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788B1 -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788B1
KR101388788B1 KR1020120075737A KR20120075737A KR101388788B1 KR 101388788 B1 KR101388788 B1 KR 101388788B1 KR 1020120075737 A KR1020120075737 A KR 1020120075737A KR 20120075737 A KR20120075737 A KR 20120075737A KR 101388788 B1 KR101388788 B1 KR 101388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layer
fuel
gas
combustion chamber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212A (ko
Inventor
홍성호
박달영
최정환
유현석
김재동
조영아
김봉규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20075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7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68Removal of carbon monoxide or carbon diox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25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in a modular combined reactor/fuel cell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가스를 개질가스로 전환하여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하는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버너가 구비되는 중공 형태의 중앙연소실; 및 상기 중앙연소실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중앙연소실에서 배기되는 연소배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연료가스를 개질가스로 전환하는 개질반응 촉매층, 및 상기 개질가스와 함께 생성되는 CO를 CO2로 전환하는 전환반응 촉매층이 직렬로 수직 배치되는 반응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배가스의 열전달 효율 향상을 위해, 상기 중앙연소실에 난류발생코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FUEL PROCESSOR FOR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가스를 개질가스로 전환하여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하는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처리장치는 수증기 개질법(Stream reforming)을 이용하여 천연가스를 수소로 전환하는 개질반응기(Steam reformer), 수소와 함께 생성된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전환하는 전환반응기(HTS, LTS), 및 개질반응에 필요한 열량을 공급하는 버너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천연가스의 주성분은 메탄(CH4)이며, 개질반응기에서 수증기와 반응하여 수소와 일산화탄소가 생성되는데, 반응온도는 통상 650℃~700℃ 정도이고, 이 반응은 흡열반응으로서 반응에 필요한 열량은 버너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이때, 수소와 함께 생성된 일산화탄소가 연료전지 스택으로 유입될 경우, 연료전지 스택을 피독시켜 성능에 악영향을 주게 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고온전환반응기(HTS)와 저온전환반응기(LTS)를 통해 이산화탄소로 전환하고 있다.
이 전환반응온도는 고온전환반응기의 경우 통상 300℃~350℃ 정도이고, 저온전환반응기는 통상 180℃~250℃ 정도이며, 이 전환반응은 발열반응으로 반응시 열을 발산하게 된다.
이때, 버너는 연료처리장치의 제일 안쪽에 형성된 연소실에 위치하여 연소하게 되며, 이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연소배가스는 연료처리장치의 상층부로 올라가 촉매반응기와 연소실 사이의 유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촉매반응기에 열을 공급하게 된다.
종래에는, 개질반응기의 경우 흡열반응, 전환반응기의 경우에는 발열반응으로 열구배가 서로 상이하고, 반응온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각각 개질반응기와 전환반응기로 구분하여 분리 제작한 후 따로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개질반응기와 전환반응기가 별도로 구분되어 연료처리장치의 내부에 분리 설치되는 경우, 연료처리장치의 내부구조 및 유로가 복잡해지고, 전체적인 반응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5564호(특허문헌 1)에서는 개질반응을 위한 촉매층을 하나의 반응기 내부에 직렬로 수직배치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소형화하고, 개질과정을 단순화함으로써 개질효율이 향상되는 연료처리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연료처리장치의 경우, 화염가이드에 의해 중앙연소실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비용 상승의 한 요인이 되고, 버너와 주변의 촉매층 사이에 화염가이드가 배치됨으로써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앙연소실의 상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포트로 인해, 버너에서 발생된 열의 일부가 온도센서 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5564호(2010.06.1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작이 용이하고, 개질반응촉매층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방열손실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운전 초기 예열시간 단축으로 인해 무질소 운전이 가능하며, 중앙연소실의 연소배가스를 난류화하여 열전달 효율의 향상 효과가 있는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버너가 구비되는 중공 형태의 중앙연소실; 및 상기 중앙연소실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중앙연소실에서 배기되는 연소배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연료가스를 개질가스로 전환하는 개질반응 촉매층, 및 상기 개질가스와 함께 생성되는 CO를 CO2로 전환하는 전환반응 촉매층이 직렬로 수직 배치되는 반응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배가스의 열전달 효율 향상을 위해, 상기 중앙연소실에 난류발생코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난류발생코일은, 상기 버너의 상부에 스파이럴(spiral)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난류발생코일의 상단 일측이 상기 중앙연소실의 내주면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난류발생코일의 외주면이 상기 중앙연소실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환반응 촉매층은 고온전환반응 촉매층과 저온전환반응 촉매층을 포함하며, 상기 저온전환반응 촉매층의 일측에 전기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연소실과 상기 반응기 사이에 반응물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연소배가스 유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반응물이 공급되는 반응물 공급포트와, 상기 연소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소배기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고온전환반응 촉매층을 감싸도록 상기 반응기의 외주면에 순환코일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반응물 공급포트는 상기 순환코일을 통해 상기 반응물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연소배기포트는 상기 연소배가스 유로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개질가스 배기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반응물 유로를 통해 상기 반응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개질가스로 전환된 반응물이 상기 개질가스 배기포트를 통해 배출된다.
아울러, 상기 버너에 연소용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소가스 공급포트가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연소가스 공급포트의 일측에는 온도센서 포트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에 의하면, 개질반응 촉매층과 고온전환반응 촉매층 및 저온전환반응 촉매층이 하우징 내부에 직렬로 수직 배치되므로,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컴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개질과정의 단순화에 따른 개질효율의 향상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중앙연소실에 설치되었던 화염가이드가 제거됨으로써, 버너로부터 개질반응 촉매층으로의 열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중앙연소실의 상부에 설치되었던 온도센서 포트가 제거됨으로써, 온도센서 포트를 통해 외부로 전도되는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중앙연소실의 내주면을 따라 난류발생코일이 설치됨으로써, 연소배가스의 난류화에 따른 열효율 향상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저온전환반응 촉매층의 일측에 전기히터가 설치됨으로써, 저온전환반응을 위한 반응온도 확보가 용이하고, 운전 초기 예열 시간 단축에 따른 무질소 운전이 가능하며, 연소배가스의 출구를 하나의 포트로 변경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배관연결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류발생코일의 설치를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류발생코일의 설치를 보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인 연료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이하, '연료처리장치')(10)는 통체 형상의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중공 형태의 중앙연소실(30)과, 중앙연소실(3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반응기(40)를 포함한다.
이때, 중앙연소실(30)에는 촉매반응에 필요한 열을 제공하기 위한 버너(50)가 설치되며, 하우징(20)의 하단에는 천연가스(NG) 등의 연소용 가스를 버너(50)에 공급하기 위한 연소가스 공급포트(22)가 구비된다.
버너(50)는 연소용 천연가스를 연소시켜 고온을 얻는 통상의 분젠버너(Bunsen burner)를 이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연소용 천연가스와 대기중 공기를 연료로 하는 메탈 화이버(Metal Fiber)를 이용할 수도 있다. 메탈 화이버의 경우, 분젠버너에 비해 화염이 짧아 적은 면적으로도 높은 열량을 낼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이고, 부하조절이 쉬울 뿐만 아니라 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연소가스 공급포트(22)와 연통되는 가스공급관(51)이 중앙연소실(30)에 수직 설치되어, 가스공급관(51)의 끝단에 버너(50)의 화염(52)이 생성된다.
반응기(40)는 중앙연소실(30)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중앙연소실(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데, 이때 중앙연소실(30)의 외주면과 반응기(4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은 후술하는 반응물 유로(60)를 형성하게 된다.
반응기(40) 내부에는 개질반응 촉매층(41)과 전환반응 촉매층(42)이 직렬로 수직 배치되며, 여기서 전환반응 촉매층(42)은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과 저온전환반응 촉매층(422)으로 구분된다.
즉, 반응기(40)의 최상층에는 개질반응 촉매층(41)이 배치되고, 개질반응 촉매층(41)의 아래에 이어서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이 배치되며,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의 아래에 이어서 저온전환반응 촉매층(422)이 배치된다.
이처럼, 반응 촉매층이 반응기(40) 내부에 직렬로 수직 배치됨으로써, 구조적 간소화에 따른 연료처리장치(10)의 컴팩트화가 가능하게 되고, 개질경로의 단순화에 따른 개질효율의 향상 효과가 있다.
이때, 개질반응은 흡열반응이고 전환반응은 발열반응이므로, 가스공급관(51)의 끝단은 개질반응 촉매층(41)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개질반응 촉매층(41)은, 가스공급관(51)의 끝단에서 생성되는 버너(50)의 화염(52)으로부터, 전환반응 촉매층(42)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열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류발생코일의 설치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류발생코일의 설치를 보인 개략도이다.
버너(50)의 상부에는 중앙연소실(30)의 내주면을 따라 스파이럴(spiral;나선) 형태로 난류발생코일(31)이 설치된다.
이 난류발생코일(31)은, 버너(50)에서 발생되는 연소배가스의 유동을 난류화하여, 대류열전달계수를 높임으로써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류발생코일(31)의 외주면이 중앙연소실(30)의 내주면과 밀착하도록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배가스와 난류발생코일(31)의 접촉 면적을 넓혀 난류발생을 최대화하기 위해, 난류발생코일(31)의 외주면이 중앙연소실(30)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일 예로서 난류발생코일(31)의 최상단을 연장하여 중앙연소실(30)의 내주면에 용접하거나, 끼움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난류발생코일(31)의 외주면과 중앙연소실(30)의 내주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형성되며, 연소배가스는 난류발생코일(31)을 지나는 동안, 난류발생코일(31)의 내측과 외측에서 난류의 형태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반응기(40)의 외주면과 하우징(20)의 내주면 사이 간격은 연소배가스 유로(70)를 형성한다.
또한, 반응기(40)의 상단은 개질반응 촉매층(41)의 상단과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폐쇄되며, 반응기(40)의 하단은 하우징(2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개질가스 배기포트(23)와 연통된다.
여기서, 중앙연소실(30)의 상단을 통해 배출되는 버너(50)의 연소배가스는, 연소배가스 유로(70)를 따라 하향 유동하여 연소배기포트(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 연소배기포트(24)는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의 하단과 대응되는 높이에서 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된다.
또한, 개질을 위해 연료가스와 수증기가 혼합된 형태로 공급되는 반응물은, 하우징(2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반응물 공급포트(25)를 통해 공급되며, 반응물 유로(60)를 거쳐 개질반응 촉매층(41)과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 및 저온전환반응 촉매층(422)을 차례로 통과하여 개질가스로 전환된 후, 개질가스 배기포트(23)를 통해 외부로 공급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연료처리장치(10)의 운전조건 및 환경조건 등 필요에 따라, 반응물 공급포트(25)로는 수증기(또는 물)가 공급되어 순환되고, 연료가스는 별도의 연료가스 급기포트(미도시)를 통해 공급되어 연료처리장치(10) 내부에서 수증기와 혼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반응물 공급포트(25)는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의 상단과 대응되는 높이에서 하우징(20)의 다른 일측에 구비되고, 반응기(40)에서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이 배치된 영역의 외주면에는 순환코일(43)이 스파이럴 형태로 설치되며, 순환코일(43)의 상단은 반응물 공급포트(25)와 연통된다.
그리고, 순환코일(43)의 하단은 반응기(40)에서 저온전환반응 촉매층(422)이 배치된 영역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관(44)에 의해 하우징(20)의 하단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반응물 공급포트(25)와 순환코일(43)을 통해 공급된 반응물은 하우징(20)의 하단에서 반응물 유로(60)를 통해 상향 유동하게 된다.
이때, 순환코일(43)을 따라 유동하는 반응물은, 연소배가스 유로(70)를 지나는 연소배가스와 열교환에 의해 열을 회수함과 동시에, 발열반응하는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예열되며, 이에 따라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은 냉각된다.
한편, 저온전환반응 촉매층(422)의 외측에 대응되는 반응기(40) 외주면에는 나선형 코일 형태로 전기히터(45)가 설치되며, 운전 초기에 저온전환반응 촉매층(422)을 예열함으로써 적정 반응온도를 빠르게 확보하여, 연료처리장치(10)의 기동시간 단축과 무질소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하우징(20) 상부에 설치되었던 온도센서 포트(26)가 하우징(20)의 하단에 설치되며, 따라서 종래 온도센서 포트(26)를 통한 열손실에 의해, 개질반응 촉매층(41)의 가열 효율이 저하되었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처리장치의 작동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연소가스 공급포트(22)를 통해 천연가스 등의 연소용 연료가스가 가스공급관(51)으로 공급되고, 버너(50)의 작동에 의해 가스공급관(51)의 상단에서 화염이 생성되어 중앙연소실(30)에 열을 공급하며, 이 열은 반응물 유로(60)와 개질반응 촉매층(41) 및 전환반응 촉매층(42)으로 전달된다.
이때, 가스공급관(51)의 상단이 개질반응 촉매층(41)의 하단과 대응되는 높이까지 연장되므로, 개질반응 촉매층(41)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버너(50)에서 생성되는 연소배가스는 상향 유동하면서 버너(50) 상부에 설치된 난류발생코일(31)을 지나게 되며, 난류발생코일(31)과 접촉하면서 난류의 형태로 유동하게 되어, 종래에 비해 열전달 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난류발생코일(31)을 지난 연소배가스는 중앙연소실(30)의 상단으로 나와서 반응기(40)의 외주면과 하우징(2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연소배가스 유로(70)를 따라 하향 유동하게 된다.
이때, 연소배가스는, 반응기(40)의 개질반응 촉매층(41) 영역을 지나면서 개질반응 촉매층(41)에 열을 전달하고, 반응기(40)의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 영역을 지나면서 순환코일(43)과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에 열을 전달하며, 연소배기포트(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종래에는 이 연소배기포트(24)가 하우징(20)의 외주면에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설치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단일 포트로 구성되며, 따라서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배기를 위한 배관연결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버너(50)의 점화 및 연소상태, 그리고 연료처리장치(10) 내부의 각 부 온도는 하우징(20)의 하단에 구비되는 온도센서 포트(26)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연소배가스의 열이 온도센서 포트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는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촉매층의 온도가 반응온도에 도달하면 반응물 공급포트(25)를 통해 CH4 등의 연료가스와 수증기가 혼합된 반응물이 공급된다. 이때, 저온전환반응 촉매층(422)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기히터(45)를 작동시킴으로써, 운전 초기 예열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반응물 공급포트(25)를 통해 공급된 반응물은 순환코일(43)을 따라 유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순환코일(43)의 외측을 지나는 연소배가스에 의해 예열됨과 동시에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으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각시키며, 연결관(44)을 따라 하우징(20)의 하부로 유동한다.
이후, 중앙연소실(30)과 반응기(40) 사이에 형성되는 반응물 유로(60)를 따라 상향 유동한 반응물은, 다시 위에서부터 차례로 개질반응 촉매층(41)과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 및 저온전환반응 촉매층(422)을 거치면서 개질가스로 전환되고, 하우징(20) 하단의 개질가스 배기포트(23)를 통해 외부로 공급된다.
10 : 연료처리장치 20 : 하우징
22 : 연소가스 공급포트 23 : 개질가스 배기포트
24 : 연소배기포트 25 : 반응물 공급포트
26 : 온도센서 포트 30 : 중앙연소실
31 : 난류발생코일 40 : 반응기
41 : 개질반응 촉매층 42 : 전환반응 촉매층
421 : 고온전환반응 촉매층 422 : 저온전환반응 촉매층
43 : 순환코일 44 : 연결관
45 : 전기히터 50 : 버너
51 : 가스공급관 60 : 반응물 유로
70 : 연소배가스 유로

Claims (9)

  1.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버너(50)가 구비되는 중공 형태의 중앙연소실(30); 및
    상기 중앙연소실(3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중앙연소실(30)에서 배기되는 연소배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연료가스를 개질가스로 전환하는 개질반응 촉매층(41), 및 상기 개질가스와 함께 생성되는 CO를 CO2로 전환하는 전환반응 촉매층(42)이 직렬로 수직 배치되는 반응기(40)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배가스의 열전달 효율 향상을 위해, 상기 중앙연소실(30)의 상기 버너(50) 상부에 난류발생코일(31)이 스파이럴(spiral)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류발생코일(31)의 상단 일측이 상기 중앙연소실(30)의 내주면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난류발생코일(31)의 외주면이 상기 중앙연소실(30)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반응 촉매층(42)은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과 저온전환반응 촉매층(422)을 포함하며, 상기 저온전환반응 촉매층(422)의 일측에 전기히터(4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소실(30)과 상기 반응기(40) 사이에 반응물 유로(60)가 형성되고, 상기 반응기(40)와 상기 하우징(20) 사이에 연소배가스 유로(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외주면에 반응물이 공급되는 반응물 공급포트(25)와, 상기 연소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소배기포트(24)가 구비되고, 상기 고온전환반응 촉매층(421)을 감싸도록 상기 반응기(40)의 외주면에 순환코일(4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 공급포트(25)는 상기 순환코일(43)을 통해 상기 반응물 유로(60)와 연통되고, 상기 연소배기포트(24)는 상기 연소배가스 유로(70)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하단에 개질가스 배기포트(23)가 구비되며, 상기 반응물 유로(60)를 통해 상기 반응기(40)를 거치는 과정에서 개질가스로 전환된 반응물이, 상기 개질가스 배기포트(2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너(50)에 연소용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연소가스 공급포트(22)가 상기 하우징(20)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연소가스 공급포트(22)의 일측에는 온도센서 포트(2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KR1020120075737A 2012-07-11 2012-07-11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KR101388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737A KR101388788B1 (ko) 2012-07-11 2012-07-11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737A KR101388788B1 (ko) 2012-07-11 2012-07-11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212A KR20140008212A (ko) 2014-01-21
KR101388788B1 true KR101388788B1 (ko) 2014-04-23

Family

ID=5014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737A KR101388788B1 (ko) 2012-07-11 2012-07-11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391B1 (ko) * 2019-12-23 2021-06-08 주식회사 씨에이치피테크 연료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2929A (zh) * 2016-04-29 2016-07-13 上海浩用工业炉有限公司 一种制氢转化炉
KR101866500B1 (ko) 2016-11-14 2018-07-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일산화탄소 제거부를 포함한 수소제조 반응기
CN106602111B (zh) * 2016-12-27 2019-08-30 宁波索福人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高温尾气燃烧供热的燃烧重整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890A (ko) * 2001-06-04 2004-02-11 도쿄 가스 가부시키가이샤 원통식 수증기 개질기
KR20060063351A (ko) * 2004-12-07 2006-06-12 에스케이 주식회사 원통형 소형 개질 장치
KR100761945B1 (ko) * 2006-06-29 2007-10-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스연료처리기
KR101062507B1 (ko) * 2008-12-08 2011-09-06 한국가스공사 연료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890A (ko) * 2001-06-04 2004-02-11 도쿄 가스 가부시키가이샤 원통식 수증기 개질기
KR20060063351A (ko) * 2004-12-07 2006-06-12 에스케이 주식회사 원통형 소형 개질 장치
KR100761945B1 (ko) * 2006-06-29 2007-10-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스연료처리기
KR101062507B1 (ko) * 2008-12-08 2011-09-06 한국가스공사 연료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391B1 (ko) * 2019-12-23 2021-06-08 주식회사 씨에이치피테크 연료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212A (ko) 201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5770B2 (ja) 単管円筒式改質器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8038960B2 (en) Reformer
JP4128804B2 (ja) 燃料改質器
US8114173B2 (en) Hydrogen genera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495983B1 (ko) 연료전지 시스템
US20170062853A1 (en) Hydrogen generating apparatus and fuel cell system
JP2017147220A (ja) 高温動作型燃料電池モジュール
KR101388788B1 (ko) 연료전지용 연료처리장치
JP2009096705A (ja) 燃料電池用改質装置
JP6189391B2 (ja) 燃料処理装置
CN110114923B (zh) 燃料处理装置
JP3921477B2 (ja) 単管円筒式改質器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0572061B1 (ko) 연료전지용 개질기
JP3405839B2 (ja) 転化器
JP4210912B2 (ja) 燃料改質器および燃料電池発電装置
US20070028522A1 (en) Fuel reformer
WO2011081094A1 (ja) 改質ユニット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20131822A (ko) 열효율 향상을 위한 예열 기능 내장형 자열 개질용 반응기
KR102390611B1 (ko) 복합 연료 개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연료 개질 방법
JP2003086210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発電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101846969B1 (ko) 연료 개질 장치
US7887606B2 (en) Fuel r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tarting said fuel reforming apparatus
JP4480486B2 (ja) 燃料電池用改質装置
JP2004075435A (ja) 燃料改質装置
KR101316042B1 (ko) 연료전지용 통합형 개질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