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625B1 - 규조토 및 전분을 포함하는 파우더 폼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규조토 및 전분을 포함하는 파우더 폼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625B1
KR101383625B1 KR1020110142021A KR20110142021A KR101383625B1 KR 101383625 B1 KR101383625 B1 KR 101383625B1 KR 1020110142021 A KR1020110142021 A KR 1020110142021A KR 20110142021 A KR20110142021 A KR 20110142021A KR 101383625 B1 KR101383625 B1 KR 101383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cosmetic composition
diatomaceous earth
makeup cosmetic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4136A (ko
Inventor
공수성
김국환
심혜림
이언엽
현승수
김동명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6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규조토(硅藻土) 및 전분(Starch)을 포함하는 파우더 형(Powder Form)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규조토 및 전분을 이용함으로써 민감성 피부에서 트러블 및 염증을 유발 할 수 있는 오일을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가루날림 및 피지 흡수에 따른 피부 당김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피지 조절능력을 바탕으로 페이스 메이크업 파우더의 화장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규조토 및 전분을 포함하는 파우더 폼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Powder Form Oil-Fre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iatomaceous earth and Starch}
본 발명은 규조토 및 전분(STARCH)을 포함하는 파우더 폼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규조토 및 전분을 포함하는 저자극성 오일 프리 페이스 메이크업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규조토의 비정질 성질과 전분을 이용하여 피부 트러블 및 염증을 유발 할 수 있는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100% 파우더만을 이용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료는 화장 부위에 따라 크게 투웨이 케이크, 파운데이션, 페이스 파우더 등의 베이스 메이크업 군과 립스틱, 네일 화장품 등의 포인트 메이크업 군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제형에 따라 유화형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등의 유화 타입과 스킨커버, 립스틱 등의 분산형 타입 및 투웨이 케이크, 페이스 파우더 등의 파우더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메이크업 화장료는 피부의 결점을 엄폐 또는 은폐하는 기능과 아름다운 색상을 부여하는 기능, 즉, 피부를 미화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피부에 영양공급, 수렴효과, 보습기능 및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보호 등과 같은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페이스 메이크업 파우더는 3.0-10.0%의 실리콘 오일 및 미네랄계열 오일을 포함한다. 페이스 메이크업 파우더는 가루상태로 피부에 도포하므로 가루날림과 화장 초기에 피부 당김 및 건조감을 예방하는 것이 제형적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오일을 함유한 페이스 메이크업 파우더는 고유 기능인 피지 흡유 능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민감성 피부에 있어서 오일로 인한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오일을 포함하는 페이스 메이크업 파우더의 경우에 있어서, 흡유 능력을 높이고자 하면, 오일의 함량이 낮아지거나 실리카의 함유량이 높아져 피부 당김 및 건조함, 가루날림이 증가하는 상반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로 인해 페이스 메이크업 파우더는 고흡유능을 유지한 채, 가루날림 및 피부당김 및 건조함이 없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할 것이다.
한편, 규조토(硅藻土)는 단세포 식물의 잔해가 해저(海底)나 호저(湖底)에 퇴적한 집합체로 일종의 화석토이다. 수중환경에서 실리카(silica)를 추출해내어 자신의 단단한 골격 구조를 구성하는 능력이 있는데, 규조 골격의 퇴적물이 속성 작용을 받아 굳어져 형성된 규조토 퇴적암은 대부분이 함수 비정질 실리카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도는 3-10 ㎛, 흡유량 1.8-2.5 cc/g, 비표면적 40.0-60.0 m2/g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광물 실리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광물실리카가 구상의 모양을 가진 것에 비해 규조토는 판상, 침상, 구상 타입 등 다양한 모양이 혼합되어 있는 타입이다. 그로인해 전연성(展延性)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나 고 흡유능을 유지한 채 피부 부착성을 높여주고 가루날림을 완화시켜준다.
쌀 전분(STARCH)은 일반적으로 베이비 파우더에 주로 사용되는 제품으로 입도는 3-10 ㎛, 흡유량 0.7-1.3 cc/g, 비표면적 30.0-50.0 m2/g를 나타낸다. 구상의 모양을 나타내며, 피부의 자극을 줄이고, 전연성을 높이기 위해 이용된다.
상술한 규조토 및 쌀 전분을 파우더 폼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에 이용할 경우 오일 성분을 사용하지 않아도 고 흡유능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사용감을 개선한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규조토 및 쌀 전분을 포함하고 있는 파우더 폼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특허 및 논문 문헌은 검색되지 않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화장 지속성이 뛰어나고, 피부 트러블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파우더 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규조토를 이용할 경우 규조토의 비정질 특성에 기인하여 높은 흡유능을 나타낼 수 있고, 또한 상술한 규조토와 함께 전분(Starch)을 이용할 경우 전분의 형태적 특징에 기인하여 상기 규조토의 사용에 의해 감소한 사용감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오일 성분을 사용하지 않은 비 코팅된 파우더를 이용하더라도 화장 지속성이 뛰어나고, 피부 트러블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규조토 및 전분을 포함하는 파우더 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파우더 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화장 지속성이 뛰어나고, 피부 트러블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파우더 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규조토를 이용할 경우 규조토의 비정질 특성에 기인하여 높은 흡유능을 나타낼 수 있고, 또한 상술한 규조토와 함께 전분(Starch)을 이용할 경우 전분의 형태적 특징에 기인하여 상기 규조토의 사용에 의해 감소한 사용감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오일 성분을 사용하지 않은 비 코팅된 파우더를 이용하더라도 화장 지속성이 뛰어나고, 피부 트러블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규조토(硅藻土) 및 전분(Starch)을 포함하는 파우더 형(Powder Form)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규조토(硅藻土)’는 일반적으로 주성분이 비정질(非晶質)의 무정형 함수규산인 규조의 유해(遺骸)로 만들어진 연질의 암석과 토양을 의미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암석과 토양을 여과, 정제 등의 가공 과정을 거쳐 파우더 형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전분’은 글루코스(포도당)로 구성되는 다당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분입자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크기 및 모양을 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파우더’는 미세한 가루, 주로 화장용 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파우더 형’은 미세한 가루 또는 화장용 분의 형태로 가공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상기 전분은 바람직하게는 고구마 전분, 감자 전분, 쌀 전분, 옥수수전분, 타피오카(tatioca)전분 및 사고(sago)전분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구마 전분, 감자 전분 및 쌀 전분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감자 전분 또는 쌀 전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쌀 전분(Rice Starch)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전분 중 쌀 전분을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분은 이를 수득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전분의 모양 및 성질이 각각 상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자들은 수많은 실험을 반복한 결과, 쌀 전분을 이용하여 파우더 형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조할 경우 쌀 전분의 입도, 흡유량, 비표면적 및 형태 등의 특성상 다른 전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경우와 비교하여, 화장료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물성을 나타내는 규조토를 포함할 수 있다:
(a) 입도(grain size classification , 粒度) : 3-10 ㎛;
(b) 흡유량(oil absorption , 吸油量) : 1.8-2.5 cc/g; 및
(c)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 , 比表面積) : 40.0-60.0 m2/g.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입도(grain size classification , 粒度)’는 입자(粒子)의 크기와 그 분포의 단계를 나타내는 척도(尺度)를 의미할 수 있으며, 대개는 선별에 사용하는 체의 눈발의 크기나 평균 입자 지름 등으로 입도(粒度)를 규정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흡유량(oil absorption , 吸油量)’은 안료의 성능을 나타내는 한 인자를 의미할 수 있다. 안료를 기름과 반죽하여 단단한 반죽상태로 하는 데 필요한 기름의 양 이것을 제1 흡유량이라 하며, 풀빛으로 칠하기 가능한 상태로 하는 데 필요한 기름의 양을 제2 흡유량이라 한다. 안료 100g에 대한 기름의 g으로 표시한다. 흡유량은 안료의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이 거칠수록 많아진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 , 比表面積)’은 입자군과 분체의 단위 질량당의 표면적을 의미할 수 있고, 보통 m2/g 으로 표시한다. 통상적으로 입자가 작아지는 데 따라 이 값은 커지며 계면 현상에 있어 중요한 값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물성을 나타내는 쌀 전분을 포함할 수 있다:
.(a) 입도 : 3-10 ㎛;
(b) 흡유량 : 0.7-1.3 cc/g; 및
(c) 비표면적 : 30.0-50.0 m2/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상기 규조토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5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4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3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상기 규조토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5.0-30.0 중량%인 이유는 규조토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가루날림이 크고 피지조절 능력이 낮은 문제가 있고, 규조토의 함량이 30.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메이크업 화장료의 뭉침이 발생하고 전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상기 전분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3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2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1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상기 전분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5.0-15.0 중량%인 이유는 상기 전분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전연성 개선 효과가 미비한 문제가 있고, 상기 전분의 함량이 15.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에서의 건조감이 극대히 높아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a) 상기 규조토가 비정질(amorphous , 非晶質)의 성질을 나타내고,
(b) 상기 전분이 구상(coccoid , 球狀)의 성질을 나타내는 관계상,
백색안료, 체질안료, 착색안료, 광택안료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전 성분에서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피복되지 않은 파우더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비정질(amorphous , 非晶質)’은 결정에서는 원자의 배열이 규칙적으로 되어 있으나, 그와 같은 규칙성이 거의 인정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비정질 또는 부정형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구상(coccoid , 球狀)’은 둥근 공 모양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상기 규조토는 비정질의 성질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전분은 구상의 성질을 나타내고 있는데, 상기 성질들은 본 발명이 기존의 파우더 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뛰어난 효과를 나타나게 할 수 있는 핵심 성질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규조토의 판상, 침상, 구상 타입 등 다양한 모양이 혼합되어 있는 비정질의 성질에 의해 고 흡유능을 유지한 채 피부 부착성을 높여줄 수 있고, 또한 상기 전분의 구상 성질에 의해 피부의 자극을 줄이고, 전연성을 높여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상기 규조토 및 상기 전분의 사용에 의해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에 피복되지 않은 파우더를 이용하여 피부 트러블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면서, 흡유능 및 사용감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탈크, 카올린, 세리사이트, 질화붕소, 나이론파우더, 실리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우레탄, 보론 나이트라이드, 티탄 마이카, 벤토나이트, 아크릴 수지의 소구체, 이산화티탄, 산화철, 군청, 감청, 카본블랙, 산화아연,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알루미나, 규산칼슘, 탄산칼슘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안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안료를 자유로이 포함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규조토 및 전분을 이용함으로써 민감성 피부에서 트러블 및 염증을 유발 할 수 있는 오일을 배제시키는 페이스 메이크업 화장료룰 제공할 수 있다. 비정질 규조토 및 전분 바람직하게는 쌀 전분을 사용함으로써 가루날림 및 피지 흡수에 따른 피부 당김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피지 조절능력을 바탕으로 페이스 메이크업 파우더의 화장지속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규조토(硅藻土) 및 전분(Starch)을 포함하는 파우더 형(Powder Form)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규조토 및 전분을 이용함으로써 민감성 피부에서 트러블 및 염증을 유발 할 수 있는 오일을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가루날림 및 피지 흡수에 따른 피부 당김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피지 조절능력을 바탕으로 페이스 메이크업 파우더의 화장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포한되는 규조토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1을 통해 판상, 침상, 구상 타입 등 다양한 모양이 혼합되어 있는 규조토의 비정질 성질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파우더 10g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7.0 g을 이용한 흡유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예 3 및 비교예 5는 실험에 사용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전부를 흡유하지 못하고 일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가 화장료 조성물 외부로 새어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3의 경우는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전부를 흡유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 실시예(바인더 성분 비포함)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파우더 성분으로 탈크(ASADATALC),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TOPY), 세리사이트(이스트힐), 이산화 티탄(한국합성펄), 산화아연(한국합성펄), 산화철(한국합성펄), 방부제로서 메칠 파라벤(UENOFINECHEM) 및 프로필 파라벤(UENOFINECHEM)을 기본 원료로 하여, 실시예 1의 경우 쌀 전분(RICE STARCH)은 제외하고, 규조토(세라이트코리아)만을 첨가하였고, 실시예 2의 경우 규조토는 제외하고, 쌀 전분(나노젠)만을 첨가하였으며, 실시예 3의 경우 쌀 전분 및 규조토 모두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교반된 파우더를 분쇄기(대영기계)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60 mesh 여과망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하기 표 1 참조).
제조예 2 : 비교예(바인더 성분 포함)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파우더 성분으로 탈크,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세리사이트, 이산화 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방부제로서 메칠 파라벤 및 프로필 파라벤을 기본 원료로 하여, 비교예 1의 경우 쌀 전분은 제외하고, 규조토만을 첨가하였고, 비교예 2의 경우 규조토는 제외하고, 쌀 전분만을 첨가하였으며, 비교예 3의 경우 쌀 전분 및 규조토 모두를 첨가하였고, 비교예 4 및 비교예5의 경우는 쌀전분 및 규조토는 제외하고, 실리카(선진화학)만을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이후 바인더 성분으로서 에칠헥실 팔미테이트(BASF),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DUBOIS) 및 디메치콘(DOWCORNING)을 교반한 다음 80℃로 승온(昇溫)하였다. 상기 교반하여 승온한 바인더 성분을 상기 각각의 비교예 파우더 성분에 교반한 이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2회 분쇄한 이후 60 MESH 여과망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하기 표 1 참조).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함량(중량%)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1. 탈크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3. 세리사이트 5.0 5.0 5.0 5.0 5.0 5.0 5.0 5.0
4. 규조토 10.0 - 10.0 10.0 - 10.0 - -
5. 실리카 - - - - - - 10.0 10.0
6. RICE STARCH - 10.0 10.0 - 10.0 10.0 - -
7. 이산화 티탄 5.0 5.0 5.0 5.0 5.0 5.0 5.0 5.0
8. 산화아연 1.0 1.0 1.0 1.0 1.0 1.0 1.0 1.0
9. 산화철 q.s q.s q.s q.s q.s q.s q.s q.s
10. 메칠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방부제) 0.2 0.2 0.2 0.2 0.2 0.2 0.2 0.2
11. 에칠헥실 팔미테이트 - - - 1.0 1.0 1.0 1.0 -
12. 이소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 - - 1.0 1.0 1.0 1.0 -
13. 디메치콘 - - - 2.0 2.0 2.0 2.0 -
실험예 1 :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및 지속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얻어진 페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샘플의 사용감 및 화장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20세 내지 3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패널 테스트를 실시하고, 화장 시의 가루날림, 부착성, 및 덧바름성 항목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의 평균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조된 파우더의 흡유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시료 1 g에 흡유되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LASEMASIA)의 양을 측정하였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및 지속성 평가
화장초기 화장후기 총점 흡유능(cc/g)
구분 가루날림 터치감 부착성 지속성 피부당김 피지조절
비교예 1 4.5 3.5 3.3 3.0 3.3 3.0 20.6 45.0
비교예 2 4.1 3.2 3.0 3.0 3.2 2.8 19.3 40.0
비교예 3 4.2 3.8 3.5 3.3 3.5 3.0 21.3 45.0
비교예 4 3.0 3.5 3.0 3.0 2.5 2.5 17.5 45.0
비교예 5 2.5 2.6 2.0 2.5 2.0 3.0 14.6 60.0
실시예 1 3.8 4.0 4.0 4.0 4.5 4.5 24.8 65.0
실시예 2 3.3 4.3 3.5 3.8 3.5 4.0 22.4 65.0
실시예 3 4.0 4.2 4.5 4.0 4.4 4.5 25.6 70.0
* 평가 기준
5: 매우 우수함
4: 우수함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상기 결과를 볼 때, 광물성 실리카 이용 시, 초기 가루날림이 매우 심하며, 사용감 및 부착성등의 초기 사용감과 피부 당김 및 피지 조절 능력 등의 사용 후 품질도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규조토 및 쌀 전분의 사용시, 당김 및 피지 조절 능력이 개선되어 사용 후 품질이 개선되며, 실시예에서 볼 수 있듯이 오일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가루날림 및 부착성 등이 광물성 실리카를 사용했을 때보다 개선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가장 높은 흡유능을 보이고 있어서 피지 조절 능력이 매우 높아, 화장 지속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Claims (7)

  1. 5.0-30.0 중량% 규조토(硅藻土) 및 5.0-15.0 중량% 전분(Starch)을 포함하되, 실리콘 오일 및 미네랄계열 오일은 포함하지 아니한 파우더 형(Powder Form) 오일 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고구마 전분, 감자 전분, 쌀 전분, 옥수수전분, 타피오카(tatioca)전분 및 사고(sago)전분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형(Powder Form) 오일 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조토는 하기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형(Powder Form) 오일 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 입도(grain size classification , 粒度) : 3-10 ㎛;
    (b) 흡유량(oil absorption , 吸油量) : 1.8-2.5 cc/g; 및
    (c)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 , 比表面積) : 40.0-60.0 m2/g.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하기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형(Powder Form) 오일 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 입도 : 3-10 ㎛;
    (b) 흡유량 : 0.7-1.3 cc/g; 및
    (c) 비표면적 : 30.0-50.0 m2/g.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a) 상기 규조토가 비정질(amorphous , 非晶質)의 성질을 나타내고,
    (b) 상기 전분이 구상(coccoid , 球狀)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형(Powder Form) 오일 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탈크, 카올린, 세리사이트, 질화붕소, 나이론파우더, 실리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우레탄, 보론 나이트라이드, 티탄 마이카, 벤토나이트, 아크릴 수지의 소구체, 이산화티탄, 산화철, 군청, 감청, 카본블랙, 산화아연,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알루미나, 규산칼슘, 탄산칼슘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안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형(Powder Form) 오일 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142021A 2011-12-26 2011-12-26 규조토 및 전분을 포함하는 파우더 폼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383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021A KR101383625B1 (ko) 2011-12-26 2011-12-26 규조토 및 전분을 포함하는 파우더 폼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021A KR101383625B1 (ko) 2011-12-26 2011-12-26 규조토 및 전분을 포함하는 파우더 폼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136A KR20130074136A (ko) 2013-07-04
KR101383625B1 true KR101383625B1 (ko) 2014-04-14

Family

ID=4898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021A KR101383625B1 (ko) 2011-12-26 2011-12-26 규조토 및 전분을 포함하는 파우더 폼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6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607B1 (ko) 2018-08-27 2019-04-04 (주)씨앤케이코스메디칼 불연속상 하이드로겔 및 옥수수 전분을 결합제로 포함하는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53646B1 (ko) * 2019-08-08 2019-12-09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적외선 및 블루라이트 동시 차단용 복합분체의 제조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438B1 (ko) * 2017-01-13 2022-02-09 (주)아모레퍼시픽 스타치 유도체 및 고함량의 분체를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CN110312501A (zh) * 2017-02-17 2019-10-08 伊梅斯切公司 颗粒状矿物的减少污染的应用
KR102458096B1 (ko) * 2020-10-12 2022-10-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료용 피지조절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용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102460163B1 (ko) * 2020-10-14 2022-10-31 그린코스 주식회사 무기분체를 이용한 피지 조절용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CN115645290A (zh) * 2022-11-14 2023-01-31 上海臻臣化妆品有限公司 控油复合粉体组合物及水粉双相精华液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721A (ja) * 1995-06-01 1997-02-18 Shiseido Co Ltd ボディー用パウダー化粧水
JP2003535032A (ja) * 1999-10-21 2003-11-25 リポテック,エス.アー. 化粧品、医薬品、食品の安定化用マイクロカプセル
KR20110020616A (ko) * 2009-08-24 2011-03-03 애경산업(주) 화장료용 무기 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1093873A (ja) * 2009-10-29 2011-05-12 Koji Aida 化粧料に用いる被覆処理粉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721A (ja) * 1995-06-01 1997-02-18 Shiseido Co Ltd ボディー用パウダー化粧水
JP2003535032A (ja) * 1999-10-21 2003-11-25 リポテック,エス.アー. 化粧品、医薬品、食品の安定化用マイクロカプセル
KR20110020616A (ko) * 2009-08-24 2011-03-03 애경산업(주) 화장료용 무기 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1093873A (ja) * 2009-10-29 2011-05-12 Koji Aida 化粧料に用いる被覆処理粉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607B1 (ko) 2018-08-27 2019-04-04 (주)씨앤케이코스메디칼 불연속상 하이드로겔 및 옥수수 전분을 결합제로 포함하는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045908A1 (ko) * 2018-08-27 2020-03-05 (주)씨앤케이코스메디칼 불연속상 하이드로겔 및 옥수수 전분을 결합제로 포함하는 외력붕해성 고형 클렌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53646B1 (ko) * 2019-08-08 2019-12-09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적외선 및 블루라이트 동시 차단용 복합분체의 제조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136A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625B1 (ko) 규조토 및 전분을 포함하는 파우더 폼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5781277B2 (ja) 顔料混合物
CN110267712A (zh) 用于防晒增强的官能化碳酸钙
EP3034563B1 (de) Goldfarbene Effektpigmente mit hohem Chroma und hoher Brillanz,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selben
EP3034566B1 (de) Metalleffektpigmente mit hohem Chroma und hoher Brillanz,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selben
EP3034564B1 (de) Effektpigmente mit hoher Transparenz, hohem Chroma und hoher Brillanz,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selben
KR101388446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3034562B1 (de) Absorbierende effektpigmente mit hohem chroma und hoher brillanz,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selben
JP2018512412A (ja) タルク微粒子を含む化粧料組成物
EP1344800A1 (en) Body pigment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EP3235878A1 (de) Pigmentgemisch
EP3442491A1 (de) Oberflächenmodifiziertes effektpigment und nagellackkomposition
DE102013012023A1 (de) Pigmentgemisch
EP3791853A1 (de) Oberflächenmodifizierte geprägte effektpigmente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2157140A1 (en) Flaky glass and cosmetic preparation with flaky glass mixed therein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01139A (ko) 세리사이트를 과립화한 분체를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854536B1 (ko) 촉촉함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17559B1 (ko) 소수성 다공성 파우더 및 수용성 보습성분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보습용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074590A (ja) 薄片状雲母粉末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EP3470050A1 (en) Use of calcined kaolin as a mattifying agent
KR101309937B1 (ko)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US20230086493A1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optimized starch and cosmetic applications thereof
WO2007141916A1 (ja) 粉末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