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653B1 - 선박의 접안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접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653B1
KR101379653B1 KR1020120081255A KR20120081255A KR101379653B1 KR 101379653 B1 KR101379653 B1 KR 101379653B1 KR 1020120081255 A KR1020120081255 A KR 1020120081255A KR 20120081255 A KR20120081255 A KR 20120081255A KR 101379653 B1 KR101379653 B1 KR 101379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hip
eyepiece
buf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659A (ko
Inventor
성승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65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E02B17/003Fe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63B2059/025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pneumatic, e.g. infla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선박의 접안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는 선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저장부, 선체의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저장부로부터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완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접안 장치{Berthing Apparatus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접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선박의 접안 시설은 항구에 설치된 방현재(fender)를 통해 선박의 접안 시 충격을 완화하여 안전한 선박의 접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선체와 방현재의 접안 면적이 충분히 커질수록 보다 안정적인 선박의 접안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선체의 측면을 수직에 가까운 평면판으로 형성하여 접안 시 방현재와 선체의 측면간의 접안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선체의 측면을 수직에 가까운 평면판으로 형성할수록 선박의 운항 시 저항이 커져 운항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박의 운항 효율을 고려할 때, 선박의 접안 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선체의 측면 형상 설계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선박의 크기 내지 형상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반면, 항구에 설치되는 접안 시설을 모든 선박의 크기 내지 형상을 고려한 형태로 설치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선박의 안정적인 접안을 위한 선체와 방현재의 접안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3864호 (2009.04.27.)
본 발명은 선박의 운항 시 저항 성능을 개선하고, 접안 시 안정적인 접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선박의 접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저장부, 선체의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저장부로부터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완충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접안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저장부는 선체의 내부로 함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저장부는 선체의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완충부는 유체 주입에 의해 형상 변형이 가능한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선박의 접안 장치는 저장부에 대하여 완충부를 일정 압력으로 견인하는 견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박의 접안 장치는 완충부에 주입되는 유체량을 조절하는 유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의 측면에 설치된 저장부로부터 완충부가 돌출되어 선체의 측면 이외에도 완충부를 통해 충분한 접안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운항 시 저항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선체의 측면을 제작할 수 있고, 접안 시 안정적인 접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가 설치된 선체의 접안 면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가 설치된 선체의 접안 면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1000)는 저장부(100), 완충부(200)를 포함하고, 유체 조절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0)는 선체(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완충부(200)의 저장 공간으로, 선박의 운항 시 완충부(200)를 저장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선박의 접안 시에만 완충부(2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00)는 완충부(200)가 돌출되는 면에 설치되는 덮개(110)를 포함하여, 완충부(200)가 저장부(100)로부터 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경우에 저장부(100)의 내부 및 완충부(200)를 보호할 수 있다.
완충부(200)는 선체(10)의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저장부(100)로부터 선체(10)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부분으로, 선박의 운항 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선박의 접안 시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200)가 저장부(100)로부터 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선체의 접안 면적(11) 이외의 추가적인 접안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체(10)의 측면 중 수직에 가까운 평면판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줄이더라도 완충부(200)에 의해 충분한 접안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선체(10)의 측면 형상 설계가 보다 자유로울 수 있다.
따라서, 선체(10)의 측면 중 최소한의 부분만을 접안 면적 확보를 위한 형상으로 설계하고, 나머지 부분을 유선형 등의 곡률면으로 설계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운항 시 저항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선박의 접안 시 완충부(200)를 저장부(100)로부터 돌출시켜 안정적인 접안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1000)를 선체(10)의 측면 중 두 부분에 설치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박의 종류 내지 선체(10)의 형상에 따라 선박의 접안 장치(1000)의 설치 개수 및 배치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1000)에서, 저장부(100)는 선체(10) 내부로 함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선체(10)의 내부 중 일부 공간에 완충부(200)를 저장하여, 선박의 운항 시 저장부(100) 및 완충부(200)가 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체(10)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운항 시 선체(10) 표면에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00)의 덮개(110)를 선체(10)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1000)에서, 저장부(100)는 선체(10)의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완충부(200)는 유체 주입에 의해 형상 변형이 가능한 튜브(tube)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200)는 튜브로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가 주입되면 부피가 커지면서 저장부(100)로부터 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로 형성된 완충부(200)는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면 부피가 줄어들면서 저장부(1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00)의 형상을 선체(10)의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커지도록 형성하여, 완충부(200)의 부피가 커질 때 튜브가 자연스럽게 저장부(100)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완충부(200)의 부피가 줄어들 때 튜브가 선체(10)와의 간섭 없이 저장부(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유체 조절부(400)는 완충부(200)에 주입되는 유체량을 조절하는 부분으로, 펌프(410) 및 연결관(420) 등과 같이 완충부(200)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완충부(200)로부터 유체를 배출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펌프(410)는 콤프레셔(compressor)와 같이 튜브에 공기 등의 유체를 불어 넣거나 뺄 수 있는 장치일 수 있고, 연결관(420)은 신축성 내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완충부(200)의 형상 변형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 조절부(400)는 별도의 센서(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선박의 접안 시 선체(10)와 접안 시설간의 간격 내지 선체(1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자동적으로 완충부(200)에 주입되는 유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20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1000)의 세부 구성 이외에 견인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견인부(300)는 저장부(100)에 대하여 완충부(200)를 일정 압력으로 견인하는 부분으로, 완충부(200)를 저장부(100)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끌어 당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박의 접안 시 튜브로 형성된 완충부(200)에 유체가 주입되어 부피가 점점 커지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200)가 저장부(100)의 경사면을 따라 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저장부(1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격되려는 압력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견인부(300)가 완충부(200)를 끌어 당기는 압력을 완충부(200)가 저장부(1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격되려는 압력보다 작게 설정한다면, 완충부(200)의 부피가 일정 이상 커졌을 때 완충부(200)의 전부분이 저장부(100)로부터 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완충부(200)의 전부분이 저장부(100)로부터 선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연결관(420)은 텔레스코픽 부재 등과 같이 길이가 가변되는 부재로 이루어져, 완충부(200)의 형성 변형에 대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완충부(200)의 일부분이 저장부(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만이 저장부(100)로부터 돌출되는 경우보다 접안 면적을 더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저항 성능을 개선 및 안정적인 접안 면적을 확보하는 효과가 더욱 커질 수 있다.
그리고, 선박의 운항 시 완충부(200)로부터 유체를 배출하여 부피가 점점 줄어들면, 견인부(300)가 완충부(200)를 끌어당기는 압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완충부(200)가 저장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2000)는 견인부(3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접안 장치(1000)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선체 11: 선체의 접안 면적
100: 저장부 110: 덮개
200: 완충부 300: 견인부
400: 유체 조절부 410: 펌프
420: 연결관 1000, 2000: 선박의 접안 장치

Claims (5)

  1. 선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저장부;
    상기 선체의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한 완충부; 및
    상기 저장부에 대하여 상기 완충부를 일정 압력으로 견인하는 견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견인부는 상기 완충부를 상기 저장부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격되려는 압력보다 작은 압력으로 상기 완충부를 상기 저장부의 내부 공간 측으로 끌어 당김으로써, 상기 완충부의 부피가 커질 때 상기 완충부의 전부분이 상기 저장부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선박의 접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선체의 내부로 함입되어 설치되는 선박의 접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선체의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는 유체 주입에 의해 형상 변형이 가능한 튜브로 형성되는 선박의 접안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에 주입되는 유체량을 조절하는 유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접안 장치.
KR1020120081255A 2012-07-25 2012-07-25 선박의 접안 장치 KR101379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255A KR101379653B1 (ko) 2012-07-25 2012-07-25 선박의 접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255A KR101379653B1 (ko) 2012-07-25 2012-07-25 선박의 접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659A KR20140014659A (ko) 2014-02-06
KR101379653B1 true KR101379653B1 (ko) 2014-03-28

Family

ID=5026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255A KR101379653B1 (ko) 2012-07-25 2012-07-25 선박의 접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10998A1 (it) * 2018-12-13 2020-06-13 Francesco Maria Missere Parabordo a scomparsa
CN111731446B (zh) * 2020-07-06 2021-11-26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船舶防护用防撞装置
CN114394198A (zh) * 2022-01-07 2022-04-26 苏州天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船舶靠泊用岸端牵引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981A (ja) 1999-12-28 2001-07-17 Iannucci Adriano ボート用バンパー装置
KR20080094009A (ko) * 2006-01-13 2008-10-22 쟝-뤽 바누와즈 선박의 선체 보호장치
KR20110071420A (ko) * 2009-12-21 2011-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댐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1148062B1 (ko) 2009-12-11 2012-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981A (ja) 1999-12-28 2001-07-17 Iannucci Adriano ボート用バンパー装置
KR20080094009A (ko) * 2006-01-13 2008-10-22 쟝-뤽 바누와즈 선박의 선체 보호장치
KR101148062B1 (ko) 2009-12-11 2012-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선박
KR20110071420A (ko) * 2009-12-21 2011-06-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댐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659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653B1 (ko) 선박의 접안 장치
KR101358326B1 (ko) 슬로싱 억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그 방법
KR20110110694A (ko) 공기 공동 형성 감시 장치를 구비한 공기 공동 선박
US20180312223A1 (en) Cover device and thruster
KR20150053142A (ko) 슬로싱 억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슬로싱 방지용 화물창
EP2902309A1 (en) Ship having reduced frictional resistance
US20150314841A1 (en) Self-leveling boat bumper system
CN204418069U (zh) 蜂窝式柔性防船撞套箱
JP2018094961A (ja) 浮沈装置
CN204252077U (zh) 一种缓冲装置
US7370595B1 (en) Watercraft hull and gunwale mooring guard
US8979436B2 (en) Water craft bumper
CN209535408U (zh) 一种船用防撞橡胶安装结构
WO2016021428A1 (ja) 洋上浮体構造物
KR101826682B1 (ko) 챔퍼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CN108583807A (zh) 船舶舷侧液压可调防撞装置
KR101818519B1 (ko)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JP2014159817A5 (ja) 圧力容器、輸送用機器および搭載構造
KR20110005626A (ko) 다중 선체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진된 튜브 또는 공기가 충진되어 밀봉된 금속캔인 부력체가 설치된 안전 선박
KR101185913B1 (ko) 슬래밍이 저감된 선박
KR101826681B1 (ko) 유동 차단수단을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US20180128141A1 (en) Pressure Relief Device For Tank
KR20130138537A (ko) 선박 연료탱크용 에어벤트 조립체
KR101301787B1 (ko) 공기 윤활을 이용한 선박의 마찰 저항 감소 장치
KR101224311B1 (ko) 착탈식 방벽부를 이용한 공기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