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169B1 - 분할앵커 - Google Patents

분할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169B1
KR101385169B1 KR1020130102067A KR20130102067A KR101385169B1 KR 101385169 B1 KR101385169 B1 KR 101385169B1 KR 1020130102067 A KR1020130102067 A KR 1020130102067A KR 20130102067 A KR20130102067 A KR 20130102067A KR 101385169 B1 KR101385169 B1 KR 101385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present
piece
pieces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0592A (ko
Inventor
김병철
권성욱
Original Assignee
세원산업개발 주식회사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원산업개발 주식회사,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원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2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169B1/ko
Publication of KR20130140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분할앵커에 관한 것으로, 앵커(100)에 있어서, 상기 앵커(100)는 다수 개의 앵커편(11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앵커편(110)은 본체(10)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고, 하부는 캡(20)이 결합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앵커를 다수 개의 앵커편(110)으로 구성하되 상기 앵커편이 외부 힘에 의해 서로 상하로 미끄러질 경우 반지름방향으로 지름이 확장되어 앵커구멍에 더욱 밀착하게 되어 고정이 단단하게 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할앵커{divided anchor}
본발명은 분할앵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앵커를 다수 개의 분할앵커로 구성하되, 상기 분할앵커 내면에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호로 형성되어, 분할앵커 상호간에 단단히 고정되는 분할앵커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56829호에 종래기술로 기재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폭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는 훼손된 경사면을 일정량만큼 깍아내고 그 부분에 토사를 메워서 새로운 경사면을 조성하게 되고,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도로나 철도 등을 새로이 개설할 경우에는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일정량만큼 깍아내어 개설면을 평지화시킨 다음 나머지 부분을 새로운 경사면으로 조성하게 되며, 하천의 범람방지와 수자원의 이용을 위하여 하천이나 호수의 부근에 조성된 둑이나 제방 또한 토사의 성토로 인한 경사면이 조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면상에 보강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공법으로서, 경사면상에다수 개의 구멍을 천공시킨 다음 그 천공된 구멍으로 철봉이나 강봉을 압입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천공구멍으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강제 주입시켜 경사면을 지지토록 한 어스앵커(Earth anchor) 공법이나, 천공된 구멍에 강봉(Steel bar)을 압입시킨 다음 경사면을 따라 숏크리트(Shotcrete)를 타설하는 소일네일링(Soil-nail ing) 공법이나 락볼트(Rock bolt) 공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56829호는 경사면의 보강에 사용되는 앵커에 있어서, 전방 상단측에 전방침투날이 형성되고, 후방 하단측에 후방침투날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측에는 연결브라켓이 돌출 형성된 앵커본체가 구비되며, 상기 앵커본체의 연결브라켓에는 연결블록의 선단측 회전지지부가 링크핀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결블록의 후방측에는 앵커강봉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링크핀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편심(偏心)된 위치에는 앵커본체 인발용(引拔用) 보강와이어가 앵커본체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보강용 앵커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09095호에는 부방파제의 부유이동을 제한하도록 부방파제에 일단이 연결된 일정길이의 계류라인의 타단과 연결되어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블록에 있어서, 상기 해저면과 직교하도록 해저면에 침하되는 수직한 몸체를 갖추어 수평저항력을 발생시키는 하부본체 ;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상기 해저면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수평한 몸체를 갖추어 상기 해저면과의 접촉면에서 면압을 발생시키는 상부본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경량 앵커블록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앵커가 하나의 몸체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지반조건에 따라 인발저항력이 집중될 경우 지반과 그라우트와의 마찰저항력이 부족하여 앵커가 인발파괴가 발생하거나 그라우트가 과도한 압축력을 받아 파괴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발명은 앵커를 다수 개의 앵커편(110)으로 구성하되 상기 앵커편이 외부 힘에 의해 서로 상하로 미끄러질 경우 반지름방향으로 지름이 확장되어 앵커구멍에 더욱 밀착하게 되어, 지반을 지압하여 그라우트가 분담하는 저항력을 감소시켜 주는 분할앵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앵커체 내부에 다수 개의 그라우트(몰탈)분출공(30)을 설치하여 천공경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지반과 그라우트와의 부착력을 증가시켜주는 분할앵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분할앵커에 관한 것으로, 앵커(100)에 있어서, 상기 앵커(100)는 다수 개의 앵커편(11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앵커편(110)은 본체(10)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고, 하부는 캡(2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앵커를 다수 개의 앵커편(110)으로 구성하되 상기 앵커편이 외부 힘에 의해 서로 상하로 미끄러질 경우 반지름방향으로 지름이 확장되어 앵커구멍에 더욱 밀착하게 되어 고정이 단단하게 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분할앵커의 사시도
도 2는 본발명 분할앵커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발명 분할앵커의 정면도
도 4는 본발명 분할앵커의 단면도
도 5는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 단면도
도 6은 본발명 다른 실시례의 분할앵커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볼록부와 오목부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
도 7은 본발명 다른 실시례의 분할앵커의 정면도
도 8은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 정면사진
도 9는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을 좌측면 사진
도 10은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을 우측면 사진
도 11은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 후면사진
도 12는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에서 하부 캡을 제거한 사진
도 13은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 캡 사진
도 14는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 캡 상부 사진
도 15는 그라우트 분출공이 형성되는 본발명 분할앵커의 사시도
도 16은 그라우트 분출공이 형성되는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 수직단면도
본발명은 분할앵커에 관한 것으로, 앵커(100)에 있어서, 상기 앵커(100)는 다수 개의 앵커편(11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앵커편(110)은 본체(10)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고, 하부는 캡(2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편(110)은 4개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앵커편(110)은 제1, 2, 3면(13, 14, 15)의 3개의 면이 맞닿아 있는 것으로, 제1면(13)은 둥근면이며, 상기 제1면 좌우에 제2, 3면(14, 15)이 형성되되, 상기 제1, 2, 3면(13, 14, 15)이 맞닿는 부위는 오목홈(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체적인 형상이 ‘
Figure 112013078321177-pat00001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3면(14, 15)에는 볼록부(16)와 오목부(17)가 교호로 형성되되, 상기 볼록부(16)에는 이웃하는 앵커편(110)의 제2, 3면(14, 15)의 오목부(17)가 맞닿고, 오목부(17)에는 이웃하는 앵커편(110)의 제2, 3면(14, 15)의 볼록부(16)가 맞닿게 되며, 또한 상기 볼록부(16)와 오목부(17)에는 각각 중간지점에 가로홈(1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면(14)에는 수평돌출부(1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20)은 몸통(21) 하면은 폐쇄되고 상면에 연결부(22)가 돌출형성된 원통형상이되, 상기 연결부(22) 외주연에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캡 하면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3면(14, 15)의 볼록부(16)와 오목부(17)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상기 앵커편(110)이 외부 힘에 의해 서로 상하로 미끄러질 경우 반지름방향으로 지름이 확장되어 앵커구멍에 더욱 밀착하게 되어 고정이 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분할앵커의 사시도, 도 2는 본발명 분할앵커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발명 분할앵커의 정면도, 도 4는 본발명 분할앵커의 단면도, 도 5는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 단면도, 도 6은 본발명 다른 실시례의 분할앵커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볼록부와 오목부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 도 7은 본발명 다른 실시례의 분할앵커의 정면도, 도 8은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 정면사진, 도 9는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을 좌측면 사진, 도 10은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을 우측면 사진, 도 11은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 후면사진, 도 12는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에서 하부 캡을 제거한 사진, 도 13은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 캡 사진, 도 14는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 캡 상부 사진, 도 15는 그라우트 분출공이 형성되는 본발명 분할앵커의 사시도, 도 16은 그라우트 분출공이 형성되는 본발명 분할앵커의 앵커편 수직단면도이다.
본발명은 앵커(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앵커(100)는 다수 개의 앵커편(11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앵커편(110)은 본체(10)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고, 하부는 캡(20)이 결합된다.
상기 앵커는 강철과 같은 금속재질로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앵커편(110)은 주로 4개로 이루어지며, 제1, 2, 3면(13, 14, 15)의 3개의 면이 맞닿아 있는 것으로, 제1면(13)은 둥근면이며, 상기 제1면 좌우에 제2, 3면(14, 15)이 형성되되, 상기 제1, 2, 3면(13, 14, 15)이 맞닿는 부위는 오목홈(12)이 형성되어 있는 ‘
Figure 112013078321177-pat00002
’형상으로서, 전체적인 결합형상이 ‘
Figure 112013078321177-pat00003
’형상으로 가지게 되면 내부 중심에는 홀(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3면(14, 15)에는 볼록부(16)와 오목부(17)가 교호로 형성되되, 상기 볼록부(16)에는 이웃하는 앵커편(110)의 제2, 3면(14, 15)의 오목부(17)가 맞닿고, 오목부(17)에는 이웃하는 앵커편(110)의 제2, 3면(14, 15)의 볼록부(16)가 맞닿게 된다. 그러므로 결합이 확실히 되면서 마주 닫는 두 면이 상하로 상호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3면(14, 15)에 형성되는 볼록부(16)와 오목부(17)는 서로 길이방향으로 어긋나므로, 곧 제2면에 볼록부가 형성되면 제3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16)와 오목부(17)에는 각각 중간지점에 가로홈(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발명은 상기 홀(111)에 액체상태의 콘크리트인 몰탈을 주입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앵커편의 볼록부(16)의 가로홈과 대응되는 앵커편의 오목부(17)의 가로홈이 합쳐서 그라우트 분출공(30)이 형성되며, 상기 그라우트 분출공(30)으로 몰탈이 분사되어 천공경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지반과 그라우트와의 부착력을 공고히 한다.
또한, 상기 가로홈은 몰탈이 분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몰탈이 용이하게 분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 내경에는 나사부를 형성하고, 앵커의 홀에도 나사부를 형성하고, 사이에 연결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원통형상의 외경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분할앵커와 호스 사이를 나사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발명의 상기 캡(20)은 몸통(21) 하면은 폐쇄되고 상면에 연결부(22)가 돌출형성된 원통형상이되, 상기 연결부(22) 외주연에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캡 하면은 뾰족하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앵커편을 탄성이 있는 금속와이어로 서로 묶어서 결합한 후, 지면 또는 콘크리트바닥에 고정하고, 상기 각각의 앵커편 내부에 강선을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상기 앵커편이 콘크리트에 매입되되, 상기 앵커편의 공간부와, 중심인 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콘크리트가 굳게 되면 앵커가 단단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앵커를 다수 개의 앵커편(110)으로 구성하되 상기 앵커편이 오목부와 볼록부가 인접한 앵커편의 볼록부와 오목부와 서로 맞닿아 상하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그리고 앵커 구멍이 커질 경우, 앵커편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사이가 벌어지기 쉬우므로 구멍이 비록 커지더라도 앵커가 쉽게 구멍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본발명은 상기 앵커편의 제2, 3면(14, 15)에 형성되는 볼록부(16)와 오목부(17)를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앵커편(110)이 외부 힘에 의해 서로 상하로 미끄러질 경우 반지름방향으로 지름이 확장되어 앵커구멍에 더욱 밀착하게 되어 고정이 단단하게 한다.
100 : 앵커 110 : 앵커편
111 : 홀 10 : 본체
11 : 공간부 12 : 오목홈
13 : 제1면 14 : 제2면
15 : 제3면 16 ; 볼록부
17 : 오목부 18 : 가로홈
19 : 수평돌출부
20 : 캡 21 : 몸통
22 : 연결부
25 : 연결부재 26 : 호스
30 : 그라우트 분출공

Claims (6)

  1. 다수 개의 앵커편(11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앵커편(110)은 본체(10)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고, 하부는 캡(20)이 결합되는 분할앵커에 있어서,
    상기 앵커편(110)은 4개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앵커편(110)은 제1, 2, 3면(13, 14, 15)의 3개의 면이 맞닿아 있는 것으로, 제1면(13)은 둥근면이며, 상기 제1면 좌우에 제2, 3면(14, 15)이 형성되되, 상기 제1, 2, 3면(13, 14, 15)이 맞닿는 부위는 오목홈(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제2, 3면(14, 15)에는 볼록부(16)와 오목부(17)가 교호로 형성되되, 상기 볼록부(16)에는 이웃하는 앵커편(110)의 제2, 3면(14, 15)의 오목부(17)가 맞닿고, 오목부(17)에는 이웃하는 앵커편(110)의 제2, 3면(14, 15)의 볼록부(16)가 맞닿게 되며, 또한 상기 볼록부(16)와 오목부(17)에는 각각 중간지점에 가로홈(1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제2면(14)에는 수평돌출부(19)가 형성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캡(20)은 몸통(21) 하면은 폐쇄되고 상면에 연결부(22)가 돌출형성된 원통형상이되, 상기 연결부(22) 외주연에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캡 하면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앵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3면(14, 15)의 볼록부(16)와 오목부(17)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상기 앵커편(110)이 외부 힘에 의해 서로 상하로 미끄러질 경우 반지름방향으로 지름이 확장되어 앵커구멍에 더욱 밀착하게 되어 고정이 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앵커
KR1020130102067A 2013-08-28 2013-08-28 분할앵커 KR101385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067A KR101385169B1 (ko) 2013-08-28 2013-08-28 분할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067A KR101385169B1 (ko) 2013-08-28 2013-08-28 분할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592A KR20130140592A (ko) 2013-12-24
KR101385169B1 true KR101385169B1 (ko) 2014-04-14

Family

ID=4998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067A KR101385169B1 (ko) 2013-08-28 2013-08-28 분할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242B1 (ko) * 2020-06-09 2022-04-19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지반용 분리앵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335Y1 (ko) * 2002-04-20 2002-07-26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JP2002339355A (ja) * 2001-05-14 2002-11-27 Koichi Ochiai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スペーサー及びその組立て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355A (ja) * 2001-05-14 2002-11-27 Koichi Ochiai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スペーサー及びその組立て方法
KR200283335Y1 (ko) * 2002-04-20 2002-07-26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592A (ko) 201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091933A (ja) 盛土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CN104846780A (zh) 系混凝土块土工格栅软体排
CN207160027U (zh) 坡脚加固构件及坡脚结构
CN104196037B (zh) 一种环保边坡加固结构
KR101385169B1 (ko) 분할앵커
KR101262867B1 (ko) 탄성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벽체 구조물
KR101000915B1 (ko) 전면부와 보강체의 직접 연결형 옹벽
CN204825975U (zh) 一体式新型压座井封结构
KR100592346B1 (ko) 비탈면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JP2007198113A (ja) 軽量盛土用ブロックおよび軽量盛土工法
KR100841081B1 (ko)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US98968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sing a dike
CN203947383U (zh) 水泥混凝土路面隔缝接头
KR100542136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바닥블록 설치구조
KR102388242B1 (ko) 지반용 분리앵커
KR100721605B1 (ko) 쏘일네일의 전면 지압판의 구조
JP4522971B2 (ja) 落石防護構造物
JP2007278042A (ja) 堤体の補強構造
JP7341579B1 (ja) 擁壁の補強工法
CN109837918B (zh) 一种边坡防护装置及其施工方法
KR200327422Y1 (ko)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CN114809037B (zh) 护坡道反压路堤变形控制结构及施工方法
KR102053873B1 (ko) 패커와 그라우트를 이용한 불규칙 사면 앵커 블록 레벨링 공법
KR200405354Y1 (ko) 쏘일네일의 전면 지압판의 구조
KR100903057B1 (ko) 육각형블럭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