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479B1 -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479B1
KR101390479B1 KR1020130087810A KR20130087810A KR101390479B1 KR 101390479 B1 KR101390479 B1 KR 101390479B1 KR 1020130087810 A KR1020130087810 A KR 1020130087810A KR 20130087810 A KR20130087810 A KR 20130087810A KR 101390479 B1 KR101390479 B1 KR 101390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aper
ba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수
김병욱
안재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올
대한니트협동조합연합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올, 대한니트협동조합연합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올
Priority to KR1020130087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8Paper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 커버링사의 제조를 위해 공급되는 한지와 이종의 원사와의 합연시 엉킴이 방지되도록 하여 S꼬임이나, Z꼬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SUPPLY APPARATUS OF HANJI FLAT YARN}
본 발명은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 커버링사의 제조를 위해 공급되는 한지와 이종의 원사와의 합연시 엉킴이 방지되도록 하여 S꼬임이나, Z꼬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닥나무를 원료로 하는 한지사는 항균 및 소취기능이 탁월하고 피부 친화성이 높아 환경오염에 따른 신체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천연섬유인 울, 실크, 면이 가지지 못한 흡한속건성, 경량성, 속건성, 자외선 차단기능, 원적외선 방출 등의 기능이 탁월한 소재로 알려지면서 이를 이용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지사는 고유의 물성으로 인해 100% 한지사만으로는 제품화가 어려우며, 강신도 보강을 위해 연사공정을 거쳐 사용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전통기법으로 제조된 한지를 이용하여 한지원단 자체를 재단하여 사용하거나, 수작업에 의해 한지를 잘라서 꼬임을 부여한 실을 만들어 제품화하였으나 생산성의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대량 권취된 한지원지를 일정한 폭으로 슬리팅(slitting)한 후 권취하여 연사공정에 의해 한지사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는 있으나, 한지사와 이종 원사와의 S꼬임이나, Z꼬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엉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2153호(2011. 12. 0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 커버링사의 제조를 위해 공급되는 한지와 이종의 원사와의 합연시 엉킴이 방지되도록 하여 S꼬임이나, Z꼬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관과, 상기 지관에 권치되는 한지 플랫 심사를 포함하는 한지모듈이 결합되며, 커버링기에 구비되는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한지 플랫 심사를 그 커버링기에 포함되는 합연장치로 공급하여 그 합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이종의 원사와 합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로서, 상기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는, 상기 홀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한지모듈이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그 지지부와 직교상태에서보다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상기 지지부는,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하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가 개구되어 상기 홀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를 상기 홀더에 결속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레임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타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2프레임의 사이 경사각은, 97도 내지 105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바는, 상기 제2프레임과의 사이 경사각이 97도 내지 105로를 이루거나, 상기 연결바의 일단부 중앙으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는 가상의 중심선과 7도 내지 15도의 경사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 커버링사의 제조를 위해 공급되는 한지와 이종의 원사와의 합연시 엉킴이 방지됨으로써, S꼬임이나, Z꼬임 등이 원활하게 이루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에서 커버링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커버링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1)는 지관(110)과, 상기 지관(110)에 권치되는 한지 플랫 심사(120)를 포함하는 한지모듈(130)이 결합되며, 커버링기(100)에 구비되는 홀더(140)에 결합되어 상기 한지 플랫 심사(120)를 그 커버링기(100)에 포함되는 합연장치(150)로 공급하여 그 합연장치(150)로부터 공급되는 이종의 원사(160)와 합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로서, 상기 홀더(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10), 상기 한지모듈(130)이 상기 지지부(10)를 중심으로 직교상태에서보다 기울어지게 결합되는 연결부(20), 상기 연결부(20)와 상기 지지부(10)를 연결하는 프레임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한지모듈(130)은 상기 연결부(20)에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부(10)와 직교를 이루는 상태보다 그 지지부(10)가 위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자연스럽게 경사를 이룬다.
상기 힌지모듈(130)이 상기 지지부(10)를 중심으로 직교상태보다 경사를 이루는 경사각(B)은 상기 프레임부(30)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20)의 일단부 중앙으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0)와 직교를 이루는 가상의 중심선(A)을 기준으로 그 가상의 중심선(A)과 7도 내지 15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상의 중심선(A)은 상기 커버링기(100)가 안착되는 지면 등의 바닥면(200)과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실험에 의한 것으로 상기 힌지모듈(130)과 상기 가상의 중심선(A)이 이루는 경사각(B)이 7도 이하 또는 15도 이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한지 플랫 심사(120)에 작용되는 텐션이 적거나, 너무 과하게 되면서 그 한지 플랫 심사(120)가 상기 합연장치(150)로부터 공급되는 이종의 원사(160)와의 S꼬임이나, Z꼬임 등의 합연시 엉킴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힌지모듈(130)이 상기 가상의 중심선(A)을 기준으로 7도 내지 15도의 경사각을 가질 때 합연효과가 가장 크다.
일반적으로 닥나무를 원료로 하는 한지사는 항균 및 소취기능이 탁월하고 피부 친화성이 높아 환경오염에 따른 신체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천연섬유인 울, 실크, 면이 가지지 못한 흡한속건성, 경량성, 속건성, 자외선 차단기능, 원적외선 방출 등의 기능이 탁월한 소재로 알려지면서 이를 이용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지사는 고유의 물성으로 인해 100% 한지만으로는 제품화가 어려우며, 강신도 보강을 위해 연사공정을 거쳐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커버링기(100)는 상기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1)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한지 플랫 심사(120)에 상기 합연장치(150)로부터 공급되는 이종의 원사(160)와의 S꼬임이나, Z꼬임 등의 합연에 의해 복합 커버링사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1)는 상기 합연장치(150)의 하부에 위치되며, 이와 같은 커버링기(100)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한지 플랫 심사(120)는 1.5mm 내지 3mm의 폭을 가지며, 두께는 0.034mm로 이루어지는 얇은 필름 형태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140)는 상기 커버링기(100)의 하부를 이루는 베이스프레임(17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를 이룬다.
즉, 상기 홀더(140)는 상,하단부를 가지며,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70)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홀더(140)는 단수 또는 복수 구비될 수 있으며, 상단부가 상기 커버링기(100)가 안착되는 지면 등의 바닥면(200)과 직교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모듈(130)은 상기 홀더(140)가 상기 바닥면(200)과 직교를 이루면서 그 바닥면(200과 평행인 상태로부터 자연스럽게 상방향으로 경사를 이룬다.
상기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1)는 상기 힌지모듈(130)이 상기 가상의 중심선(A)과 7도 내지 15도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한지 플랫 심사(120)와 상기 이종의 원사(160) 간의 엉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10)는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하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가 개구되어 상기 홀더(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1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1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하부가 개구되는 원형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지지바(11)를 상기 홀더(140)에 결속하기 위한 가압수단(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12)은 볼트 등을 포함하는 결속구(13)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11)에는 그 지지바(11)의 내측과 연통되며 상기 결속구(13)가 결합되는 결속공(14)이 형성된다. 상기 결속공(14)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구(13)가 나사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바(11)는 상기 가압수단(13)의 조절에 따라 상기 홀더(1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30)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지지바(11)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1프레임(31) 및 상기 제1프레임(31)의 타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프레임(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2프레임(31,32)은 별도 제작된 후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나, 동일면 상태로 제작된 후, 상기 제2프레임(32)이 상기 제1프레임(31)의 타단부로부터 벤딩 또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2프레임(23,32)의 사이 경사각(C)은 7도 내지 15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힌지모듈(130)이 상기 가상의 중심선(A)과 7도 내지 15도의 경사각을 이루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연결부(20)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32)에 연결되는 연결바(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바(21)는 상기 제2프레임(32)과의 사이 경사각(D)이 97도 내지 105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모듈(130)이 상기 가상의 중심선(A)과 7도 내지 15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제1,2프레임(31,32) 간의 사이 경사각(C)은 90도를 이루거나, 상기 제2프레임(32)이 상기 가상의 중심선(A)과 직교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연결바(21)는 타단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한지모듈(13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합연장치(150)에 포함되는 스핀들(미도시)과 함께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 10 : 지지부
11 : 지지바 12 : 가압수단
13 : 결속구 14 : 결속공
20 : 연결부 21 : 연결바
30 : 프레임부 31 : 제1프레임
32 : 제2프레임 100 : 커버링기
110 : 지관 120 : 한지 플랫 심사
130 : 한지모듈 140 : 홀더
150 : 합연장치 160 : 이종의 원사
170 : 베이스프레임 200 : 바닥면
A : 중심선

Claims (5)

  1. 지관과, 상기 지관에 권치되는 한지 플랫 심사를 포함하는 한지모듈이 결합되며, 커버링기에 구비되는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한지 플랫 심사를 그 커버링기에 포함되는 합연장치로 공급하여 그 합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이종의 원사와 합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로서,
    상기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는,
    상기 홀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한지모듈이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그 지지부와 직교상태에서보다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하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가 개구되어 상기 홀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를 상기 홀더에 결속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타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프레임의 사이 경사각은,
    97도 내지 105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바는,
    상기 제2프레임과의 사이 경사각이 97도 내지 105로를 이루거나,
    상기 연결바의 일단부 중앙으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수평을 이루는 가상의 중심선과 7도 내지 15도의 경사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
KR1020130087810A 2013-07-25 2013-07-25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 KR101390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810A KR101390479B1 (ko) 2013-07-25 2013-07-25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810A KR101390479B1 (ko) 2013-07-25 2013-07-25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479B1 true KR101390479B1 (ko) 2014-05-02

Family

ID=5089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810A KR101390479B1 (ko) 2013-07-25 2013-07-25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47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802B1 (ko) 합사장치
ES2094173T3 (es) Aparato y metodo para producir productos de sutura trenzados.
KR101390479B1 (ko) 한지 플랫 심사 공급장치
GB2319785A (en) Thread feeder for sewing machine
JP6577684B1 (ja) 和紙糸製造装置及び和紙糸製造方法
TW201413076A (zh) 拉伸絲之製造方法及拉伸絲之製造裝置
CN108442006A (zh) 并条机及包芯纱的加工方法
JP2013189719A (ja) 丸編機におけるスリットヤーンの編成方法、その装置および編地
CN107974743B (zh) 一种可生产非弹性包覆纱的空气包覆纱机
US3089379A (en) Apparatus for making braided cord
CN214087051U (zh) 一种针织面料纱线导出结构及使用该导出结构的纱线供给装置
CN210393283U (zh) 一种防断线防尘纱线筒结构
TWI286169B (en) Yarn processing method and yarn processing machine
CN111334944A (zh) 一种设有引线架的缝纫机
CN206126391U (zh) 一种防静电布料放卷机
JP2010115198A (ja) フィルタトウ帯を搬送するための装置
JP2016080838A (ja) 光ケーブル製造装置及び光ケーブル製造方法
CN218104886U (zh) 一种滤棒加线装置及滤棒成型机
JP2015533750A (ja) クリール用モジュラーユニット
CN209352364U (zh) 一种纺织机械上蜡装置
CN216039966U (zh) 一种抗拉防静电涤纶纤维生产用集束架
WO2007006498A3 (de) Texturiermaschine
CN211812687U (zh) 一种具有张力缓冲功能的纤维线料存料架
JP2007070754A (ja) 合撚糸機
ITMI940293U1 (it) Struttura di cantra per il supporto di rocche di filo,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circolari per la produzione di calz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