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327B1 -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 - Google Patents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327B1
KR101392327B1 KR1020120072766A KR20120072766A KR101392327B1 KR 101392327 B1 KR101392327 B1 KR 101392327B1 KR 1020120072766 A KR1020120072766 A KR 1020120072766A KR 20120072766 A KR20120072766 A KR 20120072766A KR 101392327 B1 KR101392327 B1 KR 101392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475A (ko
Inventor
서일건
Original Assignee
(주)엔플라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플라스텍 filed Critical (주)엔플라스텍
Priority to KR102012007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3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풍력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성 및 고내열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에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를 첨가하여 물성의 저하 없이 난연성을 부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내가수분해제를 첨가하여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가수분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령토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사용하여 금속 도체와 절연체간의 탈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풍력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인계 난연제 10 내지 100 중량부; 질소계 난연제 5 내지 50 중량부; 가수분해방지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선택적으로 탈피개선제로서 표면처리 고령토 5 내지 50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 내지 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HALOGEN FREE FLAME RETARDANT POLYESTER 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RESIN COMPOSITION AND CABLE FOR CONTROLLING WIND TURBINE OR ROBO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연성 및 고내열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에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를 첨가하여 물성의 저하 없이 난연성을 부가할 수 있고, 내가수분해제를 첨가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가수분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령토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사용하여 금속 도체와 절연체 사이의 탈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기기, 자동차, 로봇과 같은 기계류 등에는 많은 전선들이 사용되며, 이러한 전선들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을 갖추어야 하며, 이와 동시에 기기의 내부 구조에 적합하게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연성도 함께 요구된다. 또한, 기기 내부나 옥외용 장비 등에 사용되는 전선들은 각각의 환경에 따라 강한 인장강도, 신장율, 내후성, 내가수분해성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요구되며, 포설이 용이하도록 절연체의 탈피성이 또한 요구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풍력발전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풍력발전기에 사용되는 제어용 전선들은 사용되는 환경의 특성상 고온에 노출되기 쉽고 주변 부품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내부 화재 발생시에 파손되거나 화염이 발생하는 재질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할로겐 원소를 포함한 컴파운드 및 폴리염화비닐(PVC), 테프론(Teflon) 등을 사용해왔으나, 최근 유럽연합 또는 미국의 환경 규제에 따르면 할로겐이 포함된 수지 조성물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특히 염소 또는 브롬 등을 포함하는 난연제의 사용이 배제되고 있다.
상기 염소 또는 브롬 계열의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난연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화재시 연소될 때 발암 물질인 다이옥신과 부식성 가스가 방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할로겐을 함유하는 수지들은 할로겐 난연제, 금속 수산화물, 삼산화 안티몬 등과 함께 사용됨으로써 연소 중 불활성 가스를 방출하여 높은 난연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할로겐을 함유하는 고분자 수지들은 기본적으로 난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난연제를 소량 및 적정 함량으로 첨가함으로써 난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전선 재료에 요구되는 일반적인 기계적 물성들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압출 가공성도 우수하다. 그러나, 할로겐족 염소를 포함하는 PVC 수지는 통상적으로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소제 물질을 포함하게 되며, 이는 환경호르몬 유발 물질로 알려져 있어 그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할로겐족 플루오르를 포함하는 테프론 수지는 유연성이 떨어지고, 300°C 이상의 고온에서 작업해야 하므로 압출작업이 어려우며,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으로 난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과량의 난연충진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난연 충진제는 기계적 물성, 유연성 및 내열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장기적인 사용에 대한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및 탄성력이 우수하고 제품 성형이 용이하므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난연성이 취약하여 그 사용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에 난연제를 첨가하는 방법들이 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난연제가 첨가됨으로써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인장강도, 신장율, 내열성, 마모도와 같은 물리적 성질들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능한한 난연제를 최소량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경우에는 오히려 난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수분에 민감하기 때문에 내가수분해제를 사용해야 하며, 전선으로 압출 성형할 때 도체와의 탈피가 잘 되어야 한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에 비할로겐 물질인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성을 부여함으로써 화재시에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수분해방지제를 첨가하여 가수분해로 인해 저하될 수 있는 기계적 물리적 특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풍력 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100 중량부; 인계 난연제 10 내지 100 중량부; 질소계 난연제 5 내지 50 중량부; 내가수분해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선택적으로 탈피력개선제 5 내지 5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풍력 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은 기계적물리적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동시에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가수분해성 및 탈피력이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수지 조성물에 할로겐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더욱 강화된 환경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풍력발전기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제어용 전선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Polyester thermoplastic elastomer, TPE-E) 수지는 유연성,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다른 올레핀 또는 PVC 수지에 비해 내열성, 내충격성, 내한성, 내구성 등이 우수하며, 무독성인 플라스틱 재질이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성을 가지기 때문에 열이 가해지면 가수분해된다. 그 결과,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를 성형 또는 가공할 때 수지가 기본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비할로겐 난연제를 첨가하고, 가수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가수분해제를 첨가한다.
상기 비할로겐 난연제에는 금속무기수산화물 난연제, 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붕산계 난연제, 실리콘계 난연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계 난연제 10 내지 100 중량부와 질소계 난연제 5 내지 50 중량부가 사용된다.
상기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는 저독성 및 난연성의 두 가지 측면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소각 및 재활용이 용이하고 안전하므로 재활용 제품에 대한 요구에도 부응할 수 있으며, 화재시 연기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계 난연제에는 금속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방향족인산에스테르, 2-에틸헥실디페닐 포스페이트, TCP, 크레질페닐 포스페이트, 레졸디페닐 포스페이트, 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 트리스-β-클로르프로필 포스페이트, 트리스디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방향족축합인산에스테르, 폴리인산염 및 적인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질소계 난연제에는 실란 또는 티타네이트가 코팅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트리아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내가수분해제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0.1 내지 3 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탈피개선제는 소성 표면처리 고령토 5 내지 50 중량부와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 내지 5 중량부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내열성을 얻고 가공 중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에 산화방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서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또는 티오화합물계 산화방지제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두 가지 산화방지제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산화방지제는 0.1 내지 5 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난연제와 함께, 난연성을 상승시키고 연기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난연조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난연조제로서 실리콘 화합물 또는 붕소 화합물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외에도, 광안정제, 활제, 보강제, 안료, 착색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활제는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실리콘 화합물 및 몬탄왁스가 포함된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을 용융 혼련하여 압출성형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제품으로 생산될 수 있다. 압출성형 공정은 원료의 건조, 투입, 압출, 냉각, 권취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은 단축 압출기에 전선압출 금형을 이용하여 원하는 전선의 사이즈에 따라 당업계에 공지된 압출 성형 방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구성성분들의 조성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물성 테스트 결과를 보여준다.

구분
비교예 실시예
1 2 3 4 5 1 2







조성



PVC 100
EVA 100 100
Teflon 100
TPE-E 100 100 100
가소제 20
산화방지제 1 1 5 2 2 2
무기난연제 150 150
인계난연제 100 50 50
질소계난연제 50 30 30
난연조제 5 5 5 5 5
내가수분해제 1 1
열안정제 3
탈피개선제 10



물성
상온특성 인장강도(kgf/mm2) 1.32 1.42 1.36 1.28 0.6 1.50 1.40
신장율(%) 300 250 220 200 150 350 450
열적특성 인장잔율 90 95 95 60 95 95 95
신장잔율 60 85 80 55 90 90 90
내가수분해성 인장잔율 88 85 87 90 75 88 92
신장잔율 85 88 88 90 80 88 92
탈피력 kgf/mm 0.8 1.2 1.1 0.9 2.0 1.5 0.8
경도 Shore A 80 98 98 95 80 80 82
할로겐검출 XRF 염소
검출
검출
안됨
검출
안됨
플르오르검출 검출
안됨
검출
안됨
검출
안됨
난연성 UL94 vertical
flame test
V0 V2 V1 V0 V1 V1 V1
드립여부 pass pass fail pass pass pass pass
* 인장잔율, 신장잔율: 상온에서의 인장강도 또는 신장율/노화 후의 인장강도 또는 신장율 100
* 탈피력: 전선으로 압출하여 도체와 절연체간의 탈피되는 힘을 측정함.
비교예 1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100 중량부에 가소제 20 중량부 및 열안정제 3 중량부를 첨가하여, 오픈롤에서 10분 동안 혼련한 후 170°C 에서 5분 동안 시험용 시편에 맞게 성형하고 충분히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후술하는 측정방법에 따라 물리적 특성 및 난연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가소제는 PVC에 연질(유연성)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비교예 2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 EVA) 100 중량부에 산화방지제 1 중량부, 무기난연제 150 중량부 및 난연조제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오픈롤에서 10분 동안 혼련한 후 170°C 에서 5분 동안 시험용 시편에 맞게 성형하고 충분히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후술하는 측정방법에 따라 물리적 특성 및 난연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 EVA) 100 중량부에 산화방지제 1 중량부, 인계 난연제 100 중량부, 질소계 난연제 50 중량부 및 난연조제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오픈롤에서 10분 동안 혼련한 후 170°C 에서 5분 동안 시험용 시편에 맞게 성형하고 충분히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후술하는 측정방법에 따라 물리적 특성 및 난연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테프론(Teflon) 100 중량부에 산화방지제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오픈롤에서 10분 동안 혼련한 후 170°C 에서 5분 동안 시험용 시편에 맞게 성형하고 충분히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후술하는 측정방법에 따라 물리적 특성 및 난연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E) 100 중량부에 산화방지제 2 중량부, 무기 난연제 150 중량부 및 난연조제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오픈롤에서 10분 동안 혼련한 후 170°C 에서 5분 동안 시험용 시편에 맞게 성형하고 충분히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후술하는 측정방법에 따라 물리적 특성 및 난연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E) 100 중량부에 인계 난연제 50 중량부, 질소계 난연제 30 중량부, 난연조제 5 중량부, 내가수분해제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오픈롤에서 10분 동안 혼련한 후 170°C 에서 5분 동안 시험용 시편에 맞게 성형하고 충분히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후술하는 측정방법에 따라 물리적 특성 및 난연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E) 100 중량부에 인계 난연제 50 중량부, 질소계 난연제 30 중량부, 난연조제 5 중량부, 내가수분해제 1 중량부, 탈피개선제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오픈롤에서 10분 동안 혼련한 후 170°C 에서 5분 동안 시험용 시편에 맞게 성형하고 충분히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후술하는 측정방법에 따라 물리적 특성 및 난연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전술한 성분 및 조성으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시험용 시편에 대해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평가하였다.
(1) 물성 평가
인장강도와 신장율은 ASTM D638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내열성은 136°C 의 오븐에 7일 동안 인장시편을 투입하여 인장강도 및 신장율의 변화 정도를 통해 평가하였다. 내가수분해성은 항온항습 챔버에 158°C 및 상대습도 80%에서 7일 동안 인장시편을 투입한 후 인장강도 및 신장율의 변화 정도를 통해 평가하였다. 또한, 할로겐의 사용 여부는 XRF 시험기기를 이용하여 원소분석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탈피력은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원료를 실제로 전선 압출하여 전선 피복을 벗겨낼 때의 단위길이 당 힘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2) 난연성 평가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은 UL94 "20mm 수직 연소 테스트(vertical burning test)"에 의해 하기의 표 2에 기재된 판정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UL94-V0 UL94-V1 UL94-V2
각 시편의 T1 및 T2 각각 10초 이내 각각 30초 이내 각각 30초 이내
5개 시편의 총 연소 후 소화시간의 합
(T1+T2)
50초 이내 250초 이내 250초 이내
각 시편의 T2+T3 30초 이내 60초 이내 60초 이내
시편 전소 여부 전소시키지 않을 것 전소시키지 않을 것 전소시키지 않을 것
시편 밑의 솜 연소 여부성(드리핑) 연소시키지 않을 것 연소시키지 않을 것 연소시킴
시험용 시편은 125mm X 13mm X 12mm (길이, 폭, 두께) 크기로 제작하고, 시편을 연소시킬 버너는 메탄 가스를 원료로 사용하여 37MJ/m3의 열량 및 20mm의 불꽃높이를 발생시킨다. 시험용 시편의 일단과 버너 끝과의 거리는 10mm로 설정하고, 각각의 시편을 10초씩 2회 연소시킨다.
첫 번째 연소 후 소화시간(T1초)을 측정하고, 두 번째 연소 후 소화시간(T2초)을 측정한다. 또한, 두 번째 연소 후 불꽃이 사라지고 무염연소(불꽃은 없으나 숯처럼 빨갛게 달아오른 상태, glowing)가 지속되는 시간(T3초)을 측정한다. 각각의 시험용 시편에 대해 V0, V2 및 V3 급을 판정하는 기준은 상기 표 2에 따른다.
(3) 실험결과
전술한 표 1에서, 비교예 1은 일반 PVC처럼 모든 물성과 난연성이 우수하지만, 염소와 같은 할로겐 성분이 검출되었기 때문에 사용에 부적합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비교예 2와 비교예 3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에 난연제를 첨가하였으나, 난연제의 첨가로 인해 기계적 물성과 유연성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또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자체의 융점이 낮아 내열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4는 테프론 수지에 산화방지제를 첨가함으로써 난연성, 유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였으나, 할로겐 원소인 플르오르가 검출되었으며, 수지 자체의 융점이 300°C 이상으로 압출 가공시에 특수 압출기를 사용해야 하고 고가(高價)라는 단점을 나타내었다.
반면, 실시예 1은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에 인계 난연제와 질소계 난연제 및 내가수분해제를 첨가한 것으로서, 이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물성에 우수한 내열성, 유연성 및 내가수분해성을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UL94-V1 등급의 우수한 난연성능을 나타냈다. 실시예 2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가 가지고 있는 극성 때문에 전선 압출시 도체와의 접착력이 커서 탈피가 어렵다는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탈피개선제로서 소성 표면처리된 고령토와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첨가하였다. 이에 따라, 탈피력이 현저히 개선되었으며, 연소 후 탄화된 재도 역시 고형화된 형상을 보이며, UL94-V1 등급의 우수한 난연성능을 나타냈다.
상기 실험결과들에 따라, 본 발명의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유연성 및 내가수분해성 등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난연성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전선 압출 후 포설할 때 필요한 탈피성도 개선되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전술한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풍력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 역시 상기 실험결과들에서 입증된 것과 동일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발명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블레이드, 2: 나셀,
3: 기어, 4: 발전기,
5: 제어용 전선

Claims (10)

  1.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비할로겐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인계 난연제 10 내지 100 중량부;
    질소계 난연제 5 내지 50 중량부;
    가수분해방지제로서 폴리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0.1 내지 3 중량부; 및
    탈피개선제로서 소성 표면처리된 고령토 5 내지 50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5 내지 5 중량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금속 포스피네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아릴 포스페이트, 방향족인산에스테르, 2-에틸헥실디페닐 포스페이트, TCP, 크레질페닐 포스페이트, 레졸디페닐 포스페이트, 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 트리스-β-클로르프로필 포스페이트, 트리스디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방향족축합인산에스테르, 폴리인산염 및 적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계 난연제는 실란 또는 티타네이트가 코팅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및 트리아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난연조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조제는 실리콘 화합물 및 붕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티오화합물계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광안정제, 외관개선용 활제, 보강제, 안료, 착색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개선용 활제는 실리콘 화합물 및 몬탄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비할로겐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또는 로봇 제어용 전선.
  10. 삭제
KR1020120072766A 2012-07-04 2012-07-04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 KR101392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766A KR101392327B1 (ko) 2012-07-04 2012-07-04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766A KR101392327B1 (ko) 2012-07-04 2012-07-04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75A KR20140005475A (ko) 2014-01-15
KR101392327B1 true KR101392327B1 (ko) 2014-05-07

Family

ID=5014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766A KR101392327B1 (ko) 2012-07-04 2012-07-04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3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322B1 (ko) * 2021-09-09 2024-04-01 주식회사 한신에이론 트리아진계 난연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트리아진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2566623B1 (ko) * 2021-09-09 2023-08-16 주식회사 한신에이론 트리아진계 난연제를 이용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
CN117127279A (zh) * 2023-09-21 2023-11-28 江阴市庆丰化纤有限公司 一种阻燃隔热纤维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75A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067B1 (ko) 난연성 비할로겐계 전선 피복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철도차량용 전선
KR101542110B1 (ko) 압출용 고온내수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및 케이블
JP6139018B2 (ja) 耐火性樹脂組成物
JP6391881B1 (ja) 耐火樹脂組成物及び耐火樹脂成形体
JP6908483B2 (ja) 耐火性樹脂組成物
KR101373241B1 (ko) 무기소재를 이용한 환경친화형 난연성 폴리올레핀수지조성물
JP6499796B2 (ja) 熱膨張性耐火シート
JP2018100408A (ja) 耐火樹脂組成物及び耐火樹脂成形体
US20190367701A1 (en) Organic Materials as Fire and Flame Retardant Synergists
KR101392327B1 (ko) 비할로겐 난연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 및 로봇 제어용 케이블
KR101477367B1 (ko) 방염 중합체 조성물
KR101697814B1 (ko) 폴리프로필렌 난연수지 조성물 및 압출 튜빙 성형품
KR101207183B1 (ko)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1872019B1 (ko)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975648B1 (ko) 비할로겐 난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배선 보호용 튜브
KR100584909B1 (ko) 비할로겐 난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1778803B1 (ko)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JPH0668928B2 (ja) 難燃性電線・ケ−ブル
KR100809186B1 (ko) 고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KR101215315B1 (ko) 할로겐 비함유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20160054741A (ko) 폴리올레핀 난연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20170045814A (ko) 고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70102154A (ko) 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비할로겐계 난연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