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226B1 -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226B1
KR101379226B1 KR1020120116309A KR20120116309A KR101379226B1 KR 101379226 B1 KR101379226 B1 KR 101379226B1 KR 1020120116309 A KR1020120116309 A KR 1020120116309A KR 20120116309 A KR20120116309 A KR 20120116309A KR 101379226 B1 KR101379226 B1 KR 101379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flange
film
packaging
food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수
Original Assignee
이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수 filed Critical 이문수
Priority to KR102012011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4Securing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기의 플랜지보다 높게 놓인 식품을 포장할 수 있는 몰드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식품포장용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가운데가 함몰되고 적어도 대응하는 양쪽 테두리가 직선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용기 수용부, 상기 용기 수용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포장용기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플랜지 안착부, 상기 플랜지 안착부의 바깥에 형성되어 포장용 필름이 안착되는 필름 안착부, 및 상기 대응하는 양쪽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 안착부 및 필름 안착부 사이에 형성되어 절단 날을 수용하기 위한 절단 날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안착부의 상면은 상기 필름 안착부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식품 포장 용기보다 높이 적재된 식품도 정확하게 포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장치{Mold for Food Packing Apparatus and the Food Pac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품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품 포장용기의 플랜지보다 높게 놓인 식품을 포장할 수 있는 몰드 구조를 갖는 식품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면 부패할 수 있는 두부나 고기 등의 고형 또는 물 등의 액체에 포함된 고형의 식품을 진공 포장하여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식품을 포장하는 식품 포장 용기는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 및 테두리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여기에 식품을 저장하고 그 위를 포장용 필름으로 덮어 밀폐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식품 포장 구조는 안에 들어 있는 식품이 식품 포장 용기의 플랜지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 배치되고 그 위를 필름으로 밀폐하는 방식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의 구조는 식품 용기(10)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플랜지 안착부(12) 및 포장용 필름(20)이 안착되는 필름 안착부(14)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 식품 용기(10)보다 높이 돌출한 식품(18)을 포장할 수가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식품 용기(10)의 플랜지보다 높이 저장된 식품도 포장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몰드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 포장용기보다 높게 적재된 식품을 포장할 수 있는 식품 포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식품 포장 장치에 사용되는 몰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른 식품 포장장치용 몰드는 식품포장용기(10)를 수용하기 위하여 가운데가 함몰된 용기 수용부(110), 상기 용기 수용부(110)의 테두리를 따라 편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식품포장용기(10)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플랜지 안착부(120),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의 외주를 따라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에서 일정한 간격만큼 바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식품포장용기(10)를 덮을 포장용 필름(20)이 안착되는 필름 안착부(140), 및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 및 상기 필름 안착부(140) 사이에서 상기 포장용 필름(20)의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 및 상기 필름 안착부(140) 사이에 놓인 부분을 위에서 아래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 날(210)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절단 날 수용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의 상면은 상기 필름 안착부(14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 안착부의 상면은 상기 절단 날 수용부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따른 식품 포장 장치는 식품포장용기의 플랜지에 포장용 필름을 부착시켜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의 전술한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100); 및 상기 몰드(100)의 위에 위치하며,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에 안착된 상기 식품포장용기(10)의 플랜지에 상기 식품포장용기(10)를 덮고 있는 상기 포장용 필름(20)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 부재(220), 및 상기 절단 날 수용부(130)로 하강하여 상기 포장용 필름(20)의 상기 식품포장용기(10)의 플랜지의 바깥에 위치하는 영역을 위에서 아래로 절단하기 위한 상기 절단 날(210)을 포함하는 접착 및 절단 장치(200);를 포함하여, 상기 플랜지의 위로 돌출한 식품을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 및 절단 장치는 상기 포장용 필름의 적어도 상기 플랜지의 안쪽에 위치하는 영역을 가열하여 신장시킬 수 있는 가열 판을 포함하여,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한 상기 포장용 필름의 접착시 상기 포장용 필름이 신장하여 상기 플랜지의 위로 돌출한 식품을 포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포장용 필름의 접착시, 1차로 상기 몰드로 하강하여 상기 포장용 필름을 상기 필름 안착부에 접착하기 위한 제1 접착 부재, 및 2차로 상기 몰드로 하강하여 상기 포장용 필름을 상기 플랜지 안착부에 접착하기 위한 제2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 부재에 상기 가열 판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식품 포장 장치에 따르면, 식품 포장 용기보다 높이 적재된 식품도 정확하게 포장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 안착부와 필름 안착부 사이의 높이 차이를 조절하여 식품의 돌출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품 포장 장치에 포함된 몰드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에 대한 정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포장 장치에 대한 정 단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포장 장치에 사용되는 접착 부재를 배치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100)에 대한 정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100)는 용기 수용부(110), 플랜지 안착부(120), 필름 안착부(140), 및 절단 날 수용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수용부(110)는 식품포장용기(10)를 수용하기 위하여 가운데가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식품포장용기(10)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용기 수용부(110)도 사각형의 식품포장용기(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사각형의 외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식품포장용기(10)의 형상이 달라지는 경우, 이에 맞추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는 용기 수용부(1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식품포장용기(10)의 플랜지가 안착된다. 사각형 형상의 식품포장용기(10)에 있어서, 플랜지도 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 안착부(120)도 용기 수용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름 안착부(140)는 플랜지 안착부(120)의 바깥에 형성되어 포장용 필름(20)이 안착되는 영역이다.
상기 절단 날 수용부(130)는 플랜지 안착부(120) 및 필름 안착부(140) 사이에 형성되어 절단 날(210)을 수용한다. 절단 날(210)은 식품포장용기(10를 전체로 덮고 있는 포장용 필름(20)을 위에서 아래로 절단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몰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포장용 필름(20)을 절단하면서 절단 날 수용부(130)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절단 날 수용부는 절단 날의 오동작에 의한 위치 이동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단 날이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는 완충 부재로 둘러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으로서,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의 상면은 상기 필름 안착부(14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공되는 포장용 필름(20)은 필름 안착부(140)에 먼저 도달하여 접착 부재로 고정된 상태에서 플랜지 안착부(120)의 위쪽에 있는 필름 영역을 플랜지 안착부(120)를 향하여 압착함으로써 플랜지의 높이보다 높게 적재된 식품을 필름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압착하면서 포장한다. 따라서 식품포장용기(10)의 플랜지보다 높게 적재된 식품도 포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필름 안착부(140)와 플랜지 안착부(120) 사이의 높이 차이(H)는 식품의 내용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의 상면은 상기 절단 날 수용부(130)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 상에 필름을 더욱 강하게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식품 포장 장치는 식품포장용기(10)의 플랜지에 포장용 필름(20)을 부착시켜 식품(18)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술한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100); 및 접착 및 절단 장치(200)를 포함한다. 지지대(400)에 장착된 몰드(100)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고, 접착 및 절단 장치(200)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상기 접착 및 절단 장치(200)는 접착 부재(220) 및 절단 날(210)을 포함한다. 접착 및 절단 장치(200)는 몰드(100)에 삽입된 식품포장용기(10)에 식품을 적재한 후, 그 위를 덮도록 롤 형태의 필름 공급 장치(300)에 의하여 공급된 포장용 필름(20)을 씌우고 플랜지 영역과 필름(20)을 접착하도록 하고, 플랜지 바깥의 필름을 절단하여 포장된 식품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접착 부재(220)는 몰드(100)의 위에 위치하며, 플랜지 안착부(120)에 안착된 식품포장용기(10)의 플랜지에 포장용 필름(20)을 접착시킬 수 있다. 몰드(100)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 안착부(120)가 필름 안착부(140)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 부재(220)가 필름(20)을 필름 라인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식품포장용기(10)의 플랜지까지 당기면서 식품을 포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단 날(210)은 절단 날 수용부(130)로 하강하여 포장용 필름(20)의 플랜지의 바깥에 위치하는 영역을 절단한다. 절단 날(210)의 작동은 접착 부재(220)가 필름을 당겨 플랜지 안착부(120)에 접착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상기 플랜지의 위로 돌출한 식품을 포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착 및 절단 장치(200)는 상기 포장용 필름(20)의 적어도 상기 플랜지의 안쪽에 위치하는 영역을 가열하여 신장시킬 수 있는 가열 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판(230)에 의하여, 접착 부재(220)에 의한 포장용 필름(20)의 접착시 포장용 필름(20)이 신장하여 플랜지의 위로 돌출한 식품(18)을 포장할 수 있다. 가열 판(230)은 접착 부재(220)가 필름을 당길 때 필름이 연화될 수 있도록 하여 식품을 적절히 포장할 수 있게 한다. 종래의 몰드 구조의 식품 포장 장치에서는 플랜지 안착부와 필름 안착부가 수평을 이루고 있어 접착 부재(220)에 의하여 필름을 당기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가열 판(230)을 포함할 필요가 없으나, 본 발명과 같이 플랜지 안착부(120)와 필름 안착부(140)의 높이 차가 있는 경우에는 가열 판(2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접착 부재(220)는, 상기 포장용 필름(20)의 접착시, 1차로 상기 몰드(100)로 하강하여 상기 포장용 필름(20)을 상기 필름 안착부(140)에 접착하기 위한 제1 접착 부재, 및 2차로 상기 몰드(100)로 하강하여 상기 포장용 필름(20)을 상기 플랜지 안착부(140)에 접착하기 위한 제2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에 식품을 적재하고 필름(20)을 플랜지에 접착할 때, 먼저, 제1 접착 부재에 의하여 필름 안착부(140)에 필름(20)을 고정하고, 다음에, 제2 접착 부재에 의하여 필름(20)을 당기는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식품을 더 잘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착 부재에 상기 가열 판(230)을 포함하여 제2 접착 부재에 의하여 필름을 당길 때 필름을 연화시켜 늘어나도록 함으로서 필름의 끊김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8: 식품(내용물) 10: 식품 포장용기
20: 포장용 필름 100: 몰드
110: 용기 수용부 120: 플랜지 안착부
130: 절단 날 수용부 140: 필름 안착부
200: 접착 및 절단 장치 210: 절단 날
220: 접착 부재 230: 가열 판
300: 필름 공급 장치 400: 지지부

Claims (5)

  1. 식품(18)을 담은 식품포장용기(10)를 수용하기 위한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100), 상기 식품(18)을 담은 식품포장용기(10)의 상면을 덮도록 포장용 필름(20)을 공급하기 위한 필름 공급 장치(300), 및 상기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100)의 위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용 필름(20)을 상기 식품포장용기(10)에 접착하고 절단하기 위한 접착 및 절단 장치(200)로 이루어지는 식품 포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품포장용기(10)는 가운데에 상기 식품(18)을 담기 위한 식품 수용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포장용 필름(20)이 부착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편평하게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식품포장용기(10)를 수용하기 위하여 가운데가 함몰된 용기 수용부(110);
    상기 용기 수용부(110)의 테두리를 따라 편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식품포장용기(10)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플랜지 안착부(120);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의 외주를 따라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에서 일정한 간격만큼 바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식품포장용기(10)를 덮을 포장용 필름(20)이 안착되는 필름 안착부(140); 및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 및 상기 필름 안착부(140) 사이에서 상기 포장용 필름(20)의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 및 상기 필름 안착부(140) 사이에 놓인 부분을 위에서 아래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 날(210)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절단 날 수용부(130);
    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의 상면은 상기 필름 안착부(14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의 상면은 상기 절단 날 수용부(130)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100).
  3. 식품포장용기(10)의 플랜지에 포장용 필름(20)을 부착시켜 식품(18)을 포장하기 위한 식품 포장 장치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의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100);
    상기 식품(18)을 담은 상기 식품포장용기(10)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포장용 필름(20)을 공급하기 위한 필름 공급 장치(300); 및
    상기 몰드(100)의 위에 위치하며, 상기 플랜지 안착부(120)에 안착된 상기 식품포장용기(10)의 플랜지에 상기 식품포장용기(10)를 덮고 있는 상기 포장용 필름(20)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 부재(220), 및 상기 절단 날 수용부(130)로 하강하여 상기 포장용 필름(20)의 상기 식품포장용기(10)의 플랜지의 바깥에 위치하는 영역을 위에서 아래로 절단하기 위한 상기 절단 날(210)을 포함하는 접착 및 절단 장치(200);
    를 포함하여, 상기 플랜지의 위로 돌출한 식품을 포장할 수 있는 식품 포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및 절단 장치는 상기 포장용 필름의 적어도 상기 플랜지의 안쪽에 위치하는 영역을 가열하여 신장시킬 수 있는 가열 판을 포함하여,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한 상기 포장용 필름의 접착시 상기 포장용 필름이 신장하여 상기 플랜지의 위로 돌출한 식품을 포장할 수 있는 식품 포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포장용 필름의 접착시, 1차로 상기 몰드로 하강하여 상기 포장용 필름을 상기 필름 안착부에 접착하기 위한 제1 접착 부재, 및 2차로 상기 몰드로 하강하여 상기 포장용 필름을 상기 플랜지 안착부에 접착하기 위한 제2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 부재에 상기 가열 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장치.
KR1020120116309A 2012-10-19 2012-10-19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장치 KR101379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309A KR101379226B1 (ko) 2012-10-19 2012-10-19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309A KR101379226B1 (ko) 2012-10-19 2012-10-19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226B1 true KR101379226B1 (ko) 2014-03-28

Family

ID=5064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309A KR101379226B1 (ko) 2012-10-19 2012-10-19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2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997B1 (ko) 2017-05-16 2018-10-22 채정한 수평형 일회용 몰드를 이용한 아이스크림 진공 포장재
KR102010231B1 (ko) * 2018-10-02 2019-08-13 채정한 수평형 일회용 플라스틱 필름 몰드를 내포장재로 이용한 아이스크림 포장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10Y2 (ko) * 1981-09-18 1987-02-27
JPS62110101U (ko) * 1985-12-28 1987-07-14
JPH11263303A (ja) * 1998-03-17 1999-09-28 Ogiwara Seiki Kk シール機
JP2003321065A (ja) 2002-05-01 2003-11-11 Kao Corp 容 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10Y2 (ko) * 1981-09-18 1987-02-27
JPS62110101U (ko) * 1985-12-28 1987-07-14
JPH11263303A (ja) * 1998-03-17 1999-09-28 Ogiwara Seiki Kk シール機
JP2003321065A (ja) 2002-05-01 2003-11-11 Kao Corp 容 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997B1 (ko) 2017-05-16 2018-10-22 채정한 수평형 일회용 몰드를 이용한 아이스크림 진공 포장재
WO2018212572A1 (ko) * 2017-05-16 2018-11-22 채정한 수평형 일회용 몰드를 이용한 아이스크림 진공 포장재
KR102010231B1 (ko) * 2018-10-02 2019-08-13 채정한 수평형 일회용 플라스틱 필름 몰드를 내포장재로 이용한 아이스크림 포장재
WO2020071676A1 (ko) * 2018-10-02 2020-04-09 채정한 수평형 일회용 플라스틱 필름 몰드를 내포장재로 이용한 아이스크림 포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6131694A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орошк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NZ599159A (en) Package for cushioning food product
KR101379226B1 (ko) 식품 포장 장치용 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장치
KR100675757B1 (ko) 용기 밀봉방법 및 이에 따른 밀봉장치
CN205770756U (zh) 分隔式显示器包装盒
CN205203815U (zh) 一种新型鸡蛋运输包装盒
KR101269947B1 (ko) 용기 실링기능과 진공포장기능을 갖는 포장기
KR102023099B1 (ko) 밀폐 포장용 시밍 장치, 시밍 방법 및 시밍된 용기
KR200469040Y1 (ko)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CN102815460A (zh) 模组包装缓冲结构
JP6593999B2 (ja) 特に少なくとも1つの容器を有する一人分包装のためのフィルタを熱成形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210133493U (zh) 一种包装缓冲组件及包装总成
CN102951377A (zh) 一种液晶面板的包装装置
KR200168928Y1 (ko) 단무지 포장 장치
WO2016199724A1 (ja) 熱成形装置及び熱成形方法
RU2012123743A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2437161B1 (ko) 밀폐 포장용 시밍 장치, 시밍 방법 및 시밍된 용기
KR200480741Y1 (ko) 발효식품용 누름 캡
KR20110051659A (ko) 과일 포장방법
ES1043237U (es) Recipiente de embalaje para productos alimenticios en forma de loncha especialmente lonchas de queso.
KR101424231B1 (ko) 용기 포장기
US3253708A (en) Display package
JP5727726B2 (ja) セパレータ剥離方法、セパレータ剥離装置、テープ貼付け方法、及び、テープ貼付け装置
KR102032465B1 (ko) 식품포장기의 포장용기 밀봉방법
CN201501624U (zh) 用于平板电视的包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