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346B1 -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346B1
KR101381346B1 KR1020120112503A KR20120112503A KR101381346B1 KR 101381346 B1 KR101381346 B1 KR 101381346B1 KR 1020120112503 A KR1020120112503 A KR 1020120112503A KR 20120112503 A KR20120112503 A KR 20120112503A KR 101381346 B1 KR101381346 B1 KR 101381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guide bar
switch
magnet
linka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준
고기녕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2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2Range selector apparatus with different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는, 차량의 스포츠 모드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와 변속 검출 모듈을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로 제공하는 구성을 갖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속 검출 모듈 및 스위치를 변속검출 구성에 구비하기 위한 생산 조립 공정을 대폭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생산 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INTEGRATED DOUBLE CLUTCH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스포츠 모드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와 변속 검출 모듈을 통합형으로 구현한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속 모듈은 클러치와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상태 변화에 따라서 엔진의 구동력을 적절히 변속시키는 장치로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변속 모듈이 조작되도록 하는 변속조작기구가 구비된다.
이때, 수동 변속기에서 자동 변속기의 변속감을 얻기 위하여 변속 검출 모듈이 장착되며, 변속 검출 모듈은 수동 변속기의 우수한 연비와 스포티한 주행 성능에 자동 변속기가 가지는 운전의 편의성과 부드러운 변속 성능을 겸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은 변속 검출 모듈은 습식 타입(Wet type)과 건식 타입(Dry type)으로 구분 가능하다.
먼저 습식 타입은 자동 변속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습식 다판 클러치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클러치드럼을 변속 모듈의 입력단측에 위치시켜 엔진의 동력을 변속 모듈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반면에 건식 타입은 변속 모듈의 클러치와 유사한 구조에 유효 반경이 큰 외측 클러치와 반경이 작은 내측 클러치 2개를 평행하게 배치하여 1,3,5속(홀수단) 구동시에는 외측 클러치를 직결시키고, 2,4,6속(짝수단) 구동시에는 내측 클러치를 직결시켜 엔진의 동력을 변속 모듈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자동변속기는 변속기 내 오일을 매개로 하여 동력을 전달하므로, 기어와 기어 사이의 직접적 전동 메커니즘을 갖는 수동변속기에 비하여 에너지 손실이 높아서 연비가 대체로 낮다.
이러한 자동변속기가 갖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변속 레버가 파킹(P)-후진(R)-중립(N)-주행(D)로 이루어지는 메인 변속단 이외에 별도의 스포츠 모드로서 업-다운 방식으로 조작되는 스포츠 모드 변속단(즉, M 변속단)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운전자의 변속 레버 조작에 의해 변속단이 스포츠 모드 변속단으로 바뀌는 경우, 변속 레버의 하단 일 측과 연동하는 스위치에 의해 상기 스포츠 모드 변속단으로 변속 전환된 것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변속검출 구성 중 변속 검출 모듈 및 스위치는 스포츠 모드에서 동작한다는 부품의 고유 특징을 공유하면서도 각각 별개로 구비된다.
이에, 변속 검출 모듈 및 스위치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브라켓 베이스가 복잡해지고, 변속 검출 모듈 및 스위치와 관련된 신호 전달을 위해 커넥터 및 와이어 또한 각각 구비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변속 검출 모듈 및 스위치를 각각 결합하기 위한 인서트 사출 부품도 세부 공정에서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변속 검출 모듈 및 스위치를 변속검출 구성에 구비하기 위한 생산 조립 공정이 단순하지 못하여 이로 인해 생산 비용이 향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스포츠 모드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와 변속 검출 모듈을 통합형으로 구현한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는, 변속 레버의 제1 연동 축 돌기로부터 전해지는 가압에 따라 스포츠 모드의 변속단에 대한 선택 여부를 검출하는 스위치 및 상기 변속 레버의 제2 연동 축 돌기에 의한 위치 이동 방향 및 위치 이동 폭에 따라 변속단의 종류를 검출하는 변속 검출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연동 축 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홀, 상기 제1 연동 축 돌기의 가압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 가이드 바, 상기 제1 가이드 바의 끝단 일측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넷 및 상기 제1 마그넷의 자기장 세기를 검출하는 제1 홀 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연동 축 돌기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이후 삽입된 제1 연동 축 돌기를 구속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가이드 바에 대해 탄성 반발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이드 바를 원 위치로 탄성 복원하기 위한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연동 축 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홀, 상기 제1 연동 축 돌기의 가압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 가이드 바 및 상기 제1 가이드 바의 위치 이동을 검출하는 포토 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연동 축 돌기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이후 삽입된 제1 연동 축 돌기를 구속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가이드 바에 대해 탄성 반발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이드 바를 원 위치로 탄성 복원하기 위한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속 검출 모듈은 상기 제2 연동 축 돌기에 의한 위치 이동 방향 및 위치 이동 폭에 대해 연동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마그넷 및 상기 제2 마그넷에 의한 자기장 세기를 검출하는 제2 홀 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홀 센서는 상기 제2 마그넷의 회전 방향 및 회전 크기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에 대한 검출이 기 정해진 비율 이상으로 확보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홀 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스포츠 모드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와 변속 검출 모듈을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변속 검출 모듈 및 스위치를 변속검출 구성에 구비하기 위한 생산 조립 공정을 대폭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가 장착된 정면 상태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가 장착된 후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가 장착된 정면 상태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가 장착된 후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는 스위치(110) 및 변속 검출 모듈(120)을 단일 모듈 내에 통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변속 레버(200)가 주차(P), 후진(R), 중립(N) 및 주행(D)로 이루어지는 메인 변속단 이외에 업-다운 방식으로 수동 변속이 가능한 스포츠 모드의 변속단으로 위치 이동하는 경우, 스위치는 상기 변속 레버(20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스포츠 모드의 변속단으로 변경된 것을 검출한다.
이후, 스위치는 스포츠 모드의 변속단으로 변경된 것을 검출한 것에 기초한 변속단 검출정보를 전자제어유닛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는 변속 수행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변속 레버(200)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며, 변속 레버(200)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로 인해 스위치는 변속 레버(200)의 상대적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 내에 고정 위치된 상태이고, 더 상세하게는 변속 레버(200)가 주차(P), 후진(R), 중립(N) 및 주행(D)로 이루어지는 메인 변속단을 특정하기 위해 전/후로 위치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메인 변속단이 아닌 스포츠 모드의 변속단을 특정하기 위해 측면으로 변속 위치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 내에 고정 위치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즉, 변속 레버(200)가 스포츠 모드의 변속단을 특정하기 위한 변속 위치로 변경된 경우, 스포츠 모드의 변속단을 특정하기 위한 변속 위치로 변속 레버(200)가 위치 이동함에 따라 변속 레버(2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1 연동 축 돌기(미도시)도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한다.
스위치는 상기 제1 연동 축 돌기(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홀(111)을 구비하며, 상기 변속 레버(20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제1 연동 축 돌기(미도시)를 결합홀(111)에 선택적으로 수용한다.
결합홀(111)에 제1 연동 축 돌기(미도시)가 삽입되면, 제1 연동 축 돌기(미도시)의 가압에 의해 상기 결합홀(111)의 관통 내부 부분에 위치한 제1 가이드 바(112)가 하단 부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즉, 제1 연동 축 돌기(미도시)와 접촉하는 가이드 바의 접촉 영역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가이드 바(112)의 경사면의 경사 방향도 제1 연동 축 돌기(미도시)의 가압에 의해 하측으로 제1 가이드 바(112)를 위치 이동할 수 있는 방향으로 경사진 것으로 이루어진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가이드 바(112) 하단 일측에는 제1 마그넷(113)이 결합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제1 마그넷(113)은 제1 가이드 바(112)의 위치 이동과 함께 위 아래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 가이드 바(112)가 하측으로 위치 이동하는 끝단 부분에 제1 홀 센서(114)가 구비되어, 제1 홀 센서(114)의 감지 영역 내로 제1 마그넷(113)이 위치 이동하게 되면 제1 홀 센서(114)는 제1 마그넷(113)의 자기장 세기를 검출한다.
제1 홀 센서(114)가 제1 마그넷(113)의 자기장 세기를 검출한다는 것은 변속 레버(200)가 스포츠 모드의 변속단으로 변경된 것을 검출한다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제1 홀 센서(114)는 제1 마그넷(113)의 자기장 세기를 검출한 경우 검출된 센서 신호를 전자제어유닛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결합홀(111)의 양측부에는 결합홀(111)에 제1 연동 축 돌기(미도시)가 삽입된 이후 삽입된 제1 연동 축 돌기(미도시)를 구속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바(115)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홀(111)의 양 측부에 각각 구비된 제2 가이드 바(115)는 제1 탄성 부재(116)의 탄성 반발력을 통해 결합홀(111)에 삽입된 제1 연동 축 돌기(미도시)에 대한 구속력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제1 가이드 바(112)의 끝단과 맞닿는 부분에는 제1 연동 축 돌기(미도시)의 가압에 의해 위치 이동한 제1 가이드 바(112)를 원 위치로 탄성 복원하기 위한 제2 탄성 부재(117)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스위치를 이루는 구성들 중 제1 마그넷(113) 및 제1 홀 센서(114)는 포토 센서(미도시)로 대체되어 제1 가이드 바(112)의 위치 이동을 검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제1 연동 축 돌기(미도시)가 결합홀(111)에 삽입된 틈으로 빛이 결합홀(111)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제1 연동 축 돌기(미도시)의 가압에 의해 밀려 내려오는 제1 가이드 바(112)로 인해 결합홀(111)으로 스며든 빛도 함께 제1 가이드 바(112)의 하단 측에 위치한 포토 센서(미도시)에 노출될 수 있다.
즉, 포토 센서(미도시)가 빛을 감지하여 센서 신호를 생성한 후 전자제어유닛으로 생성된 센서 신호를 전달할 경우, 전자제어유닛은 스포츠 모드의 변속단으로 변속 제어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변속 검출 모듈(120)은 변속 레버(200)의 조작 상태로부터 운전자가 선택한 변속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전자제어유닛에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변속 검출 모듈(120)은 DCT(Double Clutch Transmission)를 일컫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변속 검출 모듈(120)은 상기 언급된 스위치와 단일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기 용이한 구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변속 검출 모듈(120)이 변속 레버(200)의 조작 상태로부터 변속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변속 레버(200)가 주차(P), 후진(R), 중립(N) 및 주행(D)로 이루어지는 메인 변속단으로 동작하거나, 수동 변속이 가능한 스포츠 모드의 변속단에서 업 또는 다운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동작하는 경우, 변속 레버(200)의 하부 다른 일측에 형성된 제2 연동 축 돌기(210)도 함께 위치 이동한다.
제2 연동 축 돌기(210)의 위치 이동은 변속 레버(200)의 위치 이동에 의한 것이므로, 변속 레버(200)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에 의해 더불어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한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2 연동 축 돌기(210)의 위치 이동은 변속 레버(200)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이나, 더 구체적으로 제2 연동 축 돌기(210)의 위치 이동을 측면 관점에서 관측하면 변속 검출 모듈(120)과의 연동 구조를 고려하여 일정 범위 내의 각도 내에서 호를 이루는 회전 궤적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즉, 변속 검출 모듈(120)은 제2 연동 축 돌기(210)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함께 위치 이동하기 위한 회전 부재(121)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 부재(121)는 일측이 개방된 일자형 슬롯을 포함하는 형태로서, 일자형 슬롯의 개방된 일측 부분으로 제2 연동 축 돌기(210)를 끼워 넣음에 따라 회전 부재(121) 및 제2 연동 축 돌기(210) 간을 결합한다.
즉, 제2 연동 축 돌기(210)는 회전 부재(121)에 결합 된 상태로 지속 된다.
이후, 변속 레버(200)에 의해 지정되는 변속단에 대응하여 제2 연동 축 돌기(210)도 상기 언급된 회전 궤적으로 위치 이동함에 따라, 제2 연동 축 돌기(210)의 위치 이동된 회전 궤적만큼 회전 부재(121)도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 궤적으로 위치 이동된다.
또한, 회전 부재(121)의 어느 한 일측에는 제2 마그넷(122)이 구비되어 있는바, 회전 부재(121)의 특정 방향에 대한 회전 궤적은 곧 제2 마그넷(122)의 위치 이동으로 전달된다.
또한, 회전 부재(121)의 회전 궤적이 이루어지는 영역 내에는 제2 홀 센서(123)가 구비되어, 제2 홀 센서(123)의 감지 영역 내에서 제2 마그넷(122)이 위치 이동하게 되면 제2 홀 센서(123)는 제2 마그넷(122)의 자기장 세기를 검출한다.
여기서, 제2 홀 센서(123)는 제2 마그넷(12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를 검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변속 검출 모듈(120)의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한 것에 일환이 될 수 있다.
즉, 제2 홀 센서(123)는 제2 마그넷(12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가 최대가 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자기장 검출에 효율적이므로, 제2 마그넷(122)이 구비된 평면을 기준으로 할 때 제2 마그넷(122)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2 마그넷(122)의 위쪽에 제2 홀 센서(123)가 구비되는 경우, 제2 홀 센서(123)는 회전 부재(121)의 시계 방향 회전 시에 제2 마그넷(122)으로부터 제공되는 자기장 세기를 검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위 경우에 제2 홀 센서(123)는 회전 부재(121)의 시계 방향 회전 시에 제2 마그넷(122)으로부터 제공되는 자기장 세기를 상기와 다른 자기장 방향으로 설정하여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제2 마그넷(122)의 아래쪽에 제2 홀 센서(123)가 구비되는 경우, 제2 홀 센서(123)는 회전 부재(121)의 반 시계 방향 회전 시에 제2 마그넷(122)으로부터 제공되는 자기장 세기를 검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제2 홀 센서(123)는 회전 부재(121)의 반 시계 방향 회전 시에 제2 마그넷(122)으로부터 제공되는 자기장 세기를 상기와 다른 자기장 방향으로 설정하여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홀 센서(123)는 제2 마그넷(122)의 위쪽 및 아래쪽에 모두 구비되어 제2 마그넷(122)의 자기장 세기 및 방향을 더욱 정밀하게 판정하기 위한 구성을 갖추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홀 센서(123)가 제2 마그넷(122)의 자기장 세기를 검출한다는 것은 변속 조작된 메인 변속단의 종류 또는 스포츠 모드의 변속단에서 수행되는 업 또는 다운 변속을 검출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제2 홀 센서(123)는 제2 마그넷(122)의 자기장 세기를 검출하는 경우 검출된 센서 신호를 전자제어유닛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회전 부재(121)가 시계 방향의 5°각도로 회전하면 제1 변속단, 시계 방향의 10°각도로 회전하면 제2 변속단, 시계 방향의 15°각도로 회전하면 제3 변속단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회전 부재(121)가 반 시계 방향의 15°각도로 회전하면 제3 변속단, 반 시계 방향의 10°각도로 회전하면 제2 변속단, 반 시계 방향의 5°각도로 회전하면 제1 변속단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회전 부재(121)의 기준 위치가 10°각도인 경우 10°각도에 위치한 상태이면 제2 변속단, 시계 방향의 5°각도로 회전하면 제1 변속단, 반 시계 방향의 5°각도로 회전하면 제3 변속단 등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스포츠 모드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와 변속 검출 모듈을 통합형으로 구현한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110: 스위치 111: 결합홀
112: 제1 가이드 바 113: 제1 마그넷
114: 제1 홀 센서 115: 제2 가이드 바
116: 제1 탄성 부재 117: 제2 탄성 부재
120: 변속 검출 모듈 121: 회전 부재
122: 제2 마그넷 123: 제2 홀 센서 .
200: 변속 레버 210: 제2 연동 축 돌기

Claims (12)

  1. 변속 레버의 제1 연동 축 돌기로부터 전해지는 가압에 따라 스포츠 모드의 변속단에 대한 선택 여부를 검출하는 스위치; 및
    상기 변속 레버의 제2 연동 축 돌기에 의한 위치 이동 방향 및 위치 이동 폭에 따라 변속단의 종류를 검출하는 변속 검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연동 축 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홀;
    상기 제1 연동 축 돌기의 가압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 가이드 바; 및
    상기 제1 연동 축 돌기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이후 삽입된 제1 연동 축 돌기를 구속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는,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가이드 바의 끝단 일측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넷; 및
    상기 제1 마그넷의 자기장 세기를 검출하는 제1 홀 센서;를 더 포함하는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바에 대해 탄성 반발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바를 원 위치로 탄성 복원하기 위한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연동 축 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홀;
    상기 제1 연동 축 돌기의 가압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 가이드 바; 및
    상기 제1 가이드 바의 위치 이동을 검출하는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연동 축 돌기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이후 삽입된 제1 연동 축 돌기를 구속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는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바에 대해 탄성 반발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바를 원 위치로 탄성 복원하기 위한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10. 변속 레버의 제1 연동 축 돌기로부터 전해지는 가입에 따라 스포츠 모드의 변속단에 대한 선택 여부를 검출하는 스위치; 및
    상기 변속 레버의 제2 연동 축 돌기에 의한 위치 이동 방향 및 위치 이동 폭에 따라 변속단의 종류를 검출하는 변속 검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변속 검출 모듈은,
    상기 제2 연동 축 돌기에 의한 위치 이동 방향 및 위치 이동 폭에 대해 연동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마그넷; 및
    상기 제2 마그넷에 의한 자기장 세기를 검출하는 제2 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변속 검출 모듈은 상기 스위치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자동 변속단을 검출하고, 상기 스위치가 인식되어 스포츠 모드의 변속단에 대한 선택이 검출되면 업 또는 다운 변속단을 검출하는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 센서는 상기 제2 마그넷의 회전 방향 및 회전 크기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 세기에 대한 검출이 기 정해진 비율 이상으로 확보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 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는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KR1020120112503A 2012-10-10 2012-10-10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KR101381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503A KR101381346B1 (ko) 2012-10-10 2012-10-10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503A KR101381346B1 (ko) 2012-10-10 2012-10-10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346B1 true KR101381346B1 (ko) 2014-04-04

Family

ID=5065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503A KR101381346B1 (ko) 2012-10-10 2012-10-10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3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766B1 (ko) * 2014-05-08 201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버 모듈
KR20170003435U (ko) * 2016-03-25 2017-10-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7144A (ja) * 2002-12-26 2004-07-22 Kojima Press Co Ltd 非接触スイッチ
KR100800126B1 (ko) * 2006-08-17 2008-01-31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 레버
KR100955915B1 (ko) * 2008-04-21 2010-05-03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 장치
KR20110024518A (ko) * 2009-09-02 2011-03-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7144A (ja) * 2002-12-26 2004-07-22 Kojima Press Co Ltd 非接触スイッチ
KR100800126B1 (ko) * 2006-08-17 2008-01-31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 레버
KR100955915B1 (ko) * 2008-04-21 2010-05-03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 장치
KR20110024518A (ko) * 2009-09-02 2011-03-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766B1 (ko) * 2014-05-08 201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버 모듈
US9556951B2 (en) 2014-05-08 2017-01-31 Hyundai Motor Company Gear-shift lever module
KR20170003435U (ko) * 2016-03-25 2017-10-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KR200492977Y1 (ko) * 2016-03-25 2021-01-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607B1 (ko)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US8006798B2 (en) Vehicle having a shift lever on a handlebar thereof
JP4516485B2 (ja) 自動二輪車用変速装置、自動二輪車及び自動二輪車の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CN102486228A (zh) 用于手动变速器的换档装置
CN105715780B (zh) 用于车辆的一体式电子换挡杆组件
US8230962B2 (en) Vehicle with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having a reverse gear
KR100955915B1 (ko) 전자식 변속 장치
JP4886606B2 (ja) レバー装置
JP2000170887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シフトレバ―組立体
EP2789878B1 (en) Automatic transmission
KR101381346B1 (ko) 통합형 변속 검출 장치
CN104999911A (zh) 用于变速箱的换挡装置
JP6151020B2 (ja) ク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ユニット
KR20020018972A (ko) 차량용 변속 제어장치
CN111720532A (zh) 用于车辆的换挡杆装置
JP2007177874A (ja) 変速装置
KR101336612B1 (ko) 비접촉식 변속제어모듈 및 이것이 적용된 변속시스템
JP2006052803A (ja) 電動多段変速機
KR101823258B1 (ko) 차량 변속기 쉬프트레버의 기어변환 검출 장치
KR101916833B1 (ko) 자동화 변속기의 변속기구
KR20100029113A (ko) 전자식 변속 장치
KR20200070947A (ko) 차량용 변속레버의 위치결정장치
KR100844703B1 (ko) 자동변속기의 스포츠 모드 업/다운 스위치
KR101338776B1 (ko) 변속 레버 조작감 향상 장치
JP5834760B2 (ja) 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