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458B1 - 차량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458B1
KR101395458B1 KR1020120073713A KR20120073713A KR101395458B1 KR 101395458 B1 KR101395458 B1 KR 101395458B1 KR 1020120073713 A KR1020120073713 A KR 1020120073713A KR 20120073713 A KR20120073713 A KR 20120073713A KR 101395458 B1 KR101395458 B1 KR 101395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
noise
exhaust system
vehicle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361A (ko
Inventor
베른트 뮐러
위르겐 쇼른
미햐엘 라인하르트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3000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the gases flowing through the silencer two or more times longitudinally in opposite directions, e.g. using parallel or concentric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61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for adjusting resonance or dead chambers or passages to resonance or dead chambers
    • F01N1/163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for adjusting resonance or dead chambers or passages to resonance or dead chambers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silencers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22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adjustable or movable elements, e.g. valves, membranes, bellows, expanding or shrink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 F02M35/1261Helmholtz reson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94Amplifying, modulating, tuning or transmitting sound, e.g. directing sound to the passenger cabin; Sound modu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 F02M35/1266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comprising multiple chambers or compartments

Abstract

소음 전달 시스템(10) 및 배기 시스템(34)을 가진 차량의 제어 장치로서, 소음 전달 시스템(10)은 차량의 실내 소음을 조정하기 위하여,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가 할당된 제1 관형 연결 요소(12)를 통하여 내연기관까지 이어지는 공기 흡입 파이프(13)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관형 연결 요소(14)를 통하여 차량 실내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시스템은 차량의 실외 소음을 조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를 가지고, 상기 제어 장치는 운전자에 의한 공통 동작 요소(25)의 작동의 함수로서, 소음 전달 시스템(10) 및 상기 배기 시스템의 동작을 공동으로 조종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제어 장치 {CONTROL DEVICE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실내에서, 내연기관으로부터 차량의 실내로 전달될 정의된 소음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차량의 소음 전달 시스템은 독일특허 제103 10 487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독일특허 제103 10 487 A1호에 따르면, 소음 전달 시스템은 내연기관으로 이어지는 흡입 공기 파이프에 제1 관형 연결 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제2 관형 연결 요소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에 연결될 수 있는 흡입 소음 전달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흡입 소음 전달 장치를 내연기관으로 이어지는 공기 흡입 파이프에 연결할 수 있는 제1 관형 연결 요소에 전환가능한 셧-오프(shut-off) 장치를 할당하는 것은 독일특허 제103 10 487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선행 기술에 따르면, 셧-오프 장치가 닫히면, 흡입 소음 전달 장치는 내연기관의 흡입 소음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되고, 반면에 셧-오프 장치가 열리면, 흡입 소음 전달 장치는 내연기관의 흡입 소음에 연결된다.
선행기술로부터 공지된 소음 전달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에서 실내 소음 레벨을 설정하는 것은 이미 가능하지만, 차량 소음 레벨, 구체적으로는 실내 소음 레벨 및 실외 소음 레벨의 신규한 조작이 자동으로 가능하게 하는 차량의 제어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를 시발점으로 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의 신규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항 1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차량의 소음 전달 시스템 및 배기 시스템의 자동 작동에 이용되며, 상기 소음 전달 시스템은 차량의 실내 소음을 조정하기 위하여,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가 할당된 제1 관형 연결 요소를 통하여 내연기관까지 이어지는 공기 흡입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관형 연결 요소를 통하여 차량 실내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소음 전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실외 소음을 조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를 가지고, 상기 제어 장치는 운전자에 의한 공통 동작 요소의 작동의 함수로서, 상기 소음 전달 시스템 및 상기 배기 시스템의 동작을 공동으로 자동 조작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차량의 실내 소음 레벨 및 실외 소음 레벨의 신규한 조작을 자동으로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소음 전달 시스템과 배기 시스템의 셧-오프 장치들을 자동으로 작동할 때, 다시 말해서 열거나 닫을 때 근거로 하는 특성맵들이 상기 제어 장치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특성맵에 기반한 셧-오프 장치의 작동은 특히 간단하므로 바람직하다.
하나의 유리한 개선에서, 상기 소음 전달 시스템의 흡입 소음 전달 장치의 셧-오프 장치들과, 바람직하게 제공되고 상기 흡입 소음 전달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공명기 장치의 셧-오프 장치들을 조종하기 위한 특성맵들은 상기 차량의 차체 형태의 함수이다. 이는 상기 소음 전달 시스템의 셧-오프 장치들의 자동 작동과 이에 따른 실내 소음 레벨의 자동 작동을 상기 차량의 각각의 차체 형태에 적합한 방식으로 가능하게 한다. 반면에, 상기 배기 시스템의 상기 또는 각각의 셧-오프 장치를 조종하고 이에 따라 실외 소음 레벨을 조종하기 위한 특성맵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의 차체 형태와 무관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의 설명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근거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내연기관 및 공기 필터를 포함한, 차량의 소음 전달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내연기관을 포함한, 차량의 배기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쿠페형 차량의 경우 소음 전달 시스템의 셧-오프 장치들의 작동을 위한 특성맵들이다.
도 4는 컨버터블 차량의 경우 소음 전달 시스템의 셧-오프 장치들의 작동을 위한 특성맵들이다.
도 5는 차량의 배기 시스템의 셧-오프 장치들의 작동을 위한 특성맵들이다.
본 발명은 소음 전달 시스템(10)(도 1 참조) 및 배기 시스템(34)(도 2 참조)을 가진 차량에 관한 것이다.
탑승자에게 차량의 내연기관에 따라 다른 소음을 제공하기 위하여, 정의된 실내 소음 레벨을 차량의 실내에서 소음 전달 시스템(10)에 의하여 조종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량의 실외 소음 레벨은 배기 시스템(34)에 의하여 조종될 수 있다.
소음 전달 시스템(10)은, 제1 관형 연결 요소(12)를 통하여 공기 흡입 파이프(13)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관형 연결 요소(14)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는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를 가진다. 공기 흡입 파이프(13)는 공기 필터 장치(15)로부터 내연기관(16)까지, 구체적으로는 내연기관(16)의 공기 흡입 시스템(17)까지 이어진다.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는 사운드 심포저(sound symposer)라고도 불리며, DE 103 10 487 A1에 공지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를 공기 흡입 파이프(13)에 연결할 수 있는 제1 관형 연결 요소(12)에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가 할당된는다.
제1 셧-오프 장치(18)가 열리면,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는 내연기관의 흡입 소음, 구체적으로는 공기 흡입 파이프(13) 내의 흡입 소음에 연결되고, 반면에 제1 셧-오프 장치(18)가 닫히면, 상기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는 흡입 소음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된다.
소음 전달 시스템(10)은 바람직하게는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 외에도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와 상호작용하는 공명기 장치(19)를 가지며, 공명기 장치(19)는 바람직하게는 헬름홀츠(Helmholtz) 공명기이다. 공명기 장치(19)는 튜닝 주파수라고도 부르는 정의된 주파수도 조정된다. 특히 주파수가 내연기관의 정의된 회전 속도 범위에서 그의 진동 차수, 예를 들어 엔진 진동의 3차수만큼 강한 여기(excitation)를 받으면, 공명기 장치(19)는, 예를 들어 240Hz의 주파수로 조정될 수 있다.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가 제1 관형 연결 요소(12)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공명기 장치(19)는 제3 관형 연결 요소(20)를 통하여 내연기관(16)까지 이어지는 공기 흡입 파이프(13)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공명기 장치(19)의 기능을 위해서는, 제3 관형 연결 요소(20)가 그 길이와 직경 면에서 공명기 장치(19)의 체적 크기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공명기 장치(19)를 흡입 파이프(13)에 연결할 수 있는 제3 관형 연결 요소(20)에는 제1 관형 연결 요소(12)에 할당된 제1 셧-오프 장치(18)와 마찬가지로, 전환가능하게 설계된 제2 셧-오프 장치(21)가 할당된다.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가 열리면, 공명기 장치(19)는 흡입 파이프(13) 내의 흡입 소음과 연결되고, 반면에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가 닫히면, 공명기 장치(19)는 흡입 파이프(13) 내의 흡입 소음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된다.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에 의하여, 차량의 실내에서 실내 소음 레벨은 직접 조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헬름홀츠 공명기로 설계된 공명기 장치(19)에 의하여, 차량 실내에서의 실내 소음 레벨은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조종될 수 있다.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두 개의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 21), 구체적으로는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와 상호작용하는 제1 셧-오프 장치(18) 및 공명기 장치(19)와 상호작용하는 제2 셧-오프 장치(21)는 제1 전환 위치 조합에서,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는 닫히고,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는 열리도록 구동되고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환 위치 조합에서,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는 셧-오프 장치(18)가 닫히면 흡입 파이프(13) 내의 흡입 소음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되고, 반면에 공명기 장치(19)는 제2 셧-오프 장치(21)가 열리면 흡입 파이프(13) 내의 흡입 소음에 연결된다.
두 개의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 21)의 제2 전환 위치 조합에서는,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와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가 모두 닫히고, 그러면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와 공명기 장치(19) 모두 흡입 파이프(13) 내의 흡입 소음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된다.
두 개의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 21)의 제3 전환 위치 조합에서는,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 21)가 모두 열리고, 그 결과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와 공명기 장치(19) 모두 흡입 파이프(13) 내의 흡입 소음에 연결된다.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가 열리고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가 닫히는 제4 전환 위치 조합에서,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는 흡입 파이프(13) 내의 흡입 소음에 연결되고, 반면에 공명기 장치(19)는 흡입 파이프(13) 내의 흡입 소음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된다.
두 개의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 21)의 위의 4 가지 전환가능한 위치 조합은 다음 표와 같이 요약된다:
전환 위치 조합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의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 공명기 장치(19)의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
열림 닫힘 열림 닫힘
1 X X
2 X X
3 X X
4 X X
제1 셧-오프 장치(18)가 닫히고 제2 셧-오프 장치(21)가 열리는 상기한 제1 전환 위치 조합은 차량의 실내(미도시)에서 제1의, 비교적 조용한 실내 소음 레벨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데, 상기 제1 실내 소음 레벨은 쾌적 모드 소음 레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셧-오프 장치(18, 21) 모두 닫히는 상기한 제2 전환 위치 조합은 제1 실내 소음 레벨보다 더 높은 제2 실내 소음 레벨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데, 제2 실내 소음 레벨은 중간 소음 레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셧-오프 장치(18, 21) 모두 열리는 상기한 제3 전환 위치 조합은 제2 실내 소음 레벨보다 더 높고, 따라서 제1 실내 소음 레벨보다도 더 높은 제3 실내 소음 레벨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데, 상기 제3 실내 소음 레벨은 스포츠 모드 소음 레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제1 셧-오프 장치(18)가 열리고 제2 셧-오프 장치(21)가 닫히는 상기한 제4 전환 위치 조합은 제3 실내 소음 레벨보다 더 높고, 따라서 제2 및 제1 실내 소음 레벨들보다도 더 높은 제4 실내 소음 레벨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데, 상기 제4 실내 소음 레벨은 레이싱 모드 실내 소음 레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두 개의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 21)는 바람직하게는 열린 플랩(flap) 위치와 닫힌 플랩 위치 사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플랩으로 설계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이,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를 공기 흡입 파이프(13)에 연결할 수 있는 제1 관형 연결 요소(12), 및 공명기 장치(19)를 흡입 파이프(13)에 연결할 수 있는 제3 관형 연결 요소(20)는 공기 필터 장치(15)로부터 내연기관(16), 구체적으로는 내연기관(16)의 공기 흡입 시스템(17)까지 이어지는 공기 흡입 파이프(13)에 각각 맞물리고, 이러한 맞물림은 구체적으로는 공기 필터 장치(15)의 하류에서 그리고 공기 흡입 파이프(13)에 할당된 스로틀 플랩(throttle flap, 22)의 상류에서 일어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여기서 제1 관형 연결 요소(12)와 제3 관형 연결 요소(20)는 공기 흡입 파이프(13)의 통류 방향(23)에 대한 동축 위치에서 공기 흡입 파이프(13)에 맞물린다.
제1 관형 연결 요소(12)와 제3 관형 연결 요소(20)가 공기 흡입 파이프(13) 에 맞물리는 축의 위치는 공명기 장치(19)의 튜닝 주파수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바람직하게는 최대의 압력 발진 진폭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관형 연결 요소(12)와 제3 관형 연결 요소(20)는 특히 90°내지 270°에 달하는 원주 오프셋을 가진 공기 흡입 파이프(13)의 상기 축의 위치에서 공기 흡입 파이프(13) 상에서 맞물린다.
따라서, 도 1의 소음 전달 시스템(10)은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와 공명기 장치(19)를 포함한다.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는 제1 관형 연결 요소(12)를 통하여 공기 흡입 파이프(13)에 연결될 수 있고, 반면에 공명기 장치(19)는 제3 관형 연결 요소(20)를 통하여 공기 흡입 파이프(13)에 연결될 수 있다.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는 제2 관형 연결 요소(14)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에 연결될 수 있다.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와 공명기 장치(19) 모두에 각각 하나의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 21)가 할당되고,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에 할당된 셧-오프 장치(18)는 제1 관형 연결 요소(12)에 할당되고, 공명기 장치(19)에 할당된 셧-오프 장치(21)는 제3 관형 연결 요소(20)에 할당된다. 셧-오프 장치(18, 21)의 전환 위치의 함수로서 차량의 차량 실내에서 상이한 실내 소음 레벨이 설정될 수 있다.
차량의 배기 시스템(34)(도 2 참조)은 내연기관(16)으로부터 나오는 배기 가스가 각 경우에 하나의 배기 파이프(36)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소음기(35)를 포함한다. 각 경우, 하나의 후방 소음기(37)는 상기 또는 각 전방 소음기(35)와 상호작용하고, 각각의 후방 소음기(37)는 배기 파이프(38)를 통하여 각각의 전방 소음기(35)에 연결되고 배기 파이프(39)를 통하여 주변환경으로 배기 가스를 내보낸다.
상기 또는 각 전방 소음기(35)로부터 분기되고 셧-오프 장치(41)가 할당된 배기 파이프(40)를 통하여, 상기 또는 각 후방 소음기(37)를 우회하여 배기가스가 주변환경으로 직접 배출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별도의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41)가 각 전방 소음기(35)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이다. 하나의 공통적인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41)는 양 전방 소음기(35)를 위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또는 각각의 셧-오프 장치(41)가 닫히면, 배기 가스 모두는 상기 또는 각 후방 소음기(37)를 통하여 흘러야만 하고, 이에 의해 차량의 비교적 낮은 실외 소음 레벨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또는 각각의 셧-오프 장치(41)가 열리면, 배기 가스의 일부는 각각의 후방 소음기(37)를 우회하도록 흐를 수 있고, 그 결과 차량의 비교적 높고, 스포츠카와 같은 소음 레벨이 설정될 수 있다.
셧 오프 장치(18, 21, 41)의 자동 작동을 위하여, 차량은 제어 장치(24)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24)는 실내 소음 레벨을 설정하기 위하여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 및/또는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를 자동으로 작동하고, 실외 소음 레벨을 설정하기 위하여 배기 시스템(34)의 상기 또는 각각의 셧-오프 장치(41)를 자동으로 작동한다.
제어 장치(24)가 자동적으로 작동할 때, 다시 말해서,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 및/또는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를 열거나 닫을 때 근거로 하는 특성맵이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24)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24)가 자동적으로 작동할 때, 다시 말해서, 배기 시스템(34)의 상기 또는 각각의 셧-오프 장치(41)를 열거나 닫을 때 근거로 하는 특성맵이 제어 장치(24)에 저장된다. 상기 특성맵은 적어도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의 함수 및/또는 내연기관의 부하의 함수이다. 차량 실내에 설치된 공통 동작 요소(25)의 운전자에 의한 작동의 함수로서, 제어 장치(24)는 소음 전달 시스템(10) 및 배기 시스템(34)의 셧-오프 장치들(18 및/또는 21과 41)의 자동의, 공동 작동을 위한 특성맵을 결정한다.
또한,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 및 공명기 장치(19)의 셧-오프 장치(18, 21)를 조종하기 위한 특성맵은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차체 형태의 함수이다. 반면에, 배기 시스템(34)의 상기 또는 각각의 셧-오프 장치(41)를 조종하기 위한 특성맵은 차량의 차체 형태와 무관하다.
도 3은 바람직하게는 쿠페형 또는 세단형 차량에서 사용되는 것들과 같이,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 및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의 자동 작동을 위한 총 4가지의 특성맵들(26, 27, 28, 29)을 보여준다. 특성맵들 각각은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n)와 내연기관 부하(L)의 함수이다.
운전자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동작 요소(25)의 작동의, 바람직하게는 제1 비작동 상태에서, 제1 특성맵(26)은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의 자동 조종을 위하여 동작하고, 제2 특성맵(27)은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의 자동 조종을 위하여 동작한다.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의 자동 조종을 위한 제1 특성맵(26)은 제1 셧-오프 장치(18)를 영구적으로 닫는다.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의 자동 조종을 위한 제2 특성맵(27)은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n)의 함수로서 제2 셧-오프 장치(21)를 자동으로 열거나 닫고, 구체적으로는 내연기관이 임계치(L1)보다 낮은 비교적 저부하(L)에 있을 때, 제2 특성맵(27)은 내연기관의 전체 회전 속도 범위에 대하여 제2 셧-오프 장치(21)를 개방한다. 반면에, 내연기관이 임계치(L1)보다 높은 비교적 고부하에 있는 경우에는, 제2 특성맵(27)은,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가 하한 임계치(n1)보다 낮거나 상한 임계치(n2)보다 높을 때는, 제2 셧-오프 장치(21)가 닫히고,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가 하한 임계치(n1)보다 높거나 상한 임계치(n2)보다 낮을 때는, 제2 셧-오프 장치(21)가 열리도록, 제2 셧-오프 장치(21)를 조종한다.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각각의 셧-오프 장치가 닫히는 특성맵 영역들은 도 3과 도 4에서 빗금으로 표시되어 있고, 반면에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각각의 셧-오프 장치가 열리는 특성맵 영역들은 도 3과 도 4에서 빗금 없이 표시되어 있다.
운전자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동작 요소(25)의 작동의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 상태에서, 제3 특성맵(28)은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의 자동 조종을 위하여 동작하고, 제4 특성맵(29)은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의 자동 조종을 위하여 동작한다.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의 자동 조종을 위한 제3 특성맵(28)은 제1 셧-오프 장치(18)를 영구적으로 연다.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의 자동 조종을 위한 제4 특성맵(29)은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n)의 함수로서 그리고 내연기관의 부하(L)와는 무관하게 제2 셧-오프 장치(21)를 자동으로 열거나 닫는다. 제4 특성맵(29)은,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가 하한 임계치(n3)보다 낮거나 상한 임계치(n4)보다 높을 때, 제2 셧-오프 장치(21)가 닫히고,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가 하한 임계치(n3)보다 높거나 상한 임계치(n4)보다 낮을 때, 제2 셧-오프 장치(21)가 열리도록, 제2 셧-오프 장치(21)를 자동으로 작동한다.
임계치(n3)는 임계치(n1)과 대응할 수 있고, 임계치(n4)는 임계치(n2)와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임계치들은 다를 수도 있다.
도 4는 바람직하게는 컨버터블 차량에서 사용되는 것들과 같이,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 및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의 자동 조종을 위한 총 4가지의 특성맵들(30, 31, 32, 33)을 보여준다. 4가지 특성맵들(30, 31, 32, 33) 각각은 다시 내연기관(16)의 회전 속도(n)의 함수이며 또한, 내연기관(16)의 부하(L)의 함수이다.
컨버터블 차량의 경우, 동작 요소(25)의 작동의 특히 제1 비작동 상태의 경우에,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의 자동 작동을 위한 제1 특성맵(30)은 제1 셧-오프 장치(18)를 영구적으로 닫는다. 동작 요소(25)의 작동의 제1 상태에서,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의 자동 작동을 위한 제2 특성맵(31)은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의 함수로서 제2 셧-오프 장치(21)를 자동으로 열거나 닫는다. 따라서, 상기 특성맵들(30, 31)은, 동작 요소(25)가 제1 작동 상태에 있을 때 활성이 된다. 내연기관이 임계치(L5)보다 낮은 비교적 저부하에 있을 때,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의 자동 작동을 위한 제2 특성맵(31)은 내연기관의 전체 회전 속도 범위에 걸쳐서 제2 셧-오프 장치(21)를 열고, 반면에 내연기관이 임계치(L5)보다 높은 비교적 고부하에 있을 때, 제2 특성맵(31)은,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가 임계치 n5보다 낮을 때 제2 셧-오프 장치(21)가 닫히도록, 그리고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가 임계치 n5보다 높을 때 제2 셧-오프 장치(21)가 열리도록, 제2 셧-오프 장치(21)를 작동한다.
동작 요소(25)의, 특히 작동된 특히 제2 작동 상태에서,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의 자동 작동을 위한 제3 특성맵(32)과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의 자동 작동을 위한 제4 특성맵(33)은 활성화되고, 특성맵들(30, 31)은 비활성화되는데, 각 경우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의 함수로서 개별적으로 상기 제3 특성맵(32)은 제1 셧-오프 장치(18)를 자동으로 열거나 닫고, 제4 특성맵(33)은 제2 셧-오프 장치(21)를 자동으로 열거나 닫는다.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1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의 자동 작동을 위한 제3 특성맵(32)은,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가 임계치(n6)보다 낮을 때 제1 셧-오프 장치(18)가 열리고,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가 임계치(n6)보다 높을 때 제1 셧-오프 장치(18)가 닫히도록, 내연기관의 부하와 무관하게 제1 셧-오프 장치(18)를 작동한다.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제2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의 자동 작동을 위한 제4 특성맵(33)은,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가 하한 임계치(n7)보다 낮거나 상한 임계치(n8)보다 높을 때 제2 셧-오프 장치(21)가 닫히도록, 그리고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가 하한 임계치(n7)보다 높거나 상한 임계치(n8)보다 낮을 때 제2 셧-오프 장치(21)가 열리도록, 내연기관의 부하와 무관하게 제2 셧-오프 장치(21)를 자동으로 작동한다.
임계치 n5는 임계치(n7)과 대응할 수 있고, 임계치(n6)은 임계치(n8)과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임계치들은 다를 수도 있다.
슬라이딩 루프 또는 파노라마 루프를 가진 차체 형태의 경우, 슬라이딩 루프 또는 파노라마 루프를 닫은 상태에서의 주행 및 슬라이딩 루프 또는 파노라마 루프를 연 상태에서의 주행에 대해 상이한 특성맵들이 제어 장치(24)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한 데, 이러한 특성맵은 슬라이딩 루프 상태 또는 파노라마 루프 상태의 함수로서 제어 장치(24)에 의하여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닫혀진 슬라이딩 루프 또는 파노라마 루프를 위한 특성맵은 쿠페-형태를 위한 특성맵에 해당할 수 있고, 열린 슬라이딩 루프 또는 파노라마 루프를 위한 특성맵은 컨버터블 타입에 대한 특성맵에 해당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4)는, 운전자에 의한 공통 동작 요소(25)의 작동의 함수로서, 한 편으로는 소음 전달 시스템(10)의 동작을, 다른 한 편으로는 배기 시스템(34)의 동작을 조종한다. 도 5는 제어 장치(24)가 배기 시스템(34)의 동작, 구체적으로는 배기 시스템(34)의 상기 또는 각각의 셧-오프 장치(41)의 동작을 조종할 때 근거로 하는 두 개의 특성맵(42, 43)을 보여준다. 동작 요소(25)의 작동의 특히 제1 비작동 상태에서, 배기 시스템(34)의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41)의 자동 작동을 위한 제1 특성맵(42)은, 회전 속도(n)이 임계치(n9)보다 높고 부하(L)이 임계치(L9)보다 높을 때 셧-오프 장치(41)가 열리도록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n)와 부하(L)의 함수로서, 셧-오프 장치(41)를 열고 닫는다. 반면에, 셧-오프 장치(41)는, 회전 속도(n)이 임계치(n9)보다 낮고/낮거나 부하(L)이 임계치(L9)보다 낮을 때, 닫힌다.
동작 요소(25)의 작동의 특히 제2 작동 상태에서, 배기 시스템(34)의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41)의 자동 작동을 위한 제2 특성맵(43)은 셧-오프 장치(41)를 영구적으로 개방한다.
배기 시스템(34)의 상기 또는 각각의 셧-오프 장치(41)가 열리는 특성맵 영역들은 각 경우 도 5에서 빗금으로 표시되어 있고, 반면에 배기 시스템(34)의 상기 또는 각각의 셧-오프 장치(41)가 닫히는 특성맵 영역들은 도 5에서 빗금 없이 표시되어 있다.
동작 요소(25)가 작동되지 않으면, 배기 시스템(34)의 셧-오프 장치들(41)은, 내연기관이 임계치(n9)보다 높은, 비교적 높은 회전 속도(n)에 있는 동시에 내연기관이 임계치(L9)보다 높은, 비교적 높은 부하(L)에 있을 때에만 열리고, 그 결과 내연기관이 비교적 높은 회전 속도와 부하로 있을 때에만, 비교적 높은 엔진 성능이 보장되면서 비교적 높은, 스포츠 주행 모드 시의 실외 소음 레벨이 제공된다. 반면에, 내연기관이 비교적 낮은 회전 속도 및/또는 비교적 낮은 부하에 있고, 동작 요소(25)가 작동되지 않으면, 배기 시스템(34)의 셧-오프 장치들(41)은 닫히고, 그것에 의하여 비교적 낮은 실외 소음 레벨이 제공된다. 또한, 동시에, 동작 요소(25)가 작동되지 않으면, 비교적 낮은 실내 소음 레벨이 셧-오프 장치(18, 21)의 해당 작동을 통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동작 요소(25)가 비작동된 상태의 작동으로 있으면, 특성맵(26 또는 30)은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의 셧-오프 장치(18)를 영구적으로 닫고, 다른 특성맵(27 또는 31)은, 내연기관이 임계치(L1 또는 L5)보다 낮은 비교적 저부하로 있으면, 공명기 장치(19)의 셧-오프 장치(21)를 영구적으로 열고, 내연기관이 임계치(L1 또는 L5)보다 높은 비교적 고부하로 있으면, 회전 속도의 함수로서 공명기 장치(19)의 셧-오프 장치(21)를 열고 닫는다. 여기서, 배기 시스템(34)의 상기 또는 각각의 셧-오프 장치(41)는, 내연기관이 비교적 낮은 부하로 있을 때, 특성맵(42)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닫히는데, 특성맵(42)은, 내연기관이 비교적 높은 부하로 있을 때, 회전 속도의 함수로서 배기 시스템(34)의 상기 또는 각각의 셧-오프 장치(41)를 열고 닫는다.
반면에, 동작 요소(25)가 작동될 때, 배기 시스템(34)의 셧-오프 장치(41)는 영구적으로 열리고, 그 결과 비교적 높은, 스포츠 주행 모드 시의 실외 소음 레벨이 영구적으로 제공된다. 또한, 동시에, 동작 요소(25)가 작동될 때, 비교적 높은 실내 소음 레벨이 셧-오프 장치(18, 21)의 해당 작동을 통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동작 요소(25)가 제2 작동 상태에 있을 때, 특성맵(28)은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의 셧-오프 장치(18)를 영구적으로 열고, 혹은 특성맵(32)은 회전 속도의 함수로서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의 셧-오프 장치(18)를 열고 닫으며, 여기서 다른 특성맵(29 또는 33)은 회전 속도의 함수로서 공명기 장치(19)의 셧-오프 장치(21)를 열고 닫는다.
10 소음 전달 시스템
11 흡입 소음 전달 장치
12 연결 요소
13 흡입 파이프
14 연결 요소
15 공기 필터 장치
16 내연기관
17 흡입 시스템
18 셧-오프 장치
19 공명기 장치
20 연결 요소
21 셧-오프 장치
22 스로틀 플랩
23 흐름 방향
24 제어 장치
25 동작 요소
26 특성맵
27 특성맵
28 특성맵
29 특성맵
30 특성맵
31 특성맵
32 특성맵
33 특성맵
34 배기 시스템
35 전방 소음기
36 배기 파이프
37 후방 소음기
38 배기 파이프
39 배기 파이프
40 배기 파이프
41 셧-오프 장치
42 특성맵
43 특성맵

Claims (10)

  1. 소음 전달 시스템(10) 및 배기 시스템(34)을 가진 차량의 제어 장치이며, 상기 소음 전달 시스템(10)은 상기 차량의 실내 소음을 조정하기 위하여, 개폐 상태를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18)가 할당된 제1 관형 연결 요소(12)를 통하여 내연기관까지 이어지는 공기 흡입 파이프(13)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관형 연결 요소(14)를 통하여 차량 실내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 시스템(34)은 상기 차량의 실외 소음을 조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폐 상태를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41)를 가지고, 상기 제어 장치는 운전자에 의한 공통 동작 요소(25)의 작동에 따라, 상기 소음 전달 시스템(10) 및 상기 배기 시스템(34)의 동작을 공동으로 조종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요소(25)의 제1 작동 상태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낮은 실내 소음 레벨 및 낮은 실외 소음 레벨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소음 전달 시스템(10) 및 상기 배기 시스템(34)의 셧-오프 장치들의 동작을 위한 특성맵들을 결정하고, 상기 동작 요소(25)의 제2 작동 상태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높은 실내 소음 레벨과 높은 실외 소음 레벨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소음 전달 시스템(10) 및 상기 배기 시스템(34)의 셧-오프 장치들의 동작을 위한 특성맵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전달 시스템(10)은 상기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와 상호작용하고 제3 관형 연결 요소(20)를 통하여 내연기관까지 이어지는 상기 공기 흡입 파이프(12)에 연결될 수 있는 공명기 장치(19)를 갖고, 상기 제3 관형 연결 요소(20)에 개폐 상태를 전환가능한 셧-오프 장치(21)가 할당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특성맵들을 근거로 상기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 상기 공명기 장치(19) 및 상기 배기 시스템(34)의 셧-오프 장치들(18, 21, 41)을 자동으로 열거나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요소(25)의 상기 제1 작동 상태에서, 하나의 특성맵(26, 30)은 상기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의 셧-오프 장치(18)를 영구적으로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다른 특성맵(27, 31)은, 상기 내연기관이 낮은 부하로 있을 때, 상기 공명기 장치(19)의 셧-오프 장치(21)를 영구적으로 열고, 상기 내연기관이 높은 부하로 있을 때 회전 속도의 함수로서 상기 공명기 장치(19)의 셧-오프 장치(21)를 열고 닫으며, 또 다른 특성맵(42)은, 상기 내연 기관이 낮은 부하로 있을 때, 상기 배기 시스템(34)의 셧-오프 장치(41)를 영구적으로 닫고, 상기 내연기관이 높은 부하로 있을 때 회전 속도의 함수로서 상기 배기 시스템(34)의 셧-오프 장치(41)를 열고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요소(25)의 상기 제2 작동 상태에서, 하나의 특성맵(28, 32)은 상기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의 셧-오프 장치(18)를 영구적으로 열거나 회전 속도의 함수로서 상기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의 셧-오프 장치(18)를 열고 닫으며, 또 다른 특성맵(29, 33)은, 회전 속도의 함수로서 상기 공명기 장치(19)의 셧-오프 장치(21)를 열고 닫으며, 또 다른 특성맵(43)은 상기 배기 시스템(34)의 셧-오프 장치(41)를 영구적으로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맵들은 내연기관의 회전 속도의 함수이거나, 내연기관의 부하의 함수이거나 이들 모두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 및 공명기 장치(19)의 셧-오프 장치들(18, 21)을 조종하기 위한 특성맵들은 상기 차량의 차체 형태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시스템(34)의 셧-오프 장치(41)를 조종하기 위한 상기 특성맵들은 상기 차량의 차체 형태와 무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운전자에 의한 상기 동작 요소(25)의 작동 함수로서 상기 흡입 소음 전달 장치(11)의 셧-오프 장치(18), 상기 공명기 장치(19)의 셧-오프 장치(21), 그리고 상기 배기 시스템(34)의 셧-오프 장치(41)의 자동 동작을 위한 상기 특성맵들을 자동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0.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소음 전달 시스템 및 배기 시스템의 셧-오프 장치들을 열거나 닫을 때 근거로 하는 특성맵들이 상기 제어 장치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KR1020120073713A 2011-07-08 2012-07-06 차량의 제어 장치 KR101395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51690.5 2011-07-08
DE102011051690.5A DE102011051690B4 (de) 2011-07-08 2011-07-08 Steuerungs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m Geräuschübertragungssystem und einem Abgas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361A KR20130006361A (ko) 2013-01-16
KR101395458B1 true KR101395458B1 (ko) 2014-05-14

Family

ID=4670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713A KR101395458B1 (ko) 2011-07-08 2012-07-06 차량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07274B2 (ko)
KR (1) KR101395458B1 (ko)
CN (1) CN102867508B (ko)
DE (1) DE102011051690B4 (ko)
GB (1) GB24926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1689A1 (de) 2011-07-08 2013-01-10 Dr. Ing. H.C. F. Porsche Ag Geräuschübertragungssystem
DE102011051691A1 (de) * 2011-07-08 2013-01-1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Geräuschübertragungssystem
DE102011088150A1 (de) * 2011-12-09 2013-06-13 Kess-Tech Gmbh Schalldämpfer-Anordnung
KR101405222B1 (ko) * 2012-12-17 2014-06-10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능동 제어 사운드 제너레이터
DE102013208946A1 (de) 2013-05-15 2014-11-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bgasanlag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Abgasanlage
DE102013210464A1 (de) 2013-06-05 2014-12-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bgasanlag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Abgasanlage
JP6075263B2 (ja) * 2013-10-04 2017-02-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吸気装置
KR101567698B1 (ko) * 2014-06-05 2015-1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프링이 구비된 가변 흡기 밸브
US9706322B2 (en) 2015-03-26 2017-07-11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leak detection in an engine sound transportation passageway
US9587535B2 (en) * 2015-04-09 2017-03-07 K&N Engineering, Inc. Drone elimination muffler
EP3141720B1 (en) 2015-09-10 2018-10-31 Akrapovic d.d. Exhaust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automotive engine
US10067907B2 (en) * 2016-05-05 2018-09-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including noise management system having automotive audio bus (A2B) interface
US10596898B2 (en) * 2018-05-07 2020-03-24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Muffler assembly including a center muffler and two satellite mufflers
US10584626B2 (en) 2018-05-07 2020-03-1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Muffler assembly including a center muffler and two satellite mufflers
US10767543B2 (en) * 2018-07-20 2020-09-0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Reduced length exhaust system with valve
US11255303B2 (en) 2019-01-21 2022-02-22 Toledo Molding & Die, Llc Inline high frequency fiber silenc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7717A (ja) 2005-12-28 2007-07-12 Nissan Motor Co Ltd 吸気音増音装置
KR100783950B1 (ko) 2006-12-06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이중모드 흡기 시스템
KR100950997B1 (ko) 2009-09-15 2010-04-02 (주) 피코사운드 스포츠 모드 가변 소음기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1715A1 (de) * 1996-10-10 1998-04-16 Mann & Hummel Filter Ansaug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9705273C1 (de) * 1997-02-12 1998-03-05 Porsche Ag Sauganlag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9922216A1 (de) * 1999-05-14 2000-11-30 Mahle Filtersysteme Gmbh Schallübertrag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0369212B1 (ko) 1999-07-07 2003-01-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연 기관의 배기 소음 및/또는 기체 이송 시스템의 덕트내부의 소음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E10042012B4 (de) 1999-11-22 2004-08-19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zur Geräuschgestaltung bei einem Kraftfahrzeug
JP3645864B2 (ja) * 2001-03-21 2005-05-11 ダイムラークライスラー アーゲー 自動車両における騒音構成のための装置
DE10114397A1 (de) * 2001-03-23 2002-09-26 Mahle Filtersysteme Gmbh Schallübertrag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22507A1 (de) 2001-09-24 2003-05-08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r Geräuschgestaltung bei einem Kraftfahrzeug
JP4279536B2 (ja) 2001-10-27 2009-06-17 フイルテルウエルク マン ウント フンメル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騒音伝達装置
US6732510B2 (en) * 2002-02-06 2004-05-11 Arvin Technologies, Inc. Exhaust processor with variable tuning system
US20050121255A1 (en) * 2002-05-29 2005-06-09 Marcus Hofmann Device for establishing noise in a motor vehicle
US20050133300A1 (en) * 2002-05-29 2005-06-23 Marcus Hofmann Device for establishing noise in a motor vehicle
DE10231056A1 (de) * 2002-07-10 2004-02-05 J. Eberspächer GmbH & Co. KG Abgasanlage
DE112004002158T5 (de) * 2003-11-06 2006-11-02 Mahle Filter Systems Japan Corp. Ansaugvorrich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4041698B4 (de) * 2004-08-28 2014-02-13 Mann + Hummel Gmbh Vorrichtung zur Geräuschübertragung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04041699A1 (de) * 2004-08-28 2006-03-02 Mann + Hummel Gmbh Vorrichtung zur Geräuschübertragung in einem Kraftfahrzeug
JP4689363B2 (ja) * 2005-06-20 2011-05-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増音装置
DE102006039467A1 (de) * 2005-08-26 2007-03-15 Toyoda Gosei Co., Ltd., Nishikasugai Steuerungsstruktur für das Lufteinlassgeräusch
US7353791B2 (en) 2005-10-07 2008-04-08 Nissan Motor Co., Ltd. Sound increase apparatus
US8384528B2 (en) 2006-01-23 2013-02-26 Ford Global Technologies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varying motor vehicle sounds
DE102007026812A1 (de) * 2007-06-06 2008-12-11 J. Eberspächer GmbH & Co. KG Abgasanlage
JP2009007996A (ja) * 2007-06-27 2009-01-15 Denso Corp 内燃機関の音質制御装置
US8186323B2 (en) * 2007-07-26 2012-05-29 Nissan Motor Co., Ltd. Intake air noise adjuster
US8009839B2 (en) * 2008-03-13 2011-08-30 Hagen Gary E Automotive sensory enhancement system
JP4993755B2 (ja) * 2008-03-18 2012-08-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吸気音発生装置
US20090319160A1 (en) * 2008-06-24 2009-12-24 Callahan Joseph E Active exhaust valve control strategy for improved fuel consumption
ES2363296T3 (es) * 2008-12-17 2011-07-29 MAGNETI MARELLI S.p.A. Sistema de escape de un motor de combustión interna.
DE102009032214B4 (de) * 2009-07-06 2023-10-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bgasanlage einer Brennkraftmaschine
KR101114394B1 (ko) 2009-12-02 2012-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소음기
US8011469B2 (en) * 2009-12-18 2011-09-06 Mann & Hummel Gmbh Tunable sound transmiss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5639794B2 (ja) * 2010-06-23 2014-12-10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内燃機関の吸気音発生装置
US8127888B1 (en) * 2011-02-02 2012-03-06 Mann + Hummel, GmbH Engine sound distribution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DE102011051691A1 (de) * 2011-07-08 2013-01-1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Geräuschübertragungssystem
DE102011051689A1 (de) * 2011-07-08 2013-01-10 Dr. Ing. H.C. F. Porsche Ag Geräuschübertragungssystem
US8381871B1 (en) * 2011-09-28 2013-02-2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ompact low frequency reson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7717A (ja) 2005-12-28 2007-07-12 Nissan Motor Co Ltd 吸気音増音装置
KR100783950B1 (ko) 2006-12-06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이중모드 흡기 시스템
KR100950997B1 (ko) 2009-09-15 2010-04-02 (주) 피코사운드 스포츠 모드 가변 소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08737A1 (en) 2013-01-10
KR20130006361A (ko) 2013-01-16
CN102867508B (zh) 2015-10-28
GB201211145D0 (en) 2012-08-08
DE102011051690A1 (de) 2013-01-10
GB2492634A (en) 2013-01-09
US8807274B2 (en) 2014-08-19
CN102867508A (zh) 2013-01-09
DE102011051690B4 (de) 2023-06-29
GB2492634B (en)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458B1 (ko) 차량의 제어 장치
US10995640B2 (en) Muffler with selected exhaust pathways
US6848410B2 (en) Sound transmiss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7506723B2 (en) Muffler for an exhaust gas system
JP5642119B2 (ja) ノイズ伝送システム
US73572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oustical damping
CN106340289B (zh) 用于机动车的噪声传递系统
US20090319160A1 (en) Active exhaust valve control strategy for improved fuel consumption
KR101395968B1 (ko) 소음 전달 시스템
US6135079A (en) Air intake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148782A (en) Airflow device
US20020039422A1 (en) Driving mode for active noise cancellation
US10436085B2 (en) Road vehicle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provided with a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the exhaust noise
JP2005076619A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音制御装置
US20050121254A1 (en) Device for establishing noise in a motor vehicle
KR20170062210A (ko) 엔진 사운드 전달 장치
JPS6342671Y2 (ko)
JP3074863U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KR100482614B1 (ko) 내연기관의공기흡입장치
CN110552775A (zh) 可变音量排气管
JPH11210574A (ja) Egr装置付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05139919A (ja) 制御マフラシステム
JP2015028366A (ja) 車両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