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984B1 -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984B1
KR101391984B1 KR1020120128344A KR20120128344A KR101391984B1 KR 101391984 B1 KR101391984 B1 KR 101391984B1 KR 1020120128344 A KR1020120128344 A KR 1020120128344A KR 20120128344 A KR20120128344 A KR 20120128344A KR 101391984 B1 KR101391984 B1 KR 101391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nishing material
base
upper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낙령
김인택
정태성
Original Assignee
(주)현대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산기 filed Critical (주)현대산기
Priority to KR102012012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Landscapes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형상의 마감재를 회전하는 테이블의 테두리에 자동으로 부착시킴과 동시에 마감재를 절단하여 테이블의 테두리에 마감재의 양측 끝단부가 정확하게 밀착되도록 한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테이블의 상판이 안착되는 상판안착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판안착부에 안착된 상판을 회전시키는 상판회전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상판의 테두리로 마감재를 공급하는 마감재공급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판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마감재를 절단하는 절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A attaching maching for table finfshes of board}
본 발명은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형상의 마감재를 회전하는 테이블의 테두리에 자동으로 부착시킴과 동시에 마감재를 절단하여 테이블의 테두리에 마감재의 양측 끝단부가 정확하게 밀착되도록 한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을 제작함에 있어 상부 테이블을 제작완성 후 마무리로 테이블에 마감재를 부착하여 도 1과 같은 테이블이 생산되게 된다.
이렇게, 종래에는 테이블의 테두리에 마감재를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마감재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 또는 제작된 테이블 상판의 테두리 길이에 맞도록 마감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 테이블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테이블의 테두리에 마감재를 부착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테이블 테두리에 마감처리 하는 마감재를 부착시키는 방법은 마감재를 임의의 길이로 재단한 후 테이블의 상판 테두리에 부착시킴으로써, 테이블의 테두리에 마감재를 부착시 마감재의 양측 끝단부가 짧거나 길게 부착되는 등 양측 끝단부가 정확하게 맞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테이블의 테두리에 마감재를 부착시 양측 끝단부가 맞지 않고 서로 겹치는 경우에는 한번 더 마감재의 끝단부를 재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테이블의 테두리에 마감재를 부착시키는 작업이 복잡하고, 부착완료 후에는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마감재의 낭비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테이블의 상판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회전하는 상판의 테두리에 마감재가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판의 테두리에 마감재를 부착시키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판이 회전함과 동시에 상판의 테두리에 마감재를 부착시키고, 상판 테두리에 마감재를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마감재를 절단함으로써, 상판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마감재의 양측 끝단부가 정확하게 맞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판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마감재가 자동으로 부착되고, 상판에 부착되는 마감재를 자동으로 절단함으로써, 상판에 마감재를 부착시키는 모든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판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마감재가 자동으로 부착되고, 상판에 부착되는 마감재를 자동으로 절단함으로써, 작업 중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상판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마감재를 부착시키고, 마감재가 부착되는 과정에서 마감재를 절단하여 마감함으로써, 마감재의 조각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마감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테이블의 상판이 안착되는 상판안착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판안착부에 안착된 상판을 회전시키는 상판회전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상판의 테두리로 마감재를 공급하는 마감재공급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판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마감재를 절단하는 마감재절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는 지면에 안착되고,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판을 공급하는 공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안착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 상부에 구비된 슬라이드레일에 안착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부에 안착판이 구비된 설치부재와, 상기 안착판의 상부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슬라이드판을 동작시키는 한 쌍의 제1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재의 후부에는 가이드레일에 결속되는 승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승강부재를 동작시키는 제2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실린더는 슬라이드판이 중앙부에 위치되게 베이스의 길이 방향 전, 후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부에는 상판회전부가 설치되는 설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설치부는 베이스 일측 상단에 설치되는 메인지주와, 상기 메인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회전부는 베이스부에 구비된 설치부의 수직바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된 타측부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되,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동작하는 피동기어와, 상기 지지판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피동기어에 연결되는 메인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의 사이에는 중계기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수직바에 설치되되, 실린더로드가 지지판에 결속되는 제3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된 설치부의 고정판 상부에는 보조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재공급부는 롤 형상의 마감재가 설치되는 공급테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회전부의 고정판에 설치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되, 지지부재의 하부에 스텝핑모터가 구비된 가이드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되, 상부에 엔코더가 구비된 가압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롤러와 가압롤러의 사이에는 한 쌍의 안내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절단부는 마감재공급부의 지지부재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절단날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되어 절단날을 동작시키는 제3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고정되되, 절단날을 커버하는 커버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제3실린더가 설치된 타측부에 이동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절단날이 구비된 가이드프레임의 타측부에는 마감재공급부의 가이드롤러에 대응되는 지지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회전부에 설치되는 마감재감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감재감지부는 마감재공급부의 지지판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결속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재의 하부에는 한 쌍의 고정샤프트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샤프트의 하부에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는 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판의 상부를 지지하는 간격유지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테이블의 상판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회전하는 상판의 테두리에 마감재가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판의 테두리에 마감재를 부착시키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판이 회전함과 동시에 상판의 테두리에 마감재를 부착시키고, 상판 테두리에 마감재를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마감재를 절단함으로써, 상판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마감재의 양측 끝단부가 정확하게 맞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판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마감재가 자동으로 부착되고, 상판에 부착되는 마감재를 자동으로 절단함으로써, 상판에 마감재를 부착시키는 모든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판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마감재가 자동으로 부착되고, 상판에 부착되는 마감재를 자동으로 절단함으로써, 작업 중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판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마감재를 부착시키고, 마감재가 부착되는 과정에서 마감재를 절단하여 마감함으로써, 마감재의 조각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마감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테이블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베이스부를 보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상판안착부를 보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상판회전부를 보인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마감재공급부와 마감재절단부를 보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마감재감지부를 보인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11의 (a),(b)는 테이블 상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베이스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상판안착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상판회전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마감재공급부와 마감재절단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마감재감지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100)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10)는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113)이 마련된 베이스(1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112)의 측부에는 보조프레임(114)이 구비되고, 이 보조프레임(114)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테이블의 상판(S)을 공급하는 공급프레임(116)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프레임(116)에 의해 마감재(B)를 부착할 테이블의 상판(S)이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10)에 설치된 공급프레임(116)으로부터 공급되는 상판(S)이 안착되는 상판안착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안착부(210)는 베이스(112)의 상부에 구비된 슬라이드레일(113)에 결합되는 슬라이드판(2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114)에 설치되되, 슬라이드판(212)이 중앙에 위치되고, 실린더로드가 슬라이드판(212)에 결속되는 제1실린더(21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린더(214)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판(212)이 슬라이드레일(113)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테이블의 상판(S) 크기에 따라 슬라이드판(212)을 이동시켜 상판(S)의 테두리에 마감재(B)를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슬라이드판(212)의 상부에 설치되되, 일측부에 가이드레일(218)이 구비된 하우징(216)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216)의 일측부에 설치되되, 상부에 안착판(222)이 구비되고, 후부에는 가이드레일(218)에 결속되는 승강부재(224)가 마련된 설치부재(2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설치부재(220)의 상부에 구비된 안착판(222)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에 테이블의 상판(S)이 안착되는 안착부재(2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재(230)의 상부에 테이블의 상판(S)을 안착시킨 후 안착부재(230)의 회전에 의해 상판이 회전하면서 테두리에 마감재(B)가 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6)에 고정되는 제2실린더(240)가 구비되되, 제2실린더(240)의 실린더로드가 설치부재(2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설치부재(220)를 승, 하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실린더(240)의 작동에 의해 테이블의 상판(S)이 안착된 안착부재(230)의 높이를 자유롭게 작업 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10)의 베이스(112) 상부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부(310)는 베이스(112)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메인지주(312)가 구비되고, 이 메인지주(312)의 상부에는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판(314)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판(314)의 상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바(316)가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설치부(310)는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지주(312)에 회전수단을 설치하여 고정판(314)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310)에 설치되어 안착부재(230)에 안착된 상판(S)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판회전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회전부(410)는 설치부(310)의 수직바(316) 측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12)가 구비되고, 구동모터(412)가 구비된 타측부에는 수직바(316)에 회동되게 지지판(414)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지지판(414)의 일측부에는 구동모터(412)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416)가 구비되고, 이 구동기어(416)와 이격되게 피동기어(418)가 구비되며, 메인기어(416)와 피동기어(418)의 사이에는 중계기어(419)가 구비되고, 구동기어(416)와 피동기어(418) 및 중계기어(419)가 커버되게 지지판(414)에 고정되는 커버부재(42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412)가 구비된 지지판(414)의 타측부에는 피동기어(418)에 결합되어 안착부재(230)의 상부에 안착된 상판(S)의 상부를 가압하는 메인롤러(4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제모터(412)의 작동에 의해 구동기어(416)와 중계기어(419) 및 피동기어(418)가 회전하면서 피동기어(418)에 결합된 메인롤러(430)에 의해 안착부재(230)와 안착부재(230)에 안착된 상판(S)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바(316)에 설치되되, 실린더로드가 지지판(414)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제3실린더(4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재(230)에 상판(S)을 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3실린더(440)를 작동시키게 되면 실린더로드가 인출되면서 지지판(414)을 회전시키게 되고, 지지판(414)의 회전에 의해 메인롤러(440)가 상부로 상승하게 되어 안착부재(230)에 상판(S)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되고, 안착부재(230)에 상판(S)을 안착시킨 후에는 실린더로드가 원상복귀하면서 메인롤러(440)가 하강하여 상판(S)의 상부에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310)의 고정판(314) 상부에는 안착부재(230)의 상부에 안착된 상판(S)의 하부를 지지하여 용이하게 상판(S)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롤러(4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재(230)에 안착된 상판(S)을 메인롤러(430)에 의해 회전할 때 보조롤러(450)가 상판(S)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어 안전하게 상판(S)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230)의 하부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상판(S)의 테두리에 마감재(B)가 부착될 수 있도록 마감재(B)를 공급하는 마감재공급부(5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재공급부(510)는 롤 형상의 마감재(B)가 장착되는 공급테이블(5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판(314)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는 지지부재(514)가 구비되고, 이 지지부재(514)의 하부에는 스텝핑모터(516)가 구비되며, 지지부재(514)의 상부에 마련되어 스텝핑모터(516)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가이드롤러(518)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판(314)의 상부에는 공급되는 마감재(B)가 상판(S)의 테두리에 부착될 수 있도록 마감재(B)를 가압하는 가압롤러(520)가 구비되고, 이 가압롤러(520)의 상부에는 회전 값을 측정하는 엔코더(5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엔코더(522)와 가압롤러(520)의 상부 외주면 각각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520a)(522a)가 구비되고, 서로 맞물린 기어(520a)(522a)에 의해 엔코더(522)의 작동에 의해 가압롤러(520)의 회전 값을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테이블(512)에 장착된 마감재(B)는 가이드롤러(518)에 의해 가이드되고, 가이드롤러(518)에 의해 가이드되는 마감재(B)는 가압롤러(520)에 의해 상판(S)의 테두리에 부착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518)와 가압롤러(520)의 사이이에는 마감재를 가압하여 상판안착부(210)로 공급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53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공급부(510)로부터 공급되는 마감재(B)를 절단하는 마감재절단부(6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재절단부(610)는 지지부재(514)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612)이 구비되되, 이 가이드프레임(612)의 일측부에는 마감재(B)가 통과하는 이동공(612a)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프레임(612)의 일측부에는 절단날(614)이 구비되고, 이 절단날(614)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616)가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가이드프레임(612)에 고정되고, 이 절단날(614)을 커버하는 커버판(618)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프레임(612)에 고정되되, 가이드프레임(612)의 이동공(612a)이 형성된 타측부에 고정되는 제3실린더(620)가 구비되고, 제3실린더(620)의 실린더로드는 절단날(614)에 결속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프레임(612)의 이동공(612a)을 통하여 공급되는 마감재(B)를 제3실린더(620)의 작동에 의해 절단날(614)이 왕복 동작을 수행하면서 마감재(B)를 절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단날(614)이 구비된 가이드프레임(612)의 타측부에는 마감재공급부(510)의 가이드롤러(518)에 대응되는 지지롤러(62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롤러(622)에 의해 마감재(B)의 일측부가 지지되게 되어 가이드롤러(518)의 동작에 의해 마감재(B)가 용이하게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회전부(410)에 설치되어 상판(S)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마감재(B)를 감지하여 마감재절단부(610)를 동작시키는 마감재감지부(7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재감지부(710)는 고정판(314) 상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712)이 구비되고, 이 고정프레임(712)에 설치되는 결속부재(714)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결속부재(714)의 하부에는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고정샤프트(716)가 구비되고, 이 고정샤프트(716)의 하부에는 고정부재(718)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718)의 하부에는 상판(S)의 테두리가 커버되게 감지센서(7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판(S)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마감재(B)를 감지하는 수단으로 감지센서(72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리미트스위치 등 마감재(B)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상판(S)의 테두리에 마감재(B)가 부착되면서 회전할 때 마감재(B)의 일측 끝단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에 의해 절단날(614)이 동작하면서 공급되는 마감재(B)를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S)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마감재(B)의 일측 끝단부를 감지하는 위치와 상판(S)의 테두리에 마감재(B)가 부착되지 않은 길이를 미리 설정하여 상판(S)의 테두리에 마감재(B)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마감재(B)를 절단함으로써, 상판(S)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마감재(B)의 양측 끝단부가 정확하게 맞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718)의 일측부에는 상판(S)의 상부에 밀착되어 상판(S)과 감지센서(720)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간격유지롤러(72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100)는 먼저, 상판회전부(410)의 제3실린더(440)를 작동시켜 지지판(414)을 회전시키게 되면 메인롤러(43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공급프레임(116)으로 공급되는 상판(S)을 안착부재(230)에 안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재(230)에 상판(S)이 안착된 상태에서 제3실린더(440)에 의해 지지판(414)이 회전하면서 메인롤러(430)가 하강하면서 안착부재(230)의 상부에 안착된 상판(S)의 상부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S)의 상부에 메인롤러(430)가 안착되면서 상판(S)의 상부를 가압할 때 보조롤러(450)가 상판(S)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감재공급부(510)의 공급테이블(512)에 장착된 롤 형상의 마감재(B)를 가이드롤러(518)와 지지롤러(622)의 사이를 통과하여 가이드프레임(612)의 이동공(612a)을 거쳐 상판(S)의 테두리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S)의 테두리로 공급되는 마감재(B)는 상판(S)의 측부에 밀착된 가압롤러(520)에 의해 부착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안착부재(230)에 안착된 상판(S)의 테두리로 마감재(B)를 공급하는 상태에서 구동모터(412)를 작동시키게 되면 메인롤러(430)가 구동기어(416)와 중계기어(419) 및 피동기어(418)의 상호 연동 동작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어 상판(S)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S)의 회전시 가압롤러(520)에 의해 마감재(B)가 상판(S)의 테두리에 부착되게 되고, 가이드롤러(518)의 회전에 의해 연속적으로 마감재(B)를 상판(S) 방향으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판(S)이 회전하면서 마감재공급(610)부로부터 공급되는 마감재(B)가 테두리에 부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마감재(B)는 상판(S)으로 공급되어 상판(S)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전단계에서 상판(S) 테두리에 부착되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공급함과 마감재(B)의 일측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 및 구성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상판(S)의 테두리에 마감재(B)가 부착되면서 회전할 때 상판(S)의 테두리에 부착된 마감재(B)의 끝단부가 마감재감지부(710)의 감지센서(720)를 통과할 때 감지센서(720)가 마감재(B)의 끝단부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센서(720)에서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며, 정보를 입력받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마감재절단부(610)의 제3실린더(62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3실린더(620)가 작동을 하게 되면 제3실린더(620)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된 절단날(614)을 전진시켜 가이드프레임(612)의 이동공(612a)을 통과하는 마감재(B)를 절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날(614)에 의해 마감재(B)가 절단될 때 한 쌍의 안내롤러(530)에 의해 팽팽하게 유지되게 되어 절단된 마감재(B)가 궤도를 이탈하지 않고 안전하게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날(614)에 의해 절단된 마감재(B)는 상판(S)의 회전에 의해 상판(S)의 테두리에 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판(S)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감지센서(720)의 감지에 의해 공급되는 마감재(B)를 절단하게 되어 상판(S)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마감재(B)의 양측 끝단부가 정확하게 맞닿게 되어 상판(S)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마감재(B)의 부착 완료 후 마무리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720)가 마감재(B)를 감지하는 위치와 상판(S)의 테두리에 마감재(B)가 부착되지 않은 남은 길이를 산출하여 제어부에 입력하게 되면 감지센서(720)에서 마감재(B)를 감지하여 절단날(614)에 의해 공급되는 마감재(B)를 절단하게 되더라도 절단된 마감재(B)의 끝까지 상판(S)에 부착되면서 마감재(B)의 양측끝단부가 정확하게 일치하면서 상판(S)의 테두리에 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100)는 종래와 같이 미리 마감재(B)를 절단하여 상판(S)의 테두리에 부착하지 않게 되어 상판(S)의 테두리에 마감재(B)를 부착완료 후 마감재(B)의 끝단부를 정리하는 마무리 적업을 수행하지 않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시간 또한 단축시켜 단시간에 많은 양의 상판(S)의 테두리에 마감재(B)를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원형 형상의 테이블 상판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원형의 테이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된 슬라이드판의 전, 후 방향 동작으로 도 11의 (a), (b)와 같이 사각형상 또는 테두리에 굴곡이 형성된 상판 등 다양한 테이블의 상판 테두리에 마감재를 부착시키는데 적용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110 : 베이스부 112 : 베이스
113 : 슬라이드레일 114 : 보조프레임
116 : 공급프레임 210 : 상판안착부
212 : 슬라이드판 214 : 제1실린더
216 : 하우징 218 : 가이드레일
220 : 설치부재 222 : 안착판
224 : 승강부재 230 : 안착부재
240 : 제2실린더 310 : 설치부
312 : 메인지주 314 : 고정판
316 : 수직바 410 : 상판회전부
412 : 구동모터 414 : 지지판
416 : 구정기어 418 : 피동기어
419 : 중계기어 420 : 커버부재
430 : 메인롤러 440 : 제3실린더
450 : 보조롤러 510 : 마감재공급부
512: 공급테이블 514 : 지지부재
516 : 스텝핑모터 518 : 가이드롤러
520 : 가압롤러 522 : 엔코더
610 : 마감재절단부 612 : 가이드프레임
612a : 이동공 614 : 절단날
616 : 가이드부재 620 : 제3실린더
622 : 지지롤러 710 : 마감재감지부
712 : 고정프레임 714 : 결속부재
716 : 고정샤프트 718 : 고정부재
720 : 감지센서 722 : 간격유지롤러

Claims (19)

  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테이블의 상판이 안착되는 상판안착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판안착부에 안착된 상판을 회전시키는 상판회전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상판의 테두리로 마감재를 공급하는 마감재공급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판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마감재를 절단하는 마감재절단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부는 지면에 안착되고,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판을 공급하는 공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안착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 상부에 구비된 슬라이드레일에 안착되는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부에 안착판이 구비된 설치부재와,
    상기 안착판의 상부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슬라이드판을 동작시키는 한 쌍의 제1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재의 후부에는 가이드레일에 결속되는 승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승강부재를 동작시키는 제2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는 슬라이드판이 중앙부에 위치되게 베이스의 길이 방향 전, 후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부에는 상판회전부가 설치되는 설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베이스 일측 상단에 설치되는 메인지주와,
    상기 메인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회전부는 베이스부에 구비된 설치부의 수직바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된 타측부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되,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동작하는 피동기어와,
    상기 지지판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피동기어에 연결되는 메인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의 사이에는 중계기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에 설치되되, 실린더로드가 지지판에 결속되는 제3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된 설치부의 고정판 상부에는 보조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공급부는 롤 형상의 마감재가 설치되는 공급테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회전부의 고정판에 설치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되, 지지부재의 하부에 스텝핑모터가 구비된 가이드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되, 상부에 엔코더가 구비된 가압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와 가압롤러의 사이에는 한 쌍의 안내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절단부는 마감재공급부의 지지부재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절단날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되어 절단날을 동작시키는 제3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고정되되, 절단날을 커버하는 커버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제3실린더가 설치된 타측부에 이동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이 구비된 가이드프레임의 타측부에는 마감재공급부의 가이드롤러에 대응되는 지지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회전부에 설치되는 마감재감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감지부는 마감재공급부의 지지판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결속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재의 하부에는 한 쌍의 고정샤프트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샤프트의 하부에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는 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판의 상부를 지지하는 간격유지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KR1020120128344A 2012-11-13 2012-11-13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KR101391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344A KR101391984B1 (ko) 2012-11-13 2012-11-13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344A KR101391984B1 (ko) 2012-11-13 2012-11-13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984B1 true KR101391984B1 (ko) 2014-05-07

Family

ID=5089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344A KR101391984B1 (ko) 2012-11-13 2012-11-13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9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570A (ko) * 2018-10-04 2020-04-14 월드시스템주식회사 수치 제어를 이용한 보호비닐 부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196Y1 (ko) 2002-10-01 2002-12-31 박성수 패널 모서리 절취수단을 갖는 에지테잎 부착장치
KR200379421Y1 (ko) 2004-12-27 2005-03-18 김성일 소형 경량 에지 벤딩기
KR100547033B1 (ko) 2004-06-10 2006-01-31 모야플라스틱 주식회사 글래스판넬 몰딩 자동화 시스템
KR100751863B1 (ko) 2006-06-29 2007-08-23 주식회사 온지구 작업물 테두리를 따라 가공하기 위한 장치와 이를 이용한글래스판넬 씰링재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196Y1 (ko) 2002-10-01 2002-12-31 박성수 패널 모서리 절취수단을 갖는 에지테잎 부착장치
KR100547033B1 (ko) 2004-06-10 2006-01-31 모야플라스틱 주식회사 글래스판넬 몰딩 자동화 시스템
KR200379421Y1 (ko) 2004-12-27 2005-03-18 김성일 소형 경량 에지 벤딩기
KR100751863B1 (ko) 2006-06-29 2007-08-23 주식회사 온지구 작업물 테두리를 따라 가공하기 위한 장치와 이를 이용한글래스판넬 씰링재 부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570A (ko) * 2018-10-04 2020-04-14 월드시스템주식회사 수치 제어를 이용한 보호비닐 부착장치
KR102103529B1 (ko) * 2018-10-04 2020-04-22 월드시스템주식회사 수치 제어를 이용한 보호비닐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650B1 (ko) 곡면형 디스플레이 제조장치 및 곡면형 디스플레이 제조방법
CN103692311B (zh) 全自动卧式玻璃直线四边磨边机及其磨边加工方法
KR100709310B1 (ko) 판재 절단장치
KR101654728B1 (ko) 블라인드의 원단 절단용 커터 장치
CN105328538A (zh) 汽车方向盘打磨装置
CN101721015A (zh) 鞋片图案印刷机
CN111014815A (zh) 一种双头角度型材切割设备
CN111774651A (zh) 一种可调v型角度的铝型材切割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391984B1 (ko) 테이블의 테두리 마감재 부착장치
KR20180122858A (ko) 철도 레일의 용접부위 연마장치
CN103659130B (zh) 车轴底板自动定位焊接工装设备
CN206351248U (zh) 一种浇口切割机
KR200414113Y1 (ko) 고중량 판재 절단장치
CN205271644U (zh) 汽车方向盘打磨装置
KR20140000745U (ko) 고중량 판재 절단장치
CN202527919U (zh) 干衣机风轮轴圈装配装置
US20190256397A1 (en) Glass plate bend-breaking machine
KR101592367B1 (ko) 대형 타이어 마운터
CN204936717U (zh) 一种全自动压胎机
JP2011051775A (ja) 乗客コンベアの駆動装置
CN111975921A (zh) 一种木床原料自动化打磨切割生产线
KR101638346B1 (ko) 차량용 범퍼 안착장치
KR20150078061A (ko) 레일 보수용 절단장치 및 레일 보수 방법
CN214601527U (zh) 一种便于固定的通用设备制造用定位装置
CN218426230U (zh) 激光打标机用具有导向功能的限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