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781A -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781A
KR20170114781A KR1020160042305A KR20160042305A KR20170114781A KR 20170114781 A KR20170114781 A KR 20170114781A KR 1020160042305 A KR1020160042305 A KR 1020160042305A KR 20160042305 A KR20160042305 A KR 20160042305A KR 20170114781 A KR20170114781 A KR 20170114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ping section
caption
section
edit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059B1 (ko
Inventor
김승환
하지훈
김유나
이하늘
신현진
박민주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2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05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6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a ticker, e.g. scrolling banner for news, stock exchange, weath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objects, e.g. MPEG-4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가 콘텐츠의 자막을 매핑시키기 위한 자막 매핑 구간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구간을 추출하는 단계; 단말 장치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BTITLE MAPPING SECTION ADJUSTMENT SERVICE FOR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콘텐츠에 자막이 매핑되는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자막 매핑 구간'을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고,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액세스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가상 분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 및 문화의 세계화로 인해 공개된 콘텐츠는 삽시간에 세계 전역으로 전파된다. 그에 따라, 다른 언어로 된 콘텐츠에 대해 자국어 자막을 설정하고자 하는 수요 및 자국어 자막이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요는 계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러나, 실제로 콘텐츠가 공개된 후 타국으로 전파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자국어 자막이 설정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사이에는 상당한 갭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신속하게 콘텐츠의 자막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그 중에서 실제 자막을 입력하기 전에,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구간을 우선적으로 자동 추출하여, 추출된 구간을 상기 콘텐츠의 자막이 표시되는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자막 매핑 구간으로 이용하고 있었으나, 자동 추출된 음성 구간을 자막 매핑 구간으로 그대로 이용하기에는 그 정확성이 낮아, 사람이 2차적으로 자막 매핑 구간을 수정 및 보완해주는 절차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정보가 숫자로 이루어진 시간으로만 표시되었으므로 사용자의 직관적 판단이 어려워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수정/보완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콘텐츠에 대하여 한번에 단수의 사용자만이 액세스할 수 있었으므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수정/보완 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비하여 소요되는 시간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콘텐츠에 자막이 매핑되는 구간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편집하기 위해 자막 매핑 구간을 시각적으로 즉각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고,
또한,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하여 구분된 각각의 파트마다 각 사용자가 동시에 액세스하여 해당 파트에 속한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서버가 콘텐츠에 자막을 매핑시키기 위한 자막 매핑 구간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구간을 추출하는 단계; 단말 장치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파트 중 임의의 파트를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임의의 파트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상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균등 분할하는 가상 분할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분할 지점이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자막 매핑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 시점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자막 매핑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으로 상기 가상 분할 지점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가상 분할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은, 상기 콘텐츠에 등장하는 인물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 분할하는 단계는, 분할된 각 파트가 특정 인물 정보를 가지는 자막 매핑 구간만을 포함하도록 상기 콘텐츠를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분할 지점이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가상 분할 지점을 기준으로 제1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시간 범위 내에서 제2 시간 이상 동안 자막 매핑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으로 상기 가상 분할 지점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가상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분할 지점이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위치하고 상기 해당 가상 분할 지점을 기준으로 제1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시간 범위 내에서 제2 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자막 매핑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이 없는 경우, 상기 가상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균등 분할하는 가상 분할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파트 중 임의의 파트를 선택받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분할 지점에 의해 분할된 자막 매핑 구간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파트를 선택받는 경우, 상기 편집을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파트 및 상기 분할된 자막 매핑 구간의 나머지를 포함하는 제2 파트의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편집을 승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임의의 파트에 인접한 제3 파트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파트 및 제3 파트의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파트 중 제1 파트의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면서 동시에,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제2 파트의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의의 파트를 선택받는 단계는,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파트 중 제1 파트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파트를 선택받은 시점에 이미 제2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파트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여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파트의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있는 중인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파트에 대한 편집을 승인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는,
콘텐츠에 자막을 매핑시키기 위한 자막 매핑 구간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구간을 추출하는 자막 매핑 구간 추출부;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하는 가상 분할부; 상기 복수의 파트 중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파트에 대한 편집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편집 승인 판단부;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파트의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편집 프로그램 제공부;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변경하는 자막 매핑 구간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 장치가 서버로부터 콘텐츠에 자막을 매핑시키기 위한 자막 매핑 구간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구간을 추출한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타임라인 및 상기 타임라인의 전체 구간 중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대응되는 범위에 표시되는 바(bar)를 포함하는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상기 타임라인과 함께 상기 단말 장치 화면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임의의 자막 매핑 구간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자막 매핑 구간에 대응되는 구간 범위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드래그 앤 드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 앤 드롭에 기초하여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소정의 범위로 설정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의 시작 지점 또는 종료 지점을 선택 또는 드래그 앤 드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또는 드래그 앤 드롭에 기초하여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의 시작 지점 또는 종료 지점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은, 상기 콘텐츠에 등장하는 인물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각 인물에 대응하는 모양 및 색깔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포함된 인물 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서버로부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타임라인 및 상기 타임라인의 전체 구간 중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대응되는 범위에 표시되는 바(bar)를 포함하는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에 자막이 매핑되는 구간을 시각적으로 즉각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하여 구분된 각각의 파트마다 각 사용자가 동시에 액세스하여 해당 파트에 속한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콘텐츠에 대한 신속한 자막 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를 서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를 가상 분할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를 가상 분할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를 가상 분할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를 가상 분할하는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의 분할된 파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트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의 분할된 파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트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단말 장치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서버(100), 단말 장치(200) 및 상기 서버(100)와 단말 장치(200)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구간을 상기 콘텐츠에 자막을 매핑하기 위한 구간으로서 추출하고, 상기 단말 장치(200)로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복수 사용자의 동시 편집이 가능하도록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200)로부터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편집 정보를 수신하여 자동 추출된 자막 매핑 구간을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100)는 데이터 연산 처리, 데이터 송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으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물리적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물리적 서버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단말 장치(20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다시 상기 서버(100)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화면에는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타임라인 및 상기 타임라인의 전체 구간 중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대응되는 범위에 바를 표시하고, 또한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데 이용되는 별도의 객체 영역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 장치(200)는 통신 단말기로서,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PC 등의 고정형 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태블릿 PC, 랩톱(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10)는 상기 서버(100)와 단말 장치(20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며,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10)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10)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나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적어도 일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를 서버(100)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자막 매핑 구간 추출 단계(S110), 콘텐츠 가상 분할 단계(S120),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프로그램 제공 단계(S130), 자막 매핑 구간 편집 정보 수신 단계(S140) 및 자막 매핑 구간 변경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S110 단계에서 서버(100)는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에서 상기 콘텐츠에 등장하는 인물의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음성 신호 구간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신호 구간은 Labs 등의 자동 음성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콘텐츠의 음성 신호의 주파수 특성 등을 분석하여 각 인물 별로 구분하여 음성 신호 구간을 추출할 수도 있다.
추출된 음성 신호 구간은 상기 콘텐츠의 자막을 매핑시키기 위한 자막 매핑 구간으로 이용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설정이 완료된 후, 번역자가 콘텐츠에 대한 번역 자막을 입력함에 있어서, 순수 번역작업 이외에 콘텐츠에 자막이 표시되는 타이밍까지 일일이 설정해야 하는 수고로움을 덜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자막 매핑 구간이라 함은 콘텐츠, 특히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됨에 따라 자막이 표시되고 사라지는 타이밍에 해당되는 시간 구간을 의미한다.
S120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한다. 하나의 콘텐츠를 복수의 구분된 구획으로 분할하여 다른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중복이나 간섭없이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콘텐츠를 가상 분할하는 가상 분할 지점이 상기 S110 단계에서 추출한 자막 매핑 구간 상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자막 매핑 구간의 일부분과 나머지 부분이 각각 다른 파트에 속하게 된다. 이 경우 하나의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해 두 개의 서로 다른 번역 자막이 생성되어 서로 중복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분할 방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를 가상 분할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서버(100)는 콘텐츠를 3개의 파트로 균등 분할하는 가상 분할 지점 a, b를 설정한다. 이 때, 가상 분할 지점 b는 문제가 없으나 가상 분할 지점 a는 자막 매핑 구간에 위치한다. 이 경우, 해당 자막 매핑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 시점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자막 매핑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이 있는지 탐색하고, 상기 가상 분할 지점 a의 위치를 구간 a' 내의 어느 지점으로 변경(A)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파트 1 내지 3으로 가상 분할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변경된 가상 분할 지점 A는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a')의 중간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를 가상 분할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콘텐츠를 균등 분할하도록 가상 분할 지점을 설정하였으나, 가상 분할 지점 a는 자막 매핑 구간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가상 분할 지점 a를 기준으로 제1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시간 범위 내에서 제2 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자막 매핑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이 있는지 탐색한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간 a'는 상기 가상 분할 지점 a를 기준으로 제1 시간 내에 존재하고, 자막 매핑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a')이 제2 시간 이상이므로 상기 가상 분할 지점의 위치를 변경(A)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가상 분할한다. 바람직하게는, 변경된 가상 분할 지점 A는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a')의 중간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를 가상 분할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콘텐츠를 균등 분할하도록 가상 분할 지점을 설정하였으나, 가상 분할 지점 a는 자막 매핑 구간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가상 분할 지점 a를 기준으로 제1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시간 범위 내에서 제2 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자막 매핑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이 있는지 탐색한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간 a'는 상기 가상 분할 지점 a를 기준으로 제1 시간 이전에 존재하기는 하나, 자막 매핑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이 제2 시간 미만이므로 상기 가상 분할 지점 a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최초 설정된 균등 분할 지점(A)을 기준으로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가상 분할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를 가상 분할하는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S110 단계에서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은 각 인물 별로 구분하여 추출하였음을 전제로 한다.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기준으로 가상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등장인물을 기준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등장인물 A, B, C 세 명의 음성 신호에 대한 자막 매핑 구간이 존재하고, 각 자막 매핑 구간에 포함된 등장인물 정보를 기준으로 파트 1은 등장인물 A, 파트 2는 등장인물 B, 파트 3은 등장인물 C의 자막 매핑 구간만이 포함되도록 가상 분할할 수 있다. 나아가, 도 6에서는 하나의 파트에는 하나의 등장인물에 대한 자막 매핑 구간만이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특정된 복수의 등장인물에 대한 자막 매핑 구간이 하나의 파트에 포함되도록 가상 분할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번역자 특유의 개성이나 스타일이 각 등장인물에 따라 구분되어 자막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상기 서버(100)는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로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편집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 정보를 단말 장치(200)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구간을 변경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편집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 장치(200)의 운영 체제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웹 브라우저 상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서버(100)는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하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S120 단계에서 분할된 복수의 파트 중 임의의 파트를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에게 선택받은 파트에 속한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의 분할된 파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트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서버(100)는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파트 2를 선택받은 경우, 이미 다른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파트 2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고 그로부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이미 다른 단말 장치에 상기 파트 2의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고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파트 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 중인 경우가 아니라면,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파트 2에 대한 편집을 승인한다. 이 후,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트 2에 속한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다.
다만, 이미 다른 단말 장치에 상기 파트 2의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고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파트 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 중인 경우라면,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상기 파트 2에 대한 편집을 승인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파트2 이외에 다른 파트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의 분할된 파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트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5의 경우와 같이 가상 분할 지점이 자막 매핑 구간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강제 분할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서버(100)는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파트 2를 선택받은 경우, 이미 다른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파트 2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고 그로부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이미 다른 단말 장치에 상기 파트 2의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고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파트 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 중인 경우가 아니라면,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게 상기 파트 2에 대한 편집을 승인한다.
나아가,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선택 여부와 무관하게 파트 3에 대해서도 상기 파트 2에서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상기 파트 3에 대한 편집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이미 다른 단말 장치에 상기 파트 3의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고 상기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파트 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 중인 경우가 아니라면,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게 파트 3에 대한 편집도 승인한다. 이 후,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트 2 및 파트 3에 속한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다.
이는, 자막 매핑 구간이 두 개의 서로 다른 파트에 걸쳐져 있는 경우, 상기 두 개의 서로 다른 파트 모두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편집이 누락되거나 중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 5에서 개시된 가상 분할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S140 단계에서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 장치(200)로부터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재생하면서 등장인물의 음성 신호에 대한 자막 매핑 구간이 적절한지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한다.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변경하는 방법은 도 9 내지 12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S150 단계에서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최초에 자동 추출된 자막 매핑 구간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S110 내지 S150 단계가 완료된 후, 다시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편집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버(100)는 S110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단말 장치(200)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지원 방법은,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프로그램 수신 단계(S210), 편집 프로그램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220),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 단계(S230) 및 사용자 입력 정보 전송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S210 단계에서 상기 단말 장치(200)는 서버(100)로부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구간을 추출한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받는다. 상기 편집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 장치(200)의 운영 체제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웹 브라우저 상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상기 단말 장치(200)는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타임라인 및 상기 타임라인의 전체 구간 중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대응되는 범위에 표시되는 바(bar)를 포함하는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바(bar)는 상기 콘텐츠에 등장하는 각 인물에 따라 모양 및 색깔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 및 상기 바(bar)를 편집하기 위한 도구를 포함하는 별도의 객체 영역을 더 포함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단말 장치(200) 화면의 제1 영역(221)에는 상기 콘텐츠를 표시하고, 제2 영역(222)에는 타임라인(223), 자막 매핑 구간 A(224A) 및 자막 매핑 구간 B(224B)를 포함하는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자막 매핑 구간 A(224A)는 등장인물 A의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자막 매핑 구간이고, 상기 자막 매핑 구간 B(224B)는 등장인물 B의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자막 매핑 구간이다.
상기 단말 장치(200)는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콘텐츠를 재생시키면서 상기 자막 매핑 구간(224A, 224B)을 상기 타임라인(223)과 함께 화면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200)는 상기 임의의 자막 매핑 구간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자막 매핑 구간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의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도 있다.
S230 단계에서 상기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S220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에 설정된 자막 매핑 구간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에서 자막이 표시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타임라인 상에서 상기 자막 매핑 구간(바)의 위치 및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포함된 등장인물에 대한 정보를 편집할 수도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변경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자막 매핑 구간(바)을 드래그 앤 드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그에 기초하여 상기 타임라인 상에서 자막 매핑 구간(바)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소정의 범위로 설정된 자막 매핑 구간의 시작 지점 또는 종료 지점을 선택 또는 드래그 앤 드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그에 기초하여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변경하는 방법은 상기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단말 장치 화면의 제3 영역에 구비된 별도의 객체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를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사용자 입력은 터치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240 단계에서, 상기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100)가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자막 매핑 구간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0)는 자막 매핑 구간 추출부(110), 가상 분할부(120), 편집 승인 판단부(130), 편집 프로그램 제공부(140) 및 자막 매핑구간 변경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막 매핑 구간 추출부(110)는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구간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한 구간은 상기 콘텐츠의 자막을 매핑시키기 위한 자막 매핑 구간으로 이용한다.
상기 가상 분할부(120)는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가 상호간에 중복이나 간섭없이 동시에 자막 매핑 구간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편집 승인 판단부(130)는 분할된 복수의 파트 중에서 상기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선택한 임의의 파트에 대한 편집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하나의 파트에서 동시에 둘 이상의 사용자가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편집 프로그램 제공부(140)는 단말 장치(200)로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파트의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자막 매핑 구간 변경부(150)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이전의 자막 매핑 구간을 변경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10), 통신부(220), 제어부(230) 및 사용자 입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10)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20)는 서버(100)로부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서버(100)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20)에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타임라인 및 상기 타임라인의 전체 구간 중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대응되는 범위에 표시되는 바(bar)을 포함하는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서버 200: 단말 장치
110: 자막 매핑 구간 추출부 210: 디스플레이
120: 가상 분할부 220: 통신부
130: 편집 승인 판단부 230: 제어부
140: 편집 프로그램 제공부 240: 사용자 입력부
150: 자막 매핑 구간 변경부 223: 타임라인
224A, 224B: 자막 매핑 구간

Claims (21)

  1. 서버가 콘텐츠에 자막을 매핑시키기 위한 자막 매핑 구간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구간을 추출하는 단계;
    단말 장치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파트 중 임의의 파트를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임의의 파트의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균등 분할하는 가상 분할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분할 지점이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자막 매핑 구간의 이전 또는 이후 시점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자막 매핑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으로 상기 가상 분할 지점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가상 분할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은, 상기 콘텐츠에 등장하는 인물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 분할하는 단계는,
    분할된 각 파트가 특정 인물 정보를 가지는 자막 매핑 구간만을 포함하도록 상기 콘텐츠를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분할 지점이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가상 분할 지점을 기준으로 제1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시간 범위 내에서 제2 시간 이상 동안 자막 매핑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으로 상기 가상 분할 지점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분할 지점이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위치하고 상기 해당 가상 분할 지점을 기준으로 제1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시간 범위 내에서 제2 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자막 매핑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이 없는 경우,
    상기 가상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균등 분할하는 가상 분할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트 중 임의의 파트를 선택받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분할 지점에 의해 분할된 자막 매핑 구간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파트를 선택받는 경우,
    상기 편집을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파트 및 상기 분할된 자막 매핑 구간의 나머지를 포함하는 제2 파트의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임의의 파트에 인접한 제3 파트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파트 및 제3 파트의 자막 매핑 구간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파트 중 제1 파트의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면서 동시에,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제2 파트의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파트를 선택받는 단계는,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파트 중 제1 파트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파트를 선택받은 시점에 이미 제2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파트에 대한 편집을 승인하여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파트의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있는 중인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파트에 대한 편집을 승인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1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콘텐츠에 자막을 매핑시키기 위한 자막 매핑 구간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구간을 추출하는 자막 매핑 구간 추출부;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을 복수의 파트로 가상 분할하는 가상 분할부;
    상기 복수의 파트 중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파트에 대한 편집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편집 승인 판단부;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임의의 파트의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편집 프로그램 제공부;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변경하는 자막 매핑 구간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단말 장치가 서버로부터 콘텐츠에 자막을 매핑시키기 위한 자막 매핑 구간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구간을 추출한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타임라인 및 상기 타임라인의 전체 구간 중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대응되는 범위에 표시되는 바(bar)를 포함하는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상기 타임라인과 함께 상기 단말 장치 화면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임의의 자막 매핑 구간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자막 매핑 구간에 대응되는 구간 범위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드래그 앤 드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 앤 드롭에 기초하여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소정의 범위로 설정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의 시작 지점 또는 종료 지점을 선택 또는 드래그 앤 드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또는 드래그 앤 드롭에 기초하여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의 시작 지점 또는 종료 지점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은, 상기 콘텐츠에 등장하는 인물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각 인물에 대응하는 모양 및 색깔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포함된 인물 정보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
  2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1. 디스플레이;
    서버로부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콘텐츠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타임라인 및 상기 타임라인의 전체 구간 중 상기 자막 매핑 구간에 대응되는 범위에 표시되는 바(bar)를 포함하는 자막 매핑 구간 편집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막 매핑 구간을 편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KR1020160042305A 2016-04-06 2016-04-06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92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305A KR101922059B1 (ko) 2016-04-06 2016-04-06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305A KR101922059B1 (ko) 2016-04-06 2016-04-06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781A true KR20170114781A (ko) 2017-10-16
KR101922059B1 KR101922059B1 (ko) 2019-02-20

Family

ID=6029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305A KR101922059B1 (ko) 2016-04-06 2016-04-06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0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537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파이프랩스 자막 동기화를 제공하는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4694A (ja) * 2001-02-15 2002-08-30 Telecommunication Advancement Organization Of Japan 字幕送出タイミング検出装置
JP2003224773A (ja) * 2002-01-28 2003-08-08 Telecommunication Advancement Organization Of Japan タイムライン上に配置した字幕の境界移動による字幕編集支援システム
JP2004208014A (ja) * 2002-12-25 2004-07-22 Mitsubishi Electric Corp 字幕表示装置及び字幕表示プログラム
KR100907216B1 (ko) * 2008-02-27 2009-07-10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자막정보를 이용한 영상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0157961A (ja) * 2009-01-05 2010-07-15 Kadokawa Marketing Co Ltd 字幕作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353320B1 (ko) * 2012-07-16 2014-01-23 주식회사 이유씨시스템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콘텐츠 관리시스템
KR101390346B1 (ko) * 2013-03-18 2014-05-27 서영화 자막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4694A (ja) * 2001-02-15 2002-08-30 Telecommunication Advancement Organization Of Japan 字幕送出タイミング検出装置
JP2003224773A (ja) * 2002-01-28 2003-08-08 Telecommunication Advancement Organization Of Japan タイムライン上に配置した字幕の境界移動による字幕編集支援システム
JP2004208014A (ja) * 2002-12-25 2004-07-22 Mitsubishi Electric Corp 字幕表示装置及び字幕表示プログラム
KR100907216B1 (ko) * 2008-02-27 2009-07-10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자막정보를 이용한 영상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0157961A (ja) * 2009-01-05 2010-07-15 Kadokawa Marketing Co Ltd 字幕作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353320B1 (ko) * 2012-07-16 2014-01-23 주식회사 이유씨시스템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콘텐츠 관리시스템
KR101390346B1 (ko) * 2013-03-18 2014-05-27 서영화 자막 삽입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537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파이프랩스 자막 동기화를 제공하는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059B1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0405B2 (ja) メディアにキャプションを付けるシステム及び方法
AU2013344589B2 (en) Storyboard-directed video production from shared and individualized assets
KR102084633B1 (ko) 화면 미러링 방법 및 그에 따른 소스 기기
US8806339B2 (en) User interface control for media editing application
US88171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ding caption when displaying video image
WO2021258821A1 (zh) 视频编辑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5992068A (zh) 一种视频文件预览方法及装置
CN104995596A (zh) 在选项卡层级管理音频以用于用户通知及控制
KR20190126267A (ko) 디스플레이 창에 대한 캡쳐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0902548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widget in multi ticker
US202200683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ding lyrics to short video
KR20150108324A (ko) 추출된 메시지를 채팅창에 구별하여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및 채팅 서버
CN103488661A (zh) 音视频文件注释系统
WO2020102006A2 (en) System and management of semantic indicators during document presentations
CN112947923A (zh) 对象编辑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6484134A (zh) 基于安卓系统的语音输入标点符号的方法及装置
KR101872999B1 (ko) 복수 번역자의 공동 번역 환경을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 이를 지원하는 공동 번역 지원 장치 및 공동 번역 지원 장치에 저장된 공동 번역 지원 컴퓨터 프로그램
CN106331740A (zh) 一种移动客户端的直播间切换方法、装置及系统
KR101922059B1 (ko) 콘텐츠의 자막 매핑 구간 설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N110865751A (zh) 一种内容选择方法及电子设备
US8942980B2 (en) Method of navigating in a sound content
CN102572601A (zh) 一种视频信息显示方法及装置
KR20230076509A (ko) 동영상 자막제공 서비스 방법
KR20230120668A (ko) 영상통화 방법 및 장치
CN115988259A (zh) 一种视频处理方法、装置、终端、介质及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