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686B1 -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686B1
KR101389686B1 KR1020080005441A KR20080005441A KR101389686B1 KR 101389686 B1 KR101389686 B1 KR 101389686B1 KR 1020080005441 A KR1020080005441 A KR 1020080005441A KR 20080005441 A KR20080005441 A KR 20080005441A KR 101389686 B1 KR101389686 B1 KR 101389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suction
compressor
discharge
por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464A (ko
Inventor
임권수
이성명
문치명
이정재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68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7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50Intrinsic materi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 F05B2280/5001Elastic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유출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100)의 외관 일부는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가 관통되게 형성된 후방하우징(10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에는 오일유출 방지구(200)가 설치된다. 상기 오일유출 방지구(200)에는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에 삽입되는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205,207)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205,207)에는 제 1 및 제 2 압착돌기(205a,207a)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205,207)에는 삽입부(205b,207b)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205,207)가 상기 제 1 및 제 2 압착돌기(205a,207a)에 의해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에 고정되므로, 상기 오일유출방지구(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고, 상기 삽입부(205b,207b)가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 내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에 고이는 윤활유의 양이 줄어 상기 오일유출 방지구(200)를 분리시킬 때, 윤활유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압축기, 흡입포트, 토출포트, 윤활유, 오일유출 방지구

Description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Oil leaking prevention structure for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보관 및 운송시 압축기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이 압축기에 형성된 흡입포트 및 토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흡입포트 및 토출포트를 막는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압축기는 증발기로부터 증발이 완료된 냉매를 흡입하여 액화하기 쉬운 고온과 고압상태로 만들어 응축기로 전달한다.
압축기는 그 내부에 다수개의 실린더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보어 내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과 연결된 피스톤이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보어 내부에서 왕복운동하여 냉매를 압축시킨다. 상기 실린더보어는 압축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포트 및 토출포트와 각각 연통된다. 흡입포트는 냉매가 유입되는 부분이고, 토출포트는 냉매가 유출되는 부분이다.
압축기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 및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과 같이 압축기의 작동시 각각의 부품들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줄여주기 위한 윤활유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윤활유는 압축기의 보관 및 운송과정에서 상기 흡입포트 및 토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윤활유가 압축기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오일유출 방지구가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오일유출 방지구가 압축기에 설치된 모습이 일부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압축기(10)의 일측외관은 흡입포트(13) 및 토출포트(15)가 각각 형성된 후방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흡입포트(13)를 통해 외부의 냉매가 상기 압축기(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토출포트(15)를 통해 압축된 냉매가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흡입포트(13) 및 토출포트(15)에는 그 횡단면이 작아지도록 단차부(13',15')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후방하우징(11)의 내면에는 그 중앙부분이 구획되어 토출실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실의 둘레에는 흡입실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실은 상기 토출포트(15)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실은 상기 흡입포트(13)와 연통되어, 상기 토출실은 압축된 냉매가 저장되는 공간이고 상기 흡입실은 흡입된 냉매가 저장되는 공간이다.
상기 흡입포트(13) 및 토출포트(15)는 오일유출 방지구(20)(이하 '방지구(20)'라 한다)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방지구(20)는 상기 흡입포트(13) 및 토출포트(15)를 막아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3,15)로 윤활유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 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지구(20)는 크게 골격을 형성하는 바디(21)와 상기 바디(21)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3,15)를 차폐하는 실링부재(23,23')로 구성된다. 상기 실링부재(23,23')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3,15)에 압착되어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3,15)를 각각 차폐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실링부재(23,23')는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3,15)의 단차부(13',15')에 접하여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3,15)를 차폐한다.
상기 바디(21)는 상기 실링부재(23,23')가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3,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10)에 체결볼트(S)로 고정된다. 상기 체결볼트(S)는 상기 압축기(10)의 체결공(19)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방지구(20)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3,15)에는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0) 내부에 저장된 윤활유는 상기 압축기(10)의 이송에 따른 유동에 의해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3,15)에 유입되어 남게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방지구(20)를 상기 압축기(10)에서 분리시킬 때,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3,15)로 유입되어 남아 있는 윤활유의 일부가 상기 실링부재(23,23')에 점착되어 상기 실링부재(23,23')에 딸려가 상기 압축기(10)의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지구(20)는 별도의 체결볼트(S)에 의해 압축기(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0)에 상기 체결볼트(S)가 나사체결되는 체결공(19)을 별도로 성형해야 하므로, 상기 방지구(20)를 상기 압축기(10)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번거로워지고,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아 제품의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지구의 실링부 선단이 흡입 및 토출포트의 단차부 부분보다 더 깊은 부분에 접하여 흡입 및 토출포트를 차폐하는 오일유출 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지구의 실링부 둘레에 압착돌기가 형성되어 실링부가 흡입 및 토출포트의 내면에 압착되는 오일유출 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일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흡입포트 및 토출포트가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는 압축기에 있어서, 골격을 형성하고 일면에 파지를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의 흡입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포트를 차폐하며, 그 선단에 상기 흡입포트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포트 내부공간의 부피를 줄여주는 삽입부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흡입포트측실링부; 그리고, 상기 바디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포트를 차폐하며, 그 선단에 상기 토출포트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포트 내부공간의 부피를 줄여주는 삽입부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토출포트측실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의 내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압착돌기가 그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의 삽입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흡입포트의 내면과 접하여 상기 흡입포트를 차폐하는 실링돌기가 더 구비된다.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의 삽입부는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에 삽입되었을 때, 그 선단과 상기 압축기에서 상기 흡입포트가 형성된 면의 내면 사이의 거리(A,A')가 2mm 이고,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의 삽입부와 상기 흡입포트의 내면 사이의 거리(B)는 0.5mm 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는 상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을 가지는 일래스토머(elastomer)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의 삽입부가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 내부 공간의 부피를 줄여준다. 따라서,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윤활유의 양이 줄어들어 오일유출 방지구를 압축기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윤활유가 외부로 유출되는 양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의 내면과 접하여 압착되는 제 1 및 제 2 압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 1 및 제 2 압착돌기에 의해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가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에 고정되어 상기 오일유출 방지구가 상기 압축기에 고정되므로, 상기 오일유출 방지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가공 및 부품이 필요없게 되어 제품의 구성이 단순해 지고 생산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오일유출 방지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유출 방지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압축기에 설치된 모습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오일유출 방지구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압축기(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압축기(10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실린더보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보어는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상기 실린더보어에는 피스톤(도시되지 않음)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보어 내에서 직선왕복운동하며 상기 실린더보어 내부의 냉매를 압축시킨다. 상기 피스톤은 냉매의 압축을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런더보어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압축기(100)의 일측외관은 후방하우징(10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후방하우징(101)에는 흡입포트(103)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포트(103)는 상기 실린더보어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흡입포트(103)를 통해 냉매가 상기 실린더보어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포트(103)는 대략 그 횡단면이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그 내면에는 단차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03')는 상기 흡입포트(103)의 횡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후방하우징(101)에서 흡입포트(103)가 형성된 면에는 토출포트(105)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포트(105)는 상기 실린더보어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실린더보어에서 압축된 냉매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토출포트(105)는 그 횡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어 그 내면에 단차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05')는 소정 구간에서 그 횡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05')를 지나서는 상기 토출포트(105)가 원래의 횡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후방하우징(101)의 내면에는 그 중앙부분이 구획되어 토출실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실의 둘레에는 흡입실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실은 상기 토출포트(105)와 연통되고, 상기 흡입실은 상기 흡입포트(103)와 연통되어, 상기 토출실에는 압축된 냉매가 저장되고, 상기 흡입실에는 상기 압축기(100)의 내부로 흡입된 냉매가 저장된다.
상기 흡입포트(103) 및 토출포트(105)는 오일유출 방지구(200)(이하 '방지구'라 함)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방지구(200)는 상기 흡입포트(103) 및 토출포트(105)를 차폐하여 상기 압축기(100)의 보관 및 이송 중에 상기 압축기(100)의 내부에 저장된 윤활유가 상기 흡입포트(103) 및 토출포트(105)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지구(200)의 골격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20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바디(201)의 일면에는 작업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203)가 구비된다.
상기 바디(201)에서 상기 손잡이(203)가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는 흡입포트측 실링부(205)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는 대략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포트(103)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포트(103)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의 외주면에는 제 1 압착돌기(205a)가 그 외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압착돌기(205a)는 상기 흡입포트(103)의 내면에 압착되어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와 상기 흡입포트(103) 사이의 틈을 막아 상기 흡입포트(103)를 견고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압착돌기(205a)는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가 상기 흡입포트(103)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방지구(200)를 상기 압축기(100)에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의 선단에는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의 횡단면적 보다 작은 횡단면적을 갖는 삽입부(205b)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05b)는 상기 흡입포트(103)의 단차부(103')를 지나서 상기 흡입포트(103)로 더 삽입되어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부(205b)가 상기 단차부(103')를 지나 더 삽입되어 위치하므로, 상기 단차부(103')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상기 흡입포트(103)의 내부공간의 부피가 작아지게 되고, 따라서 상기 흡입포트(103)로 유입되는 윤활유의 양이 작아지게 된다.
상기 삽입부(205b)는 상기 흡입포트(103)에 삽입되었을 때, 그 선단과 상기 후방하우징(101)에서 상기 흡입포트(103)가 형성된 면의 내면 사이의 거리(A)는 2mm 가 되도록 설계된다. 이는 상기 후방하우징(101)의 생산오차 및 상기 방지구(200)의 생산오차에 의해 상기 삽입부(205b)가 상기 흡입포트(103) 보다 더 돌출 되어 상기 압축기(100)의 내부 부품과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의 삽입부(205b)의 외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실링돌기(205c)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돌기(205c)는 상기 삽입부(205b)와 상기 흡입포트(103)의 내면 사이의 틈을 막아 상기 제 1 압착돌기(205a)와 같이 상기 흡입포트(103)를 견고하게 차폐하고,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를 더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부(205b)가 상기 흡입포트(103)에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상기 실링돌기(205c)가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205b)와 상기 흡입포트(103)의 내면 사이의 거리(B)는 0.5mm 가 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바디(201)에서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의 일측에는 토출포트측실링부(207)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포트측실링부(207)는 대략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출포트(105)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포트(105)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토출포트측실링부(207)의 외주면에는 제 2 압착돌기(207a)가 그 외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토출포트측실링부(207)의 선단에는 상기 토출포트측실링부(207)의 횡단면적 보다 작은 횡단면적을 갖는 삽입부(207b)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토출포트측실링부(207)의 제 2 압착돌기(207a) 및 삽입부(207b)는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의 제 1 압착돌기(205a) 및 삽입부(205b)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의 삽입부(205b)와 같이 상기 토출포트측실링 부(207)의 삽입부(207b)도 상기 토출포트(105)에 삽입되었을 때, 그 선단과 상기 후방하우징(101)에서 상기 토출포트(105)가 형성된 면의 내면 사이의 거리(A')는 2mm 가 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205,207)는 상기 바디(201)와 일체로 형성되고, 우레탄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일래스토머(elastomer) 재질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모든 부품이 조립되어 압축기(100)가 완성되면 작업자는 상기 압축기(100)에 오일유출 방지구(200)(이하 '방지구'라 함)를 조립한다. 이때, 상기 방지구(200)의 흡입포트측실링부(205)가 상기 압축기(100)의 흡입포트(103)에 삽입되고, 상기 방지구(200)의 토출포트측실링부(207)가 상기 압축기(100)의 토출포트(105)에 삽입되도록 잘 맞추어 조립한다.
상기 방지구(200)가 조립되면, 상기 방지구(200)의 흡입포트측실링부(205)가 상기 흡입포트(103)에 삽입되고, 상기 방지구(200)의 토출포트측실링부(207)가 상기 토출포트(105)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205,207)의 제 1 및 제 2 압착돌기(205a,207a)가 상기 흡입 밑 토출포트(103,105)의 내면에 접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압착돌기(205a,207a)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205,207)를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에 각각 삽입시킨다.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의 삽입부(205b)에는 실링돌기(205c)가 형성되어 상기 실링돌 기(205c)가 상기 흡입포트(103)의 내면에 압착되어 상기 흡입포트(103)가 차폐된다.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205,207)가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에 삽입되면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205,207)의 삽입부(205b,207b)는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의 내부공간의 부피가 줄어든다. 상기 삽입부(205b,207b)의 부피만큼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의 내부의 공간이 작아지게 되어,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의 내부로 유입되는 윤활유의 양이 작아지게 된다.
상기 방지구(200)는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205,207)의 제 1 및 제 2 압착돌기(205a,207a) 및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의 삽입부(205b)의 실링돌기(205c)가 상기 흡입포트(103) 및 토출포트(105)의 내면에 각각 압착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방지구(200)를 상기 압축기(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 및 가공이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205,207)가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에 압입되도록 설계될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압착돌기(205a,207a)가 형성되지 않아도 상기 방지구(200)가 상기 압축기(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오일유출 방지구가 압축기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오일유출 방지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압축기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오일유출 방지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압축기 101 : 후방하우징
103 : 흡입포트 103': 단차부
105 : 토출포트 105': 단차부
200 : 오일유출 방지구 201 : 바디
203 : 손잡이 205 : 흡입포트측실링부
205a: 제 1 압착돌기 205b: 삽입부
205c: 실링돌기 207 : 토출포트측실링부
207a: 제 2 압착돌기 207b: 삽입부

Claims (5)

  1. 일측에 내부와 연통되는 흡입포트(103) 및 토출포트(105)가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는 압축기(100)에 있어서,
    골격을 형성하고 일면에 파지를 위한 손잡이(203)가 구비되는 바디(201);
    상기 흡입포트(103)의 횡단면적이 일정영역 작아지도록 단차진 단차부(103')가 형성되는 상기 흡입포트(103)에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201)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포트(103)를 차폐하되, 그 선단에 상기 흡입포트(103)의 단차부(103')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포트(103)의 단차부(103') 내부공간의 부피를 줄여주는 삽입부(205b)를 포함하는 흡입포트측실링부(205);
    상기 토출포트(105)의 횡단면적이 일정영역 작이지도록 단차진 단차부(105')가 형성되는 상기 토출포트(105)에 삽입되도록 상기 바디(201)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포트(105)를 차폐하되, 그 선단에 상기 토출포트(105)의 단차부(105')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포트(105)의 단차부(105') 내부공간의 부피를 줄여주는 삽입부(207b)를 포함하는 토출포트측실링부(20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205,207)의 외주면에는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의 내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압착돌기(205a,207a)가 그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의 삽입부(205b)의 외주면에는 상기 흡입포트(103)의 내면과 접하여 상기 흡입포트(103)를 차폐하는 실링돌기(205c)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205,207)의 삽입부(205b,207b)는 상기 흡입 및 토출포트(103,105)에 삽입되었을 때, 그 선단과 상기 압축기(100)에서 상기 흡입포트(103)가 형성된 면의 내면 사이의 거리(A,A')가 2mm 이고, 상기 흡입포트측실링부(205)의 삽입부(205b)와 상기 흡입포트(103)의 내면 사이의 거리(B)는 0.5mm 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포트측 및 토출포트측실링부(205,207)는 상기 바디(201)와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을 가지는 일래스토머(elastomer)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KR1020080005441A 2008-01-17 2008-01-17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KR101389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441A KR101389686B1 (ko) 2008-01-17 2008-01-17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441A KR101389686B1 (ko) 2008-01-17 2008-01-17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464A KR20090079464A (ko) 2009-07-22
KR101389686B1 true KR101389686B1 (ko) 2014-04-28

Family

ID=4129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441A KR101389686B1 (ko) 2008-01-17 2008-01-17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6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581A (ja) * 1996-07-31 1998-04-14 Daikyo Seiko:Kk 医薬品容器用ゴム栓
JP2846284B2 (ja) * 1996-03-29 1999-01-13 安藤建設株式会社 床貫通孔用止水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6284B2 (ja) * 1996-03-29 1999-01-13 安藤建設株式会社 床貫通孔用止水具
JPH1094581A (ja) * 1996-07-31 1998-04-14 Daikyo Seiko:Kk 医薬品容器用ゴム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464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0032B2 (ja) 圧縮機
US8162624B2 (en) Refrigerant compressor
KR960029615A (ko) 왕복운동형 압축기
KR101389686B1 (ko)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US20100034679A1 (en) Refrigerant compressor, piston of a refrigerant compressor and piston arrangement
US20070177991A1 (en) Oil separation structure in compressor
KR100273418B1 (ko) 리니어 압축기의 흡입밸브 고정장치
CA2181850C (en) Cylinder assembly for a reciprocating compressor
US7175400B2 (en) Compressor assembly with reciprocating piston and vented cylinder
JP2008101571A (ja) 密閉型圧縮機
CN104696191A (zh) 往复式压缩机的平衡轴组件
KR100378819B1 (ko) 압축기용 흡입밸브의 고정장치
KR100739203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밸브충격 저감 장치
KR101452503B1 (ko)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KR100292506B1 (ko) 리니어압축기
KR20210111509A (ko) 압축기
KR100274621B1 (ko) 압축기의 밸브 장치
KR101515643B1 (ko) 압축기
KR200336981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소음저감장치
KR101069692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0963987B1 (ko) 사판식 압축기
JP4195529B2 (ja) 片斜板式圧縮機
KR200351633Y1 (ko) 압축기
KR101453099B1 (ko) 압축기용 오일유출 방지구
US20060245953A1 (en) Hermetic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