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837B1 - 신규한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 Google Patents
신규한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0837B1 KR101380837B1 KR1020110043589A KR20110043589A KR101380837B1 KR 101380837 B1 KR101380837 B1 KR 101380837B1 KR 1020110043589 A KR1020110043589 A KR 1020110043589A KR 20110043589 A KR20110043589 A KR 20110043589A KR 101380837 B1 KR101380837 B1 KR 1013808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und
- group
- dye
- derivative
- solar ce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brid Cell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계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도체를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염료로 사용하여 광전변환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기에 알킬기를 도입함으로써 염료 분자간의 응집이 방지되고 열적, 광적 안정성이 향상되므로, 준고상 전해질을 사용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염료 및 고분자/단분자 혼합형 태양전지의 단분자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규한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 및 이를 사용하는 유기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유기태양전지(Organic Photovoltaics, Organic Solar Cells)는 광기전력효과에 의해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유기태양전지에는 빛을 흡수하는 활성층에 유기반도체 혹은 유기 분자를 포함하고 있다.
유기태양전지의 특성은 재료의 저가성, 공정의 용이성 및 유연성을 지닌 재료와의 호환성 등이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차세대 태양전지로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기태양전지의 가장 보편적인 기술로서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기상증착 또는 용액공정에 기반을 둔 고분자, 유기저분자, 고분자/플러렌 등을 이용한 유기태양전지 등이 있다.
고분자/단분자 혼합형 태양전지(Bulk heterojunction solar cells, BHJ)는 유기태양전지의 중요한 연구분야 중 하나이다. 고분자/단분자 혼합형 태양전지는 전자주게(Electron-donor)와 전자받게(Electron-acceptor)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그들의 계면에서 전하가 생성되어 결과적으로 홀/전자의 이동이 각각 전자주게/전자받게 분자의 자기조립 구조를 따라 이루어지는 광전변환효과의 적용에 가장 이상적인 장치이다.
대표적인 고분자/단분자 혼합형 태양전지의 구성물질은 P3HT[poly(3-hexylthiophene)]/PCBM[(6,6)-phenyl-C61-butyric acid methyl ester]로서 4~5%의 효율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P3HT은 좁은 광흡수 영역을 가지는 단점 때문에 더 이상의 효율 증대를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로우-밴드갭(low-bandgap) 고분자 또는 유기 저분자 염료가 전자주게기로서의 역할로서 개발되고 있다.
원초적으로 유기 저분자는 분자구조의 다양성과 합성 및 정제의 용이성, 아울러 광전자적인 성질에 근거한 분자구조의 변환이 용이한 장점들을 지니고 있다.
아울러 실제 소자 제작시에 분자들 간의 정렬된 형태의 자기조립성질을 지니고 있으므로 높은 전하 이동도를 나타내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장점들로 인해 고분자/단분자 혼합형 태양전지의 전자주게로서의 유기 저분자 염료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와는 달리 감광성 염료분자와 전이금속 산화물을 구성 재료로 하는 광전기 화학적 태양전지이다. 상세하게 상기 감광성 염료분자는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전자-홀 쌍(electron-hole pair)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자가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에 의해 기판으로 전달되어 광전기화학적 특성을 갖는다.
지금까지 알려진 염료감응 태양전지 중 대표적인 예가 스위스의 그라첼(Gratzel) 등에 의하여 발표된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있다(미국 특허 제4,927,721호 및 미국 특허 제 5,350,644호). 일반적으로 그라첼 등에 의한 염료감응 태양전지들은 염료분자가 입혀진 나노입자 이산화티탄(TiO2)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전극, 백금 전극, 그리고 이들 사이에 채워진 전해질 용액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전력당 제조 원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태양전지로 유용성이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아 왔다.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이용되는 염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유기금속 염료(organometallic dye)이고, 다른 하나는 유기염료(organic dye)이다.
<유기금속 염료의 예>
미국특허 제5,350,644호에는 유기금속 염료로서 Ru(II)-폴리피리딜 화합물을 연결시킨 Ru(dcb)(bpy)2 2+가 주요 염료로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6,350,946호, 미국특허 제6,291,763호, 미국특허 제6,310, 262호, 일본특허 특개2000-294306에는 Ru, Os, Cu, Zn 등의 전이 금속에 질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리간드를 포함하는 염료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염료들 중에서 나노입자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Ru계 염료로 붉은 주홍색과 진한 청색을 나타내는 상기 화학식의 화합물들이(상표명: 'N719', 'N3' 등) 유기금속 염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기염료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높은 흡광효율을 나타내고, 유기금속 염료에 비해 저가 합성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점차 주목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유기염료는 여기 상태에서의 지속시간이 짧고, 염료의 응집(aggregation) 현상이 발생하여, 효율이 우수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응집이 방지되며, 효율이 우수한 신규한 유기염료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현재 기본적으로 제작되어지고 있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셀은 액체 전해질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액체 전해질은 모듈제작시 밀봉의 한계성과 장기간 안정성에 대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문제점을 내포한 액체 전해질을 대체하기 위한 고체상 전해질의 개발이 필연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고체 전해질에는 p-형 무기반도체, 유기 정공 전달 물질 및 고분자 전해질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염료의 응집이 발생하지 않고 광전변환효율이 우수한 염료를 연구하던 중, 신규한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가 액체 전해질 및 특히 준고상 전해질을 사용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광전변환효율이 우수한 염료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를 염료로 사용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를 단분자로 사용하는 고분자/단분자 혼합형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H, C1-20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 , 비치환 또는 C1-20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2-20 직쇄 또는 측쇄 알케닐기, C2-20 직쇄 또는 측쇄 알키닐기, C1-20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및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 치환된 C5-12 아릴 C1-4 알킬옥시기이고;
R2, R3, R4 및 R5는 각각 H 또는 C1 -20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고;
n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2를 아세트산무수물과 반응시켜 화합물 3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3과 알킬아민을 첨가제와 함께 반응시켜 화합물 4를 얻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화합물 4와 티오펜-2-보론산을 촉매하에 반응시켜 화합물 5를 얻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화합물 5에 N-브로모숙신이미드를 할로겐화 반응시켜 화합물 6을 얻는 단계(단계 4);
상기 단계 4에서 얻은 화합물 6과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첨가제와 함께 반응시켜 화합물 7을 얻는 단계(단계 5);
상기 단계 5에서 얻은 화합물 7을 트리페닐아민기와 반응시켜 화합물 8을 얻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단계 6에서 얻은 화합물 8을 피페리딘과 함께 산처리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7)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및 R3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도성 기판;
상기 전도성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가 흡착된 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전극;
대향 전극; 및
상기 반도체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를 채우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를 단분자로 사용하는 고분자/단분자 혼합형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계 유도체는 염료로서, 특히 준고상 전해질을 사용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광전변환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기에 알킬기를 도입함으로써 염료 분자간의 응집이 방지되고 열적, 광적 안정성이 향상되므로, 준고상 전해질을 사용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염료 및 고분자/단분자 혼합형 태양전지의 단분자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단분자 혼합형 태양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단분자 혼합형 태양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를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H, C1-20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 , 비치환 또는 C1-20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2-20 직쇄 또는 측쇄 알케닐기, C2-20 직쇄 또는 측쇄 알키닐기, C1-20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및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 치환된 C5-12 아릴 C1-4 알킬옥시기이고;
R2, R3, R4 및 R5는 각각 H 또는 C1-20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고;
n은 0 내지 5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은 H, C1 -10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 , 비치환 또는 C1 -10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2 -10 직쇄 또는 측쇄 알케닐기, C2 -10 직쇄 또는 측쇄 알키닐기, C1 -10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기, F, Cl, Br, I, 시아노기, 니트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및 실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 치환된 C5 -7 아릴 C1 -4 알킬옥시기이고;
R2, R3, R4 및 R5는 각각 H 또는 C1 -10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고;
n은 2 내지 3의 정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은 H, 메틸옥시기, 에틸옥시기, 프로필옥시기, 부틸옥시기, 펜틸옥시기, 헥실옥시기, 2-메틸헥실옥시기, 2-에틸헥실옥시기, 2-프로필헥실옥시기, 벤질옥시기, 10H-페노티아진-10-일기, 3,7-디메틸-10H-페노티아진-10-일기, 3,7-디에틸-10H-페노티아진-10-일기, 3,7-디프로필-10H-페노티아진-10-일기, 3,7-디부틸-10H-페노티아진-10-일기, 3,7-디펜틸-10H-페노티아진-10-일기 또는 3,7-디헥실-10H-페노티아진-10-일기이고;
R2는 헥실기, 2-메틸헥실기 또는 2-에틸헥실기이고;
R3은 H 또는 메틸기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은 H이고;
R2는 2-에틸헥실기이고;
R3은 메틸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는 (E)-메틸 2-시아노-3-(5-(8-(5-(4-(디페닐아미노)페닐)티오펜-2-일)-2,6-비스(2-에틸헥실)-1,3,5,7-테트라옥소-1,2,3,5,6,7-헥사히드로피롤로[3,4-f]이소인돌-4-일)티오펜-2-일)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하기 표 1에 상기 화학식 1의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 | 구조 | 1H-NMR |
실시예 1 |
1H NMR (CDCl3, 300MHz) δ 8.40 (s, 1H), 7.90 (d, J = 3.9Hz, 1H), 7.53 (dd, J = 1.9, 1.9Hz, 1H), 7.34-7.26 (m, 11H), 7.14-7.05 (m, 5H), 3.93 (s, 3H), 3.50 (dd, J = 4.1, 4.0Hz, 4H), 1.70-1.72 (m, 2H), 1.26-1.24 (m, 16H), 0.87 (t, J = 6.6Hz, 12H) |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로써 몰흡광계수가 높아 얇은 TiO2층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전변화효율 등의 물리적 특성이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기에 2-에틸헥실기를 도입함에 따라 분자 간의 응집이 방지되고, 열적, 광적 안정성이 증대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는 준고상 전해질을 사용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로써 매우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2를 아세트산무수물과 반응시켜 화합물 3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3과 알킬아민을 첨가제와 함께 반응시켜 화합물 4를 얻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화합물 4와 티오펜-2-보론산을 촉매하에 반응시켜 화합물 5를 얻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화합물 5에 N-브로모숙신이미드를 할로겐화 반응시켜 화합물 6을 얻는 단계(단계 4);
상기 단계 4에서 얻은 화합물 6과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첨가제와 함께 반응시켜 화합물 7을 얻는 단계(단계 5);
상기 단계 5에서 얻은 화합물 7을 트리페닐아민기와 반응시켜 화합물 8을 얻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단계6에서 얻은 화합물 8을 피페리딘과 함께 산처리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7)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의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및 R3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화합물 2를 아세트산무수물과 반응시켜 화합물 3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화합물 2는 상업적으로 쉽게 확보할 수 있거나 종래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아세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온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3과 알킬아민을 첨가제와 함께 반응시켜 화합물 4를 얻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TH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첨가제로 소듐아세테이트, 아세트산무수물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0 ℃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화합물 4와 티오펜-2-보론산을 촉매하에 반응시켜 화합물 5를 얻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DM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촉매로 포타슘플루오라이드, PdCl2(dpp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0 ℃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화합물 5에 N-브로모숙신이미드를 할로겐화 반응시켜 화합물 6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THF, 클로로포름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0 ℃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5는 상기 단계 4에서 얻은 화합물 6과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첨가제와 함께 반응시켜 화합물 7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디클로로에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첨가제로 옥시염화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0 ℃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은 상기 단계 5에서 얻은 화합물 7을 트리페닐아민기와 반응시켜 화합물 8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톨루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첨가제로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소듐카보네이트, 앨리컷 336(Aliquat 336)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0 ℃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7은 상기 단계 6에서 얻은 화합물 8을 피페리딘과 함께 산처리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산으로는 시아노아세트산, 시아노아세트산 메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매인 클로로포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0 ℃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도성 기판;
상기 전도성 기판 상에 형성되고,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료가 흡착된 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전극;
대향 전극; 및
상기 반도체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 사이를 채우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100)는 제1기판(110), 반도체 전극(120), 대향 전극(130), 제2기판(140), 전해질(150) 및 고분자층(160)을 구비한다.
상기 제1기판(110)은 전도성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기판 위에 ITO(indium tinoxide), FTO(fluorine-doped tin oxide)가 코팅되어 있다.
그리고, 제1기판(110)과 반도체 전극(120) 사이에는 TiCl4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전극(120)은 제1기판(110) 상에 형성되며, 염료가 흡착되어 있는 나노입자 금속 산화물층으로 이루어진다. 반도체 전극(120)은 5 ~ 15 μ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 금속 산화물층을 이루는 금속 산화물은 이산화티탄(TiO2), 이산화주석(SnO2) 또는 산화아연(ZnO)일 수 있으며, 약 5 ~ 30 nm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나노입자 금속 산화물에 흡착되어 있는 염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상술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이 염료로 이용된다.
그리고, 화학식 1의 트리페닐아민기는 전자주게(electron donor) 역할을 하고, 시아노아크릴산기는 전자받게(electron acceptor)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기판(140)은 제1기판(110)과 마찬가지로 전도성 유리, 즉 ITO 또는 FTO가 코팅되어 있는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대향 전극(130)은 제2기판(140) 상에 형성되며, 백금(Pt)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대향 전극(130)은 반도체 전극(120)과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전해질(150)은 반도체 전극(120)과 대향 전극(130)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물질이다. 전해질(150)은 전해질 용액, 용매가 제거된(solvent-free) 이온성 액체(ionic-liquid) 전해질, 고상(solid-state) 전해질 또는 준고상(quasi solid state) 전해질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DMPII 액상 전해질, 준고상 전해질로 PVH70, PVH80, PVDF-HF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기판(110)을 투과한 태양 빛이 반도체 전극(120)의 나노입자 금속 산화물에 흡착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염료 분자에 의하여 흡수되면, 여기 상태로 들뜨게 된 염료 분자는 전자를 나노입자 금속 산화물의 전도대로 주입하게 된다. 나노입자 금속 산화물로 주입된 전자는 입자간 계면을 통하여 제1기판(110)에 전달되고 외부 전선을 통하여 대향 전극(120)으로 이동된다.
전자 전이의 결과로 산화된 염료 분자는 전해질(150) 내의 요오드 이온의 산화 환원 작용(3I- →I3 - + 2e-)에 의하여 제공되는 전자를 받아 다시 환원되며, 산화된 요오드 이온(I3 -)은 대향 전극(130)에 도달한 전자에 의해 다시 환원되어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작동과정이 완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를 단분자로 사용하는 고분자/단분자 혼합형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도 2에 나타낸 상기 고분자/단분자 혼합형 태양전지(Bulk heterojunction solar cells, BHJ)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하부에서부터 기판(110), 제1전극(120), 버퍼층(130), 광전변환층(140) 및 제2전극(150)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광전변환층(140)과 제2전극(150) 사이에 전자 전달층, 정공 저지층 혹은 옵티컬 스페이스(optical space)층을 도입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유리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I), 트리아세틸셀루로오즈(TAC) 등을 포함하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리로 제조된다.
상기 제1전극(120)은 스퍼터링, 스핀코팅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투명 물질을 상기 기판(110)의 일면에 도포되거나 필름 형태로 코팅됨으로써 형성되는 전극이다. 제1전극(120)은 애노드로 기능하는 부분으로서 후술하는 제2전극(150)에 비하여 일함수가 작은 물질로서 투명성 및 도전성을 갖는 임의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ITO(indium-tin oxide), FTO(Fluorine doped tin oxide), ZnO-(Ga2O3 또는 Al2O3), SnO2-Sb2O3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ITO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전극(120)의 상부로 버퍼층(130)이 예를 들어 스핀코팅 등의 방법을 통하여 도입되는데, 본 발명과 관련하여서는 예컨대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로 도핑된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펜)를 사용하여 정공이동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퍼층(130)의 상부에는 스핀 코팅 등의 방법으로 도입된 광전변환층(140)이 적층되는데, 전도성 고분자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가 1:0.5 ~ 1:4의 중량비로 배합되어 있는 광전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합된 광전변환 물질을 한 가지 유기용매 혹은 2가지 이상의 비점이 상이한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스핀코팅 등의 방법으로 약 80 nm 이상 두께의 광전변환층(140)으로 도입한다. 광전변환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스핀 코팅 방법이외에 스프레이 코팅, 스크린 인쇄, 닥터 블레이드법을 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150)은 광전변환층(140)이 도입된 상태에서 약 10-7 torr 이하의 진공도에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 물질을 100 ~ 200 nm 두께로 진공 열 증착한 후에 아르곤 분위기에서 약 150 ℃에서 약 10분 이상 후처리를 함으로써, 광전변환층(140)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15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로는 금, 알루미늄, 구리, 은 또는 그들의 합금, 칼슘/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은 합금, 알루미늄/리튬 합금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칼슘 합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계 유도체는 염료로서, 특히 준고상 전해질을 사용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광전변환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기에 알킬기를 도입함으로써 염료 분자간의 응집이 방지되고 열적, 광적 안정성이 향상되므로, 준고상 전해질을 사용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염료 및 고분자/단분자 혼합형 태양전지의 단분자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N,N
-
디페닐
-4-(4,4,5,5-
테트라메틸
-1,3,2-
디옥사보로란
-2-일)
벤젠아민
(
N,N
-
diphenyl
-4-(4,4,5,5-
tetramethyl
-1,3,2-
dioxaborolan
-2-
yl
)
benzenamine
) (9)의 제조
4-브로모-N,N-디페닐벤젠아민(10.0 g, 30.8mmol)을 THF(15 ml)에 녹인 용액에 n-BuLi(16.9 ml, 2.5 M in hexane, 42.3 mmol)을 -78 ℃, 아르곤 충전 조건하에서 천천히 적가하고, 반응용액을 30분정도 교반한 후 2-이소프로폭시-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레인(8.60 ml, 42.3 mmol)을 20분 동안 천천히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78 ℃에서 90분 정도 교반시킨 후 실온으로 온도를 올려 24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반응용액을 농축하여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헥산=1:12)로 화합물 9를 무색 고체로 얻었다(7.04g, 67%).
1H NMR (CDCl3,300MHz): δ 7.66(d,J=8.5Hz,2H),7.24(t,J=7.3Hz,4H),7.11-7.00(m,8H),1.32 (12H, s)
<
실시예
1> (E)-
메틸
2-
시아노
-3-(5-(8-(5-(4-(
디페닐아미노
)
페닐
)티오펜-2-일)-2,6-비스(2-
에틸헥실
)-1,3,5,7-
테트라옥소
-1,2,3,5,6,7-
헥사히드로피롤로[3,4-f]
이소인돌-4-일)티오펜-2-일)
아크릴레이트
((E)-
methyl
2-cyano-3-(5-(8-(5-(4-(
diphenylamino
)
phenyl
)
thiophen
-2-
yl
)-2,6-
bis
(2-
ethylhexyl
)-1,3,5,7-
tetraoxo
-1,2,3,5,6,7-
hexahydropyrrolo
[3,4-f]isoindol-4-
yl
)
thiophen
-2-yl)acrylate) (1a)의 제조
단계 1: 4,8-
디브로모
-
벤조[1,2-c;4,5-c']디퓨란
-1,3,5,7-테트라온(4,8-Dibromo-benzo[1,2-c;4,5-c']difuran-1,3,5,7-tetraone)(3)의 제조
3,6-디브로모벤젠-1,2,4,5-테트라카르복실산(6.8 g, 16.5 mmol)을 아세트산(25 ml)에 녹인 후 아세트산무수물(3.4 ml, 36.3 mmol)을 적가하고, 반응용액을 118 ℃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 다음, 반응용액을 상온까지 식힌 후, 결정질무수물(crystalline anhydride)을 여과, 건조하여 화합물 3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4.8 g, 77%)
EI-mass; 376
단계 2: 4,8-
디브로모
-2,6-
비스
-(2-에틸-
헥실
)-
피롤로[3,4-f]이소인돌
- 1,3,5,7-테트라온(4,8-
Dibromo
-2,6-
bis
-(2-
ethyl
-
hexyl
)-
pyrrolo
[3,4-f]isoindole- 1,3,5,7-
tetraone
) (4a)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3(4.8 g, 12.8 mmol)을 THF(50 ml)에 녹인 용액에 에틸헥실아민(8.4 ml, 51.1 mmol)을 적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상기 반응용액에 소듐아세테이트(5.2 g, 63.8 mmol)와 아세트산무수물(50 ml)을 첨가한 후, 100 ℃에서 3시간 더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용액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교반한 후, 여과시켜 얻은 케이크(cake)를 건조하여 화합물 4a를 흰색 고체로 얻었다(5.8 g, 76%)
EI-mass; 598
단계 3: 2,6-
비스
-(2-에틸-
헥실
)-4,8-디-티오펜-2-일-
피롤로
[3,4-f]
이소인돌
-1,3,5,7-테트라온(2,6-
Bis
-(2-
ethyl
-
hexyl
)-4,8-
di
-
thiophen
-2-
yl
-pyrrolo[3,4-f]
isoindole
-1,3,5,7-
tetraone
) (5a)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화합물 4a(4.5 g, 7.52 mmol)를 DMF(3 ml)에 녹인 용액에 티오펜-2-보론산(2.4 g, 18.8 mmol)과 포타슘플루오라이드(2.6 g, 45.1 mmol), PdCl2(dppf) 촉매량을 넣고, 상기 반응용액을 200 ℃에서 2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오븐에서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n-헥산=1:10)을 이용하여 화합물 5a를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1.2 g, 26%)
1H NMR (CDCl3, 300MHz) δ 7.62 (d, J = 4.7Hz, 2H), 7.25-7.21 (m, 4H), 3.48 (d, J = 7.2Hz, 4H), 1.78-1.74 (m, 2H), 1.27-1.23 (m, 16H), 0.84 (t, J = 6.8Hz, 12H)
단계 4: 4-(5- 브로모 -티오펜-2-일)-2,6- 비스 -(2-에틸- 헥실 )-8-티오펜-2-일-피 롤로[3,4-f]이소인돌 -1,3,5,7-테트라온(4-(5- Bromo - thiophen -2- yl )-2,6- bis -(2- ethyl - hexyl )-8- thiophen -2- yl - pyrrolo [3,4-f]isoindole-1,3,5,7-tetraone) (6a)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화합물 5a(1.2 g, 1.98 mmol)을 DMF/클로로포름(1:1) 용액(10 mL)에 녹인 용액에 N-브로모숙신이미드(353 mg, 1.98 mmol)을 DMF/클로로포름(1:1) 용액(5 mL)에 녹여 0 ℃에서 천천히 첨가시킨 다음,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에 물을 첨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모아 소듐설페이트로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MC:n-헥산=1:7)을 이용하여 화합물 6a를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620 mg, 46%)
1H NMR (CDCl3, 300MHz) δ 7.62 (dd, J = 1.3, 1.3Hz, 1H), 7.26-7.21 (m, 2H), 7.16 (d, J = 3.8Hz, 1H), 7.02 (d, J = 3.8Hz, 1H), 3.49 (d, J = 7.3Hz, 4H), 1.80-1.72 (m, 2H), 1.30-1.14 (m, 16H), 0.85 (t, J = 7.1Hz, 12H)
단계 5: 5-[8-(5-
브로모
-티오펜-2-일)-2,6-
비스
-(2-에틸-
헥실
)-1,3,5,7-
테트라옥소
-1,2,3,5,6,7-
헥사히드로
-
피롤로[3,4-f]이소인돌
-4-일]-티오펜-2-
카브알
데히드(5-[8-(5-
Bromo
-
thiophen
-2-
yl
)-2,6-
bis
-(2-
ethyl
-
hexyl
)-1,3,5,7-
tetraoxo
-1,2,3,5,6,7-
hexahydro
-
pyrrolo
[3,4-f]isoindol-4-
yl
]-
thiophene
-2-carbaldehyde) (7a)의 제조
상기 단계 4에서 얻은 화합물 6a(620 mg, 0.91 mmol)와 디메틸포름아미드(133 mg, 1.81 mmol)를 1,2-디클로로에탄(7 mL)에 용해시킨 다음, 반응용액을 0 ℃로 낮춘 후 옥시염화인(0.2 mL, 1.81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80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증류수를 첨가한 후 소듐아세테이트 수용액으로 중화시켰다. 상기 반응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여 모은 유기층을 소듐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n-헥산=1:5)을 이용하여 화합물 7a를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300 mg, 46%)
1H NMR (CDCl3, 300MHz) δ 10.0 (s, 1H), 7.86 (d, J = 3.8Hz, 1H), 7.30 (d, J = 3.8Hz, 1H), 7.18 (d, J = 3.8Hz, 1H), 7.05 (d, J = 3.8Hz, 1H), 3.49 (d, J = 7.2Hz, 4H), 1.77-1.73 (m, 2H), 1.30-1.16 (m, 16H), 0.85 (t, J = 7.1Hz, 12H)
단계 6: 5-[8-[5-(4-
디페닐아미노
-
페닐
)-티오펜-2-일]-2,6-
비스
-(2-에틸-헥실)-1,3,5,7-
테트라옥소
-1,2,3,5,6,7-
헥사히드로
-
피롤로[3,4-f]이소인돌
-4-일]-티오펜-2-
카브알데히드
(5-[8-[5-(4-Diphenylamino-phenyl)-thiophen-2-yl]-2,6-
bis
-(2-
ethyl
-
hexyl
)-1,3,5,7-
tetraoxo
-1,2,3,5,6,7-
hexahydro
-
pyrrolo
[3,4-f]isoindol-4-yl]-thiophene-2-carbaldehyde) (8a)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화합물 9(156 mg, 0.42 mmol), 상기 단계 5에서 얻은 화합물 7a(300 mg, 0.42 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24.0 mg, 0.02 mmol)을 톨루엔(3 mL)에 용해시킨 후 2.5 M 소듐카보네이트 수용액 0.20 mL 와 앨리컷 336(Aliquat 336)을 아르곤 가스 충진하에서 적가하였다. 상기 반응용액을 110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을 가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여 모은 유기층을 소듐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n-헥산=1:5)를 이용하여 화합물 8a를 붉은색 고체로 얻었다(100 mg, 30 %).
1H NMR (CDCl3, 300MHz) δ 10.0 (s, 1H), 7.86 (d, J = 3.8Hz, 1H), 7.53 (dd, J = 1.8, 1.8Hz, 2H), 7.34-7.25 (m, 8H), 7.14-7.02 (m, 7H), 3.49 (dd, J = 7.2, 6.9Hz, 4H), 1.78-1.74 (m, 2H), 1.28-1.15 (m, 16H), 0.85 (t, J = 7.3Hz, 12H)
단계 7: (E)-
메틸
2-
시아노
-3-(5-(8-(5-(4-(
디페닐아미노
)
페닐
)티오펜-2-일)-2,6-비스(2-
에틸헥실
)-1,3,5,7-
테트라옥소
-1,2,3,5,6,7-
헥사히드로피롤로[3,
4-f]이
소
인돌-4-일)티오펜-2-일)
아크릴레이트
((E)-
methyl
2-cyano-3-(5-(8-(5-(4-(
diphenylamino
)
phenyl
)
thiophen
-2-
yl
)-2,6-
bis
(2-
ethylhexyl
)-1,3,5,7-
tetraoxo
-1,2,3,5,6,7-
hexahydropyrrolo
[3,4-f]isoindol-4-
yl
)
thiophen
-2-yl)acrylate) (1a)의 제조
상기 단계 6에서 얻은 화합물 8a(100 mg, 0.11 mmol), 메틸 시아노아세테이트(34.0 mg, 0.34 mmol)와 피페리딘(68.0 mg, 0.80 mmol)을 클로로포름(2 mL)에 용해시켰다. 상기 반응용액을 15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20% 염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모은 유기층을 소듐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n-헥산=1:5)을 이용하여 화합물 1a를 붉은색 고체로 얻었다(95 mg, 87%).
1H NMR (CDCl3, 300MHz) δ 8.40 (s, 1H), 7.90 (d, J = 3.9Hz, 1H), 7.53 (dd, J = 1.9, 1.9Hz, 1H), 7.34-7.26 (m, 11H), 7.14-7.05 (m, 5H), 3.93 (s, 3H), 3.50 (dd, J = 4.1, 4.0Hz, 4H), 1.70-1.72 (m, 2H), 1.26-1.24 (m, 16H), 0.87 (t, J = 6.6Hz, 12H)
EI-mass; 957
<
실시예
2>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를 염료로 사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단계 1: 작업 전극의 제조
FTO 글라스(Florine-doped tin oxide coated conduction glass, 모델명, 제조사)를 2 ㎝×1.5 ㎝ 크기로 잘라 글라스 세정 세제로 10분간 초음파 분해 세척을 한 후 증류수를 사용하여 비눗물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그 후에 에탄올로 초음파 분해 세척을 20분간 2회 반복하고, 무수 에탄올로 완전히 헹군 후에 100 ℃ 오븐에서 건조시켜, FTO 글라스를 준비하였다.
상기에서 준비한 FTO 글라스 위에 TiO2 분말과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70 ℃의 0.04 M TiCl4 용액에 30분간 담근 후 증류수로 세정한 후, 100 ℃ 오븐에서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켜, TiCl4 처리된 FTO 글라스를 준비하였다.
상기에서 준비한 TiCl4 처리된 FTO 글라스 상에 자체 제작한 TiO2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하여, 11 ㎛ 두께의 TiO2 투명층이 코팅된 FTO 글라스를 준비하였다.
상기 TiO2 투명층이 코팅된 FTO 글라스를 125 ℃오븐에서 30분 동안 건조시키는 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이어서, 상기 TiO2 투명층 상에 광산란을 위해 다른 페이스트(400 nm, PST-400C, 일본 CCIC사)를 스크린 프린팅하여 5 ㎛ 두께의 광산란층을 코팅하였다.
상기 광산란층이 코팅된 FTO 글라스를 125 ℃에서 10분, 350 ℃에서 5분, 375 ℃에서 5분, 450 ℃에서 20분, 500 ℃에서 10분간 소결하고 상온으로 서서히 식혔다.
상기 소결을 거친 FTO 글라스를 70 ℃의 0.1 M TiCl4 용액에 30분간 담근 후 증류수로 세정하고, 450 ℃에서 20분, 500 ℃에서 10분간 소결하고 80 ℃까지 서서히 식혔다.
상기의 과정들을 거친 FTO 글라스를, TBA·ACN(1:1) 혼합용매 또는 MC 용매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염료를 첨가하여 0.3 mM 농도로 준비한 용액에 24시간 동안 함침시켜 염료가 흡착된 작업 전극을 제조하였다.
단계 2: 상대 전극의 제조
2 ㎝×1.5 ㎝ 크기의 FTO 글라스에 Φ0.7 mm 다이아몬드 드릴을 이용해서 전해질이 들어갈 구멍을 두 개 뚫었다. 그 후에 작업 전극에서 제시했던 세척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한 후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하이드로겐 헥사클로로플라티네이트(H2PtCl6)2-프로판올 용액을 FTO 글라스에 입힌 후 450 ℃에서 60분간 소결시켜 상대 전극을 제조하였다.
단계 3: 전해질의 제조
(a) IL-DMPII 전해질의 제조는, MPN 용매 1.0 ml에 0.1M I2, 0.5 M NMBI 및 0.6 M IL-DMPII(TCI사, 일본)를 첨가하고 하루밤 동안 교반하여 IL-DMPII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b) PVH70 전해질의 제조는, MPN 용매 1.0 ml에 5 중량% PVH70(Poly(vinylidenefluoride-co-hexafluoropropylene))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한 다음, 0.1M I2, 0.5 M NMBI 및 0.6 M IL-DMPII를 첨가하고 하루밤 동안 교반하여 PVH70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c) PVH80 전해질의 제조는, MPN 용매 1.0 ml에 5 중량% PVH80(Poly(vinylidenefluoride-co-hexafluoropropylene))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한 다음, 0.1M I2, 0.5 M NMBI 및 0.6 M IL-DMPII를 첨가하고 하루밤 동안 교반하여 PVH80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d) PVDF-HFP 전해질의 제조는, MPN 용매 1.0 ml에 5 중량% PVDF-HFP(Aldrich사)을 첨가하고 120 ℃에서 교반한 다음, 0.1M I2, 0.5 M NMBI 및 0.6 M IL-DMPII를 첨가하고 하루밤 동안 교반하여 PVDF-HFP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단계 4: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작업 전극과 단계 2에서 제조한 상대 전극 사이에 사각형 띠 모양으로 자른 슈린(Surlyn, SX1170-25 Hot Melt)을 놓고, 상기 두 전극을 클립으로 고정시킨 다음, 100 ℃ 오븐을 이용하여 두 전극을 서로 붙였다. 다음으로, 상대 전극에 있는 2개의 작은 구멍을 통해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전해질을 주입한 후 슈린 스티립과 커버 글라스로 실링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
비교예
1>
Z907
염료의 준비
본 발명에 따른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의 염료로써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Solaronix사의 Ruthenizer 520-DN을 사용하였다(이하, 'Z907'이라 칭함).
<
비교예
2>
N719
염료의 준비
본 발명에 따른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의 염료로써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Dyesol사의 Bz(719)Dye를 사용하였다(이하, 'N719'이라 칭함).
Claims (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H이고;
R2는 C1-9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이고;
R3는 C1-3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H이고;
R2는 헥실기, 2-메틸헥실기 또는 2-에틸헥실기이고;
R3은 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H이고;
R2는 2-에틸헥실기이고;
R3은 메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는, (E)-메틸 2-시아노-3-(5-(8-(5-(4-(디페닐아미노)페닐)티오펜-2-일)-2,6-비스(2-에틸헥실)-1,3,5,7-테트라옥소-1,2,3,5,6,7-헥사히드로피롤로[3,4-f]이소인돌-4-일)티오펜-2-일)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
-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2를 아세트산무수물과 반응시켜 화합물 3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3과 C1-10 직쇄 또는 측쇄 알킬아민을 첨가제와 함께 반응시켜 화합물 4를 얻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화합물 4와 티오펜-2-보론산을 촉매하에 반응시켜 화합물 5를 얻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화합물 5에 N-브로모숙신이미드를 할로겐화 반응시켜 화합물 6을 얻는 단계(단계 4);
상기 단계 4에서 얻은 화합물 6과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첨가제와 함께 반응시켜 화합물 7을 얻는 단계(단계 5);
상기 단계 5에서 얻은 화합물 7을 트리페닐아민기와 반응시켜 화합물 8을 얻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단계 6에서 얻은 화합물 8을 피페리딘과 함께 산처리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7)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2의 첨가제는 소듐아세테이트 및 아세트산무수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단계 5의 첨가제는 옥시염화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및 R3은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DMPII(1,2-다이메틸-3-프로필이미다졸리움 아이오다이드) 액상 전해질 또는 준고상(Quasi solid state) 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준고상 전해질은 PVH(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co-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70, PVH(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co-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80 및 PVDF-HFP(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1항의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를 단분자로 사용하는 고분자 및 단분자 혼합형 태양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3589A KR101380837B1 (ko) | 2011-05-09 | 2011-05-09 | 신규한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3589A KR101380837B1 (ko) | 2011-05-09 | 2011-05-09 | 신규한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5872A KR20120125872A (ko) | 2012-11-19 |
KR101380837B1 true KR101380837B1 (ko) | 2014-04-07 |
Family
ID=4751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3589A KR101380837B1 (ko) | 2011-05-09 | 2011-05-09 | 신규한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083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8363B1 (ko) | 2014-10-16 | 2017-10-24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흡착제를 포함하는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
KR101876018B1 (ko) | 2016-04-29 | 2018-08-03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
KR20240130488A (ko) | 2023-02-22 | 2024-08-29 | 한국화학연구원 | 신규한 고분자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광전변환소자용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하는 광전변환소자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45172A1 (en) * | 2007-05-25 | 2008-12-04 | Universidad Autónoma de Madrid | Tri-tert-butylcarboxyphthalocyanines, uses thereof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
-
2011
- 2011-05-09 KR KR1020110043589A patent/KR1013808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145172A1 (en) * | 2007-05-25 | 2008-12-04 | Universidad Autónoma de Madrid | Tri-tert-butylcarboxyphthalocyanines, uses thereof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J. Phys. Chem. C, 2010, 114, 12355-12363. * |
Tetrahedron, 2010, 66, 8629-8634. * |
논문1: KTH CHEMICAL SCIENCE AND ENGINEERING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5872A (ko) | 2012-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2024B1 (ko) | 신규한 티오펜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JP5106381B2 (ja) | 色素増感光電変換素子 | |
US8383553B2 (en) | Dyes | |
Shen et al. | Efficient triphenylamine-based dyes featuring dual-role carbazole, fluorene and spirobifluorene moieties | |
KR101008226B1 (ko) |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Buene et al. | Effect of π-linkers on phenothiazine sensitizer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 |
KR101320999B1 (ko) |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00136929A (ko) |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JPWO2009020098A1 (ja) | パイ電子共役系を拡張した色素増感型太陽電池用増感色素 | |
Adachi et al. | Synthesis of organic photosensitizers containing dithienogermole and thiadiazolo [3, 4-c] pyridine unit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 |
KR20100058902A (ko) | 벤조티아다이아졸 발색부-함유 신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JP5300454B2 (ja) | 色素増感光電変換素子 | |
KR20100136931A (ko) | 신규한 유기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Long et al. | Effect of conjugated side groups on the photovoltaic performances of triphenylamine-based dyes sensitized solar cells | |
US8680336B2 (en) | Dyes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 |
Tamilavan et al. | Synthesis of triphenylamine-based thiophene-(N-aryl) pyrrole-thiophene dy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applications | |
KR101380837B1 (ko) | 신규한 디티오펜피롤로이소인돌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 |
KR101419923B1 (ko) | 신규한 벤조디티오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 |
KR100969676B1 (ko) | 신규한 줄로리딘계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JP5957072B2 (ja) | 色素増感光電変換素子 | |
JP5925316B2 (ja) | 高伝導性正孔伝達物質およびこれを用いた色素増感太陽電池 | |
KR101309208B1 (ko) | 신규한 페노티아진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 |
US20110083732A1 (en) | Novel ruthenium complex and photoelectric component using the same | |
KR20090083863A (ko) | 신규한 유기 염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439998B1 (ko) | 신규한 사이클로펜타디티오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태양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