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616B1 - 독서물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독서물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616B1
KR101388616B1 KR1020120084419A KR20120084419A KR101388616B1 KR 101388616 B1 KR101388616 B1 KR 101388616B1 KR 1020120084419 A KR1020120084419 A KR 1020120084419A KR 20120084419 A KR20120084419 A KR 20120084419A KR 101388616 B1 KR101388616 B1 KR 10138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tilting
mounting
support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379A (ko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배 filed Critical 김정배
Priority to KR1020120084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616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Abstract

독서물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독서물이 거치 되도록 구비되며, 상하좌우 방향으로 틸팅 동작 가능하게 구비된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하로 신축가능하게 구비된 다리부; 및, 상기 거치부와 상기 다리부 사이에 구비되며, 절첩과 전후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 필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독서물 거치장치의 거치부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틸팅 동작되게 마련되고, 다리부가 상하로 신축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장시간 동안 독서물을 읽더라도 독서 자세가 편안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독서물 거치장치 {book crad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독서물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서물을 읽을 때에 자세를 편안하게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독서물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물 거치장치는 독서물을 올려놓고 공부나 독서를 행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책상에 비해 소형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침대나 기타 책상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서 공부나 독서를 행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독서물 거치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2-0001591호(2012년03월07일자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따른 독서물 거치장치에 의하여도 글의 위치와 눈높이를 각도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하기에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사용하면 눈이 피로해지고 자세도 불편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따른 독서물 거치장치는 책상 위에 놓고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책상이 없는 공간에서 앉은 자세로 독서 하기에는 불편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특허문헌 1에 따른 독서물 거치장치는 독서물을 읽다가 필기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경사진 독서대 상에 대고 필기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2-0001591호(2012년03월07일자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동안 독서물을 읽더라도 자세가 편안해질 수 있는 독서물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글의 위치와 눈높이를 각도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장시간 동안 독서물을 읽더라도 눈의 피로가 없고 자세도 편안해질 수 있는 독서물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독서물을 읽다가 필기할 필요가 있을 때에 편리하게 필기할 수 있는 독서물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책상이 없는 공간에서도 앉은 자세로 편리하게 독서 할 수 있는 독서물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앉은 높이와 눈높이에 맞게 자유자재로 독서물의 거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독서물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독서물 거치장치는, 독서물이 거치 되도록 구비되며, 상하좌우 방향으로 틸팅 동작 가능하게 구비된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하로 신축가능하게 구비된 다리부; 및, 상기 거치부와 상기 다리부 사이에 구비되며, 절첩과 전후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 필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의 하부에는 틸팅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필기 지지부의 상부에는 틸팅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틸팅 돌출부 및 상기 틸팅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틸팅 돌출부가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틸팅 홈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틸팅 지지부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틸팅 블록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기 지지부는,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된 지지 본체와, 상기 지지 본체의 슬라이딩 공간 내에서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필기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부는 이중 관 구조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는 지그재그의 형태로 절첩되는 절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서물 거치장치의 거치부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틸팅 동작되게 마련되고, 다리부가 상하로 신축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장시간 동안 독서물을 읽더라도 독서 자세가 편안해질 수 있다.
또한, 틸팅 돌출부 및 틸팅 지지부 사이에 구비된 틸팅 블록에 의해 거치부가 글의 위치와 눈높이 각도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될 수 있게 독서물 거치장치가 마련됨으로써 장시간 동안 독서물을 읽더라도 눈의 피로가 없고 자세도 편안해질 수 있다.
아울러, 필기 지지부가 절첩 및 전후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해지게 독서물 거치장치가 마련됨으로써 독서물을 읽다가 필기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편리하게 필기할 수 있고, 책상이 없는 공간에서도 앉은 자세로 편리하게 독서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리부가 이중 관 구조로 상하로 신축가능해지게 독서물 거치장치가 마련됨으로써 앉은 높이와 눈높이에 맞게 자유자재로 독서물의 거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나아가, 다리부가 절첩부를 포함하도록 독서물 거치장치가 마련됨으로써 다리부의 상하 신축 조절이 좀더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물 거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독서물 거치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거치부가 상하로 틸팅되고 필기 지지부가 절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거치부가 좌우로 틸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필기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다리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독서물 거치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서물이 거치 되도록 구비되며 상하좌우 방향으로 틸팅 동작 가능하게 구비된 거치부(20)와, 거치부(2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하로 신축가능하게 구비된 다리부(30)와, 거치부(20) 및 다리부(30) 사이에 구비되며 절첩 및 전후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 필기 지지부(5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독서물 거치장치(10)의 거치부(20)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틸팅 동작되게 마련되고, 다리부(30)가 상하로 신축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장시간 동안 독서물을 읽더라도 독서 자세가 편안해질 수 있다.
거치부(20)의 일측에는 거치되는 독서물이 지지 될 수 있도록 거치턱(27)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0)의 하부에는 틸팅 돌출부(21)가 구비되고, 필기 지지부(50)의 상부에는 틸팅 지지부(51)가 구비되며, 틸팅 돌출부(21) 및 틸팅 지지부(51) 사이에는 틸팅 돌출부(21)가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틸팅 홈(61)이 상부에 형성되고 틸팅 지지부(51)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틸팅 블록(6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틸팅 돌출부(21) 및 틸팅 지지부(51) 사이에 구비된 틸팅 블록(60)에 의해 거치부(20)의 경사 위치가 글의 위치와 눈높이 각도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될 수 있게 독서물 거치장치(10)가 마련됨으로써 장시간 동안 독서물을 읽더라도 눈의 피로가 없고 자세도 편안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돌출부(21)에는 거치부(20)의 좌우 틸팅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제1 틸팅고정홈(23)이 관통 형성되고, 좌우로 틸팅된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 틸팅고정홈(23)에는 제1 틸팅고정부재(25)가 볼트 너트 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블록(60)에는 거치부(20)의 상하 틸팅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제2 틸팅고정홈(65)이 관통 형성되고, 상하로 틸팅된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 틸팅고정홈(65)에는 제2 틸팅고정부재(67)가 볼트 너트 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틸팅 블록(60)의 제2 틸팅고정홈(65)은 평면상으로는 제1 틸팅고정홈(23)에 교차되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독서물이 거치 되는 거치부(20)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틸팅 동작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돌출부(21)의 하부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블록(60)의 전방 하부도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틸팅 돌출부(21)가 틸팅 블록(60)의 틸팅 홈(61) 내부에서, 그리고 틸팅 블록(60)이 틸팅 지지부(51) 내부에서 마찰 없이 회동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거치부(20)의 경사 위치가 글의 위치와 눈높이 각도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될 수 있다.
필기 지지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53a)이 형성된 지지 본체(53)와, 지지 본체(53)의 슬라이딩 공간(53a) 내에서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 레일(58)이 후방 양측에 구비된 필기판(57)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필기 지지부(50)가 절첩 및 전후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해지게 독서물 거치장치(10)가 마련됨으로써 독서물을 읽다가 필기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편리하게 필기할 수 있고, 책상이 없는 공간에서도 앉은 자세로 편리하게 독서 할 수 있다.
슬라이딩 공간(53a)이 형성된 지지 본체(53)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딩 고정홈(53b)이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58)의 전방부에는 회전핀 결합공(58a)이 형성되며, 회전핀 결합공(58a)의 후방에는 장공의 슬라이딩공(58b)이 형성된다.
회전핀 결합공(58a)에는 필기판(57)이 지지 본체(53)에 대해 회동 절첩되는 상태를 지지하는 회전핀(56)이 결합되고, 슬라이딩 고정홈(53b)에는 필기판(57)이 지지 본체(53)에 대해 슬라이딩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고정부재(59)가 슬라이딩공(58b)을 지나 볼트 너트 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30)는 이중 관 구조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리부(30)에는 다리부(30)의 신축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신축 고정홈(31)이 형성되고, 신축 고정홈(31)에는 신축 고정부재(33)가 볼트 너트 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다리부(30)의 하부에는 다리부(30)를 지지하는 다리 받침부(39)가 구비되고, 이중 관 구조의 다리부(30)에서 내측에 있는 관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7)가 하부에 구비되어 다리부(30)의 신축이 탄력적으로 수행되도록 도와준다.
이에 따라, 다리부(30)가 이중 관 구조로 상하 신축가능해지게 독서물 거치장치(10)가 마련됨으로써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앉은 높이와 눈높이에 맞게 자유자재로 독서물의 거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지지 본체(53)의 하부 중앙에는 다리부(30)에 끼워져 맞물리는 회전축(55)이 구비되고, 이중 관 구조의 다리부(30)에서 내측에 있는 관부의 상부에는 회전축(55)이 억지끼움 형태로 고정되되 마찰 접촉이 부드럽게 수행되도록 회전지지 베어링(35)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독서물이 거치 되는 거치부(20)가 360 °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 앉아 있더라도 거치부(20)를 손쉽게 돌려서 독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30)는 지그재그의 형태로 절첩되는 절첩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리부(30)가 절첩부(40)를 포함하도록 독서물 거치장치(10)가 마련됨으로써 다리부(30)의 상하 신축 조절이 좀더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다리부(30)에는 절첩부(40)의 절첩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절첩 고정홈(41)이 형성되고, 절첩 고정홈(41)에는 절첩 고정부재(43)가 볼트 너트 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독서물 거치장치(10)가 사용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거치부(20)에 독서물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거치부(20)를 상하로 틸팅시켜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틸팅 블록(60)을 조절하여 거치부(20)가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이때, 거치부(20)는 앞으로 60 °정도까지 기울어질 수 있다.
다음에, 거치부(20)를 좌우로 틸팅시켜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거치부(20)의 틸팅 돌출부(21)를 조절하여 거치부(20)가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이때, 거치부(20)는 좌우 45 °정도까지 기울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독서물을 읽다가 필기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필기판(57)을 지지 본체(53)에 수평하게 회동 전개시킨 후 필기판(57)의 가이드 레일(58)을 지지 본체(53)의 슬라이딩 공간(53a) 내에서 후방으로 밀어넣은 뒤 슬라이딩 고정부재(59)로 고정함으로써 편리하게 필기할 수 있고, 더 이상 필기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슬라이딩 고정부재(59)를 슬라이딩 고정홈(53b)으로부터 분리한 후 필기판(57)의 가이드 레일(58)을 지지 본체(53)의 슬라이딩 공간(53a) 내에서 전방으로 인출한 뒤 슬라이딩 고정부재(59)로 다시 고정시키고 필기판(57)을 지지 본체(53)에 대해 90 °하방으로 회동 절첩시킴으로써 편리하게 필기판(57)이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앉은 높이에 따라 다리부(30)의 높이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다리부(30)의 신축 고정홈(31)으로부터 신축 고정부재(33)를 분리해낸 후 이중 관 구조의 다리부(30)에서 내측에 있는 관부를 외측에 있는 관부로부터 상부로 인출하거나 하부로 인입시키고 나서 신축 고정부재(33)를 신축 고정홈(31)에 다시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시간 동안 독서물을 읽더라도 독서 자세가 편안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20 : 거치부 21 : 틸팅 돌출부
30 : 다리부 40 : 절첩부
50 : 필기 지지부 51 : 틸팅 지지부
53 : 지지 본체 53a : 슬라이딩 공간
57 : 필기판 58 : 가이드 레일
60 : 틸팅 블록 61 : 틸팅 홈

Claims (5)

  1. 삭제
  2. 독서물이 거치 되도록 구비되며, 상하좌우 방향으로 틸팅 동작 가능하게 구비된 거치부(20);
    상기 거치부(2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하로 신축가능하게 구비된 다리부(30); 및
    상기 거치부(20)와 상기 다리부(30) 사이에 구비되며, 절첩과 전후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 필기 지지부(50); 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20)의 하부에는 틸팅 돌출부(21)가 구비되고, 상기 필기 지지부(50)의 상부에는 틸팅 지지부(51)가 구비되며, 상기 틸팅 돌출부(21) 및 상기 틸팅 지지부(51) 사이에는 상기 틸팅 돌출부(21)가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틸팅 홈(61)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틸팅 지지부(51)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틸팅 블록(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물 거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지지부(50)는,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53a)이 형성된 지지 본체(53)와,
    상기 지지 본체(53)의 슬라이딩 공간(53a) 내에서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 레일(58)이 구비된 필기판(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물 거치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30)는 이중 관 구조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물 거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30)는 지그재그의 형태로 절첩되는 절첩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물 거치장치.
KR1020120084419A 2012-08-01 2012-08-01 독서물 거치장치 KR101388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419A KR101388616B1 (ko) 2012-08-01 2012-08-01 독서물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419A KR101388616B1 (ko) 2012-08-01 2012-08-01 독서물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379A KR20140017379A (ko) 2014-02-11
KR101388616B1 true KR101388616B1 (ko) 2014-04-24

Family

ID=5026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419A KR101388616B1 (ko) 2012-08-01 2012-08-01 독서물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6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3325A (zh) * 2019-02-03 2019-04-26 尤祥铭 一种平视书写阅读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564Y1 (ko) * 2000-12-20 2001-06-15 신경순 컴퓨터 키 높이 조절장치
KR200357042Y1 (ko) 2004-04-13 2004-07-21 고태주 조립식 다용도 신문 받침대
KR20050022252A (ko) * 2003-08-26 2005-03-07 나상훈 만능 독서대
JP2011209534A (ja) 2010-03-30 2011-10-20 Yamaha Music Trading Corp 譜面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564Y1 (ko) * 2000-12-20 2001-06-15 신경순 컴퓨터 키 높이 조절장치
KR20050022252A (ko) * 2003-08-26 2005-03-07 나상훈 만능 독서대
KR200357042Y1 (ko) 2004-04-13 2004-07-21 고태주 조립식 다용도 신문 받침대
JP2011209534A (ja) 2010-03-30 2011-10-20 Yamaha Music Trading Corp 譜面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379A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0034A1 (en) Xdeck laptop/book-holder
KR200472673Y1 (ko) 다기능 독서대
KR200413830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갖춘 책상.
KR101388616B1 (ko) 독서물 거치장치
KR200487109Y1 (ko) 기능성 독서대
KR100851533B1 (ko) 의자를 구비한 책상
KR101393666B1 (ko) 대형 메모판 매립형 관람용 절첩의자
JP2008074122A (ja) 車両シート用小物収納構造
US7152840B2 (en) Book holder
KR200438402Y1 (ko) 의자
KR200492947Y1 (ko) 학습 집중력 향상장치
KR20160130555A (ko) 접이식 독서대
KR20150108091A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JP2009172086A (ja) 椅子
KR102493375B1 (ko) 독서대
KR20140104191A (ko) 침대 및 책상 겸용 가구
JP6809716B2 (ja) 多機能家具
JP2019515766A (ja) 縦型作業台
KR200487817Y1 (ko) 독서대
JP2003154882A (ja) 車両シート用テーブル装置
KR100785407B1 (ko) 독서대 스탠드와 이에 마련되는 독서대
JP3631164B2 (ja) 幼児用着座装置
JP5201896B2 (ja) 椅子
JP2006150104A (ja) テーブルチェア
JP2006247060A (ja) 傘立て具付き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