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472B1 -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472B1
KR101380472B1 KR1020120069166A KR20120069166A KR101380472B1 KR 101380472 B1 KR101380472 B1 KR 101380472B1 KR 1020120069166 A KR1020120069166 A KR 1020120069166A KR 20120069166 A KR20120069166 A KR 20120069166A KR 101380472 B1 KR101380472 B1 KR 10138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catalyst
ribs
regener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126A (ko
Inventor
홍동표
최남령
김현식
이일택
지영식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30124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00Feed or outlet devices; 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1/00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11/14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with preheated moving solid catalysts
    • C10G11/18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with preheated moving solid catalysts according to the "fluidised-bed" techniqu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촉매반응부와 촉매재생부를 갖는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에 있어서, 벙커 C유와 촉매가 공급되도록 상기 촉매반응부의 내부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공급파이프와 상기 공급파이프의 하단부로 상기 촉매재생부에서 재생된 촉매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재생파이프가 연결되는 부위에 응력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되는 부위에 발생되는 응력을 지지하도록 보강하여 해당 부위와 그 주변의 파손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응력지지수단에 의해 재생파이프와 공급파이프의 연결부를 보강함에 따라 재생된 촉매와 프리리프트 매체의 공급 시 발생되는 응력을 지지할 수 있어 연결부의 파손 방지는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함에 따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운영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Fluid catalytic cracking unit for reinforcing durabilty}
본 발명은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유나 벙커 C유 등의 정제 시, 발생되는 응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응력 집중 부위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구조적 안정화를 부여함에 따라 수명을 연장시키고, 운영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질 탄화수소 이외에, 코크스 중 일부는 저급 탄화수소유의 촉매 분해 공정중에 응축 반응으로 인해 생성되어 촉매 표면에 적층됨으로써, 촉매 활성과 선택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러한 활성화된 촉매의 성질은 촉매 표면의 코크스를 연소시키는 고온 산화에 의해 회복될 수 있으며, 이 공정은 촉매 재생이라 불린다.
여기서, 탄소질 탄화수소 또는 코크스가 적층되어 있는 촉매는 폐촉매라 불리며, 산화 방식으로 재생된 촉매는 재생 촉매라 불린다.
초기의 촉매 재생 방법에서는, 저속의 유동층을 통해 산소 함유 가스를 통과시켰으며, 단일 스테이지 재생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됨에 따라 유체 촉매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한 유체 촉매 방식 분해 유닛(fluid catalytic cracking unit; FCCU)은 공개특허 제10-2010-0109495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촉매반응기와 촉매재생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유체 촉매 방식 분해 유닛의 작동을 살펴보면, 정제하고자 하는 원유와 촉매가 촉매반응기로 공급되어 촉매 분해 반응이 이루어지고, 여기서 발생된 폐촉매는 스트리퍼로 모여진다.
스트리퍼로 모여진 폐촉매는 폐촉매 스탠드파이프(standpipe)를 통해 촉매재생기로 공급되어 별도로 공급되는 산소 함유 가스 스트림 및 선택적 스팀과 접촉하여 코크스 연소 반응을 수행함에 따라 폐촉매가 재생된다.
재생된 촉매는 재생파이프를 통해 촉매반응기로 다시 공급되어 별도로 공급되는 원유와 촉매 분해 반응을 수행함에 따라 목표로 하는 생성물이 얻어진다.
그리고 분해된 폐촉매는 다시 촉매재생기로 순환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유체 촉매 방식 분해 유닛은 촉매 순환 과정에서 특정한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고, 이러한 부분들의 변형이 발생되어 파손이 발생됨에 따라 작업을 중단해야됨은 물론, 수리 교체비용도 많아 운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체 촉매 방식 분해 유닛은 전체적인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간단히 수리 교체할 수 없는 것으로, 사전에 열변형이나 응력 등이 과중되는 부분을 찾아 보강함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촉매재생부를 통해 재생된 촉매를 촉매반응부로 공급하기 위한 재생파이프와 공급파이프가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 응력지지수단을 구비하여 운전 시 발생되는 응력을 지지함에 따라 변형을 최소화시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함은 물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운영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촉매반응부와 촉매재생부를 갖는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에 있어서, 벙커 C유와 촉매가 공급되도록 상기 촉매반응부의 내부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공급파이프와 상기 공급파이프의 하단부로 상기 촉매재생부에서 재생된 촉매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재생파이프가 연결되는 부위에 응력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되는 부위에 발생되는 응력을 지지하도록 보강하여 해당 부위와 그 주변의 파손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응력지지수단은, 상기 공급파이프와 재생파이프의 연결된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응력지지수단은, 상기 공급파이프와 재생파이프의 연결된 외측을 감싸되, 일정 두께를 갖는 링형상의 리브이며, 상기 리브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 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리브는, 네 개로 구성되며, 상기 공급파이프와 재생파이프의 연결된 하단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1리브, 상기 공급파이프와 재생파이프의 연결된 상단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4리브, 상기 제1리브와 제4리브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1리브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리브, 및 상기 제2리브와 제4리브 사이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3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브의 두께는 30 ~ 50mm이다.
또한, 상기 리브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공급파이프와 재생파이프 두께의 2 ~ 4배의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리브 각각의 사이 또는 다수의 리브 중 선택된 인접한 두 개의 리브 사이에 보조리브가 더 구비되어 인접한 두 개의 리브를 상호 지지함에 따라 보강력을 더 증대시킨다.
또한, 상기 보조리브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두 개의 리브와 각각 직교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리브는, 상기 인접한 두 개의 리브 사이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보조리브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인접한 다른 보조리브는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리브와 대칭되도록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며, 계속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리브와 다른 보조리브가 반복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에 의하면, 응력지지수단에 의해 재생파이프와 공급파이프의 연결부를 보강함에 따라 재생된 촉매와 프리리프트 매체의 공급 시 발생되는 응력을 지지할 수 있어 연결부의 파손 방지는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함에 따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운영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의 응력지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에 보조리브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리브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의 응력지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에 보조리브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리브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10)은 촉매반응부(20)와 촉매재생부(30)를 갖고, 촉매에 의해 원유를 정제하게 된다.
이러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10)은 운영 시,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에 응력지지수단(100)을 설치하여 가해지는 응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10)을 살펴보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촉매재생부(30)로 공급된 폐촉매는 제1유동층 재생부(31)에서 별도로 공급되는 산소 함유 가스 스트림 및 선택적 스팀과 접촉하여 코크스 연소 반응을 수행한다.
이에 부분적으로 재생된 촉매와 연도가스는 제2분배부(32)를 통해 제2유동층 재생부(33)의 저부로 도입되며, 스팀과 선택적 산소 함유 가스 스트림은 별도의 파이프(34)를 통해 제2유동층 재생부(33)의 저부로 도입된다.
이에 따라 부분적으로 재생된 촉매는 제2유동층 재생부(33)에서 완전히 재생된다.
이러한 재생된 촉매의 일부는 제2유동층 재생부(33)로 공급되어 폐촉매와 혼합되고, 다른 일부는 재생파이프(35)를 통해 촉매반응부(20)의 저부로 도입된다.
여기서, 촉매반응부(20)는 내부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공급파이프(22)가 설치되며, 이 공급파이프(22)의 외측을 감싸도록 밀폐된 용기(21)가 설치되되, 이 용기(21)의 하단부에 분해된 폐촉매가 모여지는 스트리퍼(23)가 설치된다.
그리고 스트리퍼(23)에 모여진 폐촉매의 재생을 위해 폐촉매파이프(24)가 설치되되, 이 폐촉매파이프(24)는 스트리퍼(23)에 하향 경사지게 연통 설치된다.
이러한 촉매반응부(20)의 공급파이프(22) 저부로 도입된 재생된 촉매는 별도로 도입되는 프리리프트(prelift) 매체에 의해 공급파이프(22)를 따라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이때, 공급원료유는 파이프(40)를 통해 촉매반응부(20)로 도입되고, 재생된 촉매와 접촉하여 촉매 분해 반응을 수행하며, 생성물 증기는 해제부(미 도시), 사이클론 분리기(미 도시) 및 생성물 증기 파이프(미 도시)를 차례로 거쳐 분리 시스템(25)에 도입되어 목표로 하는 생성물이 얻어진다.
그리고 생성물 획득 과정에서 분해된 폐촉매는 스트리퍼(23)로 모여지고, 폐촉매파이프(24)를 통해 촉매재생부(30)로 순환되어 상기 과정이 반복된다.
본 발명에서는 공급원료유는 파이프(40)를 통해 벙커 C유가 공급되고, 촉매반응부(20)를 거쳐 휘발유를 생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촉매반응부(20)로 재생 촉매를 공급하기 위한 재생파이프(35)와 공급파이프(22)가 연결되는 부위에 응력지지수단(100)이 구비되어 연결되는 부위에 발생되는 응력을 지지하도록 보강하여 해당 부위와 그 주변의 파손이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응력지지수단(10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파이프(22)와 재생파이프(35)의 연결된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 응력지지수단(100)은 일정 두께를 갖는 링형상의 리브이며, 이러한 리브는 연결된 공급파이프(22)와 재생파이프(35)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 개로 설치된다.
이러한 응력지지수단(100)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리브는 네 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1리브(110)와 제2리브(120), 제3리브(130) 및 제4리브(140)로 구성된다.
먼저, 제1리브(110)는 공급파이프(22)와 재생파이프(35)의 연결된 하단 외측을 따라 설치되고, 제4리브(140)는 공급파이프(22)와 재생파이프(35)의 연결된 상단 외측을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제2리브(120)와 제3리브(130)는 제1리브(110)와 제4리브(14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2리브(120)는 제1리브(110)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3리브(130)는 제2리브(120)와 제4리브(140) 사이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제1리브(110)와 제2리브(120), 제3리브(130) 및 제4리브(140)는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이와 같은, 제1리브(110)와 제2리브(120), 제3리브(130) 및 제4리브(140)의 두께는 30 ~ 50mm이고, 이에 따른 최대전단응력은 약 76.114 ~ 76.647MPa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리브(110)와 제2리브(120), 제3리브(130) 및 제4리브(140)의 두께를 40mm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른 최대전단응력은 약 76.135Mpa이다.
또한 리브의 돌출된 길이는 공급파이프(22)와 재생파이프(35) 두께의 2 ~ 4배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공급파이프(22)와 재생파이프(35)의 외측으로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발생되는 응력을 지지하도록 보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응력지지수단(100)의 리브는 그 개수가 한정되지 않으며, 상호 이격된 간격 역시, 한정되지 않음이 당연하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리브 각각의 사이 또는 다수의 리브 중 선택된 인접한 두 개의 리브 사이에 보조리브(20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리브(200)는 일정 두께를 갖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인접한 두 개의 리브를 상호 지지함에 따라 보강력을 더 증대시킨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 제2리브(120)와 제3리브(130) 사이에 보조리브(200)가 설치되어 공급파이프(22)와 재생파이프(35)에 발생되는 응력을 지지하도록 보강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리브(200)의 일 실시 예로, 상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두 개의 리브와 각각 직교되도록 연결된다.
도 3에서는 제2리브(120)와 제3리브(130) 사이에 보조리브(200)가 상하방향으로 직교되도록 위치되어 상단은 제3리브(130)와 고정되고, 하단은 제2리브(120)와 고정된다.
물론, 이 보조리브(200)는 인접한 두 개의 리브 사이에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설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리브(200')의 다른 실시 예로, 인접한 두 개의 리브 사이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이 보조리브(200')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리브(200')를 자세히 설명하면, 어느 하나의 보조리브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보조리브는 어느 하나의 보조리브와 대칭되도록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어느 하나의 보조리브와 다른 보조리브가 반복 형성됨에 따라 인접한 두 개의 리브에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 분해유닛 20 : 촉매반응부
30 : 촉매재생부 100 : 응력지지수단
110 : 제1리브 120 : 제2리브
130 : 제3리브 140 : 제4리브
200, 200' : 보조리브

Claims (9)

  1. 촉매반응부와 촉매재생부를 갖는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에 있어서,
    벙커 C유와 촉매가 공급되도록 상기 촉매반응부의 내부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공급파이프와 상기 공급파이프의 하단부로 상기 촉매재생부에서 재생된 촉매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 재생파이프가 연결되는 부위에 응력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되는 부위에 발생되는 응력을 지지하도록 보강하여 해당 부위와 그 주변의 파손이 방지되고,
    상기 응력지지수단은,
    상기 공급파이프와 재생파이프의 연결된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지지수단은,
    상기 공급파이프와 재생파이프의 연결된 외측을 감싸되, 일정 두께를 갖는 링형상의 리브이며, 상기 리브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 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네 개로 구성되며, 상기 공급파이프와 재생파이프의 연결된 하단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1리브;
    상기 공급파이프와 재생파이프의 연결된 상단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4리브;
    상기 제1리브와 제4리브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1리브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리브; 및
    상기 제2리브와 제4리브 사이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3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두께는 30 ~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공급파이프와 재생파이프 두께의 2 ~ 4배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리브 각각의 사이 또는 다수의 리브 중 선택된 인접한 두 개의 리브 사이에 보조리브가 더 구비되어 인접한 두 개의 리브를 상호 지지함에 따라 보강력을 더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리브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두 개의 리브와 각각 직교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리브는,
    상기 인접한 두 개의 리브 사이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보조리브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인접한 다른 보조리브는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리브와 대칭되도록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며,
    계속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리브와 다른 보조리브가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
KR1020120069166A 2012-05-04 2012-06-27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 KR101380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7669 2012-05-04
KR1020120047669 2012-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26A KR20130124126A (ko) 2013-11-13
KR101380472B1 true KR101380472B1 (ko) 2014-04-01

Family

ID=4985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166A KR101380472B1 (ko) 2012-05-04 2012-06-27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4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9395A (ja) * 1997-06-05 1998-12-22 C I Kasei Co Ltd 分岐管
KR20100109495A (ko) * 2009-03-31 2010-10-08 차이나 페트로리움 앤드 케미컬 코포레이션 촉매의 선택성 향상을 위한 촉매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9395A (ja) * 1997-06-05 1998-12-22 C I Kasei Co Ltd 分岐管
KR20100109495A (ko) * 2009-03-31 2010-10-08 차이나 페트로리움 앤드 케미컬 코포레이션 촉매의 선택성 향상을 위한 촉매 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26A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0945B2 (en) High severity fluidized catalytic cracking system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olefins from petroleum feeds
KR101654598B1 (ko) 촉매의 선택성 향상을 위한 촉매 재생 방법
JP5232135B2 (ja) 触媒を用いた原料油転化装置
KR101531430B1 (ko) 공통의 기체-고체 분리 구역 및 2개의 병렬 상승관을 포함하는 반응 구역을 이용하여 프로필렌을 제조하는 방법
KR101787210B1 (ko) 온도 구배 공정에 의한 원유의 직접 촉매 크래킹
US20190076815A1 (en) Structured packing element having a spiral helix shape
RU2009144146A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редних дистиллятов и низших олефинов из углеводородного сырья
RU2641692C1 (ru) Установка каталитической ароматизации легкого углеводородного сырья и способ ее работы
KR101880161B1 (ko) Fcc 유닛 내에서의 다단계 크래킹 및 스트리핑 공정
RU2301107C1 (ru) Реактор для дегидрирования парафиновых углеводородов c3-c5
RU2014103008A (ru)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каталитического крекинг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вух лифт-реакторов для получения среднего дистиллята и низших олефинов
CN100460050C (zh) 一种流化床气固接触设备
TWI610719B (zh) 反應器床容器和支撐總成
KR101380472B1 (ko)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
CN100537713C (zh) 一种多产丙烯的催化转化方法
US9233354B1 (en) Sealing system for a fluid catalyst cracking regenerator
KR101387229B1 (ko) 내구성이 보강된 유체촉매방식 분해유닛
CN101879432B (zh) 一种流化床气固接触设备
CN100490963C (zh) 流化床气固接触设备
JP6234829B2 (ja) 重質油の流動接触分解法
US10406497B2 (en) Reactor bed vessel and support assembly
CN110461998B (zh) 用于除去催化剂上的烃的容器
US9663722B2 (en) Fluid catalytic crack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cracking hydrocarbons
US20240150663A1 (en) Processes for producing petrochemical products from crude oil
CN113423496B (zh) 用于催化剂再生器的改进的密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