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887B1 -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 - Google Patents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887B1
KR101384887B1 KR1020120057665A KR20120057665A KR101384887B1 KR 101384887 B1 KR101384887 B1 KR 101384887B1 KR 1020120057665 A KR1020120057665 A KR 1020120057665A KR 20120057665 A KR20120057665 A KR 20120057665A KR 101384887 B1 KR101384887 B1 KR 101384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licopter
driving
wheel
t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266A (ko
Inventor
성백규
박대용
황선홍
박영복
Original Assignee
박영복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복,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박영복
Priority to KR102012005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887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3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towing aircraft
    • B64F1/225Vehic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ircraft tow tractors
    • B64F1/227Vehic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ircraft tow tractors for direct connection to aircraft, e.g. tow tractors without towing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1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aircraf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리콥터 이착륙 시 헬리콥터가 착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하부 전후측에 설치되는 차체바퀴부와,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차체본체; 및 상기 견인부와 연결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발생 및 제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전기적으로 충전되는 충전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부 전후측에 한 쌍씩 설치되는 구동바퀴부와, 상기 구동바퀴부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동부와, 상기 구동바퀴부와 연동되어 결합되며 상기 구동바퀴부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를 포함하는 구동본체;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헬리콥터가 착륙되는 차체본체 및 그와 연결되어 헬리콥터를 견인하는 구동본체를 제공하므로, 헬리콥터의 이착륙 및 이동, 정비시 안정성과 신속성을 확보하여 헬리콥터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 {ECO-FRIENDLY ELECTRIC CARTS TOWING HELICOPTER}
본 발명은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헬리콥터의 이착륙 시 헬리콥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견인카트에 관한 것이다.
지상조업이란 항공기가 이륙 및 착륙을 하기 위해 지상에서 준비하는 모든 업무를 뜻한다. 지상조업은 수입 및 수출되는 화물을 담당하는 화물조업, 항공기를 정비하는 정비조업, 탑재되는 화물과 수하물 및 항공기의 보안을 담당하는 보안조업 등 수 분야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수하물 및 항공기, 헬리콥터 등의 하중이 수 톤에 달하기 때문에 화물 및 항공기를 운반하고 정비하는 작업은 어렵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항공기 및 헬리콥터의 이착륙장에서는, 항공기 및 헬리콥터의 운용상 반드시 요구되는 격납고, 정비소 또는 급유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견인 장비가 필요하다.
한편, 헬리콥터의 경우 헬리콥터의 강착장치는 스키드(skid)와 휠(wheel)형으로 구분되며, 특히 스키드 형식은 휠 형식보다 저렴한 개발비용과 단기간의 개발일정, 또한 중량 절감 효과의 장점 등으로 중 소형급 헬리콥터에서 대다수 장착하는 강착장치이다.
이러한 스키드 형식의 강착장치를 보유하는 헬리콥터는 착륙 후 지상에서 자체적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정비소나 격납고 등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견인장치가 반드시 요구된다.
지상에 착륙한 헬리콥터를 별도로 견인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849405 호 등에 제시된바 있다.
현재 헬리콥터 견인은 소형 전동카트를 이용하여 헬리콥터 본체를 들어 올린 후 견인 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항공기용 견인차량을 이용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 전동카트에 헬리콥터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고가의 헬리콥터 본체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이동시 지면의 상태에 따라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소형의 헬리콥터에서만 활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대기 환경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화석연료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므로 대기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가의 헬리콥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격납고 및 정비소로 견인할 수 있는 견인장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헬리콥터 이착륙 시에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헬리콥터가 탑재된 차체본체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헬리콥터가 탑재된 차체본체와 연결되어 헬리콥터를 견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헬리콥터 이착륙 시 헬리콥터가 착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하부 전후측에 설치되는 차체바퀴부와,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차체본체; 및 상기 견인부와 연결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발생 및 제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전기적으로 충전되는 충전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부 전후측에 한 쌍씩 설치되는 구동바퀴부와, 상기 구동바퀴부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동부와, 상기 구동바퀴부와 연동되어 결합되며 상기 구동바퀴부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를 포함하는 구동본체;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는 상기 적재부의 사이드에 설치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초음파센서로 마련되고, 상기 차체본체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사전의 설정된 거리 내에 장애물이 존재할 시,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차체바퀴부는 회전고리 타입(Swivel Type)의 전륜 및 고정 타입(Rigid Type)의 후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차체본체를 바닥에 지탱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차체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헬리콥터 이착륙 시에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는 차체본체를 마련함으로써, 헬리콥터를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의 이착륙 시에도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여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헬리콥터 이착륙 시에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는 차체본체 및 그와 연결되어 헬리콥터를 견인할 수 있는 구동본체를 제공하므로, 별도의 견인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견인 시간 및 장비 마련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헬리콥터가 탑재된 차체본체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제공하므로, 고가의 헬리콥터를 견인하는데 있어서 안전성 증대의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헬리콥터가 착륙되는 차체본체 및 그와 연결되어 헬리콥터를 견인하는 구동본체를 제공하므로, 헬리콥터의 이착륙 및 이동, 정비시 안정성과 신속성을 확보하여 헬리콥터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의 동력원으로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구동본체에 충전부와 배터리를 설치함으로써, 충분한 운행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편리한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일곱째, 차체본체에 장착되는 바퀴는 발포우레탄 타이어를 적용함으로써 충격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이어펑크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주며, 이에 따라 헬리콥터를 견인함에 있어서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의 상부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체본체의 상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체본체 배면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본체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10)는 차체본체(100)와 구동본체(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차체본체(100)는 적재부(110), 차체바퀴부(120), 견인부(150), 스토퍼부(130) 및 센서부(14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하여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10)의 상부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체본체(100)의 상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체본체(100) 배면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본체(100)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할 수 있도록 탑재용 차체인 적재부(110)를 구비한다. 적재부(110) 하단에는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바퀴가 장착된다. 차체본체(100)에 연결된 구동본체(200)는 차체본체(100) 및 차체본체(100)에 탑재되는 헬리콥터를 견인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구동본체(200)에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차체본체(100)를 견인하게 된다.
적재부(110)는 정해진 형태가 없으며, 헬리콥터가 이착륙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마련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부(110)의 크기는 가로X세로 5.5X4.9(M)로 하여 다양한 크기의 스키드 형식 헬리콥터를 견인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적재부(110)의 등면은 헬리콥터가 안전하게 이착륙 할 수 있도록 구조 설계 기법에 의하여 초경량, 고강성으로 구비된다. 등면의 좌, 우측에는 헬리콥터의 스키드가 정확히 적재부(110)에 착륙할 수 있도록 표식(11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등면의 사이드에는 헬리콥터를 안전하게 견인할 수 있도록 소정의 턱(112)이 마련될 수 있다.
적재부(110)의 배면은 헬리콥터를 견인할 수 있도록 바퀴가 구비되고, 바퀴를 수용하도록 하는 칸막이가 설치된다. 여기서, 적재부(110)에 마련되는 바퀴를 차체바퀴부(120)라 명칭한다. 이에 대하여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차체바퀴부(120)는 전륜(121)과 후륜(122)으로 구성되며, 전륜(121)은 회전이 가능하여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는 회전고리 타입(Swivel Type)으로 마련된다. 한편, 후륜(122)은 회전이 불가능한 고정 타입(Rigid Type)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륜(121)은 바퀴 당 허용하중 300kg/ea 이고, 24개가 구비된다. 후륜(122)은 바퀴 당 허용하중 300kg/ea 이고, 36개가 구비된다. 따라서, 적재부(110)의 총 허용하중은 대략 300kg/ea X 60ea = 18,000kg으로 소형헬리콥터에서부터 중형헬리콥터까지 탑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헬리콥터의 하중 분포가 중심에서 뒷부분에 집중되므로, 전륜(121)보다 후륜(122)의 바퀴개수를 가중해야 하며, 차체바퀴부(120)의 타이어는 일반적인 통 타이어와는 달리, 쿠션감이 우수하고 가벼운 재질의 발포우레탄 타이어를 적용한다.
여기서, 발포우레탄 타이어(폼필드타이어; Foam Filled Tire)로 바퀴의 타이어를 적용할 시, 충격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타이어 펑크의 발생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적재부(110)의 각 모서리에는 헬리콥터 이착륙 시, 차체본체(100)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부(130)를 설치한다.
스토퍼부(130)는 차체본체(100)를 바닥에 지탱시키는 ‘ㄱ’ 형태의 지지대(131) 및 지지대(131)를 적재부(110)에 고정시키는 고정대(132)를 포함한다.
‘ㄱ’ 형태의 지지대(131)는 헬리콥터의 이착륙 시 차체본체(100)를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바닥과 맞닿는 부분은 원형면으로 구비되어 바닥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적재부(110)의 사이드에는 차체본체(100)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부(140)를 설치한다. 센서부(140)는 초음파 센서로 마련되고,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10) 이동 시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부(140)는 후술할 제어부(220)에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적재부(110)의 일측면에는 견인부(150)가 설치된다. 견인부(150)는 헬리콥터를 견인하기 위한 구동본체(200)와, 차체본체(100)를 연결한다. 견인부(150)는 차체본체(100)와 직접 맞닿는 연결대(151)와, 구동본체(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견인봉(152)이 마련된다.
상술한 차체본체(100)를 견인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구동본체(200)는 구동부(210), 제어부(220), 모터부(230), 배터리부(240), 충전부(250), 제동부(260), 구동바퀴부(270), 및 조향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서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본체(200)의 개략도이다.
구동본체(200)의 구동부(210)는 상술한 견인부(150)와 연결되며, 후술할 구동본체(200)의 세부구성이 설치되도록 마련된다.
구동본체(200)를 차체본체(100)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210) 일측에는 상술한 견인봉과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공(211)이 마련된다.
구동부(210)에 설치되는 제어부(220)는 동력발생을 제어하며, 후술할 구동바퀴부(270)의 제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센서부(14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상술한 제어부(220)에서 명령하는 동력발생 명령은 모터부(230)에 의해 구동바퀴부(270)에 전달되며, 전달된 동력을 통해 구동바퀴부(270)가 회전한다.
구동본체(200)는 상술한 제어부(22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부(240)를 포함하며, 상술한 배터리부(240)가 전기적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충전부(250)가 마련된다.
구동부(210)의 전측, 후측에는 한 쌍씩 구동바퀴부(270)가 설치되고, 구동바퀴부(270) 후륜(272)에는 모터와 연결되는 제동부(260)가 설치된다.
제어부(220)에서 동력발생을 중지하는 제어신호를 모터에 송신하면, 모터는 제동부(260)를 통하여 구동바퀴부(270)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고, 구동바퀴부(270)의 후륜(272)은 정지하게 된다.
구동바퀴부(270)의 전륜(271)은 조향부(280)와 연동되어 결합되며, 조향부(280)에서 구동본체(200)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면, 이에 연동되어 구동바퀴부(270)의 전륜(271)이 회전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210)의 중앙에 제어부(220)가 설치되며, 제어부(220)와 연결되어 좌, 우측에 배터리부(240)가 설치된다. 또한, 제어부(220)는 후측으로 충전부(250)와 연결된다. 제어부(220)는 구동바퀴부(270)의 후륜(272)에 설치되는 모터부(230) 및 제동부(260)와 연결되며, 마지막으로 제어부(220)는 구동바퀴부(270)의 전륜(271)과 연동되는 조향부(280)와도 연결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조향부(280)는 전측에 헬리콥터를 견인하는 작업자가 조향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작업자의 시선은 헬리콥터가 탑재되는 차체본체(100) 측을 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헬리콥터 이착륙 시에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는 차체본체(100)를 마련함으로써, 헬리콥터를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의 이착륙 시에도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여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헬리콥터 이착륙 시에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는 차체본체(100) 및 그와 연결되어 헬리콥터를 견인할 수 있는 구동본체(200)를 제공하므로, 별도의 견인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견인 시간 및 장비 마련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헬리콥터가 탑재된 차체본체(100)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제공하므로, 고가의 헬리콥터를 견인하는데 있어서 안전성 증대의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헬리콥터가 착륙되는 차체본체(100) 및 그와 연결되어 헬리콥터를 견인하는 구동본체(200)를 제공하므로, 헬리콥터의 이착륙 및 이동, 정비시 안정성과 신속성을 확보하여 헬리콥터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10)의 동력원으로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구동본체(200)에 충전부(250)와 배터리를 설치함으로써, 충분한 운행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편리한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일곱째, 차체본체(100)에 장착되는 바퀴는 발포우레탄 타이어를 적용함으로써 충격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이어펑크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주며, 이에 따라 헬리콥터를 견인함에 있어서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 : 10
차체본체 : 100
적재부 : 110
표식 : 111
턱 : 112
차체바퀴부 : 120
전륜 : 121
후륜 : 122
스토퍼부 : 130
지지대 : 131
고정대 : 132
센서부 : 140
견인부 : 150
연결대 : 151
견인봉 : 152
구동본체 : 200
구동부 : 210
결합공 : 211
제어부 : 220
모터부 : 230
배터리부 : 240
충전부 : 250
제동부 : 260
구동바퀴부 : 270
전륜 : 271
후륜 : 272
조향부 : 280

Claims (4)

  1. 헬리콥터 이착륙 시 헬리콥터가 착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하부 전후측에 설치되는 차체바퀴부와,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견인부와, 상기 적재부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차체본체; 및
    상기 견인부와 연결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발생 및 제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구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가 전기적으로 충전되는 충전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부 전후측에 한 쌍씩 설치되는 구동바퀴부와, 상기 구동바퀴부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동부와, 상기 구동바퀴부와 연동되어 결합되며 상기 구동바퀴부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를 포함하는 구동본체; 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차체본체를 바닥에 지탱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차체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대; 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바닥과 맞닿은 부분이 원형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적재부의 등면의 좌우측에는 상기 헬리콥터의 스키드가 정확히 상기 적재부에 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식 및, 상기 헬리콥터의 상기 등면의 사이드에는 상기 헬리콥터를 안전하게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턱이 마련되고,
    상기 차체바퀴부는 전륜의 바퀴개수보다 후륜의 바퀴개수가 가중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바퀴부의 타이어는 발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사이드에 설치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초음파센서로 마련되고, 상기 차체본체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사전의 설정된 거리 내에 장애물이 존재할 시,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바퀴부는 회전고리 타입(Swivel Type)의 전륜 및 고정 타입(Rigid Type)의 후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
  4. 삭제
KR1020120057665A 2012-05-30 2012-05-30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 KR101384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65A KR101384887B1 (ko) 2012-05-30 2012-05-30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65A KR101384887B1 (ko) 2012-05-30 2012-05-30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266A KR20130134266A (ko) 2013-12-10
KR101384887B1 true KR101384887B1 (ko) 2014-04-15

Family

ID=4998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665A KR101384887B1 (ko) 2012-05-30 2012-05-30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8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351A (ko) 2015-06-05 2016-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운반용 지그
CN108069043A (zh) * 2016-11-16 2018-05-25 通用电气航空系统有限公司 用于移动航空器的滑行车辆
KR102662005B1 (ko) 2023-03-02 2024-04-30 주식회사 숨비 스키드 랜딩타입 항공기용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4465B (zh) * 2015-05-07 2018-06-26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运输汽车白车身的运输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9968A2 (en) * 1983-03-21 1984-09-26 Omar Di Oldani Gaetano Self propelled pedestrian-controlled tractor for towing helicopters
US20110174925A1 (en) * 2010-01-21 2011-07-21 Jeffrey Ying Helicopter landing pad
KR200454842Y1 (ko) * 2011-04-26 2011-07-29 박준석 자동차의 외부 장애물감지와 내부경보의 진동발생 경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9968A2 (en) * 1983-03-21 1984-09-26 Omar Di Oldani Gaetano Self propelled pedestrian-controlled tractor for towing helicopters
US20110174925A1 (en) * 2010-01-21 2011-07-21 Jeffrey Ying Helicopter landing pad
KR200454842Y1 (ko) * 2011-04-26 2011-07-29 박준석 자동차의 외부 장애물감지와 내부경보의 진동발생 경보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351A (ko) 2015-06-05 2016-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운반용 지그
CN108069043A (zh) * 2016-11-16 2018-05-25 通用电气航空系统有限公司 用于移动航空器的滑行车辆
KR102662005B1 (ko) 2023-03-02 2024-04-30 주식회사 숨비 스키드 랜딩타입 항공기용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266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33410A1 (en) Electric freight trailer, system and method
CN107054681B (zh) 无杆飞机牵引车
KR101384887B1 (ko) 친환경 전동식 헬리콥터 견인카트
US8428863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rash avoidance technologies
US9718390B1 (en) Helicopter transport apparatus
EP2988369B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rash avoidance technologies
PT2272760E (pt) Sistema e método de transferência de aviões
US9789957B2 (en) Load transfer in a powered aircraft drive wheel
EP21525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irplanes
CN103387008A (zh) 可展开的车辆车架和方法
CN202463786U (zh) 拖车装置
CN202449219U (zh) 无人机弹射装置
CN111801275A (zh) 用于飞行器的地面操纵辅助系统
CN204776074U (zh) 飞机前起落架装配试验车
US20200130759A1 (en) Tugger Train Trailer for a Tugger Train
CN102717841A (zh) 旅游观光车
CN202783797U (zh) 多功能通用航空飞机拖车
CN2546336Y (zh) 飞机紧急转移牵引平台车
US11192661B2 (en) Aircraft tow point
US8911194B1 (en) Softcapture cradle
CN115649288A (zh) 自重构轮式车辆重构单元
CN205691347U (zh) 一种自动紧急刹车试验装置
CN212373555U (zh) 一种分体式混合动力车辆平台结构
CN202038455U (zh) 多功能铲轮式飞机牵引车
US20100314180A1 (en) Mobilizing apparatus for airpla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