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452B1 - 스마트 tv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tv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452B1
KR101387452B1 KR1020120151941A KR20120151941A KR101387452B1 KR 101387452 B1 KR101387452 B1 KR 101387452B1 KR 1020120151941 A KR1020120151941 A KR 1020120151941A KR 20120151941 A KR20120151941 A KR 20120151941A KR 101387452 B1 KR101387452 B1 KR 101387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er
mobile device
user
meta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주
임태범
금승우
정종진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TV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TV 환경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미디어 서버,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북마크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서버, 상기 메타데이터 서버로부터 요청받은 컨텐츠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TV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rlinked contents in smart TV environment}
본 발명은 스마트 TV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TV 환경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성과 이동성이라는 모바일 환경의 장점을 살려서 유무선 연동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으나, 모바일 디바이스와 가전 기기들이 상호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 연동 시스템 기술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제안된 기술은 유선 기기인 가전 기기와 무선 기기인 모바일 디바이스가 단순히 연동시키는 데 그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129656호(발명의 명칭: 동영상 컨텐츠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는 판매 제품에 대한 PPL(Product Placement) 광고 요청을 하고, 상기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판매 서버와, 상기 판매 서버로부터 요청되는 제품에 대한 PPL 광고가 포함되는 동영상을 제작하는 동영상 제작 서버와, 상기 동영상을 인코딩하고, 상기 동영상에서 상기 PPL 광고되는 제품이 노출되는 특정 좌표를 파악하고, 상기 특정 좌표 및 각 특정 좌표에서 노출되는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가 포함되는 동영상 컨텐츠 및 재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재생 프로그램 및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받고, 상기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특정 좌표의 동영상이 재생되면, 상기 특정 좌표를 통해 노출되는 제품 정보를 실시간 출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5412호(발명의 명칭:방송 융합 광고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프로바이더에서 간접광고 서버 및 컨텐츠 핸들러로의 PPL 정보 및 컨텐츠의 업로드 방법)는 컨텐츠 프로바이더에서 간접 광고 서버에 PPL 정보를 업로드하는 방법으로서,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간접 광고 서버에 PPL 정보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간접 광고 서버로부터 접속 가능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접속 가능한 채널로 상기 간접 광고 서버에 접속하여 지정된 서버 디렉토리에 PPL 정보를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PPL 정보를 업로드한 다음 PPL 정보를 업로드한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PPL 정보 업로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나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나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유선 환경인 스마트 TV와 무선 환경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광고나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유선 환경인 스마트 TV와 무선 환경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동하여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에 북마크한 정보를 원하는 시점에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미디어 서버,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북마크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서버, 상기 메타데이터 서버로부터 요청받은 컨텐츠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미디어 서버,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셋탑 박스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스마트 TV로 출력하며, 상기 스마트 TV로 출력하는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부가 정보 중 특정 부가 정보에 대해 북마크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북마크한 특정 부가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북마크한 특정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TV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PPL 북마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관심있는 PPL을 북마크하여 실시간 또는 서비스가 종료된 이후에 컨텐츠나 컨텐츠 속 부가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시점에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사업자는 사용자의 선호도나 취향에 맞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유무선 연동 시스템은 스마트 TV, 모바일 디바이스, 셋탑 박스,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며, 미디어 서버는 메타데이터 서버와 컨텐츠 서버로 구분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유무선 연동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스마트 TV(120)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컨텐츠나 VOD(Video on Demand) 컨텐츠를 출력하며,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컨텐츠 및 부가정보 서비스에 대한 상호작용을 한다.
셋탑박스(110)는 방송 컨텐츠나 VOD 컨텐츠를 스마트 TV(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며, 컨텐츠의 타임 정보를 저장 또는 관리하여 이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마트 TV(120)를 통해 방송 컨텐츠나 VOD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시청 장면과 연관된 인물이나 상품 정보를 포함한 부가 정보 서비스를 전송받는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송받은 부가 정보 중 특정 부가 정보에 대해 북마크를 입력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입력한 북마크는 셋탑 박스(110)로 전달되며, 셋탑 박스(11)는 전달받은 북마크를 미디어 서버(130)로 전송한다.
물론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북마크와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고유 정보를 셋탑 박스(110)로 함께 전송한다.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해당 방송 컨텐츠나 VOD 컨텐츠에 대한 시청이 종료된 이후에 컨텐츠나 컨텐츠 속 부가상품에 대한 상세정보를 원하는 시기에 셋탑 박스에 요청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다.
미디어 서버(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서버(134)와 메타데이터 서버(132)로 구성된다. 컨텐츠 서버(132)는 방송 컨텐츠나 VOD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스마트 TV(120)를 통해 방송 컨텐츠나 VOD 컨텐츠를 스트리한다. 또한, 컨텐츠 서버(134)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사용자 프로파일, 사용자 선호도 등 사용자 밸류에 맞추어 부가 정보인 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한다. 물론 컨텐츠 서버(134)는 메타데이터 서버(132)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 정보인 미디어 컨텐츠를 스트리밍한다.
메타데이터 서버(1332)는 방송 컨텐츠나 VOD 컨텐츠와 연동하여 제공해야 할 시간 정보나 연동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링크 주소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서버(132)는 각 모바일 디바이스의 연동 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요청에 따라 서비스할 연동 미디어 컨텐츠의 해상도, 성능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보와 사용자의 나이, 직업, 취미와 같은 사용자 프로파일 및 사용자 선호도와 같은 유저 밸류를 포함한다.
메타데이터 서버(132)는 유저 밸류값에 따라 컨텐츠 서버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결정하는 메타데이터로 구성되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관심있는 PPL을 북마크하면, 이를 컨텐츠 서버의 미디어 컨텐츠와 연동하여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한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관심 있는 PPL을 북마크하면, 셋탑박스를 통해 미디어 서버로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가 관심있는 PPL을 북마크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미디어 서버는 메타데이터 서버와 컨텐츠 서버로 구성되며, 메타데이터 서버는 메타데이터 관리부(210)와 사용자 관리부(220)로 구성된다.
메타 데이터 관리부(210)는 컨텐츠 목록 파일부(212), 컨텐츠 메타데이터 DB(214)를 포함하며, 사용자 관리부(220)는 사용자 목록 파일부(222), 사용자 DB(224), 사용자 상황 정보 분석부(226)를 포함한다. 사용자 상황정보 분석부(226)와 사용자 프로파일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28), 사용자 이력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30), 사용자 선호도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32), 사용자 북마크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34)를 포함한다.
사용자 관리부(220)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Password),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매핑 테이블을 관리한다. 매핑 테이블은 사용자별로 사용자 DB(224)의 사용자 프로파일, 사용자 이력, 사용자 선호도를 쉽게 접근 또는 검색할 수 있도록 연결 관계를 저장하고 있고, 사용자 디바이스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220)는 현재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활성 사용자 테이블(Active User Table)도 관리한다. 활성 사용자 테이블은 현재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사건 정보를 고려하여 만들어진 컨텐츠 리스트,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사용자가 시청 중지한 컨텐츠의 중지시점(Stop Point)등의 사용자 상태를 기록 관리한다.
메타데이터 관리부(210)는 컨텐츠 서버의 컨텐츠 메타데이터를 쉽게 접근 또는 검색할 수 있도록 연결 관계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을 관리한다. 컨텐츠 서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컨텐츠나 기타 VOD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컨텐츠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4)는 컨텐츠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메타데이터 관리부(210)는 컨텐츠의 상세정보를 가진 컨텐츠 메타데이터도 XML로 구성된 파일이므로 빠른 검색을 위해 컨텐츠 메타데이터에 쉽게 접근 및 검색할 수 있는 매핑 테이블을 만들어 관리한다.
사용자 프로파일 메타데이터 DB(228)는 사용자의 나이, 연령, 성별 등 개인 정보를 XML 파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한다. 사용자 선호도 메타데이터 DB(232)는 사용자가 처음 서버 등록시 입력한 자신이 선호하는 정보 및 각 정보에 대한 가중치(Very High, High, Low, Very Low) 등 선호 정보를 XML 파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한다. 사용자 이력 메타데이터 DB(230)는 사용자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로부터 최근에 스트리밍받은 컨텐츠의 목록과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용한 시간 등을 저장, 관리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 상황 정보 분석부(226)는 사용자 북마크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34)를 포함한다. 사용자 북마크 메타데이트 데이터베이스(234)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관심있는 PPL을 북마크하면, 제공한 컨텐츠와 연동된 메타데이터를 저장 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연동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유무선 연동 시스템은 미디어 서버, 스마트 TV, 셋탑 박스,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S300단계에서 미디어 서버는 셋탑 박스로 방송 컨텐츠나 VOD 컨텐츠를 제공한다.
S302단계에서 셋탑 박스는 제공받은 컨텐츠를 스마트 TV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이와 더불어 셋탑 박스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컨텐츠와 연관된 인물이나 상품 정보 등 부가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공한다.
S304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공받은 부가 정보 중 특정 부가 정보에 대해 북마크를 수행한다.
S06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북마크된 부가 정보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미디어 서버로 전송되며, 미디어 서버는 전송받은 부가 정보를 사용자 북마크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S308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자신이 북마크한 부가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요청한다.
S310단계에서 미디어 서버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요청한 북마크한 부가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 또는 기타 필요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북마크된 정보를 추후 모바일 디바이스가 요청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시간의 제약없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모바일 디바이스 110: 셋탑 박스
120: 스마트 TV 130: 미디어 서버
132: 메타데이터 서버 134: 컨텐츠 서버

Claims (6)

  1. 미디어 서버,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북마크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서버;
    상기 메타 데이터 서버로부터 요청받은 컨텐츠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데이터 서버는,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지원 가능한 컨텐츠의 해상도 및 성능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서버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DB);
    사용자가 선호하는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저장하는 사용자 선호도 메타데이터 DB;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북마크를 저장하는 북마크 메타데이터 DB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는,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스마트 TV로 제공하며, 상기 스마트 TV로 제공한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서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북마크된 컨텐츠의 대한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컨텐츠 서버로 상기 북마크된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20151941A 2012-12-24 2012-12-24 스마트 tv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87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941A KR101387452B1 (ko) 2012-12-24 2012-12-24 스마트 tv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941A KR101387452B1 (ko) 2012-12-24 2012-12-24 스마트 tv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7452B1 true KR101387452B1 (ko) 2014-04-24

Family

ID=5065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941A KR101387452B1 (ko) 2012-12-24 2012-12-24 스마트 tv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172B1 (ko) 2020-04-03 2021-09-27 한국교육방송공사 방송 컨텐츠와 연계된 부가 컨텐츠 출력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372A (ko) * 2003-12-31 2009-01-09 노키아 코포레이션 디지털 컨텐트 저장, 재생 장치 및 디지털 컨텐트 북마킹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372A (ko) * 2003-12-31 2009-01-09 노키아 코포레이션 디지털 컨텐트 저장, 재생 장치 및 디지털 컨텐트 북마킹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172B1 (ko) 2020-04-03 2021-09-27 한국교육방송공사 방송 컨텐츠와 연계된 부가 컨텐츠 출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9989B2 (en) Media content redirection
US86401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vision services using an aggregator
EP2433423B1 (en) Media content retrieval system and personal virtual channel
US9148756B2 (en) Output of content from the internet on a media rendering device
US9563703B2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of playlists of authorized content with other users
US8832763B2 (en) Catalog slicing in a video provisioning system
US20080182509A1 (en) Audio visual player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content distribution using the same
US20120210351A1 (en) Presentation of customized digital media programming
US201303325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iling media information based on privacy and reliability metrics
KR20150105342A (ko) 동시 콘텐츠 데이터 스트리밍 및 상호 작용 시스템
WO2013019307A1 (en)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201283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shup of multimedia content
WO2007051385A1 (zh) 电子节目指南、流媒体调度及点播系统、方法和装置
KR101147056B1 (ko) 아이피티브이 객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6504695B2 (ja) 動画配信システム
KR100924646B1 (ko) Iptv를 이용한 개인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2029200A (ja) リモート予約システム、リモート予約方法及びリモート予約装置
KR101387452B1 (ko) 스마트 tv 환경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연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2149868A1 (zh) 一种媒体内容分发和点播的方法、机顶盒及系统
JP635258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269929B1 (ko)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52490B1 (ko) 사용자의 검색 패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33920B1 (ko) Tv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앱채널 제공방법
US9591337B1 (en) Point to point media on demand
JP2014119973A (ja) サー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