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842B1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842B1
KR101379842B1 KR1020130158610A KR20130158610A KR101379842B1 KR 101379842 B1 KR101379842 B1 KR 101379842B1 KR 1020130158610 A KR1020130158610 A KR 1020130158610A KR 20130158610 A KR20130158610 A KR 20130158610A KR 101379842 B1 KR101379842 B1 KR 101379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nk
inclined surface
food waste
plate memb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나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나라
Priority to KR102013015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by application of heat, e.g. by means of potato coo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및 건조함으로써 사료나 퇴비 등으로 자원화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 처리되는 곳으로, 전면부에 제1경사면이 마련된 처리조와, 처리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처리조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및 분해하는 교반기와, 처리조의 둘레를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것으로, 전면부에 처리조의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마련된 외측 케이스를 포함한다. 처리조의 상부에는 교반기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처리조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과, 처리조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를 필터링하여 배기시키는 배기유닛이 설치된다. 외측 케이스의 상부에는 구동모터, 열풍공급유닛 및 배기유닛이 설치된 처리조의 상부공간을 둘러싸는 상부 케이스가 설치된다. 처리조의 제1경사면과 외측 케이스의 제2경사면을 관통하여 처리조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 사이에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및 건조함으로써 사료나 퇴비 등으로 자원화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진행과 문화 수준의 질적 향상으로 인하여 각종 폐기물 발생량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지만, 이러한 폐기물을 처리하는 데에는 환경오염 및 혐오시설들의 설치 기피현상 또는 소각에 따른 다이옥신 발생 등의 여러 사회적, 자연적, 환경적인 문제들이 다양하게 발생 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특히, 음식물쓰레기는 전문 수거업체에서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하고 있으나, 처리시 발생하는 음폐수로 인한 수질오염 때문에 2013년부터 해양배출이 금지되고 전면 육상처리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처리용량 초과 및 처리시설 부족 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탈수, 건조 등으로 사료나 퇴비 등으로 자원화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7101호 및 제10-2013-0061209호에는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예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들에 있어서는, 처리시 음폐수 및 응축수가 배출되어 수질오염의 문제점이 있고,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처리장치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투입구에는 여닫이 형태의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아파트 단지 등에서 공용으로 사용되는 대용량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경우에는, 처리장치의 부피가 커지게 되어 투입구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구가 위치한 처리장치의 상부까지 들어올린 후, 여닫이 도어를 열고 투입구를 통해 처리장치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힘이 많이 들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투입을 위해서 발판을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실족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다. 또한, 투입구가 높은 곳에 위치하여 처리장치 내부가 잘 보이지 않으므로, 처리장치 내부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직접 처리하는 처리조 외에도 구동모터, 히터, 배기장치 등의 부속장치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부속장치들은 처리조 옆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처리조와 부속장치들이 점유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설치 장소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7101호 (2013.10.01. 공개)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1209호 (2013.06.11.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여 유기물은 축적시켜 사료나 퇴비 등으로 자원화할 수 있으며 수분과 탄산가스는 열풍으로 기화시킴으로써 수질오염 없이 친환경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를 처리조 내부로 투입하기 용이하고 설치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 처리되는 곳으로, 전면부에 제1경사면이 마련된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및 분해하는 교반기; 상기 처리조의 둘레를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것으로, 전면부에 상기 처리조의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마련된 외측 케이스;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기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를 필터링하여 배기시키는 배기유닛;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 열풍공급유닛 및 배기유닛이 설치된 상기 처리조의 상부공간을 둘러싸는 상부 케이스; 상기 처리조의 제1경사면과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제2경사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및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처리조는, 아래쪽으로 볼록하고 위쪽으로 개방된 반원통 형상을 가진 하부판부재와, 아래쪽으로 개방된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진 상부판부재와, 상기 하부판부재 및 상부판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좌측판부재 및 우측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판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판부재의 하단부에는 각각 수평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부재의 절곡부와 상기 상부판부재의 절곡부를 맞대기한 후 용접결합함으로써, 상기 하부판부재와 상부판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판부재와 우측판부재의 외면에는 보강대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좌측판부재와 우측판부재의 테두리부는 바깥쪽으로 직각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판부재와 우측판부재의 외면에는 단열재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판부재의 전면부에는 상기 처리조 내에서 음식물쓰레기가 처리되어 생성된 처리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측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내측 배출구에는 내측 덮개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내측 배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외측 배출구에는 외측 덮개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판부재와 외측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내측 배출구와 외측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단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부재의 외면에 부착되며, 외측 단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교반유닛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교반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중간부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교반기는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에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는 스프로켓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체인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유닛은, 내부에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다수의 히터가 설치된 히터박스와, 상기 히터박스를 간격을 두고 에워싸는 외측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히터박스의 하부는 상기 처리조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구와 연통되고, 상기 히터박스의 상면부에는 상기 히터박스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내측 공기유입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외측 하우징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외측 공기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하우징과 상기 히터박스 사이의 간격 내에는, 상기 외측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외측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히터박스의 내측 공기유입구까지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길게 연장하는 다수의 가이드판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처리조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블로어와, 상기 블로어와 상기 처리조 사이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가스와 수증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블로어는 흡기관을 통해 상기 필터박스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박스의 하부는 상기 처리조에 관통 형성된 배기구와 연통되고, 상기 필터박스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구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고정판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판 사이에 필터가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판 각각에는 가스와 수증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필터박스의 상기 필터를 기준으로 상기 배기구의 반대쪽 측면에 상기 흡기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 사이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 이동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 이동장치는, 상기 투입구의 위쪽과 아래쪽에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바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투입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왕복 이동시키는 엑스바(X-Bar)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바 구동부는, 상기 제1경사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에 엑스자 형태로 중간부가 힌지 결합된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제1힌지축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기어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는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의 중간부와 상기 제2링크부재의 중간부는 제2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제2경사면에는 상기 투입구 옆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조작 패널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를 유기물, 수분, 탄산가스로 분해시켜 유기물은 축적시켜 사료나 퇴비 등으로 자원화할 수 있으며, 수분 및 탄산가스는 열풍으로 기화시켜 수질오염 없이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 투입구가 전면 중앙부의 경사면에 대략 90cm 높이에 마련되고, 투입구에는 슬라이딩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 없이 처리조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처리조 내부의 상태를 살피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구동모터, 열풍공급유닛, 배기유닛 등의 부속장치들이 처리조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처리장치의 설치에 필요한 점유 면적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으며, 부속장치들의 점검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처리조를 둘러싸는 외측 케이스가 설치됨으로써, 처리조 내부의 열손실이 억제될 수 있고, 처리조 상부에 설치되는 부속장치들이 상부 케이스와 커버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므로 빗물이나 외부의 먼지 등 오염물질에 의한 부속장치들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복잡한 부속장치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미관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처리조를 구성하는 하부판부재와 상부판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처리조를 구성하는 좌측판부재와 우측판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처리조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열풍공급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히터박스와 외측 하우징 사이의 간격 내에 설치되는 가이드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배기유닛의 필터박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처리조, 외측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과 도 8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와 도어 이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제1링크부재와 제1가이드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처리조를 구성하는 하부판부재와 상부판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처리조를 구성하는 좌측판부재와 우측판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처리조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는,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및 건조 처리함으로써 사료나 퇴비 등으로 자원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처리되는 처리조(100)와, 상기 처리조(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교반유닛(200)과, 상기 처리조(100)의 둘레를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외측 케이스(300)와, 상기 처리조(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30), 열풍공급유닛(400) 및 배기유닛(500)과, 상기 외측 케이스(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600)와, 상기 처리조(100)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700)와, 상기 투입구(700)를 개폐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8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리조(100)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처리되는 곳으로, 하부판부재(110), 상부판부재(120), 좌측판부재(130) 및 우측판부재(14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판부재(110)는 아래쪽으로 볼록하고 위쪽으로 개방된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상단부에는 소정 폭, 예컨대 대략 30mm 정도의 폭으로 수평으로 절곡된 절곡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부재(110)의 전면부(前面部)에는 처리조(100) 내에서 음식물쓰레기가 처리되어 생성된 사료나 퇴비 등의 처리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측 배출구(151)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내측 배출구(151)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둘레를 따라 보강판(152)이 용접 부착되고, 상기 보강판(152)에는 다수의 볼트(153)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배출구(151)를 덮는 내측 덮개(154)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내측 덮개(154)는 상기 하부판부재(110)의 곡면 형상에 상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 덮개(154)에는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기 내측 배출구(151)의 둘레에 설치된 볼트(153)가 삽입되는 다수의 볼트 삽입구멍(155)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 덮개(154)를 상기 내측 배출구(151)를 막도록 설치한 후, 다수의 볼트 삽입구멍(155)에 삽입된 다수의 볼트(153) 각각에 나비 너트(156)를 체결하면 상기 내측 덮개(154)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비 너트(156)를 사용하여 내측 덮개(154)를 고정시키게 되므로, 별도의 공구 없이도 내측 덮개(154)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상부판부재(120)는 아래쪽으로 개방된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되, 그 전면부(前面部)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1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판부재(120)의 하단부에는 소정 폭, 예컨대 대략 30mm 정도의 폭으로 수평으로 절곡된 절곡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부재(110)의 절곡부(112)와 상부판부재(120)의 절곡부(122)를 맞대기한 후 용접결합시키면, 상기 하부판부재(110)와 상부판부재(120)가 비틀림 없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부재(120)의 전면부(前面部), 즉 제1경사면(121)에는 처리조(100)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내측 투입구(710)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내측 투입구(71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투입구(710)의 둘레에는 상기 내측 투입구(710)를 둘러싸는 사각형의 프레임부재(712)가 용접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재(712)의 단부에는 고무와 같은 점탄성물질로 이루어진 패킹부재(714)가 결합된다. 상기 패킹부재(714)에는 소정 깊이의 홈(715)이 형성되며, 이 홈(715)에 상기 프레임부재(712)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71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810)의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내측 투입구(710)를 밀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판부재(120)의 상면부에는 상기 열풍공급유닛(400)으로부터 공급된 열풍을 상기 처리조(10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구(124)와, 상기 처리조(100)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를 배기유닛(50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25)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열풍공급구(124)와 배기구(125)는 가능한 한 대각선 방향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좌측판부재(130)와 우측판부재(140)는 결합된 상기 하부판부재(110) 및 상부판부재(120)의 양측에 각각 용접 결합되며, 이로써 밀폐된 내부 처리 공간을 가진 처리조(100)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좌측판부재(130)와 우측판부재(140)에는 후술하는 교반유닛(200)의 회전축(210)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 설치되는 회전축 결합공(134, 14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 결합공(134, 144)의 둘레에는 보강판(135, 145)이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회전축 결합공(134, 144)의 내부에는 회전축(2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36, 14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좌측판부재(130)와 우측판부재(140)의 외면에는 보강대(138, 148)가 용접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좌측판부재(130)와 우측판부재(140)의 테두리부는 소정의 폭, 예컨대 대략 50mm의 폭으로 바깥쪽으로 직각 절곡된 절곡부(132, 1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대(138, 148)와 절곡부(132, 142)는 좌측판부재(130)와 우측판부재(150)의 강성을 높여 처리조(100)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좌측판부재(130)와 우측판부재(140)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박스(910)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판부재(130)와 우측판부재(140)의 외면에는 단열재(139, 149)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상기 단열재(139, 149)가 좌측판부재(130)와 우측판부재(140)의 외면 일부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좌측판부재(130)와 우측판부재(140)의 외면 전체에 부착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단열재(139, 149)는 상기 하부판부재(110)와 상부판부재(120)의 외면에도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열재(139, 149)로 인하여, 처리조(100)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억제되므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의 가동에 소요되는 전력비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유닛(200)은 상기 처리조(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처리조(100)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및 분해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교반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부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조(100)의 좌측판부재(130)와 우측판부재(140)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136, 146)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회전축(210)의 중간부는 다각형, 예컨대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이는 회전축(210)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교반기(220)가 겉돌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축(210)의 일단부에는 후술하는 구동모터(230)에 연결하기 위한 스프로켓(212)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스프로켓(212)에 연결되는 체인(도 1의 234)을 통해 구동모터(2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교반기(220) 각각은 상기 회전축(21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21)와, 상기 결합부재(22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아암부재(222)와, 상기 아암부재(222)의 단부에 설치된 교반판(2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교반기(220)는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교반기(220)는, 상기 회전축(21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가면서 그 설치 각도가 소정 각도, 예컨대 90도씩 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다수의 교반기(220)가 회전하게 되면, 처리조(100)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는 처리조(10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뿐만 아니라 처리조(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교반 및 분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모터(230)는 상기 교반유닛(200)을 회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처리조(100)의 상부, 구체적으로 상부판부재(110)의 상면부 위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230)의 구동축(231)에는 스프로켓(232)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스프로켓(232)에는 체인(234)이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30)의 구동력은 상기 체인(234)을 통해 상기 교반유닛(200)의 회전축(2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구동력 전달 수단으로서 스프로켓(212, 232)과 체인(234)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동력 전달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열풍공급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히터박스와 외측 하우징 사이의 간격 내에 설치되는 가이드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열풍공급유닛(400)은 상기 처리조(10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처리조(100)의 상부, 구체적으로 상부판부재(110)의 상면부 위에 설치된다.
상기 열풍공급유닛(400)은, 내부에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다수의 봉 형상의 히터(412)가 설치된 히터박스(410)와, 상기 히터박스(410)를 간격을 두고 에워싸는 외측 하우징(420)을 포함한다.
상기 히터박스(410)의 하부는 상기 처리조(100)의 상부판부재(110)에 관통 형성된 열풍공급구(124)와 연통되고, 상기 히터박스(410)의 상면부에는 히터박스(4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내측 공기유입구(414)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열풍공급구(124)와 내측 공기유입구(414)는 가능한 한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내측 공기유입구(414)를 통해 히터박스(4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풍공급구(124)를 통해 처리조(100) 내부로 공급되기까지의 이동 경로가 길어지게 되므로,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원하는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히터박스(410)의 내부에는 다수의 히터(412)가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히터(412)로서 봉 형상의 히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외측 하우징(420)은 상기 히터박스(410)보다 큰 크기로 제작되어 상기 히터박스(410)를 덮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히터박스(410)와 외측 하우징(42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하우징(420)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외측 공기유입구(424)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상기 외측 공기유입구(424)를 통해 외측 하우징(4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히터박스(410) 내부로 바로 들어가지 않고, 외측 하우징(420)과 히터박스(410) 사이의 간격 내에서 충분히 예열된 후에 상기 내측 공기유입구(414)를 통해 히터박스(410) 내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열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하우징(420)의 외면에는 단열재(422)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열재(422)에 의해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외측하우징(420)과 히터박스(410) 사이의 간격 내에는, 상기 외측 공기유입구(424)를 통해 외측 하우징(420) 내부로 유입되어 히터박스(410)의 내측 공기유입구(414)까지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길게 연장하는 다수의 가이드판(4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판(430)에 의해 길어진 이동 경로로 인해 공기가 더욱 충분히 예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가이드판(430)의 배치 구조는 단지 일 예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배기유닛의 필터박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배기유닛(500)은 상기 처리조(100)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를 필터링하여 배기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처리조(100)의 상부, 구체적으로 상부판부재(110)의 상면부 위에 설치된다.
상기 처리조(100) 내에서 음식물쓰레기의 분해 및 교반 과정에서 탄산가스 등의 가스가 발생되고, 상기 열풍공급유닛(400)에 의해 공급된 열풍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분해 및 건조되는 과정에서 수증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가스와 수증기는 상기 배기유닛(500)에 의해 필터링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유닛(500)은, 처리조(100)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블로어(510)와, 상기 블로어(510)와 처리조(100) 사이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가스와 수증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박스(520)를 포함한다.
상기 블로어(510)는 흡기관(512)을 통해 필터박스(5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블로어(510)가 작동되면 처리조(100)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가 처리조(100)의 상부판부재(110)에 형성된 배기구(125)를 통해 배출되면서 필터박스(520)를 거쳐 필터링된다. 필터링된 가스와 수증기는 흡기관(512)을 통해 블로어(510)로 유입되고, 블로어(510)에 마련된 배기관(5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기관(514)의 단부는 상부 케이스(600)에 형성된 관통공(51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배기유닛(500)에 의해 처리조(100)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처리조(100) 내부의 압력은 부압이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열풍공급유닛(40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처리조(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필터박스(520)의 하부는 상기 처리조(100)의 상부판부재(110)에 관통 형성된 배기구(125)와 연통되고, 상기 필터박스(520)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구(125)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고정판(522)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판(522) 사이에는 필터(524)가 삽입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판(524) 각각에는 가스와 수증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523)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박스(520)의 상기 필터(524)를 기준으로 상기 배기구(125)의 반대쪽 측면에 상기 흡기관(512)이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동모터(230), 열풍공급유닛(400) 및 배기유닛(500) 등의 부속장치들이 처리조(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달리 이러한 부속장치들이 차지하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의 설치에 필요한 점유 면적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음식물쓰레기를 열풍을 이용하여 20% 이하의 수분 함량으로 분해 및 건조시키므로, 폐수가 발생되지 않아서 수질 오염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처리조, 외측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처리조(100)의 외측에는 처리조(100)를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외측 케이스(300)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 케이스(300)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모터(230), 열풍공급유닛(400) 및 배기유닛(400)이 설치된 상부공간을 둘러싸는 상부 케이스(600)가 설치된다.
상기 외측 케이스(300)의 상단부는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처리조(100)의 상부판부재(120)의 상면에 용접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600)의 하단은 상기 외측 케이스(300)의 상단에 용접 또는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600)는 그 상부를 덮는 커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케이스(300)의 전면부(前面部)에는 상기 처리조(100)의 제1경사면(121)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321)이 마련된다. 상기 제2경사면(321)에는 처리조(100)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외측 투입구(720)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외측 투입구(720)는 상기 처리조(100)의 제1경사면(121)에 형성된 내측 투입구(710)와 동일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내측 투입구(710)와 외측 투입구(720)를 통칭하여 투입구(700)라고 한다. 상기 투입구(700)는 음식물쓰레기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대략 90cm 높이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투입구(710)의 둘레에는 내측 투입구(710)를 둘러싸는 사각형의 프레임부재(712)가 용접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재(712)의 단부에는 패킹부재(714)가 결합된다.
상기 처리조(100)의 제1경사면(121)과 외측 케이스(300)의 제2경사면(321) 사이에는 상기 투입구(700)를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810)가 설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 케이스(300)의 제2경사면(321)에는 상기 투입구(700) 옆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81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조작 버튼들과 다수의 스위치가 배치된 조작 패널(920)이 마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 투입구(700)가 전면 중앙부의 경사면(321)에 대략 90cm 높이에 마련되고, 투입구(700)에는 슬라이딩 도어(810)가 자동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발판계단이 필요 없어서 안전사고의 위험 없이 처리조(100)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처리조(100) 내부의 상태를 살피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투입구(700)의 슬라이딩 도어(810)가 옆으로 열리므로 앞쪽의 공간 확보가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투입구(700)의 슬라이딩 도어(810)를 개폐하는 조작 버튼이 투입구(700)의 옆에 마련되어 있어서 개폐 조작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투입구(700)의 슬라이딩 도어(810)가 열리면 교반유닛(200)이 자동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때 손이 들어가더라도 안전한 장점이 있다.
상기 외측 케이스(300)의 전면부에는 상기 하부판부재(110)에 형성된 내측 배출구(151)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 배출구(161)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외측 배출구(161)의 넓이는 상기 내측 배출구(151)을 덮는 내측 덮개(154)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 배출구(161)를 통해 내측 덮개(154)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측 배출구(161)는 외측 덮개(164)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외측 덮개(164)는 다수의 나사(165) 또는 볼트를 사용하여 외측 배출구(161) 둘레의 외측 케이스(3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내측 배출구(151)와 외측 배출구(161)를 통칭하여 배출구(160)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조(100)의 하부판부재(110)와 외측 케이스(300) 사이에는 상기 내측 배출구(151)와 외측 배출구(16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7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70)는 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 단면(171)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하부판부재(110)의 외면에 부착되며, 외측 단면(172)은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외측 케이스(300)의 내면에 부착된다. 상기 처리조(100)의 내부로부터 내측 배출구(151)을 통해 배출되는 처리물은 상기 연결부재(170)와 외측 배출구(1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유닛(200)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처리물이 상기 배출구(150)를 통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처리조(100)를 둘러싸는 외측 케이스(300)가 설치됨으로써, 처리조(100) 내부의 열손실이 억제될 수 있으며, 처리조(100)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30), 열풍공급유닛(400) 및 배기유닛(500) 등의 부속장치들이 상부 케이스(600)와 커버(620)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므로 빗물이나 외부의 먼지 등 오염물질에 의한 부속장치들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부속장치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의 전체적인 미관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과 도 8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와 도어 이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제1링크부재와 제1가이드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0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고, 도 11은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는 과정을 보여주며, 도 12는 슬라이딩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보여준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처리조(100)의 제1경사면(121)과 외측 케이스(300)의 제2경사면(321) 사이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810)와 함께 슬라이딩 도어(810)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투입구(700)를 개폐시키는 도어 이동장치(80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 이동장치(800)는, 한 쌍의 가이드 바(820)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820)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830)과, 상기 슬라이딩 도어(810)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830)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840)과, 상기 투입구(7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810)를 왕복 이동시키는 엑스바(X-Bar) 구동부(8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820)는 사각형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기 투입구(700)의 위쪽과 아래쪽에 나란하게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820)는 상기 처리조(100)의 제1경사면(12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830)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820) 각각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840)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810)의 내면 상단부와 하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830)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810)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83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840)에 의해 좌우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엑스바(X-Bar) 구동부(850)는, 상기 처리조(100)의 제1경사면(121)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851)과, 상기 베이스판(851) 상에 엑스자 형태로 중간부가 힌지 결합된 제1링크부재(860) 및 제2링크부재(870)와, 상기 제1링크부재(860)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88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링크부재(860)의 일단부는 제1힌지축(851)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부재(860)의 일단부에는 기어부(861)가 마련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상기 모터(880)에 연결된다. 상기 제1힌지축(852)은 상기 베이스판(851)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모터(880)도 베이스판(851)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860)는 상기 모터(880)에 의해 상기 제1힌지축(85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860)의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8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1가이드부재(890)에 결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부재(890)는 슬라이딩 도어(810)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가이드홈(89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링크부재(860)의 타단부에 마련된 가이드핀(862)이 상기 제1가이드홈(891)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89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860)는 상기 제2링크부재(870)와 엑스자 형태로 힌지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링크부재(860)의 중간부와 제2링크부재(870)의 중간부는 제2힌지축(853)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870)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판(851)에 설치된 제2가이드부재(892)에 결합된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982)는 슬라이딩 도어(810)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2가이드홈(89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링크부재(870)의 일단부는 상기 제2가이드홈(893)에 삽입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89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870)의 타단부는 상기 제1링크부재(860)의 타단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가이드홈(891)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89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860)가 모터(88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링크부재(870)는 반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된 상태이고, 이때 슬라이딩 도어(810)는 오른쪽으로 이동된 상태로 투입구(700)를 완전히 막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880)에 의해 상기 제1링크부재(8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링크부재(87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제1링크부재(860)의 타단부와 제2링크부재(870)의 타단부가 왼쪽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810)도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투입구(700)가 열리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880)에 의해 제1링크부재(860)가 반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하면 제2링크부재(870)는 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하게 되면서, 제1링크부재(860)의 타단부와 제2링크부재(870)의 타단부는 더욱 왼쪽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810)도 더욱 왼쪽으로 이동하여 투입구(700)가 완전히 열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슬라이딩 도어(810)가 닫히는 동작은 위와 반대 과정으로 일어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있어서는, 슬라이딩 도어(810)를 개폐 이동시키기 위해 엑스바 구동부(85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엑스바 구동부(850)는 설치 면적을 넓게 점유하지 않으며, 필요 부품을 최소화시키고, 구동력이 우수하여 이물질이 끼어도 영향을 받지 않고 슬라이딩 도어(810)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00...처리조
110...하부판부재 120...상부판부재
121...제1경사면 124...열풍공급구
125...배기구 130...좌측판부재
140...우측판부재 134,144...회전축 결합공
135,145...보강판 136,146...베어링
138,148...보강대 139,149...단열재
150...배출구 151...내측 배출구
152...보강판 154...내측 덮개
161...외측 배출구 164...외측 덮개
170...연결부재 200...교반유닛
210...회전축 220...교반기
221...결합부재 222...아암부재
223...교반판 230...구동모터
231...구동축 212,232...스프로켓
234...체인 300...외측 케이스
321...제2경사면 400...열풍공급유닛
410...히터박스 412...히터
414...내측 공기유입구 420...외측 하우징
422...단열재 424...외측 공기유입구
430...가이드판 500...배기유닛
510...블로어 512...흡기관
514...배기관 520...필터박스
522...고정판 524...필터
600...상부 케이스 620...커버
700...투입구 710...내측 투입구
712...프레임부재 714...패킹부재
720...외측 투입구 800...도어 이동장치
810...슬라이딩 도어 820...가이드 바
830...가이드 레일 840...슬라이딩 레일
850...엑스바 구동장치 851...베이스판
852..제1힌지축 853...제2힌지축
860...제1링크부재 870...제2링크부재
880...모터 890...제1가이드부재
891...제1가이드홈 892...제2가이드부재
893...제2가이드홈 910...제어박스
920...조작패널

Claims (11)

  1. 음식물쓰레기가 투입, 처리되는 곳으로, 전면부에 제1경사면이 마련된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및 분해하는 교반유닛;
    상기 처리조의 둘레를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것으로, 전면부에 상기 처리조의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마련된 외측 케이스;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유닛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를 필터링하여 배기시키는 배기유닛;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 열풍공급유닛 및 배기유닛이 설치된 상기 처리조의 상부공간을 둘러싸는 상부 케이스;
    상기 처리조의 제1경사면과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제2경사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및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처리조는, 아래쪽으로 볼록하고 위쪽으로 개방된 반원통 형상을 가진 하부판부재와, 아래쪽으로 개방된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진 상부판부재와, 상기 하부판부재 및 상부판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좌측판부재 및 우측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판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판부재의 하단부에는 각각 수평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부재의 절곡부와 상기 상부판부재의 절곡부를 맞대기한 후 용접결합함으로써, 상기 하부판부재와 상부판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판부재와 우측판부재의 외면에는 보강대가 용접 설치되고,
    상기 좌측판부재와 우측판부재의 테두리부는 바깥쪽으로 직각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판부재와 우측판부재의 외면에는 단열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부재의 전면부에는 상기 처리조 내에서 음식물쓰레기가 처리되어 생성된 처리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측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내측 배출구에는 내측 덮개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내측 배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외측 배출구에는 외측 덮개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판부재와 외측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내측 배출구와 외측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단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부재의 외면에 부착되며, 외측 단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의 내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5. 음식물쓰레기가 투입, 처리되는 곳으로, 전면부에 제1경사면이 마련된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및 분해하는 교반유닛;
    상기 처리조의 둘레를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것으로, 전면부에 상기 처리조의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마련된 외측 케이스;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유닛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를 필터링하여 배기시키는 배기유닛;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 열풍공급유닛 및 배기유닛이 설치된 상기 처리조의 상부공간을 둘러싸는 상부 케이스;
    상기 처리조의 제1경사면과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제2경사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및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교반유닛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교반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중간부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교반기는 상기 회전축의 중간부에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는 스프로켓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체인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6. 음식물쓰레기가 투입, 처리되는 곳으로, 전면부에 제1경사면이 마련된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및 분해하는 교반유닛;
    상기 처리조의 둘레를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것으로, 전면부에 상기 처리조의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마련된 외측 케이스;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유닛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를 필터링하여 배기시키는 배기유닛;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 열풍공급유닛 및 배기유닛이 설치된 상기 처리조의 상부공간을 둘러싸는 상부 케이스;
    상기 처리조의 제1경사면과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제2경사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및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열풍공급유닛은, 내부에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다수의 히터가 설치된 히터박스와, 상기 히터박스를 간격을 두고 에워싸는 외측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히터박스의 하부는 상기 처리조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구와 연통되고, 상기 히터박스의 상면부에는 상기 히터박스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내측 공기유입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외측 하우징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외측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하우징과 상기 히터박스 사이의 간격 내에는, 상기 외측 공기유입구를 통해 상기 외측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히터박스의 내측 공기유입구까지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길게 연장하는 다수의 가이드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8. 음식물쓰레기가 투입, 처리되는 곳으로, 전면부에 제1경사면이 마련된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및 분해하는 교반유닛;
    상기 처리조의 둘레를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것으로, 전면부에 상기 처리조의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마련된 외측 케이스;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유닛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를 필터링하여 배기시키는 배기유닛;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 열풍공급유닛 및 배기유닛이 설치된 상기 처리조의 상부공간을 둘러싸는 상부 케이스;
    상기 처리조의 제1경사면과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제2경사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및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처리조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블로어와, 상기 블로어와 상기 처리조 사이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가스와 수증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블로어는 흡기관을 통해 상기 필터박스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박스의 하부는 상기 처리조에 관통 형성된 배기구와 연통되고, 상기 필터박스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구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고정판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판 사이에 필터가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판 각각에는 가스와 수증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필터박스의 상기 필터를 기준으로 상기 배기구의 반대쪽 측면에 상기 흡기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9. 음식물쓰레기가 투입, 처리되는 곳으로, 전면부에 제1경사면이 마련된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및 분해하는 교반유닛;
    상기 처리조의 둘레를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것으로, 전면부에 상기 처리조의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마련된 외측 케이스;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유닛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를 필터링하여 배기시키는 배기유닛;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 열풍공급유닛 및 배기유닛이 설치된 상기 처리조의 상부공간을 둘러싸는 상부 케이스;
    상기 처리조의 제1경사면과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제2경사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처리조 내부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도어; 및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 이동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 이동장치는, 상기 투입구의 위쪽과 아래쪽에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바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투입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왕복 이동시키는 엑스바(X-Bar)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바 구동부는, 상기 제1경사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에 엑스자 형태로 중간부가 힌지 결합된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제1힌지축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기어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는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의 중간부와 상기 제2링크부재의 중간부는 제2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제2경사면에는 상기 투입구 옆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버튼들을 포함하는 조작 패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30158610A 2013-12-18 2013-12-18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79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610A KR101379842B1 (ko) 2013-12-18 2013-12-18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610A KR101379842B1 (ko) 2013-12-18 2013-12-18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842B1 true KR101379842B1 (ko) 2014-03-31

Family

ID=5064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610A KR101379842B1 (ko) 2013-12-18 2013-12-18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8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535B1 (ko) * 2014-06-27 2015-01-19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와 악취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516123B1 (ko) * 2014-06-27 2015-05-06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20170033615A (ko) 2015-09-17 2017-03-27 오성제 음식물 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의 제어 방법
KR20170033614A (ko) 2015-09-17 2017-03-27 오성제 음식물 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
KR102466335B1 (ko) * 2022-02-21 2022-11-16 주식회사 리드바이오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83524B1 (ko) * 2022-02-22 2023-01-04 주식회사 리드바이오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도어 개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700U (ko) * 2008-04-17 2009-10-21 (주)에코웰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700U (ko) * 2008-04-17 2009-10-21 (주)에코웰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535B1 (ko) * 2014-06-27 2015-01-19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와 악취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516123B1 (ko) * 2014-06-27 2015-05-06 효림산업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20170033615A (ko) 2015-09-17 2017-03-27 오성제 음식물 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의 제어 방법
KR20170033614A (ko) 2015-09-17 2017-03-27 오성제 음식물 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
KR102466335B1 (ko) * 2022-02-21 2022-11-16 주식회사 리드바이오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83524B1 (ko) * 2022-02-22 2023-01-04 주식회사 리드바이오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84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US7762713B2 (en) Food waste disposal system
KR101243986B1 (ko) 폐기물 건조장치
KR20100065662A (ko) 슬러지 건조 장치
DE19530471A1 (de) Vorrichtung zum Verarbeiten von organischen Feststoffabfall
JP2007105605A (ja) 炭化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0970233B1 (ko) 유기물 소멸처리기
CN102363550B (zh) 一种圆盘式污泥干燥机
KR102311767B1 (ko) 폐유기물 처리기
KR20150055950A (ko)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CN104557157A (zh) 一种病死动物尸体无害化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173127B1 (ko) 건조기
KR101269957B1 (ko) 이동식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100993492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1010530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CN212747183U (zh) 一种肥料生产用快速烘干装置
KR102209755B1 (ko) 슬러지 처리기
KR101350238B1 (ko) 유기성폐기물 감량화 처리장치
KR100555832B1 (ko) 잔반 분해 소멸기용 배출구
KR200421392Y1 (ko) 음식물 쓰레기 소각장치
CN206720921U (zh) 一种分散式一体化污水处理装置
CN114682622B (zh) 多功能修复主体设备及其有机污染土壤修复装置和方法
KR1007606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769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파쇄구가 구비된 교반기
KR102328698B1 (ko) 소각장치에 이용되는 연소용 연료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