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834B1 -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834B1
KR101379834B1 KR1020120050369A KR20120050369A KR101379834B1 KR 101379834 B1 KR101379834 B1 KR 101379834B1 KR 1020120050369 A KR1020120050369 A KR 1020120050369A KR 20120050369 A KR20120050369 A KR 20120050369A KR 101379834 B1 KR101379834 B1 KR 101379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unit
elevating
rota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6328A (ko
Inventor
고석민
장종일
Original Assignee
순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순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834B1/ko
Priority to TW102107484A priority patent/TWI623474B/zh
Priority to JP2013099172A priority patent/JP6261185B2/ja
Publication of KR20130126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판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직접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판부재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를 정밀하게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모듈은 베이스부재(210)를 포함하는 고정부(200); 상기 베이스부재(210)에 구비되는 축부재(220)에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300); 상기 회전부(300)의 회전에 따른 승강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200)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230)를 따라 승강하도록 상기 회전부(300)와 상기 가이드부재(230)에 연결되는 승강부(400); 및 상기 회전부(300)를 회전구동하도록 상기 회전부(300)와 승강부(400)에 연계되는 구동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승강부(400)에 연결되는 고정링부재(610)와, 일측은 상기 고정링부재(6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부(300)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링부재(620)를 포함하는 회전연결부재(600)에 의해서 상기 승강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간단한 간단한 구성으로 LCD나 LED 패널 등의 판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직접 승강이 가능할 수 있으며, 판부재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를 정밀하게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ELEVATING MODULE AND ELEV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LCD나 LED 패널 등의 판부재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판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직접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판부재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를 정밀하게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LCD나 LED 패널 등의 판부재는 제조공정에서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여 표면 검사 등이 이루어진다.
종래, 이러한 판부재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승강장치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모듈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승강모듈은 스텝모터나 서보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승강부재의 경사면이 고정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승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승강모듈이 웨지형태로 구성되어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웨지형태의 승강모듈은 스텝모터나 서보모터의 회전을 전술한 바와 같은 승강부재의 이동으로 바꾸기 위해서 비교적 많은 동력전달부재가 사용되어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잡한 구성 때문에, 정밀한 승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승강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 사용하여 구성된 승강장치에 의해서는 LCD나 LED 패널 등의 판부재의 수평을 조절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LCD나 LED 패널 등의 판부재를 정밀하게 승강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LCD나 LED 패널 등의 판부재가 사용되는 평면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이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에, LCD나 LED 패널 등의 판부재의 크기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LCD나 LED 패널 등의 판부재의 하중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웨지형태의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로는 큰 하중의 LCD나 LED 패널 등의 판부재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정밀하게 승강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간단한 구성으로 상하방향으로 직접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한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판부재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를 정밀하게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판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직접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판부재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를 정밀하게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승강모듈은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베이스부재에 구비되는 축부재에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승강에 의해서 고정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를 따라 승강하도록 회전부와 가이드부재에 연결되는 승강부; 및 회전부를 회전구동하도록 회전부와 승강부에 연계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회전부는 승강부에 연결되는 고정링부재와, 일측은 고정링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회전부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링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연결부재에 의해서 승강부에 연결될 수 있다.
삭제
이 경우, 상기 승강부는 가이드부재에 연결되는 고정부재와, 일측은 고정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승강부에 연결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승강연결부재에 의해서 가이드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축부재에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부재는 볼스크류이며, 회전부재는 볼스크류 너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회전부재와 회전링부재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고정링부재와 이동부재에 연결되는 승강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축부재와 회전부가 위치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승강부재에 연결되는 승강판;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판에는 자력발생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부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로터; 및 승강부에 구비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에 의해서 로터가 회전되도록 구성된 스테이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에 연계하여 승강부의 승강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는 베이스부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베이스부재에 연결되는 매뉴얼 조정유닛; 매뉴얼 조정유닛에 연결되는 엔코더; 및 엔코더에 연계되도록 승강부에 연결되는 스케일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승강부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지 않도록 구성된 하강방지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강방지부는 가이드부재와 승강부에 각각 구비되어 승강부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감지하는 하강감지센서; 및 베이스부재에 구비되며 하강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승강부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면 승강부를 클램핑 하도록 구성된 클램핑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승강장치는 장치베이스; 장치베이스에 구비되는 전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모듈; 및 승강모듈에 포함되는 승강부의 상부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승강척;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척은 자력에 의해서 승강부의 상부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척에는 승강부에 포함되는 승강판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부착보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에는 수평조절돌기가 형성되고, 부착보조부재에는 수평조절돌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수평조절홈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조절돌기는 승강판 상면의 중앙에 형성되며 구의 일부 형상이고, 수평조절홈은 수평조절돌기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착보조부재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조절홈은 복수개 형성되며, 수평조절홈의 적어도 하나는 수평조절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이며, 수평조절홈의 적어도 하나는 수평조절돌기가 전후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형상이고, 수평조절홈의 적어도 하나는 수평조절돌기가 좌우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형상이며, 수평조절홈의 적어도 하나는 수평조절돌기가 모든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척은 승강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에 의해서 축부재에서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에 승강부가 연결되어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LCD나 LED 패널 등의 판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직접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판부재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를 정밀하게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모듈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모듈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모듈의 일실시예의 측정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고, 도4b는 분해사시도이다.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모듈의 일실시예의 하강방지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고, 도5b는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모듈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모듈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일실시예의 승강척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일실시예의 측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판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직접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판부재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를 정밀하게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모듈(100)은 고정부(200), 회전부(300), 승강부(400) 및, 구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재(2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승강모듈(100)의 베이스의 기능을 한다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부재(210)에는 후술할 회전부(300)가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축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축부재(2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축지지부재(221)에 의해서 베이스부재(21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축지지부재(221)가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볼트 등에 의해서 베이스부재(2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축부재(220)의 일측 단부가 축지지부재(221)에 삽입되고 볼트 등에 의해서 고정됨으로써 축부재(220)가 베이스부재(2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축부재(220)가 베이스부재(210)에 구비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축부재(220)는 볼스크류일 수 있다. 그러나, 축부재(220)는 볼스크류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회전부(300)가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축부재(220)에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후술할 회전부(300)의 승강거리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부재(222)가 구비될 수 있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스토퍼부재(222)가 전술한 축지지부재(221)에 볼트 등에 의해서 고정됨으로써 축부재(2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300)의 축부재(220)에서의 하강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축부재(220)의 타측에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토퍼지지부재(223)가 볼트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지지부재(22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다른 스토퍼부재(222)가 볼트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축부재(2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300)의 축부재(220)에서의 상승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축부재(2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스토퍼부재(222)에 의해서 회전부(300)의 승강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210)에는 또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후술할 승강부(40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2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승강부(40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부(300)는 전술한 고정부(200)의 베이스부재(210)에 구비되는 축부재(220)에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회전부(3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31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축부재(220)에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축부재(220)가 볼스크류라면, 회전부재(310)는 볼스크류에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볼스크류 너트일 수 있다. 그러나, 회전부재(310)는 볼스크류 너트에 한정되지 않고, 축부재(220)에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부(300)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320,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320,330)는 전술한 회전부재(310)와, 회전부(300)와 승강부(400)를 연결하는 후술할 회전연결부재(600)에 포함되는 회전링부재(62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320,33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연결부재(320)와 제2연결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3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회전부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서 제1연결부재(320)와 함께 회전부재(310)가 축부재(220)에서 회전하면서 축부재(22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축부재(220)에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부재(310)가 제1연결부재(320)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볼트 등에 의해서 제1연결부재(320)에 고정되어 제1연결부재(3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부재(310)가 제1연결부재(320)에 연결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연결부재(33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연결부재(320)와 후술할 회전링부재(6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연결부재(330)도 링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링형상의 제2연결부재(330)의 내주부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연결부재(320)의 상부에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330)의 외주부는 회전링부재(620)의 상부에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연결부재(330)의 형상과 제2연결부재(330)가 제1연결부재(320)와 회전링부재(620)에 연결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서 제1연결부재(320)와 함께 제2연결부재(330)와 회전부재(310)가 축부재(220)에서 회전하면서 축부재(22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330)에 연결된 회전링부재(620)도 회전하면서 승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부재(62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고정링부재(610)가 승강되고 고정링부재(610)에 연결된 승강부(400)가 승강될 수 있다.
승강부(400)는 전술한 회전부(300)의 회전에 따른 승강에 의해서 고정부(200)에 구비되는 전술한 가이드부재(230)를 따라 승강하도록 회전부(300)와 가이드부재(2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승강부(40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재(410)는 회전부(300)와 승강부(400)를 연결하는 후술할 회전연결부재(600)에 포함되는 고정링부재(610)와, 승강부(400)를 가이드부재(230)에 연결하는 후술할 승강연결부재(700)에 포함되는 이동부재(7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승강부재(410)는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부(300)가 축부재(220)에서 회전하면서 축부재(220)를 따라 승강되면, 회전부(300)의 승강에 의해서 가이드부재(23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승강부재(41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410)의 관통구멍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부재(210)에 구비되는 축부재(220)와 축부재(220)에 회전하면서 승강하게 구비되는 회전부(3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승강모듈(100)의 구성이 간단하게 될 수 있고 그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400)는 승강판(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판(42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재(4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판(420)은 승강부재(410)에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승강판(420)이 승강부재(410)에 연결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전술하고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00)의 승강부재(410)가 승강되면, 승강판(420)도 승강부재(41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승강판(42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자력발생부재(4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판(420)에는 자석지지부재(421)가 볼트 등에 의해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석지지부재(421)에 의해서 자력발생부재(430)가 승강판(42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자력발생부재(430)가 승강판(420)에 구비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승강판(420)에 구비되는 자력발생부재(430)는 예컨대, 영구자석일 수 있다. 그러나, 승강판(420)에 구비되는 자력발생부재(430)는 영구자석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석 등 자력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자력발생부재(430)에 의해서, 도8과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모듈(100)을 사용하여 승강장치(10)를 구성할 때, 후술할 승강척(30)을 자력에 의해서 승강판(420)에 고정되게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척(30)의 승강판(420)에의 고정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회전부(30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링부재(610)와, 회전링부재(620)를 포함하는 회전연결부재(600)에 의해서 승강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링부재(610)는 링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링부재(610)는 승강부(400),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승강부(400)의 승강부재(410)의 상부에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회전링부재(620)도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링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회전링부재(620)의 일측,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링부재(620)의 외주부는 고정링부재(61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정링부재(610)의 내주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링부재(620)의 외주부가 고정링부재(610)의 내주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회전링부재(620)의 외주부와 고정링부재(610)의 내주부 사이에 복수개의 롤러가 구비되어, 회전링부재(620)의 외주부가 고정링부재(610)의 내주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링부재(620)의 타측,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링부재(620)의 상부는 회전부(300),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회전부(300)의 제2연결부재(330)의 외주부에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00)가 회전되면 회전링부재(62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회전연결부재(600)는 예컨대, 크로스 롤러링일 수 있다. 그러나, 회전연결부재(6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부(300)를 승강부(400)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전술한 구성의 회전연결부재(600)에 의해서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00)가 축부재(220)에서 회전하면서 승강됨에 따라 승강부(400)도 승강될 수 있다. 즉, 후술할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부(300)가 축부재(220)에서 회전하면서 승강되면, 회전부(300)에 연결된 회전링부재(620)가 회전하면서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고정링부재(610)가 승강될 수 있고, 고정링부재(610)에 연결된 승강부재(410)와 승강부재(410)에 연결된 승강판(420)이 승강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회전부(300)의 축부재(220)에서의 회전에 따른 승강에 의해서 승강부(400)가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승강부(40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재(710)와, 이동부재(720)를 포함하는 승강연결부재(700)에 의해서 가이드부재(2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재(710)는 가이드부재(2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재(710)는 볼트 등에 의해서 가이드부재(2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720)의 일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재(71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부재(720)의 일측은 고정부재(7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이동부재(720)의 일측과 고정부재(710) 사이에 복수개의 롤러 또는 볼이 구비되어 이동부재(720)의 일측이 고정부재(71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720)의 타측은 승강부(400),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400)의 승강부재(410)에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승강연결부재(700)는, 예컨대 크로스 롤러가이드 또는 크로스 볼가이드일 수 있다. 그러나, 승강연결부재(7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승강부(400)를 가이드부재(230)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전술한 구성의 승강연결부재(700)에 의해서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00)의 축부재(220)에서의 회전에 따른 승강에 의해서 승강부(400)가 승강될 때, 승강부(400)가 가이드부재(23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승강부(400), 즉 승강부(400)의 승강부재(410)가 승강되면, 승강부재(410)에 연결된 이동부재(720)가 고정부재(71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410)가 일측으로 치우지지 않고, 즉 편심되지 않고 승강될 수 있다.
구동부(500)는 회전부(300)를 회전구동하도록 회전부(300)와 승강부(400)에 연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구동부(50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로터(510)와 스테이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510)는 회전부(300),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회전부(300)의 제1연결부재(320)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로터(510)는 링형상이고 제1연결부재(320)의 하단부에 끼워져서 제1연결부재(32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로터(510)의 형상과 제1연결부재(320)에 구비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로터(510)에는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로터(510)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에 의해서 자력이 발생될 수 있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테이터(520)는 승강부(4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테이터(520)는 승강부(400)의 승강부재(410)의 관통공 내에 끼워져서 승강부재(4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스테이터(520)가 승강부(400)에 구비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스테이터(520)는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에 의해서 로터(510)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520)는 예컨대,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5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의해서 자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로터(510)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력과 스테이터(520)에서 발생되는 자력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로터(51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500)의 구성은 토크모터의 구성일 수 있다. 토크모터는 회전속도에 반비례해서 발생하는 토크가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스텝모터나 서보모터 등을 사용하여 승강모듈을 구성하고 이를 사용하여 승강장치를 구성하는 것보다,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가 승강되도록 승강모듈 및 승강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500)에 의해서 축부재(220)에서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300)에 승강부(400)가 연결되어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상하방향으로 직접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직접 승강이 가능하기 때문에, 마찰 등에 의한 에너지손실이 작고 전술한 바와 같이 토크가 비교적 큰 토크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여 승강장치를 구성하면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를 정밀하게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모듈(100)은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측정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부(800)에 의해서 승강부(400)의 승강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측정부(800)는 도4a와 도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매뉴얼 조정유닛(810), 엔코더(820) 및, 스케일부재(830)를 포함할 수 있다.
매뉴얼 조정유닛(810)은 도4a와 도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부재(2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베이스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볼트 등에 의해서 베이스부재(210)에 연결된 조정유닛지지부재(811)에 매뉴얼 조정유닛(810)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매뉴얼 조정유닛(810)은 후술할 엔코더(820)의 높이를 수작업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매뉴얼 조정유닛(8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엔코더(820)의 높이를 수작업으로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4a와 도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엔코더(820)는 매뉴얼 조정유닛(810)에 연결될 수 있다. 엔코더(820)와 후술할 스케일부재(830)에 의해서 승강부(400)의 승강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엔코더(82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케일부재(830)에 연계되어 승강부(400)의 승강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스케일부재(830)는 도4a와 도4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엔코더(820)에 연계되도록 승강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케일부재(830)는 승강부(400)의 승강부재(410)에 연결될 수 있다. 스케일부재(83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재(410)에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스케일부재(830)가 승강부재(410)에 연결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스케일부재(830)에는 전술한 엔코더(820)에 의해서 인식가능한 복수개의 눈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눈금의 간격은, 예컨대 마이크로미터 단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400)의 승강거리가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측정될 수 있어서, 승강부(400)의 승강거리의 조정이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정밀한 승강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스케일부재(83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엔코더(820)와 연계하여 승강부(400)의 승강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00), 즉 승강부재(410)가 승강되면, 스케일부재(830)도 승강부재(41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엔코더(820)가 측정하여 승강부(400), 즉 승강부(400)의 승강부재(410)의 승강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스케일부재(830)에 구비된 복수개의 눈금을 엔코더(820)가 인식하여 승강부(400), 즉 승강부(400)의 승강부재(410)의 승강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도8과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모듈(100)을 사용하여 승강장치(10)를 구성할 때, 승강모듈(100)의 승강판(420)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승강척(30)의 수평을 각 승강모듈(100)의 승강부재(410)의 승강에 의해서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이때의 각 승강모듈(100)의 승강부재(410)의 위치가 스케일부재(830)의 영점이 되도록 매뉴얼 조정유닛(810)에 의해서 엔코더(8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에는 승강척(30)을 승강모듈(100)의 승강판(420)에 고정되게 부착되도록 하기만 하면, 별도의 조정없이 승강척(30)이 수평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모듈(100)은 도5a와 도5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강방지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강방지부(900)는 전술한 구동부(5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스테이터(5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승강부(400)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강방지부(9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강감지센서(910,920) 및, 클램핑유닛(9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5a와 도5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강감지센서(910,920)는 가이드부재(230)와 승강부(4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하강감지센서(910)는 가이드부재(230)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강감지센서(910)는 가이드부재(230)에 연결되는 고정부재(7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하강감지센서(910)는 승강부(4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5a와 도5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다른 하강감지센서(910)는 승강부(400)의 승강부재(4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500)가 작동하지 않아서 승강부(400)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되면, 하강감지센서(910,920)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하강감지센서(910,920)는 승강부(400)의 이동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서 승강부(400)가 이동하는 속도보다 빠르게 승강부(400)가 하강되면, 하강감지센서(910,920)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승강부(40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승강부(40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감지하는 하강감지센서(910,92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승강부(40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클램핑유닛(930)은 도5a와 도5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부재(2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클램핑유닛(930)은 클램핑유닛지지부재(931)에 연결되어 베이스부재(2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유닛(93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하강감지센서(910,9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하강감지센서(910,920)가 승강부(40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감지하면, 클램핑유닛(930)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는 승강부(400)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승강부(400), 즉 승강부(400)의 승강부재(410)에는 도5a와 도5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클램핑부재(932)가 볼트 등에 의해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400)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됨이 하강감지센서(910,920)에 의해서 감지되면, 클램핑유닛(930)이 승강부재(410)의 클램핑부재(932)를 클램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500)가 작동하지 않아서 승강부(400)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램핑부재(932)를 클램핑하기 위해서, 클램핑유닛(930)은 예컨대 공기가 공급된 상태에서는 클램핑부재(932)를 해제한 상태로 있고, 공기의 공급이 중단되면 클램핑부재(932)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클램핑유닛(93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강감지센서(910,920)에 의해서 승강부(40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이 감지되면, 클램핑부재(932)를 클램핑하여 승강부(40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10)는 도8과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베이스(20), 전술한 하나 이상의 승강모듈(100) 및, 승강척(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8과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베이스(20)는 장치의 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베이스(20)는 판형태로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10)가 사용될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베이스(20)의 구성이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장치의 베이스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10)가 사용될 장소에 위치할 수 있는 형태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나 형태라도 가능하다.
전술한 승강모듈(100)은 도8과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베이스(20)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모듈(100)은 장치베이스(20)에 4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4개의 승강모듈(100)은 장치베이스(20)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모듈(100)이 장치베이스(20)에 대칭되게 배치되도록 구비되면, 후술할 승강척(30)이 승강모듈(100)에 포함되는 승강부(400)의 상부, 즉 승강부(400)의 승강판(420)에 수평하게 고정되도록 부착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즉, 각 승강모듈(100)의 승강부(400)를 승강하도록 하여 LCD 나 LED 패널 등의 판부재가 고정되게 위치되는 승강척(30)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장치베이스(20)에 구비되는 승강모듈(100)의 개수나 장치베이스(20)에의 배치형태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4개나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개수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며 승강척(30)을 용이하게 승강모듈(100)의 승강부(400)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도록 부착하고 승강척(30)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배치라면 어떠한 배치라도 가능하다.
도8과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모듈(100)은 볼트 등에 의해서 장치베이스(2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승강모듈(100)의 베이스부재(200)를 장치베이스(20)에 볼트 등에 의해서 고정시켜서 승강모듈(100)이 장치베이스(20)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승강척(30)은 도8과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모듈(100)의 승강부(400)의 상부, 즉 승강부(400)의 승강판(420)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승강척(30)은 자력에 의해서 승강부(400)의 상부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판(420)에는 자력발생부재(430)가 구비되고, 자력발생부재(430)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서 승강척(30)이 승강판(420)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척(30)이 승강판(420)에 용이하게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척(30)에는 부착보조부재(31)가 구비될 수 있다. 부착보조부재(31)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볼트 등에 의해서 승강척(30)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부착보조부재(31)가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모듈(100)에 포함되는 승강부(400)의 승강판(420)에, 예컨대 자력에 의해서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판(420)에 자석지지부재(421)에 의해서 구비되는 자력발생부재(430)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서 부착보조부재(31)가 승강모듈(100)에 포함되는 승강부(400)의 승강판(420)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부착보조부재(31)는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모듈(100)에 포함되는 승강부(400)의 승강판(4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부착보조부재(31)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승강모듈(100)에 포함되는 승강부(400)의 승강판(420)에 용이하게 고정되게 부착가능한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부착보조부재(31)가 승강척(30)에 구비되면, 승강척(30)이 자력에 의해서 승강모듈(100)에 포함되는 승강부(400)의 승강판(420)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경우, 승강척(30) 전체가 자력에 영향받는 재료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부착보조부재(31)만이 자력에 영향받는 재료로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승강척(30)이 승강모듈(100)에 포함되는 승강부(400)의 승강판(420)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척(30)이 장치베이스(20)에 구비된 승강모듈(100)에 포함되는 승강부(400)의 승강판(420)에 고정되게 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각 승강모듈(100)의 승강부(400)를 각각 적당하게 승강시켜서 승강척(30)이 수평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모듈(100)의 측정부(800)의 매뉴얼 조정유닛(810)에 의해서 엔코더(820)가 스케일부재(830)의 영점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승강척(30)에 LCD나 LED 패널 등의 판부재가 고정되게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 승강모듈(100)의 구동부(500)를 구동하여 각 승강모듈(100)의 승강부(400)가 같은 거리로 승강되도록 하면, 승강척(30)도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척(30)에 고정되게 위치한 LCD나 LED 패널 등의 판부재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원하는 높이까지, 예컨대 표면검사를 위해서 승강될 수 있다.
한편,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모듈(100)의 승강부(400)의 승강판(420)에는 수평조절돌기(4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조절돌기(422)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판(420) 상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구의 일부의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착보조부재(31)에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평조절돌기(42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수평조절홈(31a)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조절홈(31a)은 수평조절돌기(422)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착부보조부재(3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승강척(30)을 승강판(420)의 상부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승강척(30)에 구비되는 부착보조부재(31)에 형성된 수평조절홈(31a)에 승강모듈(100)에 포함되는 승강부(400)의 승강판(420)에 형성된 수평조절돌기(42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승강척(30)을 승강판(420)의 상부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수평조절홈(31a)은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착보조부재(31)의 하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평조절홈(31a)의 적어도 하나는 수평조절돌기(422)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구의 일부의 형상의 홈일 수 있다.
또한,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평조절홈(31a)의 적어도 하나는 수평조절돌기(422)가 전후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수평조절홈(31a)의 적어도 하나는 수평조절돌기(422)가 좌우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수평조절홈(31a)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사각뿔대 형상의 홈일 수 있다.
또한, 수평조절홈(31a)의 적어도 하나는 수평조절돌기(422)가 모든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수평조절홈(31a)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원통형의 홈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승강모듈(100)의 승강부(400)를 승강시켜서 승강척(30)의 수평을 조절하는 경우에, 승강척(30)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예컨대, 승강척(30)의 수평조절시 수평조절돌기(422)와 대응되는 형상인 수평조절홈(31a)에 삽입된 수평조절돌기(422)를 기준으로 승강척(30)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400)에 포함되는 승강판(420)의 자력발생부재(430)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서 승강척(30) 또는 승강척(30)의 부착보조부재(31)가 승강판(420)에 고정되게 부착된다고 하더라도, 승강척(30)의 수평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척(30)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00)에 소정 간격(D) 이격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척(30)의 부착보조부재(31)가 승강부(400)의 승강판(420)과 소정 간격(D) 이격되도록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척(30)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승강부(400)에 포함되는 승강판(420)의 자력발생부재(430)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서 승강척(30) 또는 승강척(30)의 부착보조부재(31)가 승강판(420)에 고정되게 부착된다고 하더라도, 승강척(30)의 수평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를 사용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LCD나 LED 패널 등의 판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직접 승강이 가능할 수 있으며, 판부재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하중의 판부재를 정밀하게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10 : 승강장치 20 : 장치베이스
30 : 승강척 31 : 부착보조부재
31a : 수평조절홈 100 : 승강모듈
200 : 고정부 210 : 베이스부재
220 : 축부재 221 : 축지지지부재
222 : 스토퍼부재 223 : 스토퍼지지부재
230 : 가이드부재 300 : 회전부
310 : 회전부재 320 : 제1연결부재
330 : 제2연결부재 400 : 승강부
410 : 승강부재 420 : 승강판
421 : 자석지지부재 422 : 수평조절돌기
430 : 자력발생부재 500 : 구동부
510 : 로터 520 : 스테이터
600 : 회전연결부재 610 : 고정링부재
620 : 회전링부재 700 : 승강연결부재
710 : 고정부재 720 : 이동부재
800 : 측정부 810 : 매뉴얼 조정유닛
811 : 조정유닛지지부재 820 : 엔코더
830 : 스케일부재 900 : 하강방지부 910, 920 : 하강감지센서 930 : 클램핑유닛
931 : 클램핑유닛지지부재 932 : 클램핑부재

Claims (22)

  1. 베이스부재(210)를 포함하는 고정부(200);
    상기 베이스부재(210)에 구비되는 축부재(220)에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300);
    상기 회전부(300)의 회전에 따른 승강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200)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230)를 따라 승강하도록 상기 회전부(300)와 상기 가이드부재(230)에 연결되는 승강부(400); 및
    상기 회전부(300)를 회전구동하도록 상기 회전부(300)와 승강부(400)에 연계되는 구동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승강부(400)에 연결되는 고정링부재(610)와, 일측은 상기 고정링부재(6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부(300)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링부재(620)를 포함하는 회전연결부재(600)에 의해서 상기 승강부(4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400)는 상기 가이드부재(230)에 연결되는 고정부재(710)와, 일측은 상기 고정부재(71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승강부(400)에 연결되는 이동부재(720)를 포함하는 승강연결부재(700)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부재(23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축부재(220)에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3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220)는 볼스크류이며, 상기 회전부재(310)는 볼스크류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회전부재(310)와 회전링부재(62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320,3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모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400)는 상기 고정링부재(610)와 이동부재(720)에 연결되는 승강부재(4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410)는 상기 축부재(220)와 상기 회전부(300)가 위치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400)는 상기 승강부재(410)에 연결되는 승강판(42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420)에는 자력발생부재(4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회전부(300)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로터(510); 및
    상기 승강부(400)에 구비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에 의해서 상기 로터(510)가 회전되도록 구성된 스테이터(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400)에 연계하여 상기 승강부(400)의 승강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8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800)는
    상기 베이스부재(2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210)에 연결되는 매뉴얼 조정유닛(810);
    상기 매뉴얼 조정유닛(810)에 연결되는 엔코더(820); 및
    상기 엔코더(820)에 연계되도록 상기 승강부(400)에 연결되는 스케일부재(8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승강부(400)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지 않도록 구성된 하강방지부(9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방지부(900)는
    상기 가이드부재(230)와 상기 승강부(40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400)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감지하는 하강감지센서(910,920); 및
    상기 베이스부재(210)에 구비되며 상기 하강감지센서(910,92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400)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면 상기 승강부(400)를 클램핑 하도록 구성된 클램핑유닛(9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모듈.
  16. 장치베이스(20);
    상기 장치베이스(20)에 구비되는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승강모듈(100); 및
    상기 승강모듈(100)에 포함되는 승강부(400)의 상부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승강척(30);
    을 포함하여 구성된 승강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척(30)은 자력에 의해서 상기 승강부(400)의 상부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척(30)에는 상기 승강부(400)에 포함되는 승강판(420)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부착보조부재(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420)에는 수평조절돌기(422)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보조부재(31)에는 상기 수평조절돌기(42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수평조절홈(31a)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돌기(422)는 상기 승강판(420) 상면의 중앙에 형성되며 구의 일부 형상이고,
    상기 수평조절홈(31a)은 상기 수평조절돌기(422)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부착보조부재(31)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홈(31a)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수평조절홈(31a)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평조절돌기(422)와 대응되는 형상이며,
    상기 수평조절홈(31a)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평조절돌기(422)가 전후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형상이고,
    상기 수평조절홈(31a)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평조절돌기(422)가 좌우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형상이며,
    상기 수평조절홈(31a)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평조절돌기(422)가 모든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척(30)은 상기 승강부(400)에 소정 간격(D) 이격되도록 고정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
KR1020120050369A 2012-05-11 2012-05-11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 KR101379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369A KR101379834B1 (ko) 2012-05-11 2012-05-11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
TW102107484A TWI623474B (zh) 2012-05-11 2013-03-04 升降模組及升降裝置
JP2013099172A JP6261185B2 (ja) 2012-05-11 2013-05-09 昇降モジュールおよび昇降モジュールを使用する昇降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369A KR101379834B1 (ko) 2012-05-11 2012-05-11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328A KR20130126328A (ko) 2013-11-20
KR101379834B1 true KR101379834B1 (ko) 2014-04-01

Family

ID=4985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369A KR101379834B1 (ko) 2012-05-11 2012-05-11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61185B2 (ko)
KR (1) KR101379834B1 (ko)
TW (1) TWI62347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695B1 (ko) 2014-09-18 2014-12-18 (주)삼정오토메이션 Dd모터를 이용한 z축 스테이지
KR20230100804A (ko)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Z축스테이지 및 z축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스테이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236U (ko) * 1998-06-19 2000-02-07 김영환 직선 운동식 모터
JP2004122285A (ja) * 2002-10-02 2004-04-22 Howa Mach Ltd リニアモータ駆動式工作機械の主軸ヘッド落下防止装置
KR100637590B1 (ko) * 2005-07-08 2006-10-23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표시장치 제조용 기판 스크라이빙장치
KR100779029B1 (ko) * 2006-12-15 2007-11-23 세크론 주식회사 프로브 스테이션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 검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6388B2 (ja) * 1994-09-02 1999-03-3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搬送装置
JP2005051188A (ja) * 2003-07-28 2005-02-24 Yasuhito Itagaki 搬送工程レイアウト方法並び複合機能ロボット及び完全密閉構造を成したクランプ方式アライナ装置。
JP4836684B2 (ja) * 2006-06-21 2011-12-14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検査ステージ及び検査装置
WO2011125260A1 (ja) * 2010-04-07 2011-10-13 株式会社安川電機 θZ駆動装置およびステージ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236U (ko) * 1998-06-19 2000-02-07 김영환 직선 운동식 모터
JP2004122285A (ja) * 2002-10-02 2004-04-22 Howa Mach Ltd リニアモータ駆動式工作機械の主軸ヘッド落下防止装置
KR100637590B1 (ko) * 2005-07-08 2006-10-23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표시장치 제조용 기판 스크라이빙장치
KR100779029B1 (ko) * 2006-12-15 2007-11-23 세크론 주식회사 프로브 스테이션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 검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695B1 (ko) 2014-09-18 2014-12-18 (주)삼정오토메이션 Dd모터를 이용한 z축 스테이지
KR20230100804A (ko)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Z축스테이지 및 z축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스테이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328A (ko) 2013-11-20
JP6261185B2 (ja) 2018-01-17
JP2014003281A (ja) 2014-01-09
TWI623474B (zh) 2018-05-11
TW201400388A (zh) 201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435B1 (ko) 홀센서를 구비한 모션데스크 및 이의 칼럼위치 밸런싱방법
CN107179460A (zh) 一种电动汽车无线充电系统测试位置调节装置
CN111998751A (zh) 一种轴承的两种尺寸的检测装置
KR101379834B1 (ko) 승강모듈 및 이를 사용한 승강장치
CN216205954U (zh) 工程监理用垂直度检测装置
CN116642445B (zh) 一种轴承外圈检测设备
KR20050064834A (ko) 베어링의 유극 측정장치
CN111174759A (zh) 一种配电网电杆倾斜监测装置
CN206149422U (zh) 基于镜头测试的电动调校装置
CN215725710U (zh) 一种用于检测产品表面的相机阵列机
CN206096477U (zh) 电离室检测系统
US6891112B2 (en) Lift system for a platform, and weighing system equipped with the lift system
CN208902547U (zh) 一种用于安全网测试的测试架
KR100933052B1 (ko) 자기력 측정장치
CN108810528B (zh) 一种手机相机厚度检测装置
KR101799434B1 (ko) 홀센서를 구비한 모션데스크 및 이의 칼럼위치 추정방법
CN111998761A (zh) 油缸位移传感器、液压油缸、支腿调平装置、工程机械及液压机器人
KR101899392B1 (ko) 중량물 승강장치
KR101857447B1 (ko) 전동기 구속 장치를 포함하는 전동기 특성 파라미터 측정 장치 및 방법
CN201476970U (zh) 一种悬架加载试验台
CN213301202U (zh) 一种用于室内设计的水平仪
CN113247777B (zh) 一种水准式塔吊塔身垂直度报警装置
CN220104696U (zh) 一种弹簧抗拉伸检测用夹具
CN210108253U (zh) 一种膜片弹簧锥面倾斜角及平面度检测设备
CN215374420U (zh) 一种跌落测试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