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408B1 - 송신장치, 수신장치 및 페이징 정보 수신방법 - Google Patents

송신장치, 수신장치 및 페이징 정보 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408B1
KR101392408B1 KR1020087028830A KR20087028830A KR101392408B1 KR 101392408 B1 KR101392408 B1 KR 101392408B1 KR 1020087028830 A KR1020087028830 A KR 1020087028830A KR 20087028830 A KR20087028830 A KR 20087028830A KR 101392408 B1 KR101392408 B1 KR 101392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channel
information
paging indicato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907A (ko
Inventor
켄이치 히구치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009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04W68/025Indirect p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22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 H04W84/027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providing pag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송신장치에,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유저가 속하는 그룹 ID와, 상기 페이징 채널이 송신되는 무선 리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를 생성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를 다중하는 다중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Figure R1020087028830
페이징 채널,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Description

송신장치, 수신장치 및 페이징 정보 수신방법{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PAGING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본 발명은, 송신장치, 수신장치 및 페이징 정보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체 통신에서는 단말에 대하여 착신이 있는 경우, 그 뜻을 단말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의 위치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위치등록 에리어(location registration area)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위치등록 에리어 마다 LAI(Location Area Identifer)가 할당되어 있다. 네트워크에서는 단말이 위치등록하고 있는 위치등록 에리어 내의 전 단말에 대하여 착신이 있다는 것을 동보적으로 통지한다. 이 수순을 페이징(paging)이라 부른다.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있어서 페이징 정보(paging information)의 수신 수순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신장치에서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PICH: Paging Indicator Channel)이 수신된다(단계 S2). PICH는, PCH(Paging Channel)를 수신해야 하는 유저 그룹의 ID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룹 ID 마다의 플래그(flag)가 준비된다. 예를 들어, 72의 유저 그룹이 있는 경우, 72비트 준비된다. PICH에 의해, 복수의 그룹 ID를 동시에 호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수신장치는, PCH를 수신한다(단계 S4). PCH는 PICH로 지시된 그룹 ID의 유저가 수신하는 채널이며, 실제로 호출되고 있는 유저 ID가 쓰여져 있다. 예를 들어, 유저 ID는,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라고 불리우며, 32비트로 표현된다. W-CDMA에서는, 하나의 PCH로 5인분의 호출 유저 ID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왜 호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Cause ID도 부가된다. 이 Cause ID는, 통신종별, 예를 들어 음성 등을 나타내고, 2-3비트 정도이다.
다음으로, 수신장치는, 방송채널(BCH: Broadcast Channel)을 수신한다. PCH로 호출된 유저는, RACH(Random Access Channel)을 송신하여 Initial access를 수행하지만, 그 전에 BCH를 확인하고, 규제가 걸려있지 않은지를 확인하며, 최신 간섭량 정보(interference amount information)를 수신한다(단계 S6).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배경기술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전 그룹 ID용의 페이징 정보가 한 번에 송신되기 때문에, 송신되는 정보량이 많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페이징에 관한 제어비트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송신장치, 수신장치 및 페이징 정보 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송신장치는,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수신하는 유저가 속하는 그룹 ID와, 상기 페이징 채널이 송신되는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paging indicator information)를 생성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생성수단; 및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를 다중하는 다중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의 비트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장치는,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유저가 속하는 그룹 ID의 수와, 페이징 채널에 할당하는 주파수 블럭(frequency block)의 수와, 그 위치와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채널을 수신하는 방송정보 수신수단; 상기 그룹 ID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유저가 속하는 그룹 ID와, 상기 페이징 채널의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수신수단; 및 상기 그룹 ID에 기초하여, 호출대상이 되는 유저 ID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페이징 정보 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방송채널에 의해 방송된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유저가 속하는 그룹 ID의 수에 기초하여,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유저가 속하는 그룹 ID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이징 정보 수신방법은,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유저가 속하는 그룹 ID의 수와, 페이징 채널에 할당하는 주파수 블럭의 수와, 그 위치와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채널을 수신하는 방송정보 수신단계; 상기 그룹 ID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유저가 속하는 그룹 ID와, 상기 페이징 채널의 무선 리소스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수신단계; 및 상기 그룹 ID에 기초하여, 호출대상이 되는 유저 ID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페이징 정보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방송채널에 의해 방송된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유저가 속하는 그룹 ID의 수에 기초하여,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유저가 속하는 그룹 ID를 특정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페이징에 관한 제어비트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송신장치, 수신장치 및 페이징 정보 수신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페이징 정보의 수신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그룹 ID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정보의 수신 수순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정보의 맵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정보의 맵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에 있어서 그룹 ID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의 포맷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에 있어서 리소스 블럭 인덱스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에 있어서 리소스 블럭 인덱스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에 있어서 리소스 블럭 인덱스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과 페이징 채널의 송신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과 페이징 채널의 송신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럭도이 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송신장치
20 수신장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가지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며,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radio communication system)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ase station)과 이동 국(mobile station)을 구비한다. 기지국은 송신장치(10)를 구비하며, 이동국은 수신장치(20)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10)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송신장치(10)는, 방송채널(broadcast channel)과,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paging indicator channel)과,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송신한다. 이 방송채널을 이용하여, 수신장치(20)를 구비하는 이동국은, 셀서치(cell search)를 수행한다. 또한, 수신장치(20)를 구비하는 이동국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자(自)이동국이 속하는 그룹 ID가 호출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자이동국이 호출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페이징 채널의 리소스 블럭(resource block) 정보(RB index)를 얻는다(단계 S402). 또한, 수신장치(20)를 구비하는 이동국은,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자이동국의 유저 ID(TMSI :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가 호출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호출되고 있는 경우, 호출되고 있는 이유, 예를 들어 통신 종별을 나타내는 Cause ID를 얻는다(단계 S404). 그 후, 이동국은 (BCH를 확인하고 나서), 랜덤 액세스 채널(RACH: Random Access Channel)로 이니셜 액세스(initial access)를 수행한다(단계 S406).
송신장치(10)는, 네트워크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입력되는 페이징 채널 생성부(102)와, 페이징 채널 생성부(102)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채널부호화 데이터 변 조부(1083) 및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paging indicator information) 생성수단으로서의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생성부(106)와,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생성부(106)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채널부호화 데이터 변조부(1082)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생성부(104)와, 시스템 정보 생성부(104)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채널 부호화 데이터 변조부(1081)와, 채널 부호화 데이터 변조부(1081), 채널 부호화 데이터 변조부(1082) 및 채널 부호화 데이터 변조부(1083)로부터의 출력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승산부(1101, 1102 및 1103)와, 승산부(1101, 1102, 및 1103)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다중부(112)와, 승산부(1101, 1102, 및 1103)로 입력하는 스크램블 코드(scrambling code)를 생성하는 스크램블 코드 생성기(114)와, 승산부(1101, 1102, 및 1103)로 입력하는 스크램블 코드를 제어하는 제어부(116)를 구비한다.
시스템 정보 발생부(104)로부터 입력된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PICH(Paging Indicator Channel)의 수신 타이밍(reception timing), 간헐수신간격(intermittent reception interval), PICH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PICH의 최대 호출수, PCH(Paging Channel)의 리소스 블럭(resource block)을 나타내는 정보와 해당 리소스 블럭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는, 채널 부호화 데이터 변조부(1081)에 있어서, 부호화 처리 및 변조처리가 수행된다.
또한,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된 호출신호에 기초하여 페이징 채널 생성부(102)에 있어서 생성된 페이징 정보는, 채널 부호화 데이터 변조부(1083)에 있어서, 부호화처리 및 변조처리가 수행된다.
또한, 페이징 채널 생성부(102)는, 호출정보(call information)를 수신한 것을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생성부(106)로 입력한다.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생성부(106)는, 페이징 채널 생성부(102)에 의해 통지된 호출정보에 기초하여,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을 생성한다.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생성부(106)에서 생성된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은, 채널 부호화 데이터 변조부(1082)에 있어서, 부호화 처리 및 변조처리가 수행된다.
그리고, 변조된 시스템 정보,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페이징 채널은, 승산기(1101, 1102, 및 1103)에 있어서, 셀 고유의 스크램블링 부호, 섹터 고유의 스크램블링 부호 및 셀 고유의 스크램블링 부호가 승산된다. 승산기(1101, 1102 및 1103)에는, 스크램블 코드 생성기(114)가 출력하는 제어부(116)에 있어서 제어된 스크램블링 부호가 입력된다.
스크램블링 부호가 승산된 시스템 정보,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페이징 채널은, 다중부(112)에 있어서, 각각 방송채널,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페이징 채널로 다중된다.
예를 들어, 다중부(112)에서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ICH를 PCH에 대하여, 적어도 1 서브프레임(sub-frame) 전 송신이 되도록 맵핑(mapping)한다. 즉, 다중부(112)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을, 페이징 채널에 대하여 적어도 1 서브프레임 간격을 두고 맵핑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수신장치(20)에 있어서 수신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즉, 수신장치(20)에서는, PICH에 기초하여, PCH를 수신하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따라서, PICH와 PCH와의 사이에 적어도 1 서브프레임 정도 간격을 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에서는,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 등의 그 외의 채널은 생략된다.
또한, 다중부(112)에서는, PICH, PCH를 송신하는 경우에, 파일럿 채널을 다중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CH, PICH 송신시에 있어서, PCH, PICH 복조용의 섹터 공통 파일럿 채널(sector-common pilot channel)과 L1/L2 제어채널(control channel) 복조용의 섹터 고유 파일럿 채널(sector-specific pilot channel)과 다중한다. 또한, 섹터 공통 파일럿과 섹터 고유 파일럿은 적어도 하나의 같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부터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방송채널,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페이징 채널의 생성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스템 정보 발생부(104)는, 방송채널로 송신하는 시스템 정보를 생성한다. 시스템 정보 발생부(104)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PICH)의 수신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 간헐수신간격을 나타내는 정보, PICH의 MCS, PICH의 최대의 호출수, 페이징 채널의 리소스 블럭을 나타내는 식별자와 리소스 블럭의 위치와의 관계를 나 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3GPP Evolved UTRA and UTRAN에서는, 1.25MHz에서 20MHz의 시스템 대역폭(system bandwidth)을 취득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10)에서는, 방송채널을 항상 1.25MHz로 송신하거나 1.25MHz 또는 5MHz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방송채널의 송신대역폭을 미리 결정하는 것에 의해, 이동국은 시스템 대역폭을 알 수 없는 단계에 있어서도 방송채널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방송채널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대역폭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방송채널을 동기채널(synchronization channel)과 같은 중심주파수로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이동국은 셀 서치후, 중심주파수를 변경하지 않고, 바로 방송채널을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필요최저한의 시스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방송채널의 중심주파수는,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이동국의 수신처리를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방송채널이 송신되는 대역폭은, 모든 이동국이 최저한 수신하지 않으면 안되는 대역폭 이하로 송신하는 것에 의해, 모든 이동국이 방송채널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생성부(106)는, 네트워크로부터의 호출신호에 기초하여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를 생성한다.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생성부(106)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로서,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유저가 속하는 그룹 ID와, 페이징 채널의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 정보를 나타내는 리소스 블럭 인덱스(RB index)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생 성부(106)는, 그룹 ID로서, 직접 그룹 ID를 지시하는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수비트, 예를 들어 6비트로부터 이루어지는 호출그룹 ID를 생성한다. 도 6에 따르면, 6비트로 구성되는 호출그룹 ID가 4개 생성되지만, 4 이상으로 하여도 좋으며 4 이하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최대 4그룹을 동시에 호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호출할 수 있는 그룹 ID의 수는, 예를 들어, 방송채널에 의해 통지된다. 이 경우 PICH의 그룹 ID에 필요한 비트수는 4×6=24비트가 된다. 각 호출 그룹 ID는 6비트로 구성되므로, 128까지의 그룹 ID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호출 ID수가 4에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입력한다. 이와 같이, 직접 그룹 ID를 지시하는 형식으로 하는 것에 의해, PCH를 수신해야 하는 그룹 ID에 사용되는 비트수를 저감할 수 있다. 직접 그룹 ID를 지시하는 형식에서는, 동시에 호출하는 그룹 ID수에 제한이 있지만, 직접 호출하는 그룹 ID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해결가능하다.
지금까지, 그룹 ID는, 플래그(flag)형에 의해 지정되어 있다. 플래그형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CH를 수신해야 하는 유저 그룹수 만큼 플래그가 준비되며, 해당 플래그의 값에 의해 호출하는 그룹의 지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룹의 수가 64인 경우에, 그룹 ID 마다 플래그가 준비되며, 그 플래그를 "+1"로 하는 것에 의해 호출하는 그룹이 지시된다.
또한,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생성부(106)는, RB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PCH로 할당하는 RB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RB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PCH에 있어서 RB의 위치는 미리 시스템에서 정해진다. 여 기서, 리소스 블럭은, 시스템 대역폭을 연속하는 주파수 서브캐리어(sub-carrier)로 이루어지는 블럭으로 분할한 주파수 블럭(frequency block)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B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1이 생성된 경우, 복수의 리소스 블럭 중, 소정 위치의 리소스 블럭을 PCH로 할당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전 리소스 블럭수가 12인 경우, 예를 들어, 1번째의 리소스 블럭을 할당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B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2가 생성된 경우, 복수의 리소스 블럭 중, 소정의 2개소의 위치의 리소스 블럭을 PCH로 할당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전 리소스 블럭수가 12인 경우, 예를 들어, 1번째와 7번째의 리소스 블럭을 할당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B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3이 생성된 경우, 복수의 리소스 블럭 중, 소정의 3개소의 위치의 리소스 블럭을 PCH로 할당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전 리소스 블럭수가 12인 경우, 예를 들어, 1번째와 5번째와 9번째의 리소스 블럭을 할당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페이징 채널 생성부(102)는, 페이징 정보를 생성한다. 페이징 채널 생성부(102)는, 페이징 정보로서, 유저 ID와, Cause ID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및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는, 동일 기지국 내의 섹터 간에 공통의 스크램블 코드를 승산하여 수신측에서의 소프트 컴바이닝(soft combining)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페이징 채널은, 방송채널이 송신되는 주파수와 같은 중심주파수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이동국의 수신처리를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페이징 채널은,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주파수와 같은 중심 주파수로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이동국의 수신처리를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채널이 송신되는 대역폭은, 모든 이동국이 최저한 수신하지 않으면 안되는 대역폭 이하로 송신하는 것에 의해, 모든 이동국이 페이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채널은, 하나의 무선 리소스 블럭 또는 그 일부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이동국의 수신처리를 간이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6)에 있어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있어서, 복수의 기지국, 복수의 섹터에서 동일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섹터의 경계영역에 재권하는 이동국에서는, 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이동국은 양 섹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에서는 2배의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게 되고, 이동국에서는 양 섹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서로 간섭이 되기 때문에, 낭비가 커지게 되고, 결과로서 효율이 떨어지고 만다.
OFDMA에 있어서, 섹터 간에 공통의 스크램블 코드를 이용하고, 그리고, 송신 타이밍(transmission timing)을 일치시킨 경우, 인접하는 섹터로부터의 신호는 간 섭이 되지 않고, 각 섹터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합성된다(소프트 컴바이닝).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6)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페이징 채널로 송신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및 페이징 정보에 대하여, 스크램블 코드를 공통화하고, 송신 타이밍을 맞추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공통의 스크램블 코드가 승산된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및 페이징 정보를 양 섹터로부터, 섹터 간의 스케듈러의 코디네이션(coordination)에 의해 동일 타이밍에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수신측에서는 합성된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및 페이징 정보가 수신된다.
또한, 제어부(116)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페이징 채널로 송신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및 페이징 정보에 대하여, 복수의 섹터에 있어서, 섹터 고유의 직교코드(sector-specific orthogonal channel)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결과, 주파수 영역에서 섹터 고유의 직교코드가 각 섹터로부터 송신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페이징 채널로 다중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수신측에서는 동일 기지국의 섹터간에 있어서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페이징 채널 간의 직교성은 유지되므로, 각 섹터의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페이징 채널을 서로 간섭을 받지 않고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섹터 1, 섹터 2로부터 다른 직교코드(C1, C2)를 이용하여 송신한 경우에 대해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섹터 1로부터는 스크램블 코드 C1이 승산된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페이 징 채널이 송신되며, 섹터 2로부터는 스크램블 코드 C2가 승산된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페이징 채널이 송신된다.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드 1은 p1, p1, p1, p1, p1, p1, p1, p1, p1,...의 계열로 구성되며, 코드 2는 p1, p2, p3, p1, p2, p3, p1, p2, p3,...의 계열로 구성된다(이 예는 Spreading factor가 3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p1=1, p2=exp{j(2/3)π}, p3=exp{-j(2/3)π}로 하는 것에 의해, 코드 1과 코드 2를 직교시킬 수 있다. C1과 C2는 직교하므로, 수신측에서는 각 섹터의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페이징 채널을 서로 간섭을 받지 않고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를 L1/L2 제어채널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송신장치(1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이징 채널 생성부(102)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L1/L2 시그널링 생성부(107)와, L1/L2 시그널링 생성부(107)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채널 부호화 데이터 변조부(1084)와, 채널 부호화 데이터 변조부(1084)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승산기(1104)를 구비한다. 승산기(1104)의 출력신호는 다중부(112)에 입력되고, 승산기(1104)에는 스크램블 코드 생성기(114)에 의해 스크램블링 코드가 입력된다.
L1/L2 시그널링 생성부(107)는, 상술한 그룹 ID와, RB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그룹 ID와, RB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는, 채널부호화 데이터 변조부(1084)에 있어서 부호화 변조된다.
또한, 트리거(trigger)가 되는 신호를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에 의해 송신 하고,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를 L1/L2 제어채널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송신장치(10)는, 도 10에 도시한 송신장치와 동일의 구성이 된다.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생성부(106)는, 트리거가 되는 신호를 생성한다. L1/L2 시그널링 생성부(107)는, 상술한 그룹 ID와, RB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중 그룹 ID를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에 의해 송신하고,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중 RB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L1/L2 제어채널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송신장치(10)는, 도 10에 도시한 송신장치와 동일의 구성이 된다.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생성부(106)는, 상술한 그룹 ID를 생성한다. L1/L2 시그널링 생성부(107)는, 상술한 RB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이동국은, DRX(Discontinuous Reception) 주기에 기초하여, PI(Paging Indicator) 기능에 의해 페이징이 있는 것이 통지된다.
기지국은, DRX 주기를 가변으로 하고, DRX 주기를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어느 이동국이 PI 기능에 의해 페이징이 있는 것을 통지받는 주기(DRX 주기)는, 길어질수록 이동국의 간헐수신간격이 길어지기 때문에 배터리 세이빙 면에서 유리한 반면, 페이징 지연이 증대한다. DRX 주기를 가변으로 하는 것에 의해, 운용면에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DRX 주기는, 시스템 정보로 통지된다. 또한, DRX 주기를 셀마다 가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송신장치(10)는, PI기능을 가지는 채널, 예를 들어, PICH 또는 L1/L2 제어채널, 또는,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는 페이징 채널에 대하여, 페이징에 적합한 송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송신 다이버시티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효율적인 페이징 제어정보의 송신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보다 적은 시간ㆍ주파수ㆍ전력의 토탈의 무선 리소스로 송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어부(116)는, 방송채널에 대하여, 스크램블 코드 및 송신 타이밍을 공통으로 하도록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페이징에서는, 통상의 데이터 채널 송신시와 같이 기지국-이동국 간의 제어루프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오픈루프의 송신 다이버시티가 적합하다. 예를 들어, 송신 다이버시티로서, STBC(Space Time Block Code), SFBC(Space Frequency Block Code), TSTD(Time Switched Transmit Diversity), TSTD가 일정주기(시간)로 송신 안테나를 변경하는 것에 대하여, 주파수마다 송신 안테나를 변경하는 FSTD(Frequency Switched Transmit Diversity), CDD(Cyclic Delay Diversity) 중 어느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송신장치(10)는, PI기능을 가지는 채널, 예를 들어, PICH 또는 L1/L2 제어채널, 또는,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는 페이징 채널에 대하여, 시간 다이버시티를 적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시간 다이버시티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효율적 페이징 제어정보의 송신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보다 적은 시간ㆍ주파수ㆍ전력의 토탈의 무선 리소스로 송신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시간 다이버시티로서, 반복 송신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송신측도 심플하며, 수신측에서 단순한 Chase 합성에 의한 고품질 수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시간 다이버시티로서, Incremental Redundancy(IR)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송수신 처리는, 반복송신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약간 복잡해지지만, 고품질 수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간 다이버시티에 의해 복수회 걸치는 송신을 수행할 때, 송신마다 사전에 할당된 주파수 블럭 내에 주파수 홉핑을 수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시간 다이버시티에 더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고품질에서의 페이징이 가능해진다.
또한, 페이징 채널에 할당하는 무선 리소스 블럭은, 일정주기로 변경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채널부하의 랜덤화의 효과가 얻어지며, 무선 리소스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기 위한 송신방법으로서는, 디스트리뷰트형(Distributed transmission) 혹은 로컬라이즈드형(Localized transmission)의 송신방법 중 어느 것을 이용한다.
또한, 주파수축 상에서 반복 또는 채널부호화를 이용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고품질에서의 페이징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20)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20)는, 수신신호가 입력되는 방송정보 수신수단 으로서의 방송채널 수신부(202),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수신수단으로서의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PICH) 수신부(204) 및 페이징 정보 수신수단으로서의 페이징 채널(PCH) 수신부(206)를 구비한다.
방송채널 수신부(202)는, 방송정보(BCH)를 수신한다. 방송정보에는, PICH의 수신 타이밍, 간헐수신간격, PICH의 MCS, PICH의 최대 호출수, PCH의 리소스 블럭을 나타내는 정보와, 해당 리소스 블럭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방송채널 수신부(202)는, 수신한 방송정보, 즉 PICH의 수신 타이밍, 간헐수신간격, PICH의 MCS, PICH위 최대호출수, PCH의 리소스 블럭을 나타내는 정보와, 해당 리소스 블럭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수신부(204)로 입력한다.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수신부(204)는, 방송정보에 포함되는 PICH의 MCS, PICH의 최대호출수(N)에 기초하여,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의 수신처리를 수행한다. PICH 수신부(204)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에 포함되는 유저의 그룹 ID를 참조하여, 자이동국이 속하는 그룹 ID가 해당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수신부(204)는 입력된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에 포함되는 호출그룹 ID를 참조하여, 자이동국이 속하는 그룹 ID가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포함되는 경우에 자이동국이 속하는 그룹 ID와, RB 인덱스를 페이징 채널 수신부(206)에 입력한다.
페이징 채널 수신부(206)는, 입력된 그룹 ID와, RB 인덱스에 기초하여, 페이 징 채널을 수신한다.
또한,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수신부(204)는, 소프트 컴바이닝을 적용하여,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을 수신한다.
페이징 채널 수신부(206)는, 자이동국이 속하는 그룹 ID와, 리소스 블럭 인덱스가 입력된 경우,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고, 페이징 채널에 포함되는 유저 ID를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하고, 자이동국의 유저 ID가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자이동국의 유저ID가 포함되는 경우, 이동국은 RACH를 송신하고, 이니셜 액세스를 수행하고, 통신을 개시한다.
또한, 페이징 채널 수신부(206)는, 소프트 컴바이닝을 적용하고, 페이징 채널을 수신한다.
섹터 간에 소프트 컴바이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섹터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채널 추정값이 필요하다.
수신장치(20)에서는, 방송채널 수신부(202),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수신부(204) 및 페이징 채널 수신부(206)에 있어서, 섹터 고유의 파일럿 채널을 사용하여, 섹터마다의 채널 추정값을 구하고, 해당 섹터마다의 채널 추정값의 합계로부터 소프트 컴바이닝용의 채널 추정값이 구해진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섹터 독립의 파일럿 채널은, 공유 데이터 채널 등의 수신에 필요하므로, 여분 파일럿의 추가의 필요가 없이 실현 가능하다.
또한, 송신장치(10)로부터 섹터 공통의 파일럿 채널을 별도 송신하도록 하고, 수신장치(20)는, 방송채널 수신부(202),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수신부(204) 및 페이징 채널 수신부(206)에 있어서, 소프트 컴바이닝용의 채널 추정값을 직접 구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소프트 컴바이닝시의 채널 추정이 간단하다.
또한, L1/L2 제어채널에 의해 그룹 ID, 리소스 블럭 인덱스가 송신되는 경우의 수신장치의 구성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신장치에, 수신신호가 입력되는 L1/L2 시그널링 수신부(208)를 구비한다. L1/L2 시그널링 수신부(208)의 출력신호는 페이징 채널 수신부(206)로 입력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20)의 동작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방송채널 수신부(202)는, 방송채널(BCH)을 수신한다(단계 S1202). 예를 들어, 방송채널 수신부(202)는, 방송채널에 포함된다. PICH의 수신 타이밍, 간헐수신간격, PICH의 MCS, PICH의 최대호출수, PCH의 리소스 블럭을 나타내는 정보와 해당 리소스 블럭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얻는다.
다음으로,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수신부(204)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을 주기적으로 수신한다(단계 S1204).
다음으로,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수신부(204)는, 수신한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자이동국이 속하는 그룹 ID가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1206).
자이동국이 속하는 그룹 ID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1206: YES),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수신부(204)는, 페이징 채널 수신부(206)로, 그룹 ID와 리소스 블럭의 인덱스(RB index)를 입력한다. 그 결과, 페이징 채널 수신부(206)는, 페이징 채널을 수신한다(단계 S1208).
한편, 자이동국이 속하는 그룹 ID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단계 S1206: NO), 단계 S1204로 돌아간다.
다음으로, 페이징 채널 수신부(206)는, 수신한 페이징 채널에 기초하여, 자이동국의 유저 ID가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1210).
자이동국의 유저 ID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S1210: YES), 이동국은 랜덤 액세스 채널을 송신하고, 이니셜 액세스를 수행한다(단계 S1212).
한편, 자이동국의 유저 ID가 포함된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단계 S1210: NO), 단계 S1204로 돌아간다.
또한,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를 구성하는 그룹 ID 및 RB 인덱스가 L1/L2 제어채널로 송신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L1/L2 시그널링 수신부(208)는, 송신장치(10)로부터 송신된 L1/L2 제어채널의 수신처리를 수행하고, 그룹 ID와, 리소스 블럭의 인덱스를 페이징 채널 수신부(206)로 입력한다. 이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1206 이후의 처리가 수행된다.
또한, 트리거(Trigger)가 되는 신호가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에 의해 송신되고,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를 구성하는 그룹 ID 및 RB 인덱스가 L1/L2 제어채널로 송신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송신장치(10)로부터 송신된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에 의해 송신된 트리거 신호가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수신부(204)에 있어서 수신된 것을 트리거로서, L1/L2 시그널링 수신부(208)는, L1/L2 제어채널의 수신처리를 수행하고, 그룹 ID와, RB 인덱스를 페이징 채널 수신부(206)로 입력한다. 이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1206 이후의 처리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중 그룹 ID를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에 의해 송신하고,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중 RB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L1/L2 제어채널로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수신부(204)는, 송신장치(10)로부터 송신된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의 수신처리를 수행하고, 그룹 ID를 취득하고, 다음으로, L1/L2 시그널링 수신부(208)는, L1/L2 제어채널의 수신처리를 수행하여 리소스 블럭의 인덱스를 취득하고, 페이징 채널 수신부(206)로 입력한다. 이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1206 이후의 처리가 수행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6년 5월 1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6-127995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2006-127995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수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 수신장치 및 페이징 정보 수신방법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17)

  1.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수신하는 유저가 속하는 그룹 ID와, 상기 페이징 채널이 송신되는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paging indicator information)를 생성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생성수단; 및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를 다중하는 다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생성수단은, 무선 리소스 정보로서 시스템 대역폭(system bandwidth)을 연속하는 주파수 서브캐리어(sub-carrier)로 이루어지는 블럭으로 분할한 주파수 블럭(frequency block) 중, 상기 페이징 채널로 할당하는 주파수 블럭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생성수단은, 소정의 비트로 이루어지는 그룹 I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채널에 할당하는 주파수 블럭의 수와, 그 위치는 미리 대응지어지고,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생성수단은, 상기 페이징 채널에 할당하는 주파수 블럭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수단은, 상기 그룹 ID 및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L1/L2 제어채널(control channel)로 다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생성수단은, 트리거(trigger)가 되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다중수단은, 상기 트리거를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로 다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수단은, 상기 그룹 ID를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로 다중하고, 상기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L1/L2 제어채널로 다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수단은, 상기 그룹 ID 및 상기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로 다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수단은,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을, 페이징 채널에 대하여 적어도 1 서브프레임(sub-frame) 간격을 두고 맵핑(mapp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수단은, 페이징 채널,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복조용의 섹터 공통 파일럿 채널(sector-common pilot channel)과 L1/L2 제어채널 복조용의 섹터 고유 파일럿 채널(sector-specific pilot channel)을 다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수단은, 상기 섹터 공통 파일럿과 상기 섹터 고유 파일럿을 적어도 하나의 같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 다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상기 페이징 채널에 대하여, 섹터 간에 스크램블 코드(scrambling code) 및 송신 타이밍(transmission timing)을 공통으로 하는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 채널 및 상기 페이징 채널에 대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섹터 고유의 직교코드(sector-specific orthogonal channel)를 다중하는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ID의 수와, 페이징 채널에 할당하는 주파수 블럭의 수와, 그 위치와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생성하는 시스템 정보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다중수단은, 상기 시스템 정보를 방송채널(broadcast channel)로 다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5.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수신하는 유저가 속하는 그룹 ID와 상기 페이징 채널이 송신되는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를 포함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paging indicator information)를 수신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수신수단; 및
    상기 그룹 ID에 기초하여, 호출대상이 되는 유저 ID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페이징 정보 수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인디게이터 정보 수신수단은, 무선 리소스 정보로서 시스템 대역폭(system bandwidth)을 연속하는 주파수 서브캐리어(sub-carrier)로 이루어지는 블럭으로 분할한 주파수 블럭(frequency block) 중, 상기 페이징 채널로 할당하는 주파수 블럭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수신수단 및 상기 페이징 정보 수신수단은, 소프트 컴바이닝(soft combining)을 적용하고, 상기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및 상기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7.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을 수신하는 유저가 속하는 그룹 ID와 상기 페이징 채널이 송신되는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paging indicator information)를 수신하는 페이징 인디케이터 정보 수신단계; 및
    상기 그룹 ID에 기초하여, 호출대상이 되는 유저 ID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는 페이징 정보 수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인디게이터 정보 수신단계는, 무선 리소스 정보로서 시스템 대역폭(system bandwidth)을 연속하는 주파수 서브캐리어(sub-carrier)로 이루어지는 블럭으로 분할한 주파수 블럭(frequency block) 중, 상기 페이징 채널로 할당하는 주파수 블럭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정보 수신방법.
KR1020087028830A 2006-05-01 2008-11-25 송신장치, 수신장치 및 페이징 정보 수신방법 KR101392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27995 2006-05-01
JP2006127995A JP4790484B2 (ja) 2006-05-01 2006-05-01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ページング情報受信方法
PCT/JP2007/058540 WO2007129541A1 (ja) 2006-05-01 2007-04-19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ページング情報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907A KR20090009907A (ko) 2009-01-23
KR101392408B1 true KR101392408B1 (ko) 2014-05-08

Family

ID=3866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830A KR101392408B1 (ko) 2006-05-01 2008-11-25 송신장치, 수신장치 및 페이징 정보 수신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054792B2 (ko)
EP (2) EP2779764B1 (ko)
JP (1) JP4790484B2 (ko)
KR (1) KR101392408B1 (ko)
CN (1) CN101467478B (ko)
BR (1) BRPI0711057A2 (ko)
RU (1) RU2445753C2 (ko)
TW (1) TW200803249A (ko)
WO (1) WO20071295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0895B2 (ja) * 2006-01-18 2010-03-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US8279801B2 (en) 2006-10-31 2012-10-02 Kddi Corporatio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terminal apparatus
JP2009177774A (ja) * 2007-12-27 2009-08-06 Kyocera Corp 信号処理装置、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538464B2 (en) * 2008-05-06 2013-09-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de word assignment methods for quick paging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JP5198145B2 (ja) * 2008-05-19 2013-05-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端末装置並びに方法
EP3169007B1 (en) * 2009-06-15 2018-03-28 Fujitsu Limit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11013200A1 (ja) * 2009-07-28 2011-02-03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端末および通信方法
US20110053617A1 (en) * 2009-08-26 2011-03-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aging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US8903433B2 (en) 2009-11-04 2014-12-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aging method and apparatus considering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656530B1 (ko) * 2010-06-04 2016-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밴드 정보를 이용한 페이징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1152669A2 (en) * 2010-06-04 2011-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ging message using band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60708B2 (en) * 2010-06-29 2013-10-15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undles of sessions in a network element
WO2012043524A1 (ja) * 2010-10-01 2012-04-05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US8611952B2 (en) * 2011-05-11 2013-12-17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obile communications radio receiver for multiple network operation
US9560630B2 (en) 2011-08-12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for reduced overhead paging
US9560632B2 (en) * 2011-08-12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for title of invention reduced overhead paging
US8737280B2 (en) 2011-09-13 2014-05-27 Apple Inc. Adaptive receive diversity during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wireless device
US8768385B2 (en) * 2011-11-07 2014-07-01 Nokia Siemens Networks Oy Radio impacts due to group triggering and paging and solutions for group triggering and paging
EP2784948B1 (en) 2011-11-24 2016-11-09 LG Electronics Inc. Grouping-based data transceiving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WO2014015464A1 (zh) * 2012-07-23 2014-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系统及其设备
JP5555760B2 (ja) * 2012-12-07 2014-07-23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方法
US9749986B2 (en) * 2014-08-28 2017-08-29 Apple Inc. Paging mechanisms for link-budget-limited user devices
CN105813199A (zh) * 2014-12-30 2016-07-27 夏普株式会社 针对寻呼消息的资源分配方法及网络节点和用户设备
KR20180010076A (ko) * 2016-07-20 2018-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랜덤액세스 방법 및 장치
CN109600832B (zh) * 2017-09-30 2023-10-24 华为技术有限公司 寻呼消息的传输方法及装置
CN114391281B (zh) * 2021-05-21 2023-11-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省电方法、省电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8731A (ja) * 2001-08-07 2004-12-24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グループメッセージの報知方法、加入者機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4351A (en) * 1984-05-08 1987-02-17 Motorola, Inc. Two way personal message system with extended coverage
JP3112187B2 (ja) 1991-10-21 2000-11-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着信制御方式
EP1806946B1 (en) * 1997-05-30 2008-08-06 QUALCOMM Incorporated Indirect paging for wireless terminal .
FI105874B (fi) * 1997-08-12 2000-10-13 Nokia Mobile Phones Ltd Monipistematkaviestinlähetys
DE19931130A1 (de) * 1999-07-06 2001-01-18 Siemens Ag Verfahren zum Rufen von Teilnehmerstationen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US6650912B2 (en) * 2000-09-18 2003-11-18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ng paging channel mode
EP1202483A1 (en) * 2000-10-27 2002-05-02 Alcatel Correlated spreading sequences for high rate non-coherent communication systems
US7463599B2 (en) * 2002-05-17 2008-12-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time of reception during paging
ES2345195T3 (es) * 2002-08-01 2010-09-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odo para coordinar ocasiones de radiobusqueda en un canal de radiobusqueda comun.
JP2004221759A (ja) * 2003-01-10 2004-08-05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無線端末並びに無線制御装置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DE602004013294T2 (de) * 2004-06-18 2009-06-18 Panasonic Corp., Kadoma Zyklishe Übertragung von Benachrichtigungskoordinaten in einem Kommunikationssystem
EP1608196A1 (en) 2004-06-18 2005-12-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tection of notificat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562029B2 (ja) 2004-10-29 2010-10-1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セラミック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グロープラ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8731A (ja) * 2001-08-07 2004-12-24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グループメッセージの報知方法、加入者機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45753C2 (ru) 2012-03-20
CN101467478A (zh) 2009-06-24
US20090219861A1 (en) 2009-09-03
TW200803249A (en) 2008-01-01
EP2015598B1 (en) 2014-07-30
BRPI0711057A2 (pt) 2011-08-23
JP2007300506A (ja) 2007-11-15
EP2779764B1 (en) 2015-08-05
EP2779764A1 (en) 2014-09-17
US20110256898A1 (en) 2011-10-20
KR20090009907A (ko) 2009-01-23
JP4790484B2 (ja) 2011-10-12
EP2015598A1 (en) 2009-01-14
EP2015598A4 (en) 2012-12-19
US8233459B2 (en) 2012-07-31
US8054792B2 (en) 2011-11-08
WO2007129541A1 (ja) 2007-11-15
CN101467478B (zh) 2012-08-29
TWI343726B (ko) 2011-06-11
RU2008146104A (ru)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408B1 (ko) 송신장치, 수신장치 및 페이징 정보 수신방법
KR101307980B1 (ko) 송신장치, 수신장치 및 통신방법
AU2008264556B8 (en) Base station and broadcast channel transmission method
JP4601637B2 (ja) 移動局、送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020502B1 (ko) 기지국장치 및 이동국장치 및 동기채널 송신방법
CN101529744A (zh) 具有可变尺寸循环前缀的无线通信系统帧结构
KR20090057086A (ko) 하향링크 스크램블 방법 및 기지국장치
JP5085619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080085858A (ko) 무선 네트워크의 전방향 링크 상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위한 방법
JP4972132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ページング情報受信方法
EP0978962A1 (en)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EP1044519A1 (en) Cdm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331870B1 (ko) 파일럿 패턴 할당 및 배치 방법
KR100317256B1 (ko) 최적의 파일럿 심볼을 이용한 프레임 동기 방법
KR20020030543A (ko)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순방향 링크 송신기 및 그에 의한신호 송신 방법
JP5134710B2 (ja) ユーザ装置、受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2011030239A (ja) 基地局装置、及び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