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466B1 -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 그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 그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466B1
KR101377466B1 KR1020110075072A KR20110075072A KR101377466B1 KR 101377466 B1 KR101377466 B1 KR 101377466B1 KR 1020110075072 A KR1020110075072 A KR 1020110075072A KR 20110075072 A KR20110075072 A KR 20110075072A KR 101377466 B1 KR101377466 B1 KR 101377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recognition authentication
time recognition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3428A (ko
Inventor
김성모
Original Assignee
김성모
(주)코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모, (주)코아텍 filed Critical 김성모
Priority to KR1020110075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4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04L9/324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involving keyed hash functions, e.g. message authentication codes [MACs], CBC-MAC or HM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대하여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여부를 처리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은 (A)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전송 받은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이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을 충족하는 지의 여부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수신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대한 승인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정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특정 시간대에 특정 야외 장소에서 특정 방향을 인지했음을 인증할 수 있고, 관광지나 특정 매장 등과 같은 특정한 위치를 다녀갔음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관광객 등에게 소정의 보상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특정한 위치를 다녀가지 않은 사용자를 다녀간 것으로 잘못 인증할 위험을 체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증의 오남용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 그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System, Method, Application of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대하여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여부를 처리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많은 지자체들은 관광 홍보 및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등 지역 발전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이들은 지역 마다의 각 관광지 등과 같은 특정한 해당 장소들에 가서 스탬프를 찍어서 받아오거나, 해당 장소들에 가서 찍은 사진을 온라인에 업로드하고 이를 관리자가 직접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관광객이 그 해당 장소를 실제로 다녀왔는지를 검증한다. 그리고, 검증을 통과한 관광객에 대해서 소정의 보상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그 관광지를 다녀온 사용자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관리에 있어 많은 비용이 들 수 있고,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행위를 대행해 주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다. 또한 관리자가 사진을 보면서 일일이 승인하게 되므로, 해상도나 선명도의 문제, 기후나 날씨 변동의 문제 등으로 사진의 오판독이 다수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관리자가 일일이 승인해야 하므로, 실시간 또는 대량의 승인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지정된 관광지를 방문한 관광객들이 그 관광지에서 올리는 사진 등에 대해서 즉각적으로 승인이 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관리자는 관리 비용 및 인증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 대량 승인이 가능한 지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나아가, 사용자도 스마트 폰 등을 이용하여 해당 특정 관광지에서 사진만 촬영하고 업로드 하면 승인 여부를 통지 받을 수 있는 편리한 지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을 절실히 요구해 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번째 기술적 과제는 지정된 시공간의 인지 승인 정보를 처리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지정된 시공간의 인지 승인 정보를 처리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이 (A)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전송 받은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이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을 충족하는 지의 여부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수신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대한 승인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은 시간 항목, 장소 항목, 및 방향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에는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시정 항목 기준값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에는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수치값 범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의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을 판단하는 것이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결정을 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에 관하여,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결정을 하는 것이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판단 정보는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의 원인이 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의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근거 정보를 포함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시의 승인 불가 통지 콘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근거 정보는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오차 범위 또는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수치값 범위를 벗어났음 및 벗어난 정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인 불가 통지 콘텐츠에는 승인을 위한 가이드 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의 실시 전에 사용자 단말기에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이거나, 동일한 단말기 일 수 있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은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별로 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C) 단계를 실시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카메라부, 센서부 및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은 상기 카메라부가 촬상한 사진에 대하여, 상기 사진의 촬상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센서부가 센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를 입수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은 입수한 상기 센싱 정보로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센싱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카메라부, 센서부 및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촬상한 사진 이미지 파일인 것이며, 상기 사진 이미지 파일의 메타 파일 영역에는 사진의 촬상 시점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센서부가 센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은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과 통신하며, 카메라부와 센서부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이 (K) 상기 카메라부가 사진을 촬상할 때, 사진이 촬상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센서부가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L) 상기 센싱 정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M) 생성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및 (N)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결과 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센서부는 위치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은 입수한 상기 센싱 정보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수치값을 포함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촬상한 사진 이미지 파일인 것이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은 상기 사진 이미지 파일의 메타 파일 영역에 사진의 촬상 시점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센서부가 센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과 통신하며, 카메라부와 센서부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이 (O)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을 포함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P) 상기 카메라부가 사진을 촬상할 때, 사진이 촬상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센서부가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및 (Q) 상기 센싱 정보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전송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R1) 상기 (Q) 단계의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예비 판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공간 인지 인증 예비 판단 정보가 모든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에 대하여 상기 생성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요청 정보를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2) 상기 (Q) 단계의 판단이 모든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에 대하여 상기 생성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허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허용 정보를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상기 (Q) 단계의 판단이 모든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에 대하여 상기 생성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여부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특정 시간대에 특정 야외 장소에서 특정 방향을 인지했음을 인증할 수 있다.
둘째, 관광지의 특정한 위치를 다녀갔음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관광객 등에게 소정의 보상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셋째, 특정한 위치를 다녀가지 않은 사용자를 다녀간 것으로 잘못 인증할 위험을 체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증의 오남용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의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3은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허용 오차 범위값과 관계된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4는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의 수신된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허용 오차 범위값 내인 지 조회하고, 승인 여부를 결정과 관계된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5는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시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6은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허용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에 관한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7은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사상을 실시하는 다른 일 실시예적 구성을 보여 준다.
도 10은 도 8 내지 도 9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사단에 다운로드 되고 설치된 시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구성에 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은 유무선 네트워크(50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2100)와 접속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에서 요청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을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은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관리자 단말기(3000) 또는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의 관리자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수신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수신부(1100),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에 제공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제공부(1200),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로부터의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수신부(1300), 상기 요청된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대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승인부(1400), 결정된 승인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에 전송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정보 전송부(15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은 선택적으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결정이 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2100)에 기 설정된 보상 정보를 제공하는 보상 정보 전송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은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DB(1700)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DB(1700)에는 시공간 인지 인증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시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DB(1700)에는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DB(1710),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 또는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항목값 범위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 DB(172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에는 사용자 단말기(2100)에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을 제공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 제공부(180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은 시스템의 명칭이며, 반드시 시간의 인증과 공간의 인증을 항상 함께 수행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할 것이며, 어느 하나 만의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도 본 발명에서는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이라 명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는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 또는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과 관련된 제3의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에 설치되며, 본 발명의 시공간 인지 인증 과정을 지원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에는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획득부(2111), 획득한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로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에 전송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전송부(2112),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으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정보 수신부(2113)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은 상기 보상 정보 전송부(1600)로부터 기 설정된 보상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를 상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에 제시하는 보상 정보 수신부(211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부(2120)와 센서부(2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센서부(2130)에는 위치 센서(2131), 지자기 센서(2132), 기울기 센서(2133)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센서(2131)에는 GPS 수신기(2131-1) 또는 Network 수신기(3G/4G/Wifi)(2131-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S11)하고, 전송 받은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대한 승인 여부를 판단(S12)하고, 승인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100)에 전송(S13)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에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은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을 통하여 정보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에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관리자 단말기(3000) 또는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의 관리자는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전송한다.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에는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 또는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항목값 범위 등이 될 수 있다.
정보 필드 장소명 대상명 오차 범위값 오차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명칭 천왕봉 정상 천왕봉 표지석    
위치 정보 위도 35.348377 35.34789 ~ 35.34886 0.00097
경도 128.13484 128.13424 ~ 128.13543 0.00119
방향 정보 방위 245 222 ~ 268 46
기울기 3.562 9.193 ~ 10.496 1.303
시간 정보 기간 2011.07.13~2011.08.15 ~2011.08.15까지 없음
시간 00.00~24.00 없음
도 3은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허용 오차 범위값과 관계된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관리자 단말기(3000)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S21)하고,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허용 오차 범위값을 수신하고 저장(S22)한다.
상시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의 전송은 이벤트 대상을 직접 관리하는 관리자(매장 주인, 지자체 관광 담당자 등)가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관리자 단말기(3000)를 통하여,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수신부(1100)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표 1에 나와 있는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의 관리자나 운영자는 상기 이벤트 대상을 직접 관리하는 관리자의 위임이나 요청을 받아, 자신이 표 1과 같은 정보를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수신부(1100)에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이 다수의 이벤트를 진행하는 경우, 전자가 더욱 더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표 1과 같은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제공부(1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에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의 전송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에 SMS나 MMS 또는 메일 등과 같은 기 설정된 메시지 전송 방식을 통하여 전송할 수도 있지만,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은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제공부(1200)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의 예로는 "천왕봉 정상에서 남쪽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50미터 근방에 있는 특정한 형상을 가지는 바위(표 1의 천황봉 표지석이 예가 될 수 있음)"가 될 수 있다. 상기 천왕봉 정상에서 남쪽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50미터 근방에 있는 특정한 형상을 가지는 바위에 대한 정보에는 표 1과 같은 위치 정보, 방향 정보가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에는 시간대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2011년 7월 1일부터 2011년 7월 31일까지 천왕봉 정상에서 남쪽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50미터 근방에 있는 특정한 형상을 가지는 바위를 촬영"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의 예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에는 상기 예와 같은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에 대한 문자 정보 이외에도 기 설정된 멀티미디어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정보는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상기의 바위)를 촬영한 사진 이미지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있는 경우, 사용자들은 천왕봉 정상에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으로 통하여 제공된 바위 사진을 보면서, 사진과 비슷한 바위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도 7은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은 카메라부(2120)가 사진을 촬상할 때, 사진이 촬상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센서부(2130)가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를 입수(S61)하고, 센싱 정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S62)하고, 생성된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에 전송(S63)하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으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결과 정보를 수신(S64)한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에는 센서부(2130)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의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획득부(2111)는 상기 사용자가 카메라부(2120)를 가동시키고, 특정한 방향으로 초점을 맞추면서 촬영을 하는 경우, 촬영 명령 신호를 감지하여, 그 신호가 감지되는 시점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위치 정보의 생성은 GPS 수신기(2131-1)가 생성하는 GPS 정보로 생성하거나, Network 수신기(3G/4G/Wifi)(2131-2)가 생성하는 네트워크 위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방향 정보는 지자기 센서(2132)와 기울기 센서(2133)가 생성하는 방향 정보로 생성한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획득부(2111)는 시간 정보를 통상의 사용자 단말기(2100)에 포함되어 있는 날짜 및 시간을 관리하는 모듈을 통하여 입수한다.
사용자 단말기(2100)의 일례로 스마트 폰에 대하여 위치 정보 취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마트 폰의 위치 정보는 GPS와 network(3G/4G/wifi) 장치로부터 수신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한다.
GPS는 지구상에 자신이 어느 좌표에 위치해 있는지 알려주는 장치로 지구 표면을 2차원의 평면이라 가정하여 X축(경도)과 Y축(위도)의 위치 정보를 알려준다. 스마트 폰에 지원되는 GPS장비는 지구와 자전속가 동일한 GPS위성들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자의 위치 정보를 계산해 준다. 위치 측위 오차는 보통 10m이내이다. network(3G/4G/wifi)는 실내와 같이 GPS를 통한 위치 획득이 어려운 환경에서 사용되기 위해 고안된 위치 획득 체계이다. 3G/4G 위치 측위는 주변에 있는 셀타워와의 삼각 측량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계산하고, wifi 위치 측위는 연결된 무선 접속 장치(AP)의 IP 주소를 통해 대략적인 위치를 계산해 준다. 통상적으로 위치 측위 오차는 50m이내이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SDK를 이용하면 GPS 시스템 위치 관리자로부터 위치 정보를 얻어 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서비스의 위치관리자(LocationManager)를 이용하여 getSystemService()메서드를 이용해 LOCATION_SERVICE의 인스턴스를 요청한 후 getLastKnownLocation() 메서드에 해당 위치 공급자를 전달하여 해당 위치 정보를 리턴하면 된다.
GPS 위치공급자 문자열 상수 : LocationManager.GPS_PROVIDER
network 위치공급자 문자열 상수 : LocationManager.NETWORK_PROVIDER
위도 호출 메서드 : getLatitude()
경도 호출 메서드 : getLongitude()
이어, 스마트 폰에서 센서값을 취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마트 폰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들이 있다. 먼저, 지자기 센서(2132)(Geo-magnetic Sensor)는 지구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 할 수 있는 센서가 X축, Y축, Z축 방향으로 3개가 붙어 있어 이 3개의 센서간의 출력 벡터 합으로 센서에 미치는 자기장 방향을 측정하여 방위각을 탐지 하는 전자 나침반이다. GPS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지자기 센서(2132)의 자체 방위각 정보를 결합하여 정교한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기울기 센서(2133)(가속도 센서)로 단위 시간당 물체 속도의 변화, 충격 등 동적 힘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를 통하여, 기울기 변화, 흔들림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SDK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센서 관리자로부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센서 정보를 얻어 올 수 있다. 시스템 서비스의 센서 관리자(SensorManager)를 이용하여 getSystemService()메서드를 이용해 SENSOR_SERVICE의 인스턴스를 요청한 후 onSensorChangede()메서드에서 변화된 센서 정보를 얻는다.
가속도 센서 상수 : SensorManager.SENSOR_ACCELEROMETER : 현재 가속도를 세 축을 따라 제곱 초당 미터로 리턴하는 가속도 센서
- X축 가속도 : SensorManager.DATA_X
- Y축 가속도 : SensorManager.DATA_Y
- Z축 가속도 : SensorManager.DATA_Z
지자기 센서(2132) 상수 : SensorManager.SENSOR_ORIENTATION : 세 축에 대한 현재 방향을 도 단위로 리턴하는 방향 센서
- X축 방향 : SensorManager.DATA_X
- Y축 방향 : SensorManager.DATA_Y
- Z축 방향 : SensorManager.DATA_Z
한편,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은 (O)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으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을 포함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P) 상기 카메라부(2120)가 사진을 촬상할 때, 사진이 촬상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센서부(2130)가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Q) 상기 센싱 정보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전송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R) 상기 (Q) 단계의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예비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정보 처리 할 수 있다. 그리고, (S) 상기 (Q) 단계의 판단이 모든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에 대하여 상기 생성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제공부(1200)가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에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제공할 때, 상기 표 1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100)를 통하여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을 촬상하려 할 때(카메라의 초점이나 방향을 변경할 때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의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에 따른 상기 표 1과 같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시간 정보와 상기 전송 받은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시간 정보가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의 시공간 인지 인증 기준을 충족하는지에 대한 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시간 정보가 표 1과 같은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기준에 대하여,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의 기 설정된 오차값의 범위 내에 들어 오는 지를 판단하는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은 상기 비교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시간 정보가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의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범주 내에 들어 오는 경우, 그 사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해 줄 수 있다. 상기 표시의 예는 "지금 촬영하면, AAA 이벤트에서 제공하는 이벤트와 관련된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한 사진을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을 통하여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에 보내면 aaa 상품을 탈 수 있습니다." 등과 같은 메시지가 될 수 있거나, 기 설정된 예약된 아이콘이나, 간단한 표시물이 될 수도 있다. 1차적인 정보는 메시지보다 간단한 표시물이 더 타당할 것이며, 그 표시물을 터치하거나 클릭하거나, 기 설정된 작용을 가하면, 상기와 같은 메시지가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의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벤트와 관련된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의 위치 정보와 기 설정된 범위(예를 들면, 천왕봉 정상의 특정한 바위가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일 경우, 사용자 단말기(2100)가 천왕봉 정상 근방에 위치해 있을 때)에 들어오면, 카메라의 방향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의 사용자가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을 통하여 촬상된 영상을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의 카메라부(2120)를 통하여 영상이 촬상된 경우에 각 사진마다 대응되는 상기 표 1과 같은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시간 정보 등을 대응시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을 통하여 상기 촬상된 영상(사진)이 전송될 때, 상기 사진에 대응되어 저장된 상기 표 1과 같은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시간 정보도 함께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의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수신부(1300)에 전송된다. 물론,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은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의 사용자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ID나 사용자 전화 번호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은 사진 파일의 헤더부에 상기 표 1과 같은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시켜 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수신부(1300)는 사진 파일과 사용자 정보만 전송 받게 되고,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의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승인부(1400)는, 상기 사진 파일의 헤더 부분을 해독하여 상기 사진의 상기 표 1과 같은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해독해 낸다.
하기 표 2는 jpg 이미지 파일(사진 파일은 이미지 파일의 한 예이다.)의 헤더 정보의 구조와 설명에 대한 일 실시예이다.
태그 ID 변수명 변수타입 크기 설명
0 GPSVersionID BYTE 4 GPS version
1 GPSLatitudeRef ASCII 2 N(북쪽), S(남쪽)
2 GPSLatitude RATIONAL 3 위도
3 GPSLongitudeRef ASCII 2 E(동쪽), W(서쪽)
4 GPSLongitude RATIONAL 3 경도
5 GPSAltitudeRef BYTE 1 고도와 해수면과의 관계
6 GPSAltitude RATIONAL 1 고도
7 GPSTimeStamp RATIONAL 3 UTC(세계협정시)로 변환한 GPS촬영시간(시,분,초)
8 GPSSatellites ASCII 무관 측정에 사용된 위성
9 GPSStatus ASCII 2 촬영에 사용된 GPS 수신기(2131-1)의 상태
10 GPSMeasureMode ASCII 2 GPS 측정 모드
11 GPSDOP RATIONAL 1 GPS 데이터의 정확도
12 GPSSpeedRef ASCII 2 GPS 수신기(2131-1) 속도에 관한 부호
13 GPSSpeed RATIONAL 1 GPS 수신기(2131-1)의 속도
14 GPSTrackRef ASCII 2 GPS 수신기(2131-1) 방향에 관한 부호
15 GPSTrack RATIONAL 1 GPS 수신기(2131-1)의 방향
16 GPSImgDirectionRef ASCII 2 피사체의 방향에 관한 부호
17 GPSImgDirection RATIONAL 1 피사체의 방향
18 GPSMapDatum ASCII 무관 지정학적 위치에 관한 정보
19 GPSDestLatitudeRef ASCII 2 N(북쪽), S(남쪽)
20 GPSDestLatitude RATIONAL 3 목표 지점의 위도
21 GPSDestLongitudeRef ASCII 2 E(동쪽), W(서쪽)
22 GPSDestLongitude RATIONAL 3 목표 지점의 경도
23 GPSDestBearingRef ASCII 2 목표 지점의 Bearing에 관한 부호
24 GPSDestBearing RATIONAL 1 목표 지점의 Bearing
25 GPSDestDistanceRef ASCII 2 목표 지점까지의 거리에 관한 부호
26 GPSDestDistance RATIONAL 1 목표 지점까지의 거리
27 GPSProcessingMethod UNDEFINED 무관 거리측정에 사용된 방법
28 GPSAreaInformation UNDEFINED 무관 GPS Area에 관한 정보
29 GPSDataStamp ASCII 11 UTC(세계협정시)로 변환한 GPS촬영시간(년,월,일)
30 GPSDifferential SHORT 1 "GPS Differential Correction"기술의 적용여부
상기 필드 정보 중 2, 4, 6번 필드에 GPS 위치 정보를 입력하고, 16, 17번 필드에 방향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입력하여 사진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시간 정보는 7번 필드에 저장된다.
도 4는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의 수신된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허용 오차 범위값 내인 지 조회하고, 승인 여부를 결정과 관계된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기(2100)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S31)하고, 수신된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허용 오차 범위값 내인 지 조회(S32)하고, 수신된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S33)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수신부(1300)가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의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전송부(2112)가 전송한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본 발명의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승인부(1400)는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의 승인을 처리한다. 상기 전송된 표 1과 같은 위치 정보, 방향 정보, 시간 정보가 있을 때, 상기 인증 항목별로 전송된 정보가 기 설정된 오차값 범위 내에 들어오는 지를 검증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수신부(1100)가 입수하여 설정해 놓은 위치 정보에서 경도/위도 각각 +/-30m가 위치 정보라는 인증 항목의 오차값일 경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승인부(1400)는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수신부(1300)가 수신한 정보에서 추출한 위치 정보가 상기 인증 항목의 오차값 범위 내에 들어오는 지 검증한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승인부(1400)는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으로부터 전송된 촬영 정보의 방향값 및 기울기 값이 상기 관리자 등이 설정해 놓은 방향값 및 기울기값을 기준으로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 검증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 화각을 46°로 가정하고 화면 비율을 4:3으로 지정 하였을 경우, 상기 방향값 인증 항목의 오차 범위를 -23°~+23°로 하고, 기울기 인증 항목의 오차 범위를 -17.25°~+17.25°로 하는 경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전송부(2112)가 전송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획득부(2111)가 획득한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방향값 및 기울기값이 상기 범위 내에 들어 오는 지를 검증한다.
상기 인증 항목은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DB(1700)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DB(1710)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인증 항목별 오차값은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 DB(1720)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승인부(1400)는 수신된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대하여, 인증 항목별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 DB(1720)를 조회하여,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대한 승은 여부를 결정한다. 승인이 되면 승인 결정 정보를 생성하고, 승인이 불허되면 승인 불가 정보를 생성한다.
도 5는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의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시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은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에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의 원인이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을 추출(S41)하고,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의 원인이 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의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근거 정보를 포함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시의 승인 불가 통지 콘텐츠를 생성(S42)하여, 생성된 승인 불가 통지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100)로 전송(S43)한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근거 정보는 인증 항목별로 입수된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값이 기 설정된 오차값을 벗어났다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방향값 인증 항목의 오차 범위를 -23°~+23°로 하고, 기울기 인증 항목의 오차 범위를 -17.25°~+17.25°로 하는 경우, 방향값이 설정된 값의 오차 범위보다 30°가 추가적으로 더 벗어났고, 기울기값도 20°가 추가적으로 더 벗어났다는 것 등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근거 정보의 일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정보 전송부(1500)는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승인부(1400)의 승인 결정 정보나 승인 불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의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에 전송한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의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정보 수신부(2113)는 전송된 승인 결정 정보나 승인 불가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의 보상 정보 전송부(1600)는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승인부(1400)가 승인 결정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 정보와 관련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상과 관련된 정보를 입수하여,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으로 전송하고,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의 보상 정보 수신부(2114)는 전송된 보상 정보를 수신한다.
도 6은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의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허용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에 관한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기(2100)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S51)하고,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허용 한계를 조회(S52)한 다음,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허용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수신된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승인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2100)에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허용 한계 초과 시의 기 설정된 허용 한계 초과 콘텐츠를 생성(S53)하고, 생성된 허용 한계 초과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100)로 전송(S54)한다. 상기 이벤트의 대상이 관광이고, 보상이 특정한 경품일 경우, 경품의 수량이 한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량이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허용 한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량이 1,000개일 경우, 시공간 인지 인증의 승인이 1000명을 초과할 경우, 초과되는 사용자에게는 경품이 돌아갈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은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허용 한계를 반드시 조회해야 한다. 허용 한계에 도달한 경우, 승인 여부의 결정은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은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허용 한계에 도달할 경우, 상기 다수의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상기 특정한 이벤트에 대하여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을 위한 정보 처리를 수행할 때(특정한 이벤트의 선택부터가 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이벤트에 대하여 기 설정된 허용 한계 초과 콘텐츠를 전송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기 설정된 허용 한계 초과 콘텐츠의 예로는 "본 이벤트는 다수의 사용자의 참여로 1시간 전에 마감이 되었습니다." 등이 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사상을 실시하는 다른 일 실시예적 구성을 보여 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2100)에서 직접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에는 사용자 단말기측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부(2115)가 있어,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획득부(2111)가 획득한 정보를 직접 승인한다. 이러한 승인을 위하여,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제공부(1200)는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이 승인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정보와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 정보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에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의 사용자 단말기측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DB(2116)의 사용자 단말기측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DB(2116-1)와 사용자 단말기측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 DB에는 각각 전송 받은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정보와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측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부(2115)는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승인부(1400)의 승인 처리 방식과 동일 또는 대응하게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측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정보 전송부(2117)는 승인 허용이 이루어진 경우, 승인 허용 결과를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에 전송한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의 보상 정보 전송부(1600)는 기 설정된 보상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에 이미 승인 허용 시 제공한 보상 정보가 있는 경우, 곧바로 보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100)에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측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정보 전송부(2117)는 승인 허용이 이루어진 경우, 승인 허용 결과를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에 전송할 수도 있지만,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송하는 경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에서는 승인 허용이 이루어진 회수를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보상 정보의 사용 회수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전송하는 경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의 보상 정보 전송부(1600)는 기 설정된 보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이 사용자 단말기(2100)에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만을 제공하고, 모든 정보 처리는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에서 처리하는 방식에 대한 것이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의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 제공부(18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을 제공한다. 하나의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에는 1개 대상(관광지 또는 매장 등 이벤트의 기준이 되는 대상 또는 장소)마다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이 1: 1로 대응될 수도 있지만, n개 대상에 대하여 1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이 n:1의 방식으로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은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의 획득, 획득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을 모두 수행한다. 한편,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2110)은 보상 정보의 제공을 위해서도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1000)에 접속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0은 도 8 내지 도 9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에 다운로드 되고 설치된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구성에 대한 것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0)에는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정보와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 정보가 포함된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이 수신되고 설치(S71)된다. 이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은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를 획득(S72)하고, 획득된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허용 오차 범위값 내인 지 조회(S73)한 다음, 획득된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승인 결정 정보나 승인 불가 정보를 생성(S74)한다.
본 발명은 통신 산업, 프로모션 산업, 이벤트 지원 산업, 관광 산업, 광고 산업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다.
1000 :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1100 :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수신부
1200 :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 제공부
1300 :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수신부
1400 :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승인부
1500 :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정보 전송부
1600 : 보상 정보 전송부
1700 :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DB
1710 :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DB
1720 :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 DB
2000 : 사용자 단말기단
2100 : 사용자 단말기
2110 :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
2111 :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획득부
2112 :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 전송부
2113 :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정보 수신부
2114 : 보상 정보 수신부
2120 : 카메라부
2130 : 센서부
2131-1 : GPS 수신기
2131-2 : Network 수신기(3G/4G/Wifi) 수신기
2131 : 위치 센서
2132 : 지자기 센서
2133 : 기울기 센서
2200 : 사용자 제2 단말기
5000 : 유무선 네트워크

Claims (24)

  1.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이
    (A)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전송 받은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이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을 충족하는 지의 여부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수신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대한 승인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은 시간 항목, 장소 항목, 및 방향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에는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기준값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에는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수치값 범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카메라부, 센서부 및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은 상기 카메라부가 촬상한 사진에 대하여, 상기 사진의 촬상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센서부가 센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를 입수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을 판단하는 것이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결정을 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에 관하여,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결정을 하는 것이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판단 정보는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의 원인이 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의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근거 정보를 포함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시의 승인 불가 통지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불가 근거 정보는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오차 범위 또는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수치값 범위를 벗어났음 및 벗어난 정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 불가 통지 콘텐츠에는 승인을 위한 가이드 콘텐츠를 더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실시 전에,
    (A0) 사용자 단말기에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동일한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은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별로 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C) 단계를 실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은 입수한 상기 센싱 정보로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센싱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촬상한 사진 이미지 파일인 것이며,
    상기 사진 이미지 파일의 메타 파일 영역에는 사진의 촬상 시점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센서부가 센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은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15. 제 1항, 제5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16.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과 통신하며, 카메라부와 센서부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이
    (K) 상기 카메라부가 사진을 촬상할 때, 사진이 촬상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센서부가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L) 상기 센싱 정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M) 생성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및
    (N)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결과 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 받은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이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을 충족하는 지의 여부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대한 승인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은 시간 항목, 장소 항목, 및 방향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에는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기준값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에는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수치값 범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위치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은 입수한 상기 센싱 정보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수치값을 포함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촬상한 사진 이미지 파일인 것이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은 상기 사진 이미지 파일의 메타 파일 영역에 사진의 촬상 시점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센서부가 센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20.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과 통신하며, 카메라부와 센서부를 포함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이
    (O)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을 포함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P) 상기 카메라부가 사진을 촬상할 때, 사진이 촬상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센서부가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및
    (Q) 상기 센싱 정보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전송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대상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 받은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이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을 충족하는 지의 여부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된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요청 정보에 대한 승인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은 시간 항목, 장소 항목, 및 방향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며,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에는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기준값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충족 조건에는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 수치값 범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R1) 상기 (Q) 단계의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예비 판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공간 인지 인증 예비 판단 정보가 모든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에 대하여 상기 생성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요청 정보를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R2) 상기 (Q) 단계의 판단이 모든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에 대하여 상기 생성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허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허용 정보를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23. 제 20항에 있어서,
    (S) 상기 (Q) 단계의 판단이 모든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에 대하여 상기 생성된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값이 상기 시공간 인지 인증 항목별 오차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공간 인지 인증 승인 여부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24. 삭제
KR1020110075072A 2011-07-28 2011-07-28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 그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KR101377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072A KR101377466B1 (ko) 2011-07-28 2011-07-28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 그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072A KR101377466B1 (ko) 2011-07-28 2011-07-28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 그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428A KR20130013428A (ko) 2013-02-06
KR101377466B1 true KR101377466B1 (ko) 2014-03-24

Family

ID=4789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072A KR101377466B1 (ko) 2011-07-28 2011-07-28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 그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747B1 (ko) 2015-02-12 2016-02-02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용 앱(App)을 이용하여 기울어진 각도로 개인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551B1 (ko) * 2016-03-02 2016-12-26 주식회사 와이제이 Sns를 이용한 간접 광고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2480A (ja) * 2003-12-19 2005-07-07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認証制御プログラム
JP2010090582A (ja) 2008-10-07 2010-04-22 Denso Wave Inc 認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2480A (ja) * 2003-12-19 2005-07-07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認証制御プログラム
JP2010090582A (ja) 2008-10-07 2010-04-22 Denso Wave Inc 認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747B1 (ko) 2015-02-12 2016-02-02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용 앱(App)을 이용하여 기울어진 각도로 개인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428A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7062B (zh) 地理参照物识别方法、系统和装置
US816459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map images
US20090234473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recorded data
US86653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based image telegraphy
US20150154851A1 (en) System and method of filling in gaps in image data
US20050213551A1 (en) Method of managing and viewing image data
US11341532B2 (en) Gathering missing information elements
JP6093841B2 (ja) 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6748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位置情報提示方法
JP2006332830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装置
US20150156460A1 (en) System and method of filling in gaps in image data
KR101377466B1 (ko)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 그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JP4697931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KR101211209B1 (ko) 위치 정보를 활용한 영상 촬영 장치의 촬영 방법, 위치 정보를 활용한 영상 촬영 장치, 서버에서 위치 정보를 활용한 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방법 및 위치 정보를 활용한 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
KR20150077607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룡 유적지 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279227A1 (en) Mobile wireless device with enhanced location feature
JP2005108027A (ja) 被写体情報提供方法及び被写体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20140099963A (ko)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16133841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90119241A (ko) 위치 등록 및 위치 확인 시스템
US20190188843A1 (en) Gathering missing images
JP2013205465A (ja) 地図情報表示システム
KR101193237B1 (ko) 지리/환경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602437B (zh) 即时云端地理、星象与卫星资讯整合视讯显示系统及方法
JP2004347945A (ja) 携帯端末の位置表示システム,方法,地図提供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