및 상기 외부디스플레이와 직접 연결이 되는 외부디스플레이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플랫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이동단말기의 플랫폼을 저 해상도의 콘텐츠에 적합한 모바일 플랫폼과 연결된 외부디스플레이로 고 해상도의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적합한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콘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이동단말기 또는 외부디스플레이)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두가지 플랫폼(모바일 플랫폼,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을 서로 변경하는 플랫폼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좋은 화질 또는 높은 가독성을 가지는 만족스러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은 이동단말기가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실시간 전송받는 스트리밍 콘텐츠를 재생(사용)중인 상태에서 외부디스플레이로 연결하여 이어서 계속 재생(사용)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단말기가 사용중이던 콘텐츠를 외부디스플레이에서 연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관리 방법은, 이동단말기의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관리부가 외부디스플레이와 연결되고, 이동단말기의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감지부가 외부디스플레이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감지 단계(S 100), 이동단말기가 이용중이던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일시정지시키고, 콘텐 츠에 대한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일시정지 및 콘텐츠 정보 저장 단계(S 102), 이동단말기가 연결된 외부디스플레이로부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 및 외부디스플레이 입력장치 정보를 전송받는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 정보 수신 단계(S 104), 이동단말기가 현재 플랫폼의 플랫폼 해상도 정보와 플랫폼 입력장치 정보를 위에서 언급한 S 104 단계에서 수신한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 및 외부디스플레이 입력장치 정보로 변경하여 이동단말기의 현재 플랫폼을 모바일 플랫폼에서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으로 변경하는 이동단말기 플랫폼 변경 단계(S 106), 이동단말기가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유형이 저장 콘텐츠인지 스트리밍 콘텐츠인지 판단하는 콘텐츠 유형 판단 단계(S 108), 위에서 언급한 S 108 단계에서 판단된 콘텐츠 유형이 저장 콘텐츠라면, 이동단말기가 S 102 단계에서 기 저장된 콘텐츠 해상도 정보를 위에서 언급한 S 106 단계에서 변경된 현재 플랫폼의 플랫폼 해상도 정보로 변경하고, 전술한 S 102단계에서 기 저장된 콘텐츠 관련정보를 재설정하는 콘텐츠 정보 변경 단계(S 110), 위에서 언급한 S 108 단계에서 판단된 콘텐츠 유형이 저장 콘텐츠라면, 이동단말기가 전술한 S 104 단계에서 외부디스플레이로부터 수신한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를 콘텐츠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이용중이던 콘텐츠와 동일한 내용 및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와 동일한 해상도 정보를 가지는 변경 콘텐츠에 대한 변경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변경 콘텐츠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전술한 S 102 단계에서 기 저장된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콘텐츠 관련 정보를 변경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변경 콘텐츠 관련 정보로 변경하여 재설정하는 이동단말기 플랫폼 변경 알림 및 콘텐츠 정보 변경 단계(S 109)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단말기가 사용중이던 콘텐츠를 외부디스플레이에서 연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관리 방법은 전술한 S 108 단계에서의 콘텐츠 유형이 저장 콘텐츠라면, 위에서 언급한 S 110 단계 이후, 이동단말기가 콘텐츠와 동일한 내용을 가지면서 전술한 S 110 단계에서 플랫폼 해상도 정보로 변경된 콘텐츠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저장 콘텐츠 재생 단계(S 112)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단말기가 사용중이던 콘텐츠를 외부디스플레이에서 연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상기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관리 방법은 전술한 S 108 단계에서의 상기 콘텐츠 유형이 스트리밍 콘텐츠라면, 위에서 언급한 S 109 단계 이후, 이동단말기가 전술한 S 109 단계에서의 변경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스트리밍 콘텐츠 재생 단계(S 111)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단말기가 사용중이던 콘텐츠를 외부디스플레이에서 연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관리 방법은 S 100 단계에서의 외부디스플레이와의 연결 감지 이후, 위에서 언급한 S 102 단계는 이동단말기가 자동 수행하거나, 이동단말기의 사용자 선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이동단말기가 사용중이던 콘텐츠를 외부디스플레이에서 연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플랫폼 관리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디스플레이로 이용중이던 콘텐츠를 다시 이동단말기에서 재생하는 시나리오도 발생 할 수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모바일 플랫폼에서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으로 플랫폼을 변경했던 방법과 역순으로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에서 모바일 플랫폼으로 변경하고, 해당 외부디스플레이 연결을 해제하여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로드 동영상 및 게임에 대한 연속적인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모바일 플랫폼 상태인 이동단말기(200)가 동영상 또는 게임과 같은 이동단말기 내 기저장된 저장 콘텐츠(201)를 이용중인 상황에서, 외부디스플레이(220)에 연결하여 계속해서 이용하고자 하는 상황에 대한 플랫폼 관리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플랫폼 상태인 이동단말기(200)가 이용중인 저장 콘텐츠(201)는 모바일 플랫폼에 적합한 저해상도의 콘텐츠이고, 이를 그대로 고해상도를 가지는 외부디스플레이(220)에서 이용하기에는 화질 저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용중이던 콘텐츠를 외부디스플레이(220)에서도 좋은 화질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 1에서 전술한 플랫폼 관리 방법에 의해 모바일 플랫폼 상태인 이동단말기(200)를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 상태의 이동단말기(210)로 플랫폼 변경을 해야만 한다.
이러한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 상태로 플랫폼 변경과 함께 그에 적합한 해상도의 저장 콘텐츠가 준비되어 있어야만 한다. 즉, 하나의 저장 콘텐츠에 대하여 모바일 플랫폼 상태에 적합한 저해상도 버전 및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 상태에 적합한 고해상도 버전을 모두 이동단말기(200)가 구비하고 있어야만 한다.
한편, 기저장된 동영상과 같은 하나의 저장 콘텐츠가 저해상도의 배이스 래이어(Base Layer)와 고해상도 확장에 필요한 인핸스먼트 래이어(Enhancement Layer) 두가지 파일로 구성된 SVC(Scalable Video Codec)를 이용한 콘텐츠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환경에서는 저해상도의 배이스 래이어(Base Layer)만을 재생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고, 고해상도 상태에서는 인핸스먼트 래이어(Enhancement Layer)까지 모두 재생함으로써 높은 화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된 자막의 경우에는 화면 해상도에 따라 폰트의 크기를 적절히 조정하여 높은 가독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저장 콘텐츠가 저해상도 버전만 존재한다면, 콘텐츠제공 서버에서 고해상도의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 형태로 재생할 수 있으며, 이것이 모두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불가피하게 저해상도 버전의 저장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SVC(Scalable Video Codec)를 사용한 저장 콘텐츠의 경우에는 단지 인핸스먼트 래이어(Enhancement Layer)만 콘텐츠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변경된 외부디스플래이 플랫폼 상태에서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동작을 위해서는, 기저장된 게임과 같은 저장 콘텐츠는 3D 게임 형태이고, 동적으로 해상도가 변경 가능하므로 현재 플랫폼의 해상도에 따라 게임의 해상도를 변경하도록 사전에 제작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환경에 따라 입력장치가 변경되는 경우(휴대폰 키패드에서 USB 컨트롤러로)에 따라서도 콘텐츠가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에 대한 연속적인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모바일 플랫폼 상태인 이동단말기(300)가 콘텐츠 제공 서버(33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재생하는 스트리밍 콘텐츠(301)를 이용중인 상황에서, 외부디스플레이(320)에 연결하여 계속해서 이용하고자 하는 상황에 대한 플랫폼 관리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플랫폼 상태인 이동단말기(300)가 이용중인 스트리밍 콘텐츠(301)는 모바일 플랫폼에 적합한 저해상도의 콘텐츠이고, 이를 그대로 고해상도를 가지는 외부디스플레이(320)에서 이용하기에는 화질 저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용중이던 스트리밍 콘텐츠(301)를 외부디스플레이(320)에서도 좋은 화질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 1에서 전술한 플랫폼 관리 방법에 의해 모바일 플랫폼 상태인 이동단말기(300)를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 상태의 이동단말기(310)로 플랫폼 변경을 해야만 하고, 변경된 플랫폼에 적합한 고해상도의 콘텐츠(302)를 수신하여 계속해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변경된 플랫폼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330)로 전송해주어야만 한다.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동작을 위해서는, 스트리밍 콘텐츠는 콘텐츠 제공 서버(330)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동영상을 의미하는데, 이동단말기(300)가 스트리밍(Streamig)을 요청하는 시점에 콘텐츠 제공 서버(330)로 현재 플랫폼의 정보를 올려줌으로써, 모바일 환경에서는 저해상도의 스트리밍 콘텐츠(301)를 콘텐츠 제공 서버(330)로부터 내려받고, 외부 디스플레이와 연결된 경우에는 변경된 플랫폼 정 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330)으로 전송하여 알려줌으로써, 고해상도의 스트리밍 콘텐츠(302)를 내려받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 스트리밍 콘텐츠는 사전에 콘텐츠 제공 서버(330)에 제작 및 저장되어 있어야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플랫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디스플레이에서 사용중이던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플랫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단말기는 데이터 송수신부(410), 콘텐츠 저장 관리부(420), 콘텐츠 정보 관리부(430), 콘텐츠 재생 관리부(440), 플랫폼 관리부(450),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감지부(460), 및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관리부(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송수신부(410)는 저장 콘텐츠 및 스트리밍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로 이동단말기 플랫폼 변경 정보를 송신하고, 외부디스플레이로부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 및 외부디스플레이 입력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콘텐츠 저장 관리부(420)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저장 콘텐츠 및 스트리밍 콘텐츠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콘텐츠 정보 관리부(430)는 콘텐츠 저장 관리부(420)에 저장된 저장 콘텐츠 및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콘텐츠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콘텐츠 재생 관리부(440)는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관리를 위해서 사용중인 콘 텐츠를 일시정지 또는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플랫폼 관리부(450)는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해상도 정보 및 플랫폼 입력장치 정보를 저장하고, 모바일 플랫폼 및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을 포함한 이동단말기의 플랫폼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감지부(460)는 외부디스플레이와 연결이 된 경우,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상태 변경을 위해 외부디스플레이 연결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관리부(470)는 외부디스플레이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내부 구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디스플레이에서 사용중이던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플랫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단말기는 모바일플랫폼에서 저해상도 콘텐츠 또는 고해상도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하여, 해상도에 따라 적합한 이동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디스플레이에서도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분야에 적용되어, 이동단말기의 플랫폼을 저 해상도의 콘텐츠에 적합한 모바일 플랫폼과 연결된 외부디스플레이로 고 해상도의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적합한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콘텐츠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이동단말기 또는 외부디스플레이)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두가지 플랫폼(모바일 플랫폼,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을 서로 변경하는 플랫폼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좋은 화질 또는 높은 가독성을 가지는 만족스러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효과를 발생시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로드 동영상 및 게임에 대한 연속적인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에 대한 연속적인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플랫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모바일 플랫폼의 이동단말기
210: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의 이동단말기
220: 외부디스플레이 400: 이동단말기
410: 데이터 송수신부 420: 콘텐츠 저장 관리부
430: 콘텐츠 정보 관리부 440: 콘텐츠 재생 관리부
450: 플랫폼 관리부 460: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감지부
470: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관리부

Claims (6)

  1. 이동단말기가 사용중이던 콘텐츠를 외부디스플레이에서 연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상기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외부디스플레이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감지부가 상기 외부디스플레이와의 연결을 감지하는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감지 단계;
    (b) 상기 이동단말기가 이용중이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일시정지시키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일시정지 및 콘텐츠 정보 저장 단계;
    (c)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연결된 상기 외부디스플레이로부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 및 외부디스플레이 입력장치 정보를 전송받는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 정보 수신 단계;
    (d) 상기 이동단말기가 현재 플랫폼의 플랫폼 해상도 정보와 플랫폼 입력장치 정보를 상기 (c)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 및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입력장치 정보로 변경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의 상기 현재 플랫폼을 모바일 플랫폼에서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으로 변경하는 이동단말기 플랫폼 변경 단계;
    (e)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유형이 저장 콘텐츠인지 스트리밍 콘텐츠인지 판단하는 콘텐츠 유형 판단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콘텐츠 유형이 상기 저장 콘텐츠라면,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b)단계에서 기 저장된 상기 콘텐츠 해상도 정보를 상기 (d)단계에서 변경된 상기 현재 플랫폼의 상기 플랫폼 해상도 정보로 변경하고, 상기 (b)단계에서 기 저장된 상기 콘텐츠 관련정보를 재설정하는 콘텐츠 정보 변경 단계; 및
    (g) 상기 (e)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콘텐츠 유형이 상기 저장 콘텐츠라면,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외부디스플레이로부터 수신한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를 콘텐츠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와 동일한 내용 및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와 동일한 해상도 정보를 가지는 변경 콘텐츠에 대한 변경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변경 콘텐츠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b)단계에서 기 저장된 상기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상기 콘텐츠 관련 정보를 상기 변경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상기 변경 콘텐츠 관련 정보로 변경하여 재설정하는 이동단말기 플랫폼 변경 알림 및 콘텐츠 정보 변경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의 상기 콘텐츠 유형이 상기 저장 콘텐츠라면, 상기 (f)단계 이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콘텐츠와 동일한 내용을 가지면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플랫폼 해상도 정보로 변경된 상기 콘텐츠 해상도 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저장 콘텐츠 재생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의 상기 콘텐츠 유형이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라면, 상기 (g)단계 이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g)단계에서의 상기 변경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스트리밍 콘텐츠 재생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의 상기 외부디스플레이와의 연결 감지 이후,
    상기 (b)단계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의해 자동 수행하거나, 상기 이동단말기의 사용자 선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 폼 관리 방법.
  5. 외부디스플레이에서 사용중이던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플랫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저장 콘텐츠 및 스트리밍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이동단말기 플랫폼 변경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외부디스플레이로부터 외부디스플레이 해상도 정보 및 외부디스플레이 입력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저장 콘텐츠 및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저장 관리부;
    상기 콘텐츠 저장 관리부에 저장된 상기 저장 콘텐츠 및 상기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해상도 정보 및 콘텐츠 관련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콘텐츠 정보 관리부;
    상기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관리를 위해서 사용중인 콘텐츠를 일시정지 또는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재생 관리부;
    상기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해상도 정보 및 플랫폼 입력장치 정보를 저장하고, 모바일 플랫폼 및 외부디스플레이 플랫폼을 포함한 상기 이동단말기의 플랫폼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플랫폼 관리부;
    상기 외부디스플레이와 연결이 된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의 플랫폼 상태 변 경을 위해 외부디스플레이 연결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디스플레이 연결 감지부; 및
    상기 외부디스플레이와 직접 연결이 되는 외부디스플레이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플랫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상기 모바일플랫폼에서 저해상도 콘텐츠 및 고해상도 콘텐츠 중 하나인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하여, 상기 콘텐츠의 해상도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 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플랫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단말기.
KR1020070088133A 2007-08-31 2007-08-31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및 그를 위한 이동단말기 KR101395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133A KR101395613B1 (ko) 2007-08-31 2007-08-31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및 그를 위한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133A KR101395613B1 (ko) 2007-08-31 2007-08-31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및 그를 위한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613A KR20090022613A (ko) 2009-03-04
KR101395613B1 true KR101395613B1 (ko) 2014-05-16

Family

ID=4069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133A KR101395613B1 (ko) 2007-08-31 2007-08-31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및 그를 위한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99A2 (en) * 2009-08-24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s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KR101771437B1 (ko) * 2009-11-04 2017-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의 속성을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할 기기를 결정하는 컨텐츠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KR101918040B1 (ko) 2012-02-20 2019-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린 미러링 방법 및 그 장치
US20150100993A1 (en) * 2012-03-13 2015-04-09 Lg Electronics Inc. Seamless playback method using bookmark,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US10038934B2 (en) 2014-02-10 2018-07-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content
KR20170083905A (ko) 2016-01-11 2017-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52314B1 (ko) 2016-09-08 2022-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601A (ko) * 2005-03-03 2006-09-19 (주)싸이버뱅크 개인휴대단말기 및 그를 기반으로 하는 dmb 티브이 장치
JP2007088933A (ja) 2005-09-22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KR20070052584A (ko) * 2005-11-17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연결을 지원하는 방송형 휴대단말기 및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JP2007193788A (ja) 2005-12-21 2007-08-02 Masahiro Izutsu 携帯情報通信装置及び該携帯情報通信装置と情報をやり取りするWebサー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601A (ko) * 2005-03-03 2006-09-19 (주)싸이버뱅크 개인휴대단말기 및 그를 기반으로 하는 dmb 티브이 장치
JP2007088933A (ja) 2005-09-22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KR20070052584A (ko) * 2005-11-17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연결을 지원하는 방송형 휴대단말기 및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JP2007193788A (ja) 2005-12-21 2007-08-02 Masahiro Izutsu 携帯情報通信装置及び該携帯情報通信装置と情報をやり取りするWeb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613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613B1 (ko) 연속적인 콘텐츠 사용을 위한 이동단말기 플랫폼 관리 방법및 그를 위한 이동단말기
JP4834187B1 (ja) 再生装置、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システム、認識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885323B2 (ja) ソース機器、シンク機器、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10283185A1 (en) Adaptable layouts for social feeds
JP2011192283A (ja) ハンドヘルド型動画情報処理装置
US102687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 successively in a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one integrated metadata
KR101771437B1 (ko) 컨텐츠의 속성을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할 기기를 결정하는 컨텐츠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US20100169514A1 (en) Picture push
KR102487000B1 (ko) 광고 표시 방법, 광고 표시 장치, 광고 표시 프로그램
CN102404638A (zh) 一种媒体信息分享的方法及系统
JP2007095080A (ja) 携帯情報通信装置、携帯情報通信装置用接続ユニット及び携帯情報通信装置用外部入出力ユニット
KR200800879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방법
CN110740261A (zh) 视频录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00169505A1 (en) Render hopping
WO2018016812A1 (ko) 휴대용 영상 콘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62157A (ko) 영상처리장치, 서버 및 제어방법
JP5649861B2 (ja) 表示装置、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414585B1 (ko) 문서 파일의 효율적인 미러링 방법
JP5285138B2 (ja) ソース機器、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028375B1 (ko) 사용자 관심도를 반영한 멀티미디어 스트림 재생방법 및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KR20100052412A (ko) 동화상 처리 디바이스, 동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JP7124154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端末
CN112528177B (zh) 连接等待页切换内容页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40055019A (ko)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의 스트리밍 서비스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833237B1 (ko) 복수의 미디어 포맷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서비스에 관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