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609B1 -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 - Google Patents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609B1
KR101387609B1 KR1020130069973A KR20130069973A KR101387609B1 KR 101387609 B1 KR101387609 B1 KR 101387609B1 KR 1020130069973 A KR1020130069973 A KR 1020130069973A KR 20130069973 A KR20130069973 A KR 20130069973A KR 101387609 B1 KR101387609 B1 KR 101387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camera
water
angl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길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에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은, 건물의 저수조를 세척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상수를 저장하며, 상측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카메라가 배치되고, 상기 상수를 건물의 각 공급처로 연결하는 배출구와, 저장된 상수를 방류하는 방류구를 구비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며, 세척수의 분사 방향이 조절되는 각도조절형 분사노즐; 상기 제1 카메라의 승강 및 하강과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의 세척수 분사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Automated Cleaning System having angle control nozzle For A Water Tank}
본 발명은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나 대형 건물 등 상수도 물을 받아 사용하는 곳에 마련되는 저수조의 청소 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저수조 내부의 청소를 무인방식으로 세척하여 저수조 내부의 추가 오염을 방지하고, 실시간으로 저수조 내의 상태를 확인하여 저수조 내부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대형 건물 등 상수도 물을 받아 사용하는 곳은 대부분 저수조를 두어 저수조에 상수를 받아 다시 펌프로 건물 내부에 물을 보낸다. 저수조의 크기는 6시간 내지 24시간 정도 건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의 크기를 갖고 있다.
이 저수조 바닥에는 장기간 물이 저류하기 때문에 바닥에 침전물이 퇴적되어 물이 오염될 수 있으며, 저류 시간이 길어 상수에서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잔류염소가 소진되어 미생물이 부활되어 수질이 오염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져 주민들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저수조를 청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저수조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모두 배출시킨 후 사람이 저수조로 들어가서 바닥을 청소한 후 다시 물을 채워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인력에 의해 저수조 내부가 다시 오염되거나 청소된 저수조 내부의 청결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어서 주민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청소하는 시간 동안 단수시간 과다로 주민들이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아파트나 대형 건물 등 상수도 물을 받아 사용하는 곳에 마련되는 저수조의 청소 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저수조 내부의 청소를 무인방식으로 세척하여 저수조 내부의 추가 오염을 방지하고, 실시간으로 저수조 내의 상태를 확인하여 저수조 내부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은, 건물의 저수조를 세척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상수를 저장하며, 상측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카메라가 배치되고, 상기 상수를 건물의 각 공급처로 연결하는 배출구와, 저장된 상수를 방류하는 방류구를 구비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며, 세척수의 분사 방향이 조절되는 각도조절형 분사노즐; 상기 제1 카메라의 승강 및 하강과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의 세척수 분사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를 승하강시키는 와인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와인딩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1 카메라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며 회전시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풀리, 및 상기 풀리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에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며, 소독제를 저장하는 소독제저장부; 및 상기 소독제저장부의 소독제가 상기 공급관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수조에 마련된 반입구를 통해 반입되며, 제2 카메라가 장착된 자동세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세척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의 분사압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수조의 상측부에는 상기 제1 카메라가 투입되도록, 개폐가능한 투입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는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은, 아파트나 대형 건물 등 상수도 물을 받아 사용하는 곳에 마련되는 저수조의 청소 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저수조 내부의 청소를 무인방식으로 세척하므로, 인력에 의해 청소시 인력에 의해 청소 후 저수조 내부가 추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간으로 저수조 내의 상태를 확인하여 저수조 내부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저수조 내부 청결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민원 발생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의 블럭도,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의 단면도,
도3은 도1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평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은, 저수조(10),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 및 컨트롤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조(10)는 아파트 또는 대형 건물 등에서 상수도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해 두는 것으로, 저수조(10)에 저장된 상수는 건물의 각 공급처에 펌프로 공급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저수조(10)를 세척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저수조(10)는 이와 같이 상수를 저장하는 저장소로서, 제1 카메라(20), 배출구(11), 및 방류구(12)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카메라(20)는 상수가 저장된 저수조(10)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저수조(10)는 건물 내에서 6시간 내지 24시간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상수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다.
따라서, 저수조(10)의 바닥에는 장시간 물이 저류하기 때문에 침전물이 퇴적되며, 이러한 퇴적물은 주기적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저수조(10)에 상수가 잔시간 잔류하게 되면, 상수에 반드시 존재하여야 하는 잔류염소가 소진되어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으며, 미생물 번식에 의해 수질이 악화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20)는 이렇게 실시간으로 저수조(10) 내부의 수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카메라(20)는 상기 저수조(10)의 상측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카메라(20)는 물 속에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수중카메라이며, 상기 제1 카메라(20)가 촬영한 영상은 후술하는 컨트롤부(40)로 전송된다. 즉, 상기 제1 카메라(20)는 상기 저수조(10)의 상측부로부터 하강하여 상수에 잠겨 상수의 수질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다시 상승하여 상수에 입수되지 않은 상태로 저수조(10)의 상측부에서 대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카메라(20)는 와인딩장치(50)에 의해 승하강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인딩장치(50)는, 와이어(51), 풀리(52), 및 모터(53)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51)의 일단에 상기 제1 카메라(20)가 연결된다. 상기 풀리(52)에는 상기 와이어(51)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풀리(5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51)가 감기거나 풀린다.
상기 모터(53)는 상기 풀리(52)를 정역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모터(53)의 동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51)는 상기 풀리(52)에 감기거나 풀리게 되고, 이때 상기 제1 카메라(20)는 상기 저수조(10)에서 승강 및 하강된다. 상기 모터(53)는 후술하는 제어부(41)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카메라(20)는 복수 개 마련된다. 도3을 참조하면, 제1 카메라(20)는 5개가 마련되어 있다. 물론, 제1 카메라(2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인딩장치(50)는 상기 제1 카메라(20)마다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인딩장치(50)는 제1 카메라(20)의 개수에 대응하여 5개가 마련되며, 각 와인딩장치(50)의 동작은 제어부(41)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수조(10)의 상측부에는 상기 제1 카메라(20)가 투입되도록, 개폐가능한 투입부(14)가 마련된다. 상기 투입부(14)는 상기 제1 카메라(20)의 설치 및 유지보수의 편의를 위해 마련된다.
상기 제1 카메라(20)는 상기 투입부(14)를 통하여 상기 저수조(10)의 상측에 설치되므로, 설치가 간편해 진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20)에 고장이 발생되어 교체하거나 수리되어야 하는 경우에 상기 투입부(14)를 통해 제1 카메라(20)를 저수조(10)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저수조(1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카메라(20)를 수거해야하는 경우, 저수조(10)의 물을 모두 방류하지 않고, 상기 투입부(14)를 통해 제1 카메라(20)를 수거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1)는 상수를 건물의 각 공급처로 연결하며, 상기 방류구(12)는 저장된 상수를 방류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즉, 상기 배출구(11)는 상기 저수조(10)에 저장된 상수가 평상시 건물 내의 공급처로 제공되기 위해서 마련된 것이고, 상기 방류구(12)는 저수조(10)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 상기 저수조(10)에 저장된 상수를 임의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구비된 것이다.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은 상기 저수조(10)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에 의해 저수조(10)의 바닥은 물론 측벽의 세척이 가능하며, 세척수의 분사 방향이 조절된다.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압은 바닥 및 측벽의 세척시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설정된다. 저수조(10)의 크기 및 오염상태 등을 고려하여 0.05 내지 1기압 범위로 조절된다.
상기 컨트롤부(40)는 저수조(10) 내부를 인력에 의해 직접 청소하지 않고, 저수조(10) 외부에서 상기 제1 카메라(20)의 승하강 및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의 세척수 분사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이다. 상기 컨트롤부(40)는 제어부(41)와 표시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제1 카메라(20)와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와인딩장치(50)의 모터(53)를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41)를 통해서 상기 제1 카메라(20)를 상수의 수면 아래로 투입하거나 저수조(10) 상측에 대기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41)를 통해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의 세척수 분사방향을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이 저수조(10)의 바닥을 향하거나 측벽을 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을 통해 세척수의 분사 각도가 변경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표시부(42)는 상기 제1 카메라(20)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42)를 통해서 저수조(10)의 바닥 상태 및 상수의 수질 상태를 원격지에서 관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표시부(42)에 표시된 제1 카메라(20) 또는 후술하는 제2 카메라(31)의 영상을 참고하여 제어부(41)를 통하여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압 및 각도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시스템은 공급관(70), 소독제저장부(80), 및 밸브(9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관(70)은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로이며, 상기 소독제저장부(80)는 상기 공급관(70)에 연결되며 이산화염소와 같은 소독제를 저장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밸브(90)는 상기 소독제저장부(80)에 저장된 소독제를 상기 공급관(7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밸브(90)의 개방될 때 상기 소독제가 상기 공급관(70)을 경유하여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1)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세척장치(30)가 구비된다. 상기 자동세척장치(30)는 상기 저수조(10)의 바닥을 청소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자동세척장치(30)는 상기 저수조(10)에 마련된 반입구(13)를 통해 반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세척장치(30)에는 제2 카메라(31)가 장착된다. 상기 저수조(10)의 바닥을 청소하는 동안 제2 카메라(31)를 통해 저수조(10) 내부의 이미지를 촬영되며, 제2 카메라(3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컨트롤부(40)에 전송된다.
상기 자동세척장치(30)는 상기 제어부(41)에 의해 운전시간 또는 운전방향 등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자동세척장치(30)의 구성은 공지된 구성에 의하고, 자동세척장치(30)의 구성 자체가 본 발명의 기술적 핵심은 아니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상기 자동세척장치(30)는 미리 프로그램화된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저수조(10)의 바닥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자동세척장치(3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경로를 따라 운전되도록 미리 프로그램화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1)는 자동세척장치(30)의 운전의 시작 및 종료, 소정 가동시간의 변경, 및 소정의 경로로 운전 중인 자동세척장치(30)를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2)는 상기 제1 카메라(20)가 촬영한 영상 및 상기 자동세척장치(30)에 구비되는 제2 카메라(31)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42)에 표시된 저수조(10) 내부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 실시예의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을 이용한 세척 과정을 설명한다.
제1 카메라(20)는 일정한 주기마다 상수에 입수시켜 상수의 수질상태를 점검한다. 예컨대, 1일 내지 10일 간격으로 저수조(10)에 채워진 상수의 수질을 체크한다.
이때, 상기 저수조(10)의 바닥상태 및 상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의 함유 정도를 확인한다. 상기 제1 카메라(20)는 제어부(41)를 통해 저수조(10)의 상측부에서 하강하여 상수로 입수되며, 제1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표시부(42)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저수조(10)에 직접 사람이 들어가지 않고도 수질의 상태 및 저수조(10) 바닥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저수조(10) 내에 퇴적물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쌓여서 청소가 필요한 경우, 저수조(10)에 저장된 상수를 방류구(12)를 통하여 방류시킨다. 상기 제1 카메라(20)는 와인딩장치(50)에 의해 다시 저수조(10)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을 통해 저수조(10)의 바닥 및 측벽을 세척한다.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 및 분사압은 저수조(10)의 크기 및 오염상태를 고려하여 제어부(41)를 통해 조절되며, 저수조(10)의 바닥 및 측벽 세척시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자동세척장치(30)를 반입구(13)를 통해 투입하여 저수조(10)의 바닥을 청소한다. 상기 자동세척장치(30)의 운전의 시작 및 종료, 가동시간, 가동방향 등은 제어부(41)에서 제어하며, 상기 자동세척장치(30)가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자동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41)는 가동시간의 변경, 가동방향의 변경, 가동 시작 및 정지 등의 동작을 추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자동세척장치(30) 및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을 통한 세척과정은 자동세척장치(30)의 제2 카메라(31) 및 상기 제1 카메라(20)에 의해 관찰되며, 세척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저수조(10) 내부의 상태를 표시부(42)를 통해 확인한다.
이어서, 상기 밸브(90)를 개방하여, 소독제저장부(80)에 저장된 소독제가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을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소독제는 소독이 완료된 후 방류구(12)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의 농도가 0.2mg/L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적정 농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밸브(90)의 개방에 의해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 측으로 이동하는 소독제는 세척수와 함께 혼합되는데, 상기 소독제는 세척 및 소독이 완료된 후에 배출되는 배출수의 농도가 상기 농도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희석된다.
상기 소독제의 분사는 상기 세척수만이 분사될 때보다 상대적으로 저압으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분사시 소독제가 저수조(10)의 바닥 및 측벽을 충분히 소독하지 못하고 씻겨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저수조(10)의 바닥 및 수질 상태 확인, 자동세척장치(30) 및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을 이용한 세척, 소독제를 이용한 소독을 완료하면, 자동세척장치(30)를 회수하고, 저수조(10) 바닥에 고인 세척수 및 잔류물을 방류구(12)를 통해 방류시킴으로써 저수조(10)의 청소를 완료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은, 아파트나 대형 건물 등 상수도 물을 받아 사용하는 곳에 마련되는 저수조(10)의 청소 시기를 제1 카메라(2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사람이 직접 저수조(10) 내부로 들어가 저수조(10)의 바닥 상태 및 상수의 수질상태를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다.
또한, 저수조(10) 내부의 청소를 무인방식으로 세척하므로, 인력에 의해 청소시 인력에 의해 청소 후 저수조(10) 내부가 추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간으로 저수조(10) 내의 상태를 확인하여 저수조(10) 내부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저수조(10) 내부 청결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민원 발생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저수조 11... 배출구
12... 방류구 13... 반입구
14... 투입부 20... 제1 카메라
30... 자동세척장치 31... 제2 카메라
40... 컨트롤부 41... 제어부
42... 표시부 50... 와인딩장치
51... 와이어 52... 풀리
53... 모터 60... 각도조절형 분사노즐
70... 공급관 80... 소독제저장부
90... 밸브

Claims (7)

  1. 건물의 저수조를 세척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상수를 저장하며, 상기 상수를 건물의 각 공급처로 연결하는 배출구(11)와, 저장된 상수를 방류하는 방류구(12)를 구비하는 저수조(10);
    상기 저수조(1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투입부(14)를 통해 투입되고, 상기 저수조(10)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1 카메라(20);
    상기 저수조(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저수조(10)의 바닥 및 측벽을 세척하며, 세척수의 분사 방향이 조절되는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에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70);
    상기 공급관(70)에 연결되며, 소독제를 저장하는 소독제저장부(80);
    상기 소독제저장부(80)의 소독제가 상기 공급관(70)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밸브(90);
    상기 상수가 상기 방류구(12)를 통해 방류된 후 상기 저수조(10)에 마련된 반입구(13)를 통해 반입되어 상기 저수조(10)의 바닥을 세척하며, 제2 카메라(31)가 장착된 자동세척장치(30);
    상기 제1 카메라(20)의 승강 및 하강과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의 세척수 분사 방향과 상기 자동세척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부(41)와, 상기 제1 카메라(20)가 촬영한 영상과 상기 제2 카메라(31)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42)를 갖는 컨트롤부(40);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형 분사노즐(60)을 통해 분사되는 상기 세척수의 분사압은 상기 제어부(41)에 의해 제어되되, 상기 소독제가 상기 세척수와 함께 공급될 때의 분사압이 상기 세척수만이 분사될 때의 분사압 보다 작도록 제어되며,
    상기 소독제에 의한 소독이 완료된 후, 상기 세척수와 상기 소독제가 혼합되어 상기 방류구(12)를 통해 방류되는 배출수에 포함된 상기 소독제의 농도는 0.2mg/L 이상으로 유지되며,
    상기 제1 카메라(20)를 승하강시키는 와인딩장치(50)를 포함하고,
    상기 와인딩장치(50)는, 일단이 상기 제1 카메라(20)에 연결되는 와이어(51), 상기 와이어(51)의 타단이 고정되며 회전시 상기 와이어(51)가 감기거나 풀리는 풀리(52), 및 상기 풀리(52)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53)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53)는 상기 제어부(41)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69973A 2013-06-18 2013-06-18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 KR101387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973A KR101387609B1 (ko) 2013-06-18 2013-06-18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973A KR101387609B1 (ko) 2013-06-18 2013-06-18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7609B1 true KR101387609B1 (ko) 2014-04-23

Family

ID=5065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973A KR101387609B1 (ko) 2013-06-18 2013-06-18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60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1406A (zh) * 2019-12-31 2020-04-28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放射性工件高压水清洗配套实验设备和清洗要素实验方法
KR102177960B1 (ko) 2019-05-07 2020-11-12 국방과학연구소 영상 정보 기반 추력 방향 제어 장치의 구동 성능 점검 시스템,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US11026559B2 (en) 2019-09-30 2021-06-08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fluid condition sensing
US11185209B2 (en) 2019-11-20 2021-11-30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steam generator
US11191416B2 (en) 2019-09-30 2021-12-07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position sensor
US11202550B2 (en) 2019-11-20 2021-12-2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thermal imaging system
CN114086635A (zh) * 2021-12-24 2022-02-25 上海艺迈实业有限公司 一种含储水箱具有调压自清洁功能的数字全变频供水设备
US11259681B2 (en) 2019-09-30 2022-03-0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diagnostics
KR20220062996A (ko) * 2020-11-09 2022-05-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을 이용하여 수면을 청소하는 예인전차 장치
KR20220102799A (ko) * 2021-01-14 2022-07-21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세척 시스템 및 방법
US11399690B2 (en) 2019-09-30 2022-08-02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cam-based position sensor
US11464389B2 (en) 2019-09-30 2022-10-1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detergent sensing
US11484183B2 (en) 2019-09-30 2022-11-0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object sen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686U (ko) * 1989-06-07 1991-02-18
JPH08201297A (ja) * 1995-01-25 1996-08-0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受水槽内検査装置
KR20130019286A (ko) * 2011-08-16 2013-02-26 주식회사 서희정보기술 물탱크용 로봇청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686U (ko) * 1989-06-07 1991-02-18
JPH08201297A (ja) * 1995-01-25 1996-08-0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受水槽内検査装置
KR20130019286A (ko) * 2011-08-16 2013-02-26 주식회사 서희정보기술 물탱크용 로봇청소기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960B1 (ko) 2019-05-07 2020-11-12 국방과학연구소 영상 정보 기반 추력 방향 제어 장치의 구동 성능 점검 시스템,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US11766160B2 (en) 2019-09-30 2023-09-26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position sensor
US11633081B2 (en) 2019-09-30 2023-04-25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diagnostics
US11889966B2 (en) 2019-09-30 2024-02-06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object sensing
US11191416B2 (en) 2019-09-30 2021-12-07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position sensor
US11399690B2 (en) 2019-09-30 2022-08-02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cam-based position sensor
US11026559B2 (en) 2019-09-30 2021-06-08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fluid condition sensing
US11259681B2 (en) 2019-09-30 2022-03-0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diagnostics
US11464389B2 (en) 2019-09-30 2022-10-1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detergent sensing
US11896182B2 (en) 2019-09-30 2024-02-13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object sensing
US11877711B2 (en) 2019-09-30 2024-01-23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detergent sensing
US11484183B2 (en) 2019-09-30 2022-11-0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object sensing
US11864705B2 (en) 2019-11-20 2024-01-09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thermal imaging system
US11202550B2 (en) 2019-11-20 2021-12-2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thermal imaging system
US11185209B2 (en) 2019-11-20 2021-11-30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steam generator
CN111081406A (zh) * 2019-12-31 2020-04-28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放射性工件高压水清洗配套实验设备和清洗要素实验方法
KR20220062996A (ko) * 2020-11-09 2022-05-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을 이용하여 수면을 청소하는 예인전차 장치
KR102476249B1 (ko) * 2020-11-09 2022-1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을 이용하여 수면을 청소하는 예인전차 장치
KR102604040B1 (ko) * 2021-01-14 2023-11-17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세척 시스템
KR20220102799A (ko) * 2021-01-14 2022-07-21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세척 시스템 및 방법
CN114086635A (zh) * 2021-12-24 2022-02-25 上海艺迈实业有限公司 一种含储水箱具有调压自清洁功能的数字全变频供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609B1 (ko) 각도조절형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
JP5748255B1 (ja) 高層建物の排水縦管の洗浄装置、排水縦管内に耐圧ホースを送り上げるためのホース送り上げ装置、及び排水縦管洗浄方法
CN100399950C (zh) 清洗装置
DE102010027756A1 (de)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Fehlererkennung
KR100940609B1 (ko) 자동 필터링 및 청소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1118018B1 (ko) 원격 조종에 의한 고층건물의 창문 및 조형물 자동 청소장치
KR101387608B1 (ko) 저수조 무인 세척 시스템
CN207221993U (zh) 一种化学实验用多功能实验台
CN107982988A (zh) 一种污水处理用残渣清理装置
KR20160014914A (ko) 무인카메라에 구비되는 세척장치
JP6871656B1 (ja) 栽培設備
JP6632259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と既設の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の改造方法
KR101394587B1 (ko) 천장 매립형 코일핀 열교환기의 자동세척로봇
JP2005214600A (ja) 空気調和機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CN104460414B (zh) 一种投入式ph玻璃电极自动调节装置及其方法
JP2007326010A (ja) 液体が入れられる構造物内の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KR20130019286A (ko) 물탱크용 로봇청소기
KR20110004592A (ko)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 배출관 세척장치
DE102013222900A1 (de) Flexibles Purge-Management System
JP2018023703A (ja) 窓ガラス清掃システム
KR20200051183A (ko) 건물 외벽 자동 청소 장치
KR20210054278A (ko) 승압기 로터 세척장치
JP7109829B1 (ja) 排水システム
JP6835367B1 (ja) 出荷作業システムおよび出荷作業方法
JP3558509B2 (ja) 給水管内部洗浄装置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