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973B1 -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이의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이의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973B1
KR101386973B1 KR1020120103206A KR20120103206A KR101386973B1 KR 101386973 B1 KR101386973 B1 KR 101386973B1 KR 1020120103206 A KR1020120103206 A KR 1020120103206A KR 20120103206 A KR20120103206 A KR 20120103206A KR 101386973 B1 KR101386973 B1 KR 101386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crete
water
drain
hyd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735A (ko
Inventor
서태석
조윤구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97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02Ceramic articles or ceramic semi-finished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이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상기 거푸집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외부의 수도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공급 파이프관; 상기 거푸집의 내부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공급 파이프관과 연통되며, 상기 공급 파이프관으로부터 유동된 물을 분기시키는 헤더 파이프관; 및 상기 헤더 파이프관으로부터 상기 거푸집의 상측 방향을 향해 연결되되, 상기 헤더 파이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헤더 파이프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파이프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이의 운영방법{Concrete heat of hydration reduc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이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발생되는 수화열을 저감시켜 콘크리트의 양생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이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레, 자갈, 그리고 물을 적절하게 배합한 콘크리트 혼합물을 양생시켜서, 물/불/지진 등과 같은 자연풍해에 잘 견디어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에서 중요한 재료로 사용된다.
이러한 콘크리트는 배치 플랜트(batch plant)에서 제조되어 레미콘으로 지칭하는 콘크리트 운반차로 운반된 다음,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되어 다져지고 양생된다.
타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양생될 때 수화작용이 동반되는데, 수화작용은 용질 분자 혹은 이온이 그 주위에 몇 개의 물분자를 끌어들여 하나의 분자군을 이루는 현상이므로, 하나의 분자군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수화열이 발생된다.
수화열은 구조물의 내부온도를 상승시키고, 그 결과 구조물의 내외부 온도차가 발생되어 온도 균열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온도균열은 양생 시에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수화열에 의해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구조물의 내외부 온도차가 30℃ 이상이나 되기 때문이다. 또한, 내부균열은 내부와 외부표면의 온도차에 의한 온도 균열 외에 구조물이 양생과정에서 외부표면이 건조 수축되면서 발생되는 건조수축균열 역시 존재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들은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더욱 큰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발생시키는 수화열을 저감시켜 콘크리트 구조물 특히,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이 양생하면서 온도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확한 온도제어가 가능하여 이에 따라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수화열 저감장치 또는 운영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12980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69821호
본 발명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수화열이 지나치게 높은 온도로 발생되는 경우, 인위적으로 수화열을 저감시키고 콘크리트의 양생 속도를 향상시키는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이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상기 거푸집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외부의 수도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공급 파이프관; 상기 거푸집의 내부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공급 파이프관과 연통되며, 상기 공급 파이프관으로부터 유동된 물을 분기시키는 헤더 파이프관; 및 상기 헤더 파이프관으로부터 상기 거푸집의 상측 방향을 향해 연결되되, 상기 헤더 파이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헤더 파이프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파이프관을 포함하고, 외부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관으로 물이 공급되면, 공급된 물은 상기 헤더 파이프관으로 유동되고, 상기 배수 파이프관으로 유동되어 상기 콘크리트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화열을 감소시키는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상기 거푸집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공급 파이프관과, 상기 공급 파이프관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거푸집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헤더 파이프관과, 상기 헤더 파이프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되 상기 헤더 파이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상기 거푸집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배수 파이프관을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c) 외부의 수도배관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공급 파이프관을 유동하여 상기 헤더 파이프관으로 유동하고, 상기 헤더 파이프관에서 상기 배수 파이프관으로 분기되어 유동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외부로 배출되어 열교환하면서 상기 콘크리트의 수화열을 저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이의 운영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수화열이 발생될 때, 물을 공급하면 물이 공급 파이프관, 헤더 파이프관 및 배수 파이프관들을 유동하며 콘크리트의 외부로 배출되어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수화열이 저감되어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수화열에 의해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복수 개의 배수 파이프관과 배수제어수단에 의해 콘크리트 중에서도 수화열이 더 많이 발생되는 영역에 집중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조절할 수 있어 수화열 저감에 지나치게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거푸집의 외측으로 흘러넘치는 물을 저수함으로써, 콘크리트 내부를 유동한 후 배출된 물을 재순환시킬 수 있고, 저수된 물을 다시 공급 파이프관으로 재순환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에 필요한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수제어수단 및 온도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과정 중 수화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어 수화열 저감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수화열이 낮아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는 영역은 배수 파이프관을 폐쇄할 수 있고, 수화열이 지나치게 높이 발생되는 영역만 배수 파이프관을 개방할 수 있으므로 물의 낭비를 방지할 뿐 아니라,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콘크리트의 양생 속도를 향상시키고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작동과정이 도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작동과정이 도시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작동과정이 도시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의 배수 파이프관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배치된 형태가 도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작동과정이 도시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작동과정이 도시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작동과정이 도시된 것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의 배수 파이프관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배치된 형태가 도시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는, 공급 파이프관(151), 헤더 파이프관(153) 및 배수 파이프관(155)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은 거푸집(110)의 내부에 상기 거푸집(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은 상기 거푸집(110)에 타설된 매스 콘크리트(130)를 양생할 때, 발생되는 수화열을 저감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을 외부의 수도배관(미도시)으로부터 공급받는다. 다만, 상기 매스 콘크리트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기재된 것이므로, 항상 매스 콘크리트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에는 호스(101)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101)를 통해 외부의 수도배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101)에는 펌프(103)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펌프(103)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도배관의 물이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은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은 일측이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과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있어 외부의 수도배관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으로 물이 공급되면, 이 물이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으로 유동된다. 후술되겠지만,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에는 복수 개의 배수 파이프관(155)이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어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으로 유동된 물이 복수 개의 배수 파이프관(155)을 따라 분기되어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양생될 때, 콘크리트에서 발생된 수화열을 전 영역에서 고르게 저감시킬 수 있도록 공급되는 물을 분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은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에 연결되는데,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이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은 상기 배수 파이프관(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구비된다.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은 일측이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과 마찬가지로 상기 거푸집(11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외부의 수도배관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을 통해 유동되고, 상기 헤더 파이프관(155)과 연통되게 연결된 복수 개의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 각각으로 분기되고 유동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형태로 배치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먼저 도 4는 가장 일반적으로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이 배치된 형태로,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직경의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이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형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은 동일한 직경인 배수 파이프관(155)이되, 상기 콘크리트(130)의 중앙 영역에는 상호 간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130)의 외곽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의 상호간 이격 간격이 넓어지게 배치된 형태이다. 이러한 배치 형태는 상기 콘크리트(133)가 양생할 때 상기 콘크리트(130)의 중앙 영역이 상기 콘크리트(130)의 외곽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수화열이 발생되므로 중앙 영역에서의 수화열 저감 효과가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a, 155b)이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되, 상기 콘크리트(13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b)의 직경이 상기 콘크리트(1350)의 외곽 영역에 배치된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a)의 직경보다 큰 것으로 배치된 형태이다. 이는 전술한 도 4에 배치된 형태와 동일한 이유로 상기 콘크리트(130)의 중앙 영역에서 더 높은 온도로 발생되는 수화열의 저감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의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 및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은 도면에서는 하나의 열로만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없이 2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2열 이상인 경우,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이 각각의 열로 물을 공급할 수도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만으로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의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의 다양한 배치 형태 중 일부만 예를 들어 도면과 함께 설명한 것이므로,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들의 배치 형태는 이 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다 더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배치 형태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와 같은 공급 파이프관(151), 헤더 파이프관(153) 및 배수 파이프관(155)은 상기 거푸집(110)을 설치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 구비한다.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 및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을 설치 배치한 후에는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 및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이 상기 콘크리트에 묻힌다.
상기 콘크리트는 상기 거푸집(110) 내부에서 양생될 때, 상기 콘크리트에서 수화열이 발생되는데 외부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으로 물을 공급하면, 이 물은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으로 유동되고,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에서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으로 유동되어 상기 콘크리트(130)의 외부로 배출된다. 물은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 및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을 유동하면서 각각의 파이프관(151, 153, 155)들 주변의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수화열을 저감시킨다.
한편,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130)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은 상기 거푸집(110)의 외측으로 흘러넘쳐 상기 거푸집(110) 주변에 저수된다. 상기 거푸집(110) 주변에 저수된 물은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으로 외부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 펌프(107)에 의해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으로 재순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저수된 물이 상기 펌프(107)에 의해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으로 재순환 될 때에는,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으로 물을 공급하는 외부의 수도배관과 연결된 측의 호스(101)는 밸브(103)에 의해 폐쇄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된 물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별도의 구조물(17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구조물(17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구비된 또 다른 거푸집일 수 있거나, 저수된 물을 저장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된 구조물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는 전술한 공급 파이프관(151), 헤더 파이프관(153) 및 배수 파이프관(155) 외에도 배수제어수단(1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제어수단(157)은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제어수단(157)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을 작동되거나 또는 일정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는 자동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제어수단(157)이 수동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을 폐쇄시키는 마개(미도시)로 구비되어, 작업자는 상기 마개로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을 폐쇄시켜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콘크리트(130)를 타설 후 양생할 때, 수화열이 높은 온도로 발생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배수 파이프관(155)에는 개방할 수 있고, 수화열이 높은 온도로 발생되지 않은 부분은 해당 위치의 배수 파이프관(155)을 상기 마개로 폐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제어수단(157)이 자동밸브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미리 개방될 밸브와 폐쇄할 밸브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에는 복수 개의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고, 나뉘어진 그룹에 따라 상기 자동밸브의 개방과 폐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배수 파이프관(155)이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있다.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을 기준으로 홀수번의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의 자동밸브(157a)는 폐쇄시켜두고,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을 기준으로 짝수번의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의 자동밸브(157b)는 개방시켜 둔다. 이와 같이 설정해두면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 전부로 물이 배출되는 것이 아니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작동되는 펌프(107)의 부담이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 전부로 물이 배출될 때보다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펌프(107)의 수명이 급속하게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이 그룹으로 나뉘는 것은 전술한 도 3에 한정될 필요 없으며, 작업자가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의 그룹을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는,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 각각에 연결되는 온도센서(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59)는 각각의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 주변의 상기 콘크리트(130)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온도센서(159)에는 작업자가 미리 기준 온도를 설정하여, 각각의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 주변의 상기 콘크리트(130)의 온도에 따라 상기 배수제어수단(157)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상기 온도센서(159)가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 주변의 상기 콘크리트(130)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콘크리트(130)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해당 배수 파이프관(155)에 설치된 상기 배수제어수단(157)을 개방시키고, 상기 콘크리트(130)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 해당 배수 파이프관(155)에 설치된 상기 배수제어수단(157)을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배수제어수단(157)은 수동밸브 또는 자동밸브 중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어느 것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의 운영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거푸집(110)을 제작하고, 상기 거푸집(110)에 콘크리틀 타설하기 전, 상기 거푸집(110)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를 설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거푸집(110) 내부에는 상기 거푸집(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공급 파이프관(151)이 배치되고,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의 일측에 상기 거푸집(110)에 수평하게 헤더 파이프관(153)이 연통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에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배수 파이프관(155)이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과 같이 상기 거푸집(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거푸집(110)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가 설치되면, 상기 거푸집(110)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가 상기 콘크리트에 묻히게 된다.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130)가 양생될 시점이 되면, 상기 콘크리트(130)에 발생되는 수화열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은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호스(101)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으로 처음 공급되는 물은 외부에 구비된 수도배관(미도시)로부터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물은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으로 유동된다.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으로 유동된 물은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과 연통되게 연결된 배수 파이프관(155)들로 분기되고 유동되어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을 따라 유동되며 상기 콘크리트(13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콘크리트(130)는 이와 같이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 및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을 따라 유동되어 배출되는 물에 의해 열교환이 되면서 상기 콘크리트(130)에서 발생되는 수화열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배수 파이프관(155)으로부터 상기 콘크리트(130)의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거푸집(110)의 외부로 흘러넘친 물은 상기 거푸집(110)의 주변에 저수된다. 상기 거푸집(110) 주변에 저수된 물은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으로 외부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 펌프(107)에 의해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으로 재순환된다. 그리고 이렇게 저수된 물이 상기 펌프(107)에 의해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으로 재순환 될 때에는,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으로 물을 공급하는 외부의 수도배관과 연결된 측의 호스(101)가 밸브(103)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된 물은 별도의 구조물(17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구조물(17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구비된 또 다른 거푸집일 수 있거나, 저수된 물을 저장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된 구조물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되어 저수된 물을 재순환하여 사용하면, 외부의 수도배관으로부터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물이 일회성을 사용되어 버려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콘크리트(130)를 양생할 때 발생하는 수화열을 저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이 지나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는 전술한 구성들에 배수제어수단(15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는 상기 콘크리트(130)에서 발생되는 수화열을 저감하기 위해 물을 공급하면 물이 상기 공급 파이프관(151), 상기 헤더 파이프관(153) 및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들을 유동한 후,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들 전부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13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 전부로 물이 유동되어 공급되면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펌프(107)에 가해지는 부담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130)에서 발생되는 수화열이 전 영역에 걸쳐 동일한 온도로 발생되는 것이 아니고, 어느 영역에서는 더 많은 열이 발생되고, 어느 영역에서는 적은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들 전부를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은 낭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에 설치되는 배수제어수단(157)을 수동을 작동할 때는 상기 배수제어수단(157)을 마개로 구비하여, 작업자가 상기 콘크리트(130) 중 수화열이 낮은 온도로 발생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을 상기 마개로 폐쇄하여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콘크리트(130)에서 발생되는 수화열의 정도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물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한편, 상기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배수제어수단(157)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 파이프관(153) 각각에 온도센서(159)가 더 구비된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제어수단(157)의 초기 상태는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을 폐쇄하도록 한다. 상기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가 상기 거푸집(110)에 설치된 후, 상기 거푸집(1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에 연결된 상기 온도센서(159)가 각각의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 주변의 콘크리트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온도센서(159)에는 작업자가 미리 기준 온도를 설정해 두어 상기 온도센서(159)가 감지한 상기 콘크리트(130)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배수제어수단(157)이 수동으로 작동하는 마개로 구비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업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배수제어수단(157)이 자동밸브로 구비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밸브가 개방된다.
이와 같은 운영방법은 상기 콘크리트(130)에서 발생되는 수화열을 저감하기 위해 공급되는 물이 지나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콘크리트(130)가 양생될 때 발생되는 수화열은 상기 콘크리트(130)의 전 영역에서 동일한 온도로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콘크리트(130)의 중앙 영역이 상기 콘크리트(130)의 외곽 영역에 비해서 더 높은 수화열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상기 콘크리트(130)의 외곽 영역에서 발생되는 수화열은 온도가 높지 않아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인위적으로 수화열을 저감시키지 않아도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를 작동시키면, 상기 콘크리트(130) 중에서도 특히 수화열이 높은 온도로 발생되는 영역에만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인위적으로 수화열을 저감하지 않아도 되는 영역에서는 상기 배수제어수단(157)을 이용하여 상기 배수 파이프관(155)을 폐쇄하여 물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호스 103: 밸브
107: 펌프 110: 거푸집
130: 콘크리트 150: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151: 공급 파이프관 153: 헤더 파이프관
155: 배수 파이프관 157: 배수제어수단
159: 온도센서

Claims (9)

  1.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구조물 양생 시 발생되는 수화열을 저감하기 위한 수화열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상기 거푸집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물을 공급받는 공급 파이프관;
    상기 거푸집의 내부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공급 파이프관과 연통되며, 상기 공급 파이프관으로부터 유동된 물을 분기시키는 헤더 파이프관;
    상기 헤더 파이프관으로부터 상기 거푸집의 상측 방향을 향해 연결되되, 상기 헤더 파이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헤더 파이프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파이프관;
    상기 배수 파이프관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거푸집의 외측으로 흘러넘치는 물을 저수하는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에 저수된 물을 상기 공급 파이프관으로 재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 파이프관은 외부의 수도배관으로부터 물이 공급되거나 상기 구조물에 저수된 물이 상기 펌프에 의하여 공급되며, 상기 공급된 물은 상기 헤더 파이프관으로 유동되고, 상기 배수 파이프관으로 유동되어 상기 콘크리트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상기 수화열을 감소시키는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화열 저감장치는,
    상기 외부의 수도배관, 상기 공급 파이프관 및 상기 구조물을 동시에 연결하는 호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에는 상기 외부의 수도배관과의 사이에 밸브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펌프를 통해 상기 구조물에 저수된 물이 상기 공급 파이프관으로 재순환되면 상기 밸브가 잠겨 상기 외부의 수도배관에서는 물 공급이 중지되는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배수 파이프관에 결합되며, 상기 배수 파이프관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배수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배수 파이프관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뉘며,
    각 그룹에 따라 상기 배수제어수단이 서로 다르게 상기 배수 파이프관을 개폐하도록 작동되는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수제어수단이 수동으로 작동되는 경우,
    상기 배수제어수단은 상기 배수 파이프관을 폐쇄시키는 마개로 구비되는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배수 파이프관에는,
    각각의 상기 배수 파이프관 주변의 상기 콘크리트 온도를 감지하도록 온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배수제어수단의 개폐가 제어되고,
    상기 배수제어수단은 자동밸브로 구비되는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수제어수단은,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콘크리트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면 상기 배수 파이프관을 개방하고,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배수 파이프관 내 수온이 설정 온도 이하이면 상기 배수 파이프관을 폐쇄하는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8.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구조물 양생 시 발생되는 수화열을 저감하기 위한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거푸집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공급 파이프관과, 상기 공급 파이프관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거푸집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헤더 파이프관과, 상기 헤더 파이프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되 상기 헤더 파이프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상기 거푸집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배수 파이프관을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c) 외부의 수도배관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공급 파이프관을 유동하여 상기 헤더 파이프관으로 유동하고, 상기 헤더 파이프관에서 상기 배수 파이프관으로 분기되어 유동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외부로 배출되어 열교환하면서 상기 콘크리트의 수화열을 저감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콘크리트의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거푸집의 외측으로 흘러넘치는 물을 별도의 구조물에 저수하는 단계;
    e) 펌프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저수된 물을 상기 공급 파이프관으로 재순환시켜 기 헤더 파이프관으로 유동하고, 상기 헤더 파이프관에서 상기 배수 파이프관으로 분기되어 유동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외부로 배출되어 열교환하면서 상기 콘크리트의 수화열을 저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운영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화열 저감장치는,
    상기 외부의 수도배관, 상기 공급 파이프관 및 상기 구조물을 동시에 연결하는 호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에는 상기 외부의 수도배관과의 사이에 밸브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펌프를 통해 상기 구조물에 저수된 물이 상기 공급 파이프관으로 재순환되면 상기 밸브가 잠겨 상기 외부의 수도배관에서는 물 공급이 중지되는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운영방법.
KR1020120103206A 2012-09-18 2012-09-18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이의 운영방법 KR101386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206A KR101386973B1 (ko) 2012-09-18 2012-09-18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이의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206A KR101386973B1 (ko) 2012-09-18 2012-09-18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이의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735A KR20140036735A (ko) 2014-03-26
KR101386973B1 true KR101386973B1 (ko) 2014-04-17

Family

ID=5064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206A KR101386973B1 (ko) 2012-09-18 2012-09-18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이의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9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543B1 (ko) * 2015-01-08 2016-01-22 한국과학기술원 수화열 제어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287479A (zh) * 2020-02-18 2020-06-16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混凝土养护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6392B (zh) * 2018-11-30 2024-02-20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材料喷水养护装置
CN110438996A (zh) * 2019-06-28 2019-11-12 洛阳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浇筑大体积混凝土降温装置
CN110258607A (zh) * 2019-06-28 2019-09-20 王义东 一种设置大体积混凝土桩承台基础的桥梁施工用便捷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121B1 (en) * 2002-02-07 2002-08-09 Eunsuk Tech Co Ltd Device for adjusting restoring waste heat
KR20030013088A (ko) * 2001-08-07 2003-02-14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매스 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방법
KR20030017761A (ko) * 2001-08-22 2003-03-04 정순용 메스콘크리트의 수화열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50099936A (ko) * 2004-03-23 2005-10-17 염치선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 제어시스템 및수화열 제어방법과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088A (ko) * 2001-08-07 2003-02-14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매스 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방법
KR20030017761A (ko) * 2001-08-22 2003-03-04 정순용 메스콘크리트의 수화열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348121B1 (en) * 2002-02-07 2002-08-09 Eunsuk Tech Co Ltd Device for adjusting restoring waste heat
KR20050099936A (ko) * 2004-03-23 2005-10-17 염치선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 제어시스템 및수화열 제어방법과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543B1 (ko) * 2015-01-08 2016-01-22 한국과학기술원 수화열 제어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287479A (zh) * 2020-02-18 2020-06-16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混凝土养护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735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973B1 (ko) 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장치 및 이의 운영방법
CN201908307U (zh) 接缝灌浆系统
CN103104091B (zh) 滑模整体提升平台及施工方法
CN103470046A (zh) 超高钢管混凝土柱导管法混凝土浇筑装置及方法
KR20120082559A (ko) 콘크리트 양생시 파이프 쿨링 기술을 응용한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 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 변환식 콘크리트 온도차 저감 양생공법 및 그 공법에 의해 양생된 구조물
CN206048480U (zh) 立式养护窑及混凝土预制构件养护系统
CN105350581A (zh) 一种地下室顶板沉降后浇带提前封闭构造
CN105500510B (zh) 建筑构件蒸汽养护系统
CN104265055B (zh) 一种烟囱的施工方法
JP2015140602A (ja) コンクリート温度の制御方法
CN103741949B (zh) 竖向结构与水平结构之间的接缝处理方法
CN105822068B (zh) 高温环境下的超长薄壁混凝土墙浇筑和养护方法
KR100769821B1 (ko) 매입 강관을 이용한 수화열 제어를 수반한 교각 구조물의시공 방법
KR102302947B1 (ko) 콘크리트블록 급속제작시스템 및 급속제작방법
KR20010017568A (ko) 콘크리트의 온도균열 저감방법 및 그 장치
JP7116887B2 (ja) コンクリート冷却システム、及びコンクリート冷却方法
CN108798011A (zh) 一种楼面垂直无管道预留洞口预埋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821534A (zh) 侧沟电缆槽组合单体、及制备方法和侧沟电缆槽组合结构
CN104963294B (zh) 一种铁路薄壁空心墩循环滴灌养护系统
KR101023406B1 (ko) 건축물의 배수 구조물
CN209891745U (zh) 一种地下室工程大体积混凝土施工中的裂缝控制构造
CN106759415A (zh) 一种砼结构集水坑模板抗浮控制技术
CN106400824A (zh) 一种填埋大口径水井的方法
KR102124709B1 (ko) 콘크리트 양생시 파이프 쿨링 기술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및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CN104786351A (zh) 一种钢筋笼用保温模壳及其施工方法和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