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013B1 - 축전지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축전지의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013B1
KR101382013B1 KR1020120065767A KR20120065767A KR101382013B1 KR 101382013 B1 KR101382013 B1 KR 101382013B1 KR 1020120065767 A KR1020120065767 A KR 1020120065767A KR 20120065767 A KR20120065767 A KR 20120065767A KR 101382013 B1 KR101382013 B1 KR 101382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ttery
storage battery
fix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499A (ko
Inventor
유선호
김정현
임동준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2006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013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전지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축전지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축전지의 전해액 주입과정에서 외관에 묻거나 잔류된 전해액 찌꺼기 및 기타 불순물을 여러 단계에 걸쳐 세척된 이후에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축전지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건조시킬 수 있는 축전지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전지의 건조장치{Drying equipment for battery}
본 발명은 축전지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축전지의 전해액 주입과정에서 외관에 묻거나 잔류된 전해액 찌꺼기 및 기타 불순물을 여러 단계에 걸쳐 세척된 이후에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축전지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건조시킬 수 있는 축전지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전지는 축전지 케이스의 내부 격판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수의 격실에 극판조립체가 삽입된다. 상기 극판은 각각의 상부 양측에 교호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극판조립체의 상부는 축전지 케이스에 수용되는 각 극판조립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자(Strpa)가 착설된다.
상기 연결단자는 극판조립체에 고정되는 수평면과 이 수평면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입설된 수직면을 갖는다. 상기 극판조립체는 격실에 수용될 때 인접한 격실에 수용되는 타 극판조립체와 연결되는 타 연결단자의 수직면과 격판의 통공에 대향하여 근접배치된다.
즉, 상기 서로 다른 격실내에 위치된 서로 다른 연결단자는 격판의 통공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대향 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상기 격판의 통공에 대하여 대향하여 근접배치된 양측 연결단자의 수직면은 양측으로부터 스포트용접기의 팁이 가압되면서 통공을 통하여 용접되어 접착된다. 따라서 상기 서로 다른 격실내의 서로 다른 극판조립체의 연결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극판조립체의 전기적 결합된 이후에 상기 축전지 케이스의 내측으로 전해액이 주입된 이후에서 상기 케이스에 커버가 고정되어 하나의 축전지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축전지는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서 전해액의 찌꺼기가 잔류되어 있거나 기타 제조과정중에 발생되는 불순물에 의하여 오염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조업체는 상기 축전지를 세척과정으로 통하여 찌꺼기등의 잔유물을 제거한다.
종래의 축전지 건조장치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축전지의 외면에서 물을 분사하여 외관에 잔류된 전해액 찌꺼기를 제거하고, 제1히터를 통하여 가열된 에어를 분사하여 축전지 외관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과정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축전지 건조장치는 축전지를 이송하는 컨베이어가 직선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축전지에 열풍을 가하는 노즐이 상기 축전지의 양측을 지향하여 건조장치의 내측면에 설치됨에 열풍을 분사한다.
따라서 종래의 축전지 건조장치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축전지의 양측면에서 열풍을 분사하는 에어노즐이 설치됨에 따라 축전지 양측면의 건조는 용이한 대신에 전면과 후면 및 상면에 열풍이 직접 가해지지 않고, 건조기 내측의 고온에 의하여 증발되도록 하는 방식을 적용하였기에 축전지의 전면과 후면 및 상면에서 물기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전지를 세척 후 잔류된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송중인 축전지의 상면과 양측에서 고온 고압의 에어를 가하여 잔류된 물기를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축전지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세척된 축전지에 잔류된 물기를 건조하기 위한 축전지의 건조장치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축전지의 상면과 양측면에서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가하여 1차 건조하는 제1건조부; 및 상기 제1건조부에서 1차 건조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축전지의 전후면과 양측면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가하여 2차 건조하는 제2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건조부는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가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축전지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측을 밀폐시키는 제1하우징의 천정면에서 상기 축전지의 이송경로를 따라 연장 및 고정되어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에어를 고압으로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분사하는 상부에어수단; 및 상기 축전지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정렬되어 상기 축전지의 양측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하부에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에어수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천정면에서 고정되고, 축전지가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입력측에서 상기 제2건조부로 출력되는 출력측까지 연장형성되는 고정관; 상기 제1하우징의 입력측에서 상기 고정관에 하나 이상이 정렬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입력측에 진입되는 축전지의 상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제1상부에어노즐; 상기 제1하우징의 출력측에서 상기 고정관에 하나 이상이 정렬 및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출력측으로 이송되는 축전지의 상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제2상부에어노즐; 및 상기 제1상부에어노즐과 상기 제2상부에어노즐 사이의 위치에서 하나 이상이 상기 고정관에 정렬 및 고정되어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상부에어나이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에어수단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하측 끝단이 상기 고정관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측 끝단이 상기 하우징의 천정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고정봉;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에서 상기 고정봉이 삽입 및 고정되도록 베어링이 안착되는 내면을 갖고 관통형성되어 상기 고정봉이 풀림 또는 조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에어수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입력측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하나 이상이 고정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제1하우징의 입력측으로 진입되는 상기 축전지의 양측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제1하부에어노즐; 상기 제1하우징의 출력측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하나 이상이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출력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축전지의 양측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제2하부에어노즐;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입력측과 출력측 사이의 지지프레임 상면에서 하나 이상이 상호 대향된 위치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입력측에서 출력측으로 이송되는 축전지의 양측면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에어나이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제1하부에어노즐 및 제2하부에어노즐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어 내측으로 고온의 에어를 전달하는 하부연결관; 상기 하부연결관의 일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하부연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노즐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에어노즐 및 제2상부에어노즐은
수평으로 연장되어 하면에서 하향 연장되어 전면이 개구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가 형성되는 연장관; 상기 체결구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연장관의 내측에서 전달되는 고온의 에어를 하향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저소음노즐; 및 상기 연장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관의 외면에 연결되는 수직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부는 제2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가 회전되어 상기 제1건조부에서 이송된 축전지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가 상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지지프레임;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면을 밀폐시키되, 상기 축전지가 입력되는 입력측과 축전지가 외부로 인출되는 출력측에서 각각 출입구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 양측에서 하나 이상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입력측에서 출력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축전지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노즐과 에어나이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부는 상기 입력측에서 이송되는 상기 축전지가 전방에 위치되면 제1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가압판이 상기 축전지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푸셔; 및 제2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가압판을 구비하여 상기 제1푸셔와 경사진 방향으로 대향된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제1푸셔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된 이후에 전방으로 이송된 상기 축전지의 타측면을 상기 제2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전진하는 상기 제2가압판이 가압하여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푸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노즐은 직선방향과 경사진 방향을 각각 지향하는 두 개의 에어노즐이 각각 쌍을 이루고, 입력측에서 출력측을 지향하여 고정되어 상기 제1푸셔에 의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위치가 이동되는 상기 축전지의 후면과 타측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제1에어노즐; 상기 입력측과 출력측 사이에서 상기 입력측을 지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제1푸셔에 의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축전지의 정면과 일측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제2에어노즐; 상기 출력측에서 상기 입력측을 지향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2푸셔에 의하여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축전지의 전면과 타측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3에어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나이프는 상기 입력측에서 상기 축전지의 일측면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도록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제1에어나이프;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푸셔에 의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된 이후에 전방으로 이송되는 축전지의 타측면에 고온 및 고압이 에어를 분사하는 제2에어나이프; 및 상기 제2푸셔에 의하여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2건조부의 출력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축전지의 일측면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도록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출력측에서 일측에 고정되는 제3에어나이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축전지의 제조과정에서 전해액 및 기타 잔여물을 세척한 이후에 건조시에 다 수개의 축전지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상면과 양측면에서 고온의 에어를 가하기 때문에 축전지에 에어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세척후 남은 물기를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에서 제1건조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에서 제1건조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건조장치에서 상부에어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에서 상부에어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5a와 5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에서 상부에어노즐을 도시한 측면도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에서 하부에어노즐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에서 제2건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에서 제1건조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에서 제1건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는 세척된 축전지(300)를 1차 건조하는 제1건조부(100)와, 상기 제1건조부(100)에서 건조된 축전지(300)를 2차 건조하는 제2건조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건조부(100)는,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축전지(300)를 이송시키는 제1구동부(150)와, 상기 제1구동부(150)를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141)과, 일면에서 개폐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도어(111)를 구비하여 제1지지프레임(141)의 상측 공간을 밀폐시키는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1하우징(110)의 내측 상측에서 고정되어 하향되는 방향으로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상부에어수단(120)과, 에어를 가열하는 제1히터(161)와, 상기 제1히터(161)를 지지하는 제1보조지지프레임(142), 상기 제1지지프레임(141) 상면 양측에서 이송되는 축전지(300)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하부에어수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41)은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151, 152)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측에서 상기 제1하우징(110)이 상면을 밀폐시키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보조지지프레임(142)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41)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제1히터(161) 및 제1모터(162)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보조지지프레임(142)은 상기 제1히터(161) 및 상기 제1히터(161)에 의하여 가열된 에어를 상기 상부에어수단(120)과 하부에어수단(130)으로 연장되는 파이프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는 일반적인 구성이며, 동종업의 종사자들에게 공지된 기술을 적용한 것이기에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제1구동부(150)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41)의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설치되는 입력측 회전롤러(151)와 출력측 회전롤러(152) 및 상기 입력측 회전롤러(151)와 출력측 회전롤러(152)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롤러(151, 152)는 상기 제1모터(162)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롤러(151, 152)는, 예를 들면, 상기 입력측 회전롤러(151)와 출력측 회전롤러(152)의 상측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이송벨트(153)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이송벨트(153)는 상기 회전롤러(151, 152)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축하고, 상기 이송벨트(153)의 상면에 상기 축전지(300)를 안착시켜 이송함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에어수단(120)은 상기 제1하우징(110)의 천정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히터(161)에 의하여 가열된 에어를 이송되는 축전지(300)의 상면에 분사한다. 이때 상기 상부에어수단(120)은 고압 및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여 축전지(300)의 상면에 잔류된 물기를 제거하는 상부에어나이프(125)와, 고압의 에어를 저소음으로 가하는 제1상부에어노즐(126)과 제2상부에어노즐(127)을 각각 구비한다. 이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에서 상부에어수단(120)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에서 상부에어수단(120)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에어수단(120)은 상기 제1히터(161)에서 가열된 에어를 압축하는 에어모터(121)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상부에어노즐과 상부에어나이프(125)를 고정시키는 고정관(128)과, 상기 고정관(128)에 연결되어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상부에어나이프(125)와, 상기 고정관(128)에 고정되어 상기 제1건조부(100)의 입력측에 고정되는 제1상부에어노즐(126)과, 상기 제1건조부(100)의 출력측에 고정되는 제2상부에어노즐(127)과, 상기 고정관(128)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봉(129)과, 상기 제1하우징(110)의 상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관(122)과, 상기 지지관(122)에서 연결되어 상기 고정봉(129)을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124)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모터(121)는 상기 제1히터(161)에서 가열된 에어를 압축하여 전달되도록 압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히터(161)와 에어모터(121) 간에 연결되어 가열된 에어를 공급하는 연결구성(예를 들면, 파이프)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는 당업자간에 누구라도 실현 가능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한 것이기에 생략하였다. 아울러 상기 제1상부에어나이프(125)와 제1상부에어노즐(126) 및 제2상부에어노즐(127)은 상기 제1히터(161)에서 가열된 에어가 상기 파이프(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상기 에어모터(121)의 구동력에 의하여 전달된다.
상기 고정관(128)은 상기 제1하우징(110)의 천정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각각 제1상부에어나이프(125)와 제1 및 제2 상부에어노즐(126, 127)을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고정관(128)은 상기 제1건조부(100)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41)의 상면에서 상기 축전지(300)가 상기 회전롤러(151, 152)의 구동에 의하여 이송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관(122)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112)에서 상기 고정관(128)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수단(123)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24)은 측방에서 연장되는 고리(124a)가 상기 지지관(122)의 외면에 끼움식으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측에서 상기 제1하우징(110)의 상면으로 관통되는 고정봉(129)을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24)은 상하면이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129)의 외면에 밀착되는 베어링(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을 상기 관통구의 내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고정관(128)의 외면에서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상기 고정봉(129)의 착탈을 위하여 풀림 또는 고정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베어링을 더 포함시켰다.
상기 상부에어나이프(125)는 하나 이상이 상기 고정관(128)에 연결되어 상기 축전지(300)의 이송방향에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에어나이프(125)는 상기 제1히터(161)와 에어모터(121)에 의하여 파이프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온의 에어를 고압으로 상기 축전지(300)의 상면에 분사하여 물기를 날려서 제거한다. 상기 상부에어나이프(125)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에어나이프를 적용한 것이기에 세부구성에 대한 설명과 도면을 생략하였다.
상기 제1상부에어노즐(126)과 상기 제2상부에어노즐(127)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와 5b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에서 상부에어노즐을 도시한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건조부(100)의 입력측의 천정면에 설치되는 제1상부에어노즐(126)과 상기 제1건조부(100)의 출력측의 천정면에 설치되는 제2상부에어노즐(127)은 상호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제1상부에어노즐(126)과 제2상부에어노즐(127)은 고압 및 고온의 에어를 분기시켜 상기 축전지(300)의 상면에 분사하기 때문에 저소음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저소음노즐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한 상기 제1상부에어노즐(126)과 제2상부에어노즐(127)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관(124b)과, 상기 연장관(124b)의 하측에서 하나 이상이 하향되도록 돌출되는 저소음노즐(124a)과, 상기 고정관(128)의 외면에서 볼트나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123)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관(124c)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관(124b)은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이때 하측 외면에서 하나 이상의 저소음노즐(124a)이 체결되는 체결구(124b')가 돌출된다. 상기 체결구(124b')는, 예를 들면, 전면이 개구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외면을 갖고, 내면에서 상기 저소음노즐(124a)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일치되는 나사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장관(124b)은, 예를 들면, 네 개의 체결구(124b')가 형성되어 네 개의 상기 저소음노즐(124a)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관(124b)의 내측에서 전달된 고온 및 고압의 에어는 상기 연장관(124b)에서 상기 네 개의 저소음노즐(124a)에 분기되어 분사된다.
상기 수직관(124c)은 상기 연장관(124b)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관(128)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관(128)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직관(124c)은, 예를 들면, 외면에서 너트가 끼움 되면서 상기 고정관(128)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직관(124c)은 상단에 타 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에어가 공급되는 파이프(도시되지 않음)에 상기 수직관(124c)이 연결됨도 가능하다.
상기 저소음노즐(124a)은 상기 연장관(124b)의 하측에서 각각 형성되는 체결구(124b')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연장관(124b)을 통하여 전달된 고온의 에어를 분사한다.
상기 하부에어수단(130)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41)의 상면에서 상기 제1구동부(150)가 구동되면서 상기 회전롤러(151, 152) 또는 상기 회전롤러(151, 152)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벨트(153)에 의한 축전지(300)의 이송경로 양측에 하나 이상이 정렬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하부에어수단(130)은 상기 제1건조부(100)의 입력측에 설치되는 제1하부에어노즐(131)과, 상기 제1건조부(100)의 출력측에 설치되는 제2하부에어노즐(133)과, 상기 제1하부에어노즐(131)과 상기 제2하부에어노즐(133) 사이의 하부에어나이프(1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하부에어노즐(131)과 제2하부에어노즐(13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에서 하부에어노즐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하부에어노즐(131)과 제2하부에어노즐(133)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41)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히터(161) 및 에어모터(121)에 의하여 가열 및 압축된 에어를 상기 축전지(300)의 양측면에 분사한다.
이중 상기 제1하부에어노즐(131)과 제2하부에어노즐(133)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41)의 상면에서 고정되어 상향되도록 연장되는 하부연결관(131b)과, 상기 하부연결관(131b)에서 상하방향으로 정렬되어 고정되는 하부노즐(131a)과, 상기 하부연결관(131b)을 상기 제1지지프레임(141)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단(131c)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연결관(131b)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41)의 상면에서 상기 고정단(131c)에 의하여 고정되어 상향연장되는 파이프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연결관(131b)은 상기 제1히터(161)에 의하여 가열된 에어를 전달하는 파이프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부연결관(131b)은 일면에서 상기 하부노즐(131a)이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131b')가 상하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노즐(131a)은 상기 하부연결관(131b)의 체결구(131b')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하부연결관(131b)을 통하여 공급되는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한다. 이때 에어는 상기 이송벨트(153)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축전지(300)의 양측면에 분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건조부(100)는 입력측과 출력측에 각각 위치되는 입력측 회전롤러(151)와 출력측 회전롤러(152)의 회전에 의하여 입력측에서 출력측으로 축전지(300)를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축전지(300)는 상기 제1건조부(100)의 입력측에서 상기 제1상부에어노즐(126)로부터 분사된 에어가 상면에 가해지고, 상기 제1하부에어노즐(131)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양측면에 각각 가해진다.
이후, 상기 축전지(300)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41)의 입력측에서 중심, 중심에서 출력측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축전지(300)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141)의 중심방향 즉, 상기 상부에어나이프(125)와 하부에어나이프(132)가 정렬되는 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상부에어나이프(125)와 하부에어나이프(132)에서 가해지는 고온 및 고압의 에어가 상면과 양측면에 각각 가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에어나이프(125)와 하부에어나이프(132)는 통상 고온의 에어를 상기 제1 및 제2상부에어노즐(126, 127)과 제1 및 제2하부에어노즐(131, 132)에 비하여 더 큰 압력으로 에어를 분사하기 때문에 상기 축전지(300)의 상면과 양측면에 잔류된 물기를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축전지(300)는 상기 제1건조부(100)의 출력측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제2상부에어노즐(127)과 제2하부에어노즐(132)에 의해 분사되는 고온의 에어가 가해진다.
이와 같은 고온 및 고압의 에어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분사되면, 상기와 같은 고온 및 고압의 에어가 직접 접촉되는 축전지(300)의 상면과 양측면에 잔류된 물기가 축전지(300)의 외측으로 밀려나가거나 또는 밀폐된 하우징의 내측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증발되면서 상기 축전지(300)의 외면에 잔류된 물기가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1건조부(100)에 의한 1차 건조 이후에 제2건조부(200)에 의한 2차 건조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2건조부(200)는 상기 제1건조부(100)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1차 건조된 축전지(300)를 연속적으로 건조시켜 1차 건조 이후에 잔류된 물기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건조부(100)는 상기 축전지(300)의 상면과 양측면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가 가해짐에 따라서 상기 축전지(300)의 단측면에 에어가 가해지지 않았다. 여기서 상기 단측면은 상기 축전지(300)의 정면과 후면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2건조부(200)를 통하여 2차 건조과정을 통해 상기 축전지(300)의 단측면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가하여 1차 건조 이후에 잔류된 물기를 제거한다. 상기 제2건조부(20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의 건조장치에서 제2건조부(2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건조부(200)는 제2지지프레임(220)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제2하우징(210)과, 이송벨트의 상면에서 축전지(300)를 이동시키는 방향전환수단과, 제2건조부(200)의 입력측에 설치되는 입력측 회전롤러(251)와 상기 제2건조부(200)의 출력측에 설치되는 출력측 회전롤러(252)를 구비하는 제2구동부(250)(250)와, 상기 축전지(300)이동수단에 의하여 위치가 변동되는 축전지(300)의 장단측면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나이프(271~273) 및 에어노즐(261~263), 제2구동부(250)를 구동시키는 제2모터(241)와, 에어를 가열하는 제2히터(24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220)은 지면에서 일정높이를 갖는 상면과 상기 상면을 지지하는 네 개의 다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220)의 상면은 상기 제2구동부(250)의 입력측 회전롤러(251)와 출력측 회전롤러(252) 및 상기 입력측 회전롤러(251)와 출력측 회전롤러(252) 사이에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가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250)는 상기 입력측 회전롤러(251)와 출력측 회전롤러(252) 사이에서 회전되는 이송벨트(253)를 구비함도 가능하다.
상기 제2하우징(210)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220)의 상면을 밀폐시키고, 일면에서 개방가능한 도어(211)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210)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220)의 상면에서 구동되는 다 수개의 회전롤러(251, 252)에 의하여 이송되는 축전지(300)가 입력되는 입력측과 외부로 이송되는 출력측에 개방된 출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한다.
상기 제2모터(241)는 상기 제2구동부(250)에 구비된 입력측 회전롤러(251)와 출력측 회전롤러(252)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2히터(242)는 상기 에어나이프(271~273) 및 에어노즐(261~263)에서 분사되는 고온의 에어를 제공하며, 가열된 에어는 공급관(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상기 에어나이프(271~273)와 에어노즐(261~263)에 제공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에어나이프(271~273)와 에어노즐(261~263)과 제2히터(242)와 제2모터(241) 사이의 공급관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는 동업종에 종사하는 당업자라면 누구라도 실현가능한 공지된 기술이기에 도면 및 설명에서 생략하였다.
상기 전지가압수단(230)은 상기 제2건조부(200)의 입력측에서 축전지(300)를 측방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제1푸셔(231)와, 상기 제2건조부(200)의 출력측에서 축전지(300)를 타측방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제2푸셔(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푸셔(231)는 축전지(3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1가압판(231a)과, 상기 제1가압판(231a)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23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압판(231a)은 상기 축전지(300)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직립된 단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실린더(231b)의 구동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축전지(300)를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1푸셔(231)는 상기 제2건조부(200)의 입력측에서 일측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축전지(300)가 일측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이송되어 전방에 위치되면 상기 제1가압판(231a)이 제1실린더(231b)의 구동에 의하여 전방으로 전진하여 상기 축전지(300)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반대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건조부(200)는 상기 축전지(3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푸셔(231)를 구동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푸셔(232)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축전지(300)의 타측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판(232a)과, 상기 제2가압판(232a)을 전후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실린더(232b)를 포함한다.
상기 제2푸셔(232)는 상기 제1푸셔(231)에 의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상기 제2구동부(250)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는 축전지(300)가 상기 제2가압판(232a)의 정면에 위치됨을 감지하여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2푸셔(232)는 제1푸셔(231)와 마찬가지로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상기 축전지(3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축전지(300)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측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푸셔(232)에 의하여 위치가 바뀐 축전지(300)는 상기 제2건조부(200)의 출력측으로 이송되어 외부로 출력된다.
상기 에어나이프(271~273)는 입력측과 중간, 출력측에 각각 설치되어 이송되는 축전지(300)의 단측면과 장측면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에어나이프(271~273)는 입력측에 설치되는 제1에어나이프(271)와, 중간에 설치되는 제2에어나이프(272)와, 출력측에 설치되는 제3에어나이프(27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에어나이프(271)와 제3에어나이프(273)는 동일한 측방에 위치되어 축전지(300)의 일측면에 에어를 분사하고, 상기 제2에어나이프(272)는 상기 제1에어나이프(271)와 제3에어나이프(273)의 반대측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축전지(300)의 타측면에 에어를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에어나이프(271)는 입력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건조부(100)에서 이송되는 상기 축전지(300)의 일측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한다. 아울러 상기 제1에어나이프(271)는 상기 제1푸셔(231)와 동일한 측방에 설치된다.
상기 제2에어나이프(272)는 상기 제1푸셔(231)에 의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는 축전지(300)가 상기 제2구동부(250)의 구동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되어 전면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축전지(300)의 타측면에 에어를 분사한다. 상기 제2에어나이프(272)는 상기 제2푸셔(232)와 동일측방에 설치된다.
상기 제3에어나이프(273)는 상기 제2푸셔(232)에 의해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되어 제2건조부(200)의 출력측으로 나가는 상기 축전지(300)의 일측면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가한다.
상기 제1에어노즐(261)은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는 한 쌍으로서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여 축전지(300)에 고온의 에어가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제1에어노즐(261)은 한 쌍중에서 어느 하나는 축전지(300)의 후면을 지향하고, 다른 하나는 타측의 경사진 방향을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전지(300)가 상기 제1에어노즐(261)과 상기 제1에어나이프(271) 사이의 경로를 통하여 축전지(300)가 이송되어 상기 제1푸셔(231)에 의하여 타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축전지(300)의 후면은 상기 제1에어노즐(261)이 위치되는 곳을 지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에어노즐(261)은 한 쌍이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여 에어를 분사하기 때문에 상기 제1푸셔(231)에 의하여 측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축전지(300)의 타측면과 후면에 에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에어노즐(262)은 상기 제2에어나이프(272)의 반대측에서 설치되어 입력측으로 입력되는 축전지(300)의 정면과 일측면에 에어를 분사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에어노즐(262)은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는 한 쌍으로서 구비되어 상기 제1푸셔(231)의 전방까지 이동되는 축전지(300)의 전면에 에어를 분사하고, 이후 상기 제1푸셔(231)에 의하여 타측방향으로 이동시에는 경사진 방향을 지향하는 한 쌍의 제2에어노즐(262)중 하나에서 분사된 에어에 의하여 일측면이 건조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제2에어노즐(262)은 하나가 상기 축전지(300)의 정면을 지향하고, 다른 하나는 타측 경사진 방향을 지향하여 상기 축전지(300)의 정면과 일측면에 에어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에어노즐(263)은 상기 제2건조부(200)의 출력측에서 상기 제2푸셔(232)의 전방으로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한 쌍으로서, 이중 하나는 이송되는 축전지(300)의 정면, 다른 하나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되는 축전지(300)의 정면에서 타측면에 에어를 분사하도록 타측을 경사지도록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3에어노즐(263)은 상기 제2푸셔(232)의 정면으로 이동되는 축전지(300)의 정면에 에어를 분사하다가, 상기 제2푸셔(232)에 의하여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되면 다른 하나의 에어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하여 정면에서 타측에 걸쳐 에어가 접촉되어 건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2건조부(200)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에어노즐(261~263)과, 직선방향을 지향하여 고압 및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제1 내지 제3에어나이프(271~273)를 통하여 상기 제1푸셔(231)와 제2푸셔(232)에 의한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축전지(300)의 전후면과 양측면을 모두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장치에서 세척되어 물기가 잔류된 축전지를 제1건조부에서 상면과 양측면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1차 건조한다. 이때 큰 용량의 물기가 고압에 의하여 날아가 버리게 되며, 남은 잔여 물기는 2차 건조과정에서 보다 세밀한 부위에 고온의 에어가 분사되어 건조된다.
즉, 본 발명은 제2건조부(200)의 2차건조과정에서 제1푸셔(231)와 제2푸셔(232)를 통하여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제1 내지 제3 에어나이프(271~273)와 제1 내지 제3에어노즐(261~263)에 의하여 축전지(300)의 양측면과 전후면에 에어를 가하여 잔류된 물기를 제거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완벽한 건조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제1건조부 110 : 제1하우징
120 : 상부에어수단 121 : 에어모터
122 : 지지관 123 : 고정수단
124 : 고정플레이트 125 : 상부에어나이프
126 : 제1상부에어노즐 127 : 제2상부에어노즐
128 : 고정관 129 : 고정봉
130 : 하부에어수단 141 : 제1지지프레임
142 : 제1보조지지프레임 150 : 제1구동부
151, 251 : 입력측 회전롤러
152, 252 : 출력측 회전롤러 153 : 이송벨트
161 : 제1히터 162 : 제1모터
200 : 제2건조부 210 : 제2하우징
211 : 제2도어 220 : 제2지지프레임
230 : 전지가압수단 231 : 제1푸셔
231a : 제1가압판 231b : 제1실린더
232 : 제2푸셔 232a : 제2가압판
232b : 제2실린더 241 : 제2모터
242 : 제2히터 261 : 제1에어노즐
262 : 제2에어노즐 263 : 제3에어노즐
271 : 제1에어나이프 272 : 제2에어나이프
273 : 제3에어나이프 300 : 축전지

Claims (10)

  1. 세척된 축전지에 잔류된 물기를 건조하기 위한 축전지의 건조장치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축전지의 상면과 양측면에서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가하여 1차 건조하는 제1건조부; 및
    상기 제1건조부에서 1차 건조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축전지의 전후면과 양측면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가하여 2차 건조하는 제2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건조부는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가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축전지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측을 밀폐시키는 제1하우징의 천정면에서 상기 축전지의 이송경로를 따라 연장 및 고정되어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에어를 고압으로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분사하는 상부에어수단; 및
    상기 축전지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정렬되어 상기 축전지의 양측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하부에어수단을 포함하는 축전지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에어수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천정면에서 고정되고, 축전지가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입력측에서 상기 제2건조부로 출력되는 출력측까지 연장형성되는 고정관;
    상기 제1하우징의 입력측에서 상기 고정관에 하나 이상이 정렬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입력측에 진입되는 축전지의 상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제1상부에어노즐;
    상기 제1하우징의 출력측에서 상기 고정관에 하나 이상이 정렬 및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출력측으로 이송되는 축전지의 상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제2상부에어노즐; 및
    상기 제1상부에어노즐과 상기 제2상부에어노즐 사이의 위치에서 하나 이상이 상기 고정관에 정렬 및 고정되어 상기 축전지의 상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상부에어나이프를 포함하는 축전지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에어수단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하측 끝단이 상기 고정관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측 끝단이 상기 하우징의 천정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고정봉;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에서 상기 고정봉이 삽입 및 고정되도록 베어링이 안착되는 내면을 갖고 관통형성되어 상기 고정봉이 풀림 또는 조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축전지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에어수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입력측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하나 이상이 고정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제1하우징의 입력측으로 진입되는 상기 축전지의 양측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제1하부에어노즐;
    상기 제1하우징의 출력측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하나 이상이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출력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축전지의 양측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제2하부에어노즐;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입력측과 출력측 사이의 지지프레임 상면에서 하나 이상이 상호 대향된 위치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입력측에서 출력측으로 이송되는 축전지의 양측면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에어나이프를 포함하는 축전지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에어노즐 및 제2하부에어노즐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어 내측으로 고온의 에어를 전달하는 하부연결관; 및
    상기 하부연결관의 일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하부연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노즐을 포함하는 축전지건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에어노즐 및 제2상부에어노즐은
    수평으로 연장되어 하면에서 하향 연장되어 전면이 개구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가 형성되는 연장관;
    상기 체결구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연장관의 내측에서 전달되는 고온의 에어를 하향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저소음노즐; 및
    상기 연장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관의 외면에 연결되는 수직관을 포함하는 축전지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부는
    제2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가 회전되어 상기 제1건조부에서 이송된 축전지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가 상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지지프레임;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면을 밀폐시키되, 상기 축전지가 입력되는 입력측과 축전지가 외부로 인출되는 출력측에서 각각 출입구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면 양측에서 하나 이상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입력측에서 출력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축전지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에어노즐과 에어나이프를 포함하는 축전지건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건조부는
    상기 입력측에서 이송되는 상기 축전지가 전방에 위치되면 제1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가압판이 상기 축전지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푸셔; 및
    제2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가압판을 구비하여 상기 제1푸셔와 경사진 방향으로 대향된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제1푸셔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된 이후에 전방으로 이송된 상기 축전지의 타측면을 상기 제2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전진하는 상기 제2가압판이 가압하여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푸셔를 포함하는 축전지건조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노즐은 직선방향과 경사진 방향을 각각 지향하는 두 개의 에어노즐이 각각 쌍을 이루고,
    입력측에서 출력측을 지향하여 고정되어 상기 제1푸셔에 의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위치가 이동되는 상기 축전지의 후면과 타측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제1에어노즐;
    상기 입력측과 출력측 사이에서 상기 입력측을 지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제1푸셔에 의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축전지의 정면과 일측면에 고온의 에어를 분사하는 제2에어노즐;
    상기 출력측에서 상기 입력측을 지향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2푸셔에 의하여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축전지의 전면과 타측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3에어노즐을 포함하는 축전지건조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에어나이프는
    상기 입력측에서 상기 축전지의 일측면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도록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제1에어나이프;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1푸셔에 의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된 이후에 전방으로 이송되는 축전지의 타측면에 고온 및 고압이 에어를 분사하는 제2에어나이프; 및
    상기 제2푸셔에 의하여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된 이후에 상기 제2건조부의 출력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축전지의 일측면에 고온 및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도록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출력측에서 일측에 고정되는 제3에어나이프를 포함하는 축전지건조장치.
KR1020120065767A 2012-06-19 2012-06-19 축전지의 건조장치 KR101382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767A KR101382013B1 (ko) 2012-06-19 2012-06-19 축전지의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767A KR101382013B1 (ko) 2012-06-19 2012-06-19 축전지의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499A KR20130142499A (ko) 2013-12-30
KR101382013B1 true KR101382013B1 (ko) 2014-04-04

Family

ID=4998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767A KR101382013B1 (ko) 2012-06-19 2012-06-19 축전지의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384B1 (ko) * 2016-07-27 2018-08-09 (주)신진초음파 이브이 원통형 전지의 세척 및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3847A1 (en) * 2018-04-12 2019-10-16 Mann+Hummel GmbH Battery air dryer, battery system and electric vehicle battery
CN116598603B (zh) * 2023-05-12 2023-10-03 小洋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蓄电池生产的固化干燥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5817A (ja) * 1997-03-13 1998-09-25 Fuji Photo Film Co Ltd 電池の洗浄・乾燥方法
JP2002008722A (ja) * 2000-06-16 2002-01-11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ポリマー電解質を有する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20040084024A (ko) * 2003-03-26 2004-10-06 코리아엠테크 셀 세척기
KR20070035310A (ko) * 2005-09-27 2007-03-30 세메스 주식회사 건조장치용 에어나이프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5817A (ja) * 1997-03-13 1998-09-25 Fuji Photo Film Co Ltd 電池の洗浄・乾燥方法
JP2002008722A (ja) * 2000-06-16 2002-01-11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ポリマー電解質を有する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20040084024A (ko) * 2003-03-26 2004-10-06 코리아엠테크 셀 세척기
KR20070035310A (ko) * 2005-09-27 2007-03-30 세메스 주식회사 건조장치용 에어나이프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384B1 (ko) * 2016-07-27 2018-08-09 (주)신진초음파 이브이 원통형 전지의 세척 및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499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571B1 (ko) 오에스디 커버가 구비된 이브이 각형 전지의 세척 및 건조장치
KR101382013B1 (ko) 축전지의 건조장치
KR101886384B1 (ko) 이브이 원통형 전지의 세척 및 건조장치
KR101338643B1 (ko) 축전지의 수세장치
CN108151507B (zh) 一种纺织袜子生产运输烘干除湿装置
KR20180012508A (ko) 이브이 각형 전지의 세척 및 건조장치
CN203975939U (zh) 一种输送系统
CN204538131U (zh) 干燥注液一体机
CN103861841B (zh) 发动机缸盖滚筒式清洗设备
CN206230741U (zh) 一种医疗废弃塑料用品处理装置
CN210816618U (zh) 用于电芯托盘的清洁装置
KR101340228B1 (ko) 축전지의 건조장치
CN108620386A (zh) 一种清洗干净的螺栓清洗设备
CN204223743U (zh) 一种设有清洗装置的胶带输送机
CN204074609U (zh) 发动机缸盖滚筒式清洗设备
CN112704013B (zh) 一种牛粪清理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532608B1 (ko) 원통형 이차전지의 방청 및 세척, 건조를 위한 시스템
KR100547397B1 (ko) 셀 세척기
JP6057129B2 (ja)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CN105890847A (zh) 一种密封件检漏装置
CN217800128U (zh) 一种焊接组装线
CN215684560U (zh) 蛋品传送喷油覆膜装置
JP3450066B2 (ja) コイン型電池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CN113695749B (zh) 一种工件表面激光处理设备
CN216757373U (zh) 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