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346B1 - 자막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막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346B1
KR101390346B1 KR1020130028538A KR20130028538A KR101390346B1 KR 101390346 B1 KR101390346 B1 KR 101390346B1 KR 1020130028538 A KR1020130028538 A KR 1020130028538A KR 20130028538 A KR20130028538 A KR 20130028538A KR 101390346 B1 KR101390346 B1 KR 101390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subtitle
style
character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화
Original Assignee
서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화 filed Critical 서영화
Priority to KR1020130028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어 표시되며, 비디오 화면에 자막을 입력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막요소가 서로 다르게 구성된 다수의 자막스타일을 저장하는 자막 데이터 DB,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자막스타일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자막내용이 입력되면, 상기 자막내용에 상기 자막스타일을 적용하여 편집하고, 편집된 상기 자막내용을 상기 비디오 화면에 표시하는 자막 삽입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연동하여 상기 자막 삽입부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미리 생성된 자막스타일을 이용하여 자막을 비디오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문가가 아니라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비디오에 자막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하는 자막이 어떠한 형태로 표현될지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다.

Description

자막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ADDING CAP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막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문적인 기술이나 경험을 가지지 않더라도 다양한 스타일의 자막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비디오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자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다양하고 엄청난 양의 정보가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공유되고 있다. 인터넷 개발의 초창기에는 공유되는 정보가 단순한 문서나 이미지 파일 정도였으나, 현재는 유투브나 페이스북 등의 웹사이트 설립에 힘입어 영상으로 제작된 정보가 넘쳐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영상에는 보통 음악이나 음성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상관없이, 영상에 포함된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자막이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렇게 인터넷 상에서 공유되는 영상뿐만 아니라, 사실을 전달하는 뉴스 방송의 경우, 방송하는 동안 요점을 자막으로 처리함으로써, 시청자가 보다 정확하게 뉴스의 내용을 파악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예능 오락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그때그때 상황을 풍자한 코멘트나 앞으로 벌어질 일에 대한 코멘트 등을 자막으로 처리함으로써, 상황의 이해와 프로그램의 재미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자막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트랜드에 맞추어, 일반인도 본인이 직접 촬영하거나 인터넷 등을 통해 공유하고 있는 영상에 자막을 삽입하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고 있다. 현재 영상에 자막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야 하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는 어도비(Adobe)의 프리미어가 있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교육을 받아야 할 정도로 사용방법이 복잡하다. 이에 따라, 일반 사용자들은 영상에 자막을 삽입하고 싶어도 사용방법을 배우기 위한 시간적, 비용적 소모에 대한 부담으로 포기할 수 있다. 또한, 교육을 받아 프로그램을 사용하더라도 사용 방법이 까다로워 원하는 스타일대로 자막을 삽입하기까지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전문가들도 원하는 스타일의 자막을 영상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자막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이 삽입할 자막이 어떻게 표현될지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자막의 스타일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막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어 표시되며, 비디오 화면에 자막을 입력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막요소가 서로 다르게 구성된 다수의 자막스타일을 저장하는 자막 데이터 DB,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자막스타일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자막내용이 입력되면, 상기 자막내용에 상기 자막스타일을 적용하여 편집하고, 편집된 상기 자막내용을 상기 비디오 화면에 표시하는 자막 삽입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연동하여 상기 자막 삽입부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막스타일을 구성하는 자막요소는 글자 폰트, 글자 사이즈, 글자 색상, 글자 테두리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글자 스타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막스타일은 복수의 글자로 구성된 기본 문장으로 표시되며, 상기 자막요소는 글자 단위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자막 삽입부에 의해 생성된 자막이 삽입된 비디오를 저장하는 비디오 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막스타일은 미리 설정된 테마인 자막세트에 따라 분류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자막스타일을 상기 자막세트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자막 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막 삽입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자막스타일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자막스타일에 해당하는 기본 문장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 제공하고, 상기 기본 문장 내의 글자 중 선택된 글자의 자막요소에 매칭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된 자막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자막스타일에 포함되는 글자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는 글자스타일선택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자막내용에 포함된 글자에 대해서 상기 글자스타일선택아이콘에 의해 선택된 글자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비디오 화면에 자막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표시 단계, 자막의 삽입을 위해 선택된 비디오가 재생되는 비디오 재생 단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막요소가 서로 다르게 구성된 다수의 자막스타일 중 하나가 선택되는 자막스타일 선택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자막내용이 입력되면 상기 자막내용에 상기 자막스타일을 적용하여 편집하고, 편집된 상기 자막내용을 상기 비디오 화면에 표시하는 자막 삽입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자막 스타일 선택 단계는, 상기 다수의 자막스타일을 미리 설정된 테마에 따라 분류한 자막세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자막세트 중에서 선택된 자막세트에 포함되는 자막스타일을 표시하여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막 삽입 단계는 상기 선택된 자막스타일에 포함되는 글자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는 글자스타일선택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자막내용에 포함된 글자에 대해서 상기 글자스타일선택아이콘에 의해 선택된 글자스타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생성된 자막스타일을 이용하여 자막을 비디오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문가가 아니라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비디오에 자막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하는 자막이 어떠한 형태로 표현될지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삽입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
도 2, 도 4,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화면도,
도 3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화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자막을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막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삽입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다.
본 자막 삽입 시스템은, 일반 사용자들이 온라인 및 오프라인상에 존재하는 비디오에 다양한 디자인의 자막을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자막 삽입 서버(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자막 삽입 서버(10)에 접속하여 원하는 비디오 화면에 자막을 삽입하는 사용자 단말기(1)를 포함한다.
본 자막 삽입 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1)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20)와, 유저 인터페이스(2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비디오 화면에 자막을 삽입하는 자막 삽입부(25)와, 다수의 자막 스타일이 저장된 자막 DB(35)와, 자막이 삽입된 비디오가 저장되는 비디오 DB(30)와, 유저 인터페이스(20)와 자막 삽입부(2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는, 네트워크를 통해 자막 삽입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PC, 테블릿 PC, 스마트폰, 카메라, 노트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여하한 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화면도이다.
유저 인터페이스(20)는, 자막 삽입 서버(1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1)에 제공되며, 비디오가 재생되는 비디오창(100), 다양한 자막요소를 가지는 자막샘플인 자막스타일이 표시되는 자막선택창(120), 비디오에 삽입된 자막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자막정보창(14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20)의 상단에는 자막을 삽입할 비디오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비디오 선택 버튼(110)이 생성되어 있다. 비디오 선택 버튼(110)으로는, 타인이 웹사이트에 업로드한 UCC중에서 비디오를 선택하기 위한 'UCC 올림픽'버튼(111), 상업적 목적으로 개인이나 기업에서 작성한 비디오를 구매하기 위한 '마켓'버튼(112),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거나 구매하여 자막 삽입 서버(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를 선택하기 위한 '내 비디오'버튼(113), 친구나 아는 지인과 공유하고 있는 비디오 중 선택하기 위한 '친구 비디오'버튼(1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CC는 유튜브나 페이스북 등의 웹사이트에 링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내 비디오나 친구 비디오는 자막 삽입 서버(1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1), 사용자의 개인 웹사이트, 친구의 단말기, 친구의 개인 웹사이트 등을 통해 공유할 수도 있다.
비디오 선택 버튼(110)은, 비디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비디오 선택 버튼(110)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변경도 가능하다.
비디오창(100)의 하단에는 비디오의 재생 상태를 보여주는 재생표시바아(130)가 형성되어 있고, 재생표시바아(13)에는 비디오의 재생 진행 상태와 재생시간이 표시되어 있다.
자막선택창(120)은 비디오창(100)의 측부에 표시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비디오창(100)의 전면으로 펼쳐져 표시될 수도 있고, 비디오창(100)으로부터 숨겨질 수도 있다. 자막선택창(120)이 숨겨진 경우에는 자막선택창(120)의 펼침을 선택하는 화살표가 비디오창(100)의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자막선택창(1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막세트를 선택하는 세트선택창(121)과, 자막스타일을 선택하는 스타일선택창(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막세트는 자막스타일을 미리 설정된 테마에 따라 분류한 것이고, 자막스타일은 비디오 화면에 삽입되는 자막을 다양한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각 자막세트를 나타내는 테마는, 형식적인 테마, 발랄한 느낌의 테마, 차분한 느낌의 테마, 코믹한 테마 등 자막세트의 분위기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고, 방송 프로그램이나 방송 콘텐츠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이나 방송 콘텐츠에 따라 분류되는 경우, 뉴스 테마, 무한도전 테마, 해피투게더 테마, 화성인 바이러스 테마, 런닝맨 테마 등으로 자막세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세트선택창(12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자막세트의 이름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세트선택창(121)에는 뉴스, 무한도전, 런닝맨 등의 자막세트 이름이 해당 프로그램의 실제 아이콘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세트선택창(12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자막세트를 대표하는 자막스타일이 기본 문장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자막스타일은 하나의 자막세트당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자막스타일은 자막요소가 다양하게 조합되어 하나의 자막스타일을 이룰 수 있다. 자막요소는 자막에 포함되는 글자 별로 설정된 글자 색상, 글자 크기, 글자 폰트, 글자 테두리 유무 등의 글자 스타일과, 글자 스타일 외에 자막에 포함되는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막스타일은 미리 설정된 기본 문장 형태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하는 자막이 어떻게 표시될지 미리 예상할 수 있고, 원하는 자막스타일을 정확히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자막스타일 별로 자막요소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사용자가 세트선택창(121)에서 원하는 자막세트를 선택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자막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자막스타일이 스타일선택창(121)에 표시된다. 스타일선택창(121)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자막스타일을 더블클릭하거나 비디오창(100)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면, 선택된 자막스타일이 비디오창(100)에 표시된다.
자막스타일이 표시되는 기본 문장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을 입력해주세요'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자막스타일에 포함되는 자막요소는 글자 단위로 변화되도록 적용되어 기본 문장을 구성할 수 있다.
글자 단위로 변화되도록 자막스타일을 구성할 경우, 기본 문장의 각 글자인 내, 용, 을, 입, 력, 해, 주, 세, 요의 모든 글자에 대해 각각 상이한 자막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자막요소 중 하나만을 상이하게 적용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자막요소를 상이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막요소 중 사이즈만 각 글자에 대해 상이하게 적용하는 경우는, 기본 문장에 포함되는 각 글자의 폰트, 색상 등을 모두 동일하게 구성한 상태에서 각 글자의 크기를 '내'에서 '요'로 갈수록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어절 단위로 자막스타일을 구성할 경우, 기본 문장인 '내용을', '입력해', '주세요'의 각 어절에 대해 각각 상이한 자막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을'만 색상이나 폰트를 달리한다든지, '입력해'만 크기를 크게 한다든지 하는 변형을 시도할 수 있다. 물론, 각 어절에 대해 여러 가지 자막요소를 변형시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내용을'의 색상은 빨간색, 폰트는 고딕체, 크기는 12로 하고, '입력해'의 색상은 흰색, 폰트는 굴림체, 크기는 14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자막스타일을 글자 또는 어절 단위로 변형을 주어 생성한 경우, 사용자는 글자 또는 어절 단위로 자막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타일이 완전 바뀌었네'라는 문장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기본 문장인 '내용을'의 위치에 '스타일이'를 입력하고, '입력해'의 위치에 '완전'을 입력하고, '주세요'의 위치에 '바뀌었네'를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내용을'의 위치에 '스타일이 완전'을 입력하고, '주세요'의 위치에 '바뀌었네'를 입력하는 등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글자 또는 어절을 선택하여 문장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사용자가 자막을 입력하는 동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창(100)의 상단에는 자막의 색상과 자간을 각각 선택할 수 있는 글자스타일선택 아이콘(161)과 자간입력 아이콘(162)이 표시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자막에서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여 글자 스타일과 자간을 변경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20)의 다른 실시예인 도 7에는 스타일 선택 아이콘(261)들과 함께, 글꼴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아이콘(262), 문단 정렬을 위한 아이콘(263), 레이어 순서를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264)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비디오창(100)과 자막선택창(120)의 하부에는 자막정보창(140)이 형성되어 있다. 자막정보창(140)에는 비디오창(100)을 통해 재생되고 있는 비디오에 삽입된 자막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자막에 대한 정보는 레이어 형태로 표시되며, 각 레이어에는 레이어 번호, 자막이 삽입된 비디오 구간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 자막 표시 속도, 자막의 내용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각 레이어의 마지막 영역에는 자막추가버튼(141)과 자막삭제버튼(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자막추가버튼(141)은 동일한 비디오 화면에 추가로 자막을 삽입할 때 사용할 수 있고, 자막삭제버튼(142)은 자막을 삭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자막추가버튼(141)을 선택하면, 레이어가 하나 더 추가로 생성되며, 비디오 화면에도 추가의 기본 문장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추가된 기본 문장을 클릭하여 원하는 문장을 입력할 수 있다. 자막삭제버튼(142)을 클릭하면, 해당 레이어에 표시된 자막이 삭제된다.
자막정보창(140)의 일측에는 자막선택창(120)의 표시를 위한 자막버튼(151), 자막에 삽입할 수 있는 이모티콘을 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모티콘 버튼(152), 소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소리버튼(153), 자막이 삽입된 비디오를 자막 삽입 서버(10)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버튼(154), 비디오를 개인 블로그나 비디오 공유 웹사이트 등에 업로드하기 위한 업로드버튼(155), 유저 인터페이스(20)를 종료하기 위한 나가기버튼(15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자막 삽입부(25)는, 유저 인터페이스(2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비디오 화면에 자막을 삽입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비디오 선택 버튼(110) 중 하나를 선택하면, 자막 삽입부(25)는 해당 비디오를 불러와 비디오창(10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UCC 올림픽'버튼(111)을 선택하면, 자막 삽입부(25)는 UCC를 포함하는 여러 웹사이트의 링크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가 비디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마켓'버튼(112)을 선택하면, 비디오를 구매할 수 있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비디오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내 비디오'버튼(113)이나 '친구 비디오'버튼(114)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1)에서 비디오를 불러올 수 있는 불러오기 창을 팝업시키거나, 자막 삽입 서버(10)의 비디오 DB(30)에 저장된 비디오 리스트를 불러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비디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자막 삽입부(25)는 사용자가 자막정보창(140)의 자막버튼(151)을 클릭하거나 비디오창(100)의 측면에 표시된 화살표를 클릭하면, 자막선택창(120)을 비디오창(100)의 전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자막 삽입부(25)는 세트선택창(121)에 복수의 자막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세트선택창(121)에서 원하는 자막세트를 선택하면, 자막 삽입부(25)는 선택된 자막세트에 포함되는 다수의 자막스타일을 스타일선택창(122)에 표시할 수 있다. 스타일선택창(122)에서 자막스타일이 선택되면, 자막 삽입부(25)는 해당 자막스타일을 비디오창(1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자막스타일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자막을 입력하면, 자막 삽입부(25)는 기본 문장에서 사용자가 클릭한 글자 또는 어절을 감지하고, 사용자가 자막내용을 입력하면 해당 글자 또는 어절에 해당하는 자막스타일대로 입력된 글자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자막스타일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막 삽입부(25)는 사용자가 입력한 자막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글자를 선택하고, 글자스타일선택 아이콘(161)과 자간선택 아이콘(162)을 통해 글자 스타일과 자간을 변경하면, 선택된 글자를 선택된 글자 스타일과 자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비디오에 자막 입력이 완료되어 저장버튼(154)이 클릭되면, 자막 삽입부(25)는 편집된 비디오를 자막 삽입 서버(10)의 비디오 DB(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업로드버튼(155)을 클릭하면, 자막 삽입부(25)는 비디오를 업로드할 수 있는 웹사이트의 링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개인 블로그, 비디오를 공유하는 웹사이트 등에 비디오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자막 DB(35)에는 자막선택창(120)을 통해 제공되는 자막스타일이 자막세트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다. 각 자막세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막스타일의 분위기나 방송 프로그램 등에 따라 분류되어 있으며, 각 자막세트에는 수십 개의 자막스타일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자막 DB(35)에는 자막스타일이 자막세트에 따라 분류되어 테이블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각 자막스타일에는 글자스타일선택 아이콘(161)에 표시되는 글자 스타일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있다. 이렇게 글자스타일선택 아이콘(161)으로 제공되는 글자 스타일에 대해서만 사용자가 자막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적용하여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글자스타일선택 아이콘(161)에 따라 표시되는 글자 스타일은 해당 자막스타일의 기본 문장에 포함된 글자 별로 적용된 글자 스타일이다.
비디오 DB(30)에는 사용자에 의해 자막이 삽입된 비디오가 저장되며, 비디오는 다양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는 사용자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고, 비디오의 제공소스, 즉 비디오가 제공된 출처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고, 비디오의 장르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DB(30)에는 자막이 삽입되지 아니한 비디오도 저장된다. 자막 삽입 서버(10)에서는 사용자에게 자막을 삽입하기 위한 비디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비디오 DB(30)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비디오가 저장된다. 자막이 삽입되지 아니한 비디오는 자막이 삽입된 비디오와는 별도로 저장되며, 비디오의 제공소스나 장르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사용자가 자막 삽입 서버(10)에 접속하면, 회원 가입 등의 기본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비디오에 자막을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20)를 사용자 단말기(1)로 제공하는 한편, 자막 삽입부(25)를 활성화하여 사용자 단말기(1)에서 비디오에 자막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자막 삽입 시스템에서 비디오에 자막을 삽입하여 편집하는 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기(1)가 네트워크를 통해 자막 삽입 서버(10)에 접속하면(S800), 제어부(15)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20)를 사용자 단말기(1)로 제공하고(S810), 자막 삽입부(25)를 활성화시킨다.
사용자 단말기(1)에서 비디오 선택 버튼(110) 중 하나가 선택되면, 자막 삽입부(25)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에서의 선택에 따라, 비디오를 공유 및/또는 판매하는 웹사이트의 링크, 자막 삽입 서버(10)의 비디오 DB(30)에 저장된 비디오의 리스트, 사용자의 블로그, 사용자 컴퓨터의 불러오기 창 등을 사용자 단말기(1)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에서 비디오가 선택되면(S820), 자막 삽입부(25)에서는 선택된 비디오를 유저 인터페이스(20)의 비디오창(100)에 표시할 수 있다(S830). 이와 동시에, 자막 삽입부(25)는 자막선택창(120)을 표시하며, 자막 DB(35)로부터 자막세트에 대한 정보를 인출하여 자막선택창(12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에서 비디오의 재생이 일시정지되고, 세트선택창(121)의 자막세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S840), 자막 삽입부(25)는 해당 자막세트에 포함되는 자막스타일을 자막 DB(35)로부터 인출하여 스타일선택창(122)에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자막스타일을 선택하기 전에 먼저 다수의 자막세트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해당 비디오에 적합한 스타일의 자막세트를 선택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사용자는 자신의 비디오에 적합한 스타일의 자막세트 중에서 세부적으로 해당 비디오 화면에 적합한 자막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에서 자막스타일이 선택되면(S850), 자막 삽입부(25)는 해당 자막스타일의 기본 문장을 비디오창(100)의 비디오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860).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기(1)에서 비디오 화면에 표시된 기본 문장이 클릭되면, 자막 삽입부(25)는 클릭된 글자 또는 어절에 설정된 자막요소를 감지한다(S870). 그런 다음, 사용자가 자막을 입력하면, 설정된 자막요소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자막내용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880).
자막 입력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저장버튼(154)을 클릭하면, 자막 삽입부(25)는 자막이 편집된 비디오를 비디오 DB(30)에 저장할 수 있다(S890). 비디오가 저장된 후, 업로드버튼(155)이 클릭되면, 자막 삽입부(25)는 해당 비디오를 미리 설정된 웹사이트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 링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자막 삽입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자막스타일을 이용하여 원하는 자막내용을 비디오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문가가 아니라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비디오에 자막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자막스타일을 이용하여 원하는 디자인으로 자막을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하는 자막이 어떠한 형태로 표현될지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자막스타일을 정확히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막스타일을 일부 또는 전부 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자막스타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가 자막 삽입 서버(10)에 접속하면 유저 인터페이스(20)가 사용자 단말기(1)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20)를 이용하여 비디오에 자막을 넣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가 자막 삽입 서버(10)에 접속한 상태에서만 비디오에 자막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달리, 유저 인터페이스의 기능, 자막 삽입부의 기능, 자막 DB에 저장된 자막세트와 자막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한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가 자막 삽입 서버(10)에 초기 접속하면, 자막 삽입 서버(10)에서 사용자 단말기(1)로 자막 삽입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에서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디오에 자막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자막 삽입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사용자 단말기 10 : 자막 삽입 서버
15 : 제어부 20 : 유저 인터페이스
25 : 자막 삽입부 30 : 비디오 DB
35 : 자막 DB

Claims (13)

  1.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어 표시되며, 비디오 화면에 자막을 입력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막요소가 서로 다르게 구성된 다수의 자막스타일을 저장하는 자막 데이터 DB;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자막스타일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자막내용이 입력되면, 상기 자막내용에 상기 자막스타일을 적용하여 편집하고, 편집된 상기 자막내용을 상기 비디오 화면에 표시하는 자막 삽입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연동하여 상기 자막 삽입부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막 삽입부에 의해 생성된 자막이 삽입된 비디오를 저장하는 비디오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삽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스타일을 구성하는 자막요소는 글자 폰트, 글자 사이즈, 글자 색상, 글자 테두리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글자 스타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삽입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스타일은 복수의 글자로 구성된 기본 문장으로 표시되며, 상기 자막요소는 글자 단위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삽입 시스템.
  4. 삭제
  5.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어 표시되며, 비디오 화면에 자막을 입력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자막요소가 서로 다르게 구성된 다수의 자막스타일을 저장하는 자막 데이터 DB;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자막스타일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자막내용이 입력되면, 상기 자막내용에 상기 자막스타일을 적용하여 편집하고, 편집된 상기 자막내용을 상기 비디오 화면에 표시하는 자막 삽입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연동하여 상기 자막 삽입부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막스타일은 미리 설정된 테마인 자막세트에 따라 분류되며, 상기 자막스타일을 상기 자막세트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자막 DB;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삽입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삽입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자막스타일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자막스타일에 해당하는 기본 문장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 제공하고, 상기 기본 문장 내의 글자 중 선택된 글자의 자막요소에 매칭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된 자막내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삽입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자막스타일에 포함되는 글자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는 글자스타일선택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자막내용에 포함된 글자에 대해서 상기 글자스타일선택아이콘에 의해 선택된 글자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삽입 시스템.
  8. 비디오 화면에 자막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표시 단계;
    자막의 삽입을 위해 선택된 비디오가 재생되는 비디오 재생 단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막요소가 서로 다르게 구성된 다수의 자막스타일 중 하나가 선택되는 자막스타일 선택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자막내용이 입력되면, 상기 자막내용에 상기 자막스타일을 적용하여 편집하고, 편집된 상기 자막내용을 상기 비디오 화면에 표시하는 자막 삽입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막 스타일 선택 단계는,
    상기 다수의 자막스타일을 미리 설정된 테마에 따라 분류한 자막세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자막세트 중에서 선택된 자막세트에 포함되는 자막스타일을 표시하여 선택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삽입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스타일을 구성하는 자막요소는 글자 폰트, 글자 사이즈, 글자 색상, 글자 테두리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글자 스타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삽입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스타일은 복수의 글자로 구성된 기본 문장으로 표시되며, 상기 자막요소는 글자 단위로 변경되도록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삽입 방법.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삽입 단계는,
    상기 선택된 자막스타일에 포함되는 글자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는 글자스타일선택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자막내용에 포함된 글자에 대해서 상기 글자스타일선택아이콘에 의해 선택된 글자스타일을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삽입 방법.
  13. 컴퓨터에서 제8항, 제9항, 제10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028538A 2013-03-18 2013-03-18 자막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0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538A KR101390346B1 (ko) 2013-03-18 2013-03-18 자막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538A KR101390346B1 (ko) 2013-03-18 2013-03-18 자막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346B1 true KR101390346B1 (ko) 2014-05-27

Family

ID=50892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538A KR101390346B1 (ko) 2013-03-18 2013-03-18 자막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781A (ko) * 2016-04-06 2017-10-16 네이버 주식회사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357A (ja) 2001-10-30 2003-05-09 Kddi Corp テロップテキスト編集効果表示装置
KR20050055298A (ko) * 2003-12-08 2005-06-1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영상 자막재생 방법
KR20050092540A (ko) * 2004-03-16 2005-09-22 이찬호 디지털미디어의 실시간 제작 및 관리를 위한 자동화시스템
KR20090090053A (ko) * 2008-02-20 2009-08-25 (주)아이유노글로벌 자막 데이터의 동기화를 이용한 편집된 영상물의 자막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357A (ja) 2001-10-30 2003-05-09 Kddi Corp テロップテキスト編集効果表示装置
KR20050055298A (ko) * 2003-12-08 2005-06-1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영상 자막재생 방법
KR20050092540A (ko) * 2004-03-16 2005-09-22 이찬호 디지털미디어의 실시간 제작 및 관리를 위한 자동화시스템
KR20090090053A (ko) * 2008-02-20 2009-08-25 (주)아이유노글로벌 자막 데이터의 동기화를 이용한 편집된 영상물의 자막 처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781A (ko) * 2016-04-06 2017-10-16 네이버 주식회사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922059B1 (ko) 2016-04-06 2019-02-20 네이버 주식회사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0319B2 (en) Interactive multimedia story creation application
JP6861454B2 (ja) 共有アセット及び個別化アセットからのストーリーボード指示ビデオ制作
JP5767108B2 (ja) 媒体生成システム及び方法
US10279257B2 (en) Data mining, influencing viewer selections, and user interfaces
US8656283B2 (en) Interactive storybook system and method
US9213705B1 (en) Presenting content related to primary audio content
US2013024606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Animated Video Content with a Spoken Language Segment
CN101639943B (zh) 制作动画的方法和设备
US20050071736A1 (en) Comprehensive and intuitive media collection and management tool
US20080010585A1 (en) Binding interactive multichannel digital document system and authoring tool
US20140272820A1 (en)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US20190104325A1 (en) Event streaming with added content and context
US11343595B2 (en) User interface elements for content selection in media narrative presentation
KR20130062883A (ko) 미디어와 함께 코멘트를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1654754A (zh) 视频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11128362A (ja) 学習システム
TWI575457B (zh) 線上互動式三維多媒體編輯交流架構、編輯交流方法及其電腦可讀取媒體
US20100105473A1 (en) Video role play
JP7177175B2 (ja) テキスト・コンテンツからのリッチ・コンテンツの作成
KR101576094B1 (ko)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자막 삽입 시스템 및 방법
KR101390346B1 (ko) 자막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64659B1 (ko) 효과음을 이용한 자막 삽입 시스템 및 방법
WO2003102838A1 (en) Service system for editing personal electron-book of real time in internet
JP2016151856A (ja) ノート作成支援装置、ノート作成支援方法及びノート作成支援プログラム
KR20150122323A (ko) 링크 연결형 자막 삽입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