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075B1 -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방법 - Google Patents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075B1
KR101387075B1 KR1020120021422A KR20120021422A KR101387075B1 KR 101387075 B1 KR101387075 B1 KR 101387075B1 KR 1020120021422 A KR1020120021422 A KR 1020120021422A KR 20120021422 A KR20120021422 A KR 20120021422A KR 101387075 B1 KR101387075 B1 KR 101387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predetermined
in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714A (ko
Inventor
김태유
Original Assignee
김태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유 filed Critical 김태유
Priority to KR1020120021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07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3/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에 의하면, 인지 능력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입력부에서 제공된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분류된 복수의 문제 및 상기 문제의 해답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제를 복수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출제하는 출제부, 상기 사용자의 신호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해답을 대비하여 채점하는 채점부, 및 상기 채점을 통해 도출된 채점 결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제부는 상기 분류된 문제를 조합하여 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방법{Learning system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분야의 인지 영역에 해당하는 복수의 등급의 문제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분야 및 등급의 인지 능력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가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서 신규한 문제 및 답안이 제공되어 보다 적극적으로 훈련에 임할 수 있는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 및 그를 사용한 인지 능력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 및 의료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간의 평균 수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현대 사회는 고령화가 가속되고 있으며, 우리 나라의 경우 노인 인구가 1000 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건강 유지는 국가,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노인성 질환 중에서도 특히 노인성 치매의 경우 노령화에 따라서 발병 확률이 증가하며, 증상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회복이 사실상 불가능한 점, 간병에 있어서 타 질병에 비해 간병에 매우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점, 및 가족들에게 부담되는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스트레스가 매우 크다는 점에서 해결이 매우 곤란하다.
최근의 연구에서 노인성 치매증은 경미한 증상의 단계에서 재활 훈련을 통해 예방이나 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서, 노인성 치매증의 조기 발견 및 조기 단계에서의 재활 치료는 단지 치매 증상 환자 개인 뿐 아니라 그 가족 및 국가 사회적으로 그 요청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노인성 치매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부분이며, 아울러 재활 치료 장치 또한 개발이 더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 2000-003051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인지 영역에 해당하는 복수의 등급의 문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가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서 신규한 문제 및 답안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영역의 인지 능력을 배양할 수 있으며 아울러 조기에 노인성 치매 증상을 진단할 수 있어 노인성 치매 증상의 심화를 예방할 수 있는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에 의하면, 인지 능력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입력부에서 제공된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분류된 복수의 문제 및 상기 문제의 해답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제를 복수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출제하는 출제부, 상기 사용자의 신호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해답을 대비하여 채점하는 채점부, 및 상기 채점을 통해 도출된 채점 결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제부는 상기 분류된 문제를 조합하여 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문제는 난이도에 따라서 복수의 레벨로 분류되며, 상기 출제부는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레벨에 속하는 문제를 비율에 따라 조합하여 출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신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신규 데이터를 통해 신규 문제 및 상기 신규 문제에 대한 답안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채점 결과를 의료 시설로 송신하고 상기 의료 시설의 소견을 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소정의 광학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광학 기기, 및 소정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음성 기기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광학 기기 또는 음성 기기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훈련 방법에 의하면,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입력부에서 제공된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분류된 복수의 문제 및 상기 문제의 해답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제를 복수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출제하는 출제부, 상기 사용자의 신호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해답을 대비하여 채점하는 채점부, 및 상기 채점을 통해 도출된 채점 결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제부는 상기 분류된 문제를 조합하여 출제하되, 상기 복수의 문제는 난이도에 따라서 복수의 레벨로 분류되며, 상기 출제부는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레벨에 속하는 문제를 비율에 따라 조합하여 출제하는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을 사용한 인지 능력 훈련 방법에 있어서,
(a) 인지 능력 훈련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b) 사용자가 훈련 등급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등급에 따라서 상기 출제부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로부터 문제를 선택하여 제공하며, 상기 제공된 문제에 따라서 훈련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훈련 결과가 기준 점수에 미달할 경우 하향 등급의 훈련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f) 상기 훈련 결과가 기준 점수를 충족할 경우 상향 등급의 훈련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g) 상기 훈련 결과를 저장하고 진단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채점 결과를 의료 시설로 송신하고 상기 의료 시설의 소견을 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을 사용한 인지 능력 훈련 방법에 있어서,
(h) 상기 훈련 결과가 기준 점수에 미달하거나, 지속적으로 저하하거나, 큰 변동이 있는 등 이상 징후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징후로 판단될 경우 상기 송수신부가 의료 시설로 경고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은 복수의 난이도 레벨을 갖는 수개의 문제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등급에 따라서 상기 상이한 난이도의 문제를 일정 비율에 따라 조합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수준에 따라서 적절한 수준의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이한 레벨의 문제를 조합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문제의 조합에 따라서 다양한 훈련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인지 능력 증진에 더욱 기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끼지 아니하며 적극적으로 훈련에 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은 스케줄 관리부를 포함함에 따라서, 사용자의 약 복용 일정과 같은 소정의 스케줄을 표시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스케줄 관리가 용이해져 사용자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신규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상기 신규 정보를 통해 신규 문제 및 상기 신규 문제에 대한 답안을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은 제공할 수 있는 문제의 수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공된 사항에 따라서 무제한의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은 인지 능력 훈련 결과를 의료 시설로 송신하고 상기 의료 시설의 소견을 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훈련 결과가 송수신부를 통해 의료 기관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훈련 결과를 통해 의료 기관에서 사용자의 상태를 원격에서 체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은 광학 기기 및 음성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기기 및 음성 기기를 통해 기록 당시의 사용자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음에 따라서 더욱 상세한 사용자의 상태 체크가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의 모습 및 육성이 기록됨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은 예컨대 포토 다이어리와 같은 기록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 및 감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을 사용한 인지 능력 훈련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후술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입력부", "출력부", "제어부", "출제부", "채점부", "등급 결정부", "송수신부" 와 같은 용어는 전자 기기를 통해 구현되는 프로그램의 일 부분으로서 물성을 갖지 아니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컴퓨터, 기타 전자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연결되는", "연결하는", "연결" 과 같은 용어는 물리적으로 두 개의 부분이 연결되는 경우 외에 소정의 전기통신회선을 통해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 또는 데이터 등이 상호 송신 및 수신 될 수 있는 경우 또한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에 의하면, 인지 능력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컨텐츠 제공에 사용되는 데이터, 및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1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20);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입력부(20)에서 입력된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부(30); 및 상기 입력부(20)에서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 내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신호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출력부(30)에 출력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에는 컨텐츠 제공에 사용되는 각종 문제 및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문제는 인지 영역에 따라서 사용자의 기억력, 언어 능력, 계산 능력, 신경 반응 속도, 운동 능력 등 다양한 인지 영역의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병력, 치료 경과, 훈련 수행 결과 등 사용자에 관한 인적 사항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을 그간 이용한 결과 및 평가 등을 포함하여 추후의 능력 증진을 위한 방향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수개의 인지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는 복수의 문제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해답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는 기억력과 관련된 인지 능력을 훈련할 수 있는 문제, 계산능력과 관련된 인지 능력을 훈련할 수 있는 문제 등 수개의 인지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된 복수의 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상기 복수의 문제 중 둘 이상을 조합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인지 능력의 증진을 위한 컨텐츠를 선택하여 선택된 인지 능력과 관련된 문제들을 제공받아 훈련에 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컨텐츠는 기억력 분야, 계산 능력, 운동 능력, 순발력 등과 같은 세분화된 영역의 인지 능력의 훈련을 행할 수 있으며, 상기 영역의 문제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인지 능력이 복합적으로 관련된 종합 인지 능력의 훈련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입력부(20)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0), 출력부(30), 및 제어부(40)에 전달되는 소정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20)는 예컨대 외부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행동을 취함에 따라서 소정의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4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행동은 예컨대 사용자의 수기, 키 입력, 목소리, 또는 손, 발 등의 신체 동작 등과 같은 일련의 행동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20)는 소정의 버튼이 입력될 수 있는 버튼 또는 자판, 소정의 음성이 입력될 수 있는 음성 장치, 또는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압력센서나 광 센서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통해 소정의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영역의 인지 능력 훈련이 가능하며, 따라서 사용자의 인지 능력 훈련 효과가 더욱 증대되고 아울러 인지 능력 평가가 더욱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20)는 1 인의 사용자 뿐만이 아니라 2 인 이상의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20)는 2 인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서 2 인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훈련에 참여할 수 있고, 따라서 소정의 경기와 같은 분위기에서 훈련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더욱 적극적으로 훈련에 참여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30)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저장된 문제, 정보, 및 후술하는 제어부(40)에서 처리된 결과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출력부(30)는 소정의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소정의 출력 장치(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 장치(미도시)는 상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시각적 신호, 또는 청각적 신호로 변환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출력부(30)를 통해서 제공된 문제에 대해서 입력부(20)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답변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영역의 인지 능력 훈련이 가능하며, 따라서 사용자의 인지 능력 훈련 효과가 더욱 증대되고 아울러 인지 능력 평가가 더욱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2 인 이상의 사용자가 훈련에 참여할 경우 각각의 사용자의 순위를 나타내도록 결과가 출력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입력부(20)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서 데이터 베이스부(10)에서 관련 문제를 선택하고, 출력부(30)에 출력하며, 다시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답안을 처리하여 채점하는 과정을 총괄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문제를 복수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출제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호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저장된 해답을 대비하여 채점하며, 상기 채점 결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서 수개의 레벨에 속하는 문제를 비율에 따라 조합하여 출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 내에 저장된 데이터는, 복수의 인지 영역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며 난이도에 따라서 레벨이 분류된 복수의 문제 및 상기 문제의 답안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문제를 복수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출제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호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저장된 해답을 대비하여 채점하며, 상기 채점 결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서 수개의 레벨에 속하는 문제를 비율에 따라 조합하여 출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로부터 문제를 복수개 선택하여 상기 출력부에 전달하는 출제부(42), 및 사용자의 입력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저장된 해답을 대비하여 채점하는 채점부(44), 및 상기 채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제부(42)는,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서 수개의 레벨에 속하는 문제를 비율에 따라 조합하여 출제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저장된 복수의 문제는 난이도에 따라서 수개의 레벨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에 속한 문제를 일정 비율에 따라서 조합하여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의 문제는 난이도가 어려운 정도에 따라 4 개의 레벨로 나뉘고, 사용자가 상급 등급의 훈련을 선택할 경우 가장 쉬운 레벨 1 의 문제 비율이 10 % 이고, 2 레벨의 문제 비율이 20 % 이며, 3 레벨의 문제 비율이 30 % 이고, 4 레벨의 문제 비율이 40 % 일 수 있다.
한편, 채점부(44)를 통하여 채점된 훈련 결과는 상기 출력부(30)에 의해서 출력되되, 상기 결과를 인지 능력 영역별, 기간별 등 다양한 통계에 따라 산출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인지 능력에 있어서 년 평균, 월 평균값과 현재 훈련 결과를 함께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결과값이 평균값에 비해서 큰 폭의 변동을 나타내거나 또는 일정 기간동안 지속적인 하락을 나타내는 등 이상 징후가 포착될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알람 기능과 같은 소정의 표시 및 경고가 작동할 수 있다.
등급 결정부(46)는 상기 채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훈련 결과가 소정의 기준에 미달할 경우 하향 등급의 훈련 여부를 제시할 수 있고, 현재 훈련 결과가 양호할 경우 상향 등급의 훈련 여부를 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이 아니라 자동으로 등급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은 복수의 난이도 레벨을 갖는 수개의 문제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등급에 따라서 상기 상이한 난이도의 문제를 일정 비율에 따라 조합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수준에 따라서 적절한 수준의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이한 레벨의 문제를 조합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문제의 조합에 따라서 다양한 훈련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인지 능력 증진에 더욱 기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끼지 아니하며 적극적으로 훈련에 임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을 사용한 인지 능력 훈련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에 따라서, 먼저, 인지 능력에 관한 훈련 및 진단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억력 분야, 계산 능력 분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등급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등급은 이전에 수행한 훈련 결과를 반영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등급에 따른 문제가 선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제공되는 문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레벨로 분류된 문제를 등급에 따라 소정의 비율로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0)의 채점에 따라 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점수가 소정의 기준 점수를 충족할 경우 등급을 상향하여 재훈련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점수가 소정의 기준 점수에 미달할 경우 등급을 하향하여 재훈련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훈련 결과를 저장하고 진단하여 그 결과를 출력부(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결과가 이전 훈련 결과에 비해서 심하게 저하되거나 또는 소정의 변동을 보이는 등 이상 징후가 발견될 경우 후술하는 송수신부(50)를 통해 소정의 의료 기관에 결과를 송신하거나 또는 소정의 경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은 스케줄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약물 복용 스케줄이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면, 관련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부에 저장되며, 제어부(40)는 상기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약물 복용 시점에 근접함에 따라서 표시의 형태, 세기 등이 가변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약물 복용 시점이 임박할 경우 소정의 알람 등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 기능을 갖춘 표시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람 기능은 매일, 주간, 월간, 또는 년 단위의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약물 복용의 경우 사용자가 약물을 복용한 후 상기 입력부(20)에 터치 등 소정의 신호를 줌으로써 약물을 복용한 것을 기록할 수 있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은 기억 보조장치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가 스케줄에 따라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소정의 알람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은 스케줄 관리부를 포함함에 따라서, 사용자의 약 복용 일정과 같은 소정의 스케줄을 표시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스케줄 관리가 용이해져 사용자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20)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문제로 활용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부(20)에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또는 시사 정보, 상식 등과 같은 소정의 신규 정보를 입력부(2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0)는 상기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신규 정보를 통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상기 신규 정보를 처리하여 신규한 문제 및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소정의 자판을 통해 상기 입력부(20)에 소정의 문장을 입력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문장 중 일부를 blank 처리하여 신규한 문제 데이터 및 답안 데이터를 생성한 후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신규 문제 데이터 및 신규 답안 생성은 상술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예컨대 음성 신호, 화상 정보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20)를 통해 신규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40)는 상기 신규 정보를 통해 신규 문제 및 상기 신규 문제에 대한 답안을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은 제공할 수 있는 문제의 수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공된 사항에 따라서 무제한의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은 상기 훈련 결과를 의료 시설로 송신하고 상기 의료 시설의 소견을 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상기 인지 능력 검사 결과를 상기 송수신부(50)에 전달하고, 송수신부(50)는 상기 인지 능력 검사 결과를 의료 시설에 송신한다. 이때, 상기 송신 및 수신은 소정의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지 능력 검사 결과가 일정 수준 이하로 저하하거나, 또는 지속적인 저하 현상을 보일 경우, 또는 급격히 변동하는 경우와 같은 이상 징후가 발생할 때,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송수신부(50)를 통해서 소정의 경고 표시를 의료 시설에 전달하는 알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은 인지 능력 훈련 결과를 의료 시설로 송신하고 상기 의료 시설의 소견을 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50)를 포함함에 따라서, 훈련 결과가 송수신부(50)를 통해 의료 기관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훈련 결과를 통해 의료 기관에서 사용자의 상태를 원격에서 체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입력부(20)는 예컨대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소정의 광학 기기, 또는 녹음기 등과 같은 소정의 음성 기기에 연결되어 소정의 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다 . 한편, 상기 광학 기기 및 음성 기기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양자는 배타적인 관계는 아니다.
사용자는 상기 광학 기기, 또는 음성 기기를 통해 자신의 현재 상태를 기록할 수 있다. 즉, 광학 기기 및 음성 기기는 사용시 사용자의 상태 및 기록 시각을 함께 기록함으로써, 기록 당시의 사용자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상태는 입력된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저장된다. 상기 입력부(20)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가 데이터화 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화 된 사용자의 상태는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입력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추후 인지 능력 검사에 반영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모습이 찍힌 영상, 사진, 또는 사용자가 기록한 육성을 문제로 제공하여 기억력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태가 기록된 데이터가 송수신부(50)를 통해 의료 기관에 제공됨에 따라서 의료 기관에서 사용자의 상태를 원격에서 체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모습 및 육성이 기록됨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은 예컨대 포토 다이어리와 같은 기록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진 및 동영상, 음성 등을 기록하여 날짜, 시간 별로 저장함에 따라서 사용자가 다이어리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진, 동영상, 소리 등은 핸드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기기를 통해서 상기 송수신부에 전송되어 데이터 베이스부부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 및 감성이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은, 상기 입력부(20)가 소정의 생체 센서 등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부(30)가 상기 입력부(20)에서 수신된 신체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전달받는 건강관리 기능 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와 연결됨으로써 생체 리듬으로부터 발생하는 전기 신호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신호를 통해서 바이오리듬, 인바디 체크 등의 신체 상태 체크를 수행하여 건강관리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 10: 데이터 베이스부
20: 입력부 30: 출력부
40: 제어부 42: 출제부
44: 채점부 46: 등급 결정부
50: 송수신부

Claims (7)

  1. 인지 능력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10);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부(20);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입력부(20)에서 제공된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분류된 복수의 문제 및 상기 문제의 해답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문제를 복수개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출제하는 출제부(42), 상기 사용자의 신호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저장된 해답을 대비하여 채점하는 채점부(44), 및 상기 채점을 통해 도출된 채점 결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46)를 포함하며,
    상기 출제부(42)는 상기 분류된 문제를 조합하여 출제하고,
    상기 입력부(20)는,
    소정의 광학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광학 기기, 소정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음성 기기, 및 사용자의 신체 동작에 따라 신호가 입력되는 소정의 압력센서 또는 광 센서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수기, 키 입력, 목소리, 또는 손, 발을 포함하는 신체 동작의 행동을 취함에 따라서 소정의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20)를 통해 사용자가 신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되, 상기 신규 데이터는 사용자의 상태 및 기록 시간,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및 시사 정보 또는 상식을 포함하는 신규 정보이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는 상기 입력부(20)를 통하여 상기 광학 기기 또는 음성 기기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출제부(42)를 통해 제공되는 문제는,
    기억력, 계산 능력, 운동 능력, 및 순발력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포함되고, 난이도에 따라서 복수의 레벨로 분류되며,
    상기 출제부(42)는 상기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포함되는 문제를 조합하고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레벨에 속하는 문제를 소정의 비율에 따라 조합하여 출제하되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서 상위 레벨의 문제의 비율과 하위 레벨의 문제의 비율이 조정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신규 데이터를 통해 신규 문제 및 상기 신규 문제에 대한 답안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에 저장하고,
    상기 채점부(44)를 통해 채점된 결과는 영역별 또는 기간별 통계를 포함하는 통계 결과로 산출되며, 상기 산출된 통계 결과에 비하여 상기 채점부(44)를 통해 채점된 결과가 변동폭 또는 변화추세에 관하여 이상 징후가 발견될 경우 송수신부를 통해 결과를 전송하거나 경고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점 결과를 의료 시설로 송신하고 상기 의료 시설의 소견을 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1).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21422A 2012-02-29 2012-02-29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방법 KR101387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422A KR101387075B1 (ko) 2012-02-29 2012-02-29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422A KR101387075B1 (ko) 2012-02-29 2012-02-29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714A KR20130099714A (ko) 2013-09-06
KR101387075B1 true KR101387075B1 (ko) 2014-04-18

Family

ID=4945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422A KR101387075B1 (ko) 2012-02-29 2012-02-29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81B1 (ko) * 2014-06-13 2016-10-19 (주) 미디어인터랙티브 인지능력 훈련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2180937B1 (ko) * 2018-05-11 2020-11-19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경도인지장애 진단 정보 획득 방법
WO2020111342A1 (ko) *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아리아케어코리아 인지 능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측정 방법
KR102161849B1 (ko) 2018-12-17 2020-10-05 주식회사 에릭씨앤씨 증강현실을 기반한 기억력 향상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102073376B1 (ko) * 2019-01-31 2020-02-04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 컨텐츠의 난이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전자 장치
KR102286096B1 (ko) * 2019-06-12 2021-08-05 브레인스포츠(주) 인지 능력 향상 시스템
KR102267410B1 (ko) * 2019-11-25 2021-06-21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터치 기반의 인지 기능 훈련 시스템
KR102274426B1 (ko) 2020-08-31 2021-07-07 (주)가바플러스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8083A (ko) * 2007-11-09 2009-05-13 주식회사 휴민텍 다중 사용자 기반 건강 관리 서비스
KR20090067578A (ko) *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향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17408A (ko) * 2009-04-24 2010-11-03 김용재 학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8083A (ko) * 2007-11-09 2009-05-13 주식회사 휴민텍 다중 사용자 기반 건강 관리 서비스
KR20090067578A (ko) *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향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17408A (ko) * 2009-04-24 2010-11-03 김용재 학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714A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075B1 (ko) 인지 능력 증진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방법
US10950332B2 (en) Targeted sensation of touch
US202100053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of cognitive function
Still et al. Facilitating requesting skills using high-tec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devices with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US11219403B2 (en) Neurological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KR102301143B1 (ko) 맞춤형 인지 기능 검사 및 재활 훈련 평가 방법
JP2002163361A (ja) 神経学的病理診断装置及び方法
US201900130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etermination of a course of action for an individual
US202103130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of cognitive function
Qiu et al. Body posture as an indicator of workload in mental work
KR102552220B1 (ko)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165498A1 (en) Neurodevelopmental/cognitive assessment and cognitive training on a digital device and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digital cognitive biomarkers
Cubillos et al. Digital Cognitive Assessment Tests for Older Adult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CN111738234A (zh) 基于个体眼动特征的自动化共情能力识别方法
US202301628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Mental Health Data Using 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JP6724279B2 (ja) ストレス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
WO2019123726A1 (ja) 指導支援システム、指導支援方法及び指導支援プログラム
WO2022102721A1 (ja) うつ状態判別プログラム
Chi Improving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through video self-modelling: an early efficacy study using single subject design.
Gormley Supporting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to Communicate Choices during an Inpatient Stay: Effect of a Partner Training on Health Care Professionals
KR102383457B1 (ko) 교수와 학습을 지원하는 능동형 인공지능 튜터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Mehta et al.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Educational System, Artificial Intelligence (AI)
US20210174933A1 (en) Social-Emotional Skills Improvement
US20220148706A1 (en) Mirror Image Apps Device, Software and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Devi et al. ICT Assesment Techniques and Tools for Screening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