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963A -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963A
KR20140099963A KR1020130012152A KR20130012152A KR20140099963A KR 20140099963 A KR20140099963 A KR 20140099963A KR 1020130012152 A KR1020130012152 A KR 1020130012152A KR 20130012152 A KR20130012152 A KR 20130012152A KR 20140099963 A KR20140099963 A KR 20140099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nformation
directional
portable terminal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강현
Original Assignee
박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강현 filed Critical 박강현
Priority to KR1020130012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9963A/ko
Publication of KR2014009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avig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에게 보기 쉬운 방향으로 지도를 표시할 수 있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에 따르면,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를 표시한다.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되고,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됨에 따라, 방향 QR코드를 촬영한다. 방향 QR코드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휴대단말에 내장된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하여 기준 2축 방위각을 설정한다. 위치정보와 2축 방위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로부터 2차원 지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휴대단말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지도 표시 동작을 차단한다.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기준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표시한다.

Description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CONTENTS USING A DIRECTIONAL QR CODE,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N IMAGE CONTENTS DISPLAYING PROGRAM}
본 발명은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향 QR코드에 기록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방향 QR코드가 설치된 장소를 포함하는 지도를 표시할 때, 사용자에게 보기 쉬운 방향으로 지도를 표시할 수 있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 및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에 충실하게 휴대 전화기기를 중심으로 한 휴대단말의 보급은 현저하게 높고,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각종의 서비스를 유상,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있다. 특히 휴대 전화기로 대표되는 휴대단말에는 카메라가 내장되고, 휴대단말로 촬영한 화상을 전자 메일로 송신하거나,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목적의 정보로 액세스하는 등 각종 이용 형태가 실현되어 왔다.
잡지나 신문, 삽입 광고에 게시 광고 등에 QR코드를 인쇄하고, 상기 QR코드에 광고주의 정보, 예를 들면 광고주가 개설하고 있는 홈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QR코드의 획득 위치, 목적지 위치, 지도 및 네비게이션 서버의 URL 등의 정보 이외에, 가게 이름, 가게의 프로필, 전화 번호, 소재지, 영업 시간, 휴일 등의 각종 정보를 기록하고, 휴대단말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해 QR코드를 독취하고, 독취 정보를 이용하여 홈 페이지에 액세스함으로써 광고주의 가게의 지도를 입수하거나 네비게이팅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하다.
또, 특정의 장소에 설치된 게시판이나 전신주에 기호 패턴(QR코드)을 설치하여 이를 휴대단말에 탑재한 카메라 등의 독취 수단에 의해 독취하고, QR코드에 기록된 정보에 근거하여 지도 정보를 취득하는 시스템도 제안되고 있다. 예를들어, 기호 패턴에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URL을 기록하고, 이것을 휴대 전화기의 카메라로 독취하여 해당 URL에 링크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지도 제공 서버로부터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기호 패턴을 설치한 게시판이나 전신주의 각각 위치정보를 할당하는 것으로, 휴대 전화기가 기호 패턴을 독취한 위치를 지도 정보 분배 서버가 알 수 있고, 휴대 전화기가 기호 패턴을 독취한 위치(장소)를 포함하는 지도 정보를 휴대 전화기에 분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이동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인공 위성을 이용한 GPS 위치 측정 기술, 기지국을 이용한 위치 측정 기술을 들 수 있다.
GPS 위치 측정 기술은 현재까지는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실외에서만 적용되고 있고, 건물과 같은 실내나 지하장소에서는 GPS 위성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 실내에서는 GPS 위치 측정 기술이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기지국을 이용한 위치 측정 기술은 이동 단말에 GPS 수신기를 장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지만, GPS 위치 측정 기술에 비하면 위치 측정의 오차가 수십 내지 수백 미터에 달해 실내 위치 측위에서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실내 위치 측위를 하려는 시도가 있다. 그런데,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해서는 이동 단말에서 주변 액세스 포인트들을 스캔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일부 이동 단말 기종에서는 주변 액세스 포인트들을 모두 스캔하는 기능을 차단해 놓고 있어 적용에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52675호(발명의 명칭: 지도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 지도 표시 시스템 및 정보 분배 서버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한국등록특허 제10-1207354호(발명의 명칭: 큐알코드를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9253호(발명의 명칭: 지리적 정보의 기계 판독가능한 표시) 한국공개특허 제2013-0001457호(발명의 명칭: QR 코드를 이용한 비상 대피 장치 및 그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12-0088325호(발명의 명칭: 실내의 GPS 신호 특성값을 수집하는 방법 및 장치와 실내 위치 측정 방법)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정보와 방향 QR코드를 휴대단말에서 인식하는 순간의 휴대단말 내장센서 정보와 지도 및 3D데이터에 기준점으로 사용하여 정확한 증강현실 2D 지도 및 증강현실 3D 가상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이 탑재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은,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를 표시하는 단계;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되고, 상기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됨에 따라, 상기 방향 QR코드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방향 QR코드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에 내장된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하여 기준 2축 방위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와 2축 방위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2축 방위정보에 대응하는 2차원 지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지도 표시 동작을 차단하는 단계; 및 감지된 기울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기준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은, 상기 휴대단말이 회전되면, 상기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갱신된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하여 갱신된 2축 방위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기울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지도 표시 동작을 차단하는 단계; 및 감지된 기울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갱신된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촬영 기준 마크는 상기 방향 QR코드의 주변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은, 방향 QR코드의 촬영을 통해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방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방위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방위정보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은, 휴대단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갱신된 방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갱신된 방위정보를 근거로 지도정보를 회전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은,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를 표시하는 단계;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되고, 상기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됨에 따라, 상기 방향 QR코드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방향 QR코드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3차원 방위정보를 획득하여 기준 3차원 기울기를 설정하는 단계; 공간 위치정보와 3차원 기울기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상기 공간 위치정보와 상기 3차원 기울기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3차원 객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준 3차원 기울기를 근거로 3차원 객체 표현뷰를 이동하는 단계; 휴대단말이 회전되면,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갱신된 3차원 기울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갱신된 3차원 기울기를 근거로 3차원 객체 표현뷰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은, 표시부, 방향 QR코드 독취부, 통신부, 기억부, 방위정보 획득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 QR코드 독취부는 상기 표시부에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를 표시하고,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되고, 상기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됨에 따라, 상기 방향 QR코드의 촬영을 통해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통신부는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된다. 상기 기억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2차원 지도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방위정보 획득부는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에 내장된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하여 기준 2축 방위각을 설정하여 상기 기억부에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2축 방위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2축 방위정보에 대응하는 2차원 지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억부에 저장하고, 상기 기준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은, 표시되는 지도를 회전시키는 영상 컨텐츠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위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2축 방위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2차원 지도를 회전하도록 상기 영상 컨텐츠 회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은, 휴대단말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영상 컨텐츠 표시 동작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울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기준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가 2차원 지도 표시 모드인지 3차원 객체정보 표시 모드인지를 체크하는 모드 체크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드 체크부에 의해 3차원 객체정보 표시 모드로 체크되면, 상기 제어부는 3차원 기울기를 근거로 3차원 객체 표현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휴대단말 내장센서는 자이로스코프, 가속도센서 및 지자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를 표시하는 단계;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되고, 상기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됨에 따라, 상기 방향 QR코드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방향 QR코드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준 2축 방위각을 설정하는 단계; 위치정보와 2축 방위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2차원 지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2차원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휴대단말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지도 표시 동작을 차단하는 단계;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기준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단계; 휴대단말이 회전되면,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갱신된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휴대단말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체크하는 단계; 체크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지도 표시 동작을 차단하는 단계; 및 체크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갱신된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를 표시하는 단계;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되고, 상기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됨에 따라, 상기 방향 QR코드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방향 QR코드가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내에 정렬된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방향 QR코드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3차원 방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준 3차원 기울기를 설정하는 단계; 공간 위치정보와 3차원 기울기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상기 공간 위치정보와 상기 3차원 기울기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3차원 객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준 3차원 기울기를 근거로 3차원 객체 표현뷰를 이동하는 단계; 휴대단말이 회전되면,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갱신된 3차원 기울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갱신된 3차원 기울기를 근거로 3차원 객체 표현뷰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다.
이러한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방향 QR코드의 촬영에 따라, 촬영된 방향 QR코드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불러와 휴대단말에 표시하되, 상기 휴대단말에 내장된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방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기준 방위각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방위각을 근거로 지도정보를 휴대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 QR코드 촬영후 획득한 지도정보를 표시할 때, 휴대단말을 회전시킴에 따라 달라지는 방위각을 갱신하고, 갱신된 방위각을 근거로 지도를 회전시켜 휴대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향 QR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단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도 6은 방향 QR코드의 정렬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들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들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표시 시스템은 방향 QR코드(10), 서버(20) 및 휴대단말(30)로 구성되어 영상 컨텐츠를 표시한다. 본 실시시예에서, 영상 컨텐츠는 2차원 지도정보일수도 있고, 3차원 객체정보일 수도 있다.
방향 QR코드(10)에는 공간위치정보가 기록되고, 촬영시 촬영 방향을 알리는 촬영 기준 마크가 인쇄된다. 방향 QR코드(10)에는 공간위치정보가 기록되므로, 각각의 방향 QR코드들에는 서로 다른 공간위지정보들이 기록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동일한 강남역 지하쇼핑센터라 할지라도, 1번 출구에 인접하는 장소의 공간위치정보와 2번 출구에 인접하는 장소의 공간위치정보가 다르다.
서버(20)는 2차원 지도정보를 저장하고, 휴대단말(3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장소의 지도를 휴대단말(30)에 제공한다. 서버(20)에는 특정 위도경도 좌표별로 구분된 2차원 지도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고, 특정 인덱스별로 구분된 2차원 지도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저장된 2차원 지도정보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과 같이 여러 해상도의 지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3차원 객체정보를 저장하고, 휴대단말(3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장소의 3치원 객체정보를 휴대단말(30)에 제공할 수도 있다.
휴대단말(30)은 특정 지점에 설치된 방향 QR코드(10)를 독취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에 접속하여, 방향 QR코드(10)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된 지도정보를 표시한다. 즉, 휴대단말(30)은, 방향 QR코드의 촬영에 따라, 촬영된 방향 QR코드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불러와 휴대단말(30)에 표시하되, 휴대단말(30)에 내장된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방위정보를 획득하여 휴대단말(30)의 기준 방위각을 설정하고, 기준 방위각을 근거로 지도정보를 휴대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휴대단말(30)은 통화기능과 컴퓨팅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접속 가능하고 컴퓨팅기능을 갖는 테블릿 컴퓨터 등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향 QR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향 QR코드(10)는 공간위치정보가 포함된 QR코드와 QR코드 촬영시 촬영 방향을 알리는 촬영 기준 마크로 구분된다.
방향 QR코드(10)에 포함되는 공간위치정보는 해당 장소에 대응하는 지도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방향 QR코드(10)에는 장소의 인덱스가 기록되므로 해당 장소가 코엑스인지 강남역인지를 구분한다. 방향 QR코드(10)에는 인덱스 정보만 기록되고 서버에서 해당 인덱스 정보에 해당하는 지도면, 위치좌표, 높이, 각도값이 저장된다. 예를들어, 특정 위치의 1층에 대응하는 지도와 지하 1층에 대응하는 지도와 지하 2층에 대응하는 지도는 다르다. 따라서, 방향 QR코드(10)가 배치된 좌표 및 높이에 대응하는 인덱스 정보가 방향 QR코드(10)에 기록되어 있다면, 방향 QR코드(10)의 스캔을 통해 해당 위치의 해당 층에 대응하는 지도를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방향 QR코드(10)에 포함되는 공간위치정보는 해당 장소에 대응하는 위도경도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방향 QR코드(10)가 강남역의 지하 1층에 배치된다면, 그 위치는 북위 37도 29분 52.54초이고, 동경 127도 1분 39.30초이고, 고도는 지하 1층이다. 따라서, 방향 QR코드(10)에는 예를들어, 문자열 37. 29. 52. 54, 127. 1. 3930 라고 하는 문자열이 기록될 수 있다. 또는 방향 QR코드(10)에는 소수점 좌표로서 37.4979278 127.027583라는 문자열이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위도경도 좌표의 해상도가 높다면 30cm 간격으로 장소를 특정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위도경조 좌표가 포함된 방향 QR코드에는 고도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어, 방향 QR코드(10)가 배치된 장소가 지하 1층인지 지상 1층인지 등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촬영 기준 마크는 인식하고자 하는 방향 QR코드(10)의 화살표 방향, 크기를 휴대단말의 카메라 안내 화면과 일치하도록 유도하는데 사용된다.
방향 QR코드(10)와 카메라 안내 화면이 일치했을 때 그 시점의 휴대단말 내부에 탑재된 3차원 회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 내장센서을 이용하여 공간 위치상의 회전 기준 각도로 이용된다. 상기 휴대단말 내장센서는 중력센서(G센서),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자이로스코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력센서(G센서)는 중력이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는지를 탐지해 물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방향(즉, 가로, 세로)를 판단해 스크린의 방향을 자동으로 보정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속도센서는 단위시간당 물제 속도의 변화, 충격 등 동적 힘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최근에는 MEMS 기술을 적용한 보다 정교해진 3축 가속도 센서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기울기 변화, 흔들임 등 물체 움직임까지도 감지가 가능하여 휴대단말 등에 탑재가 증가하고 있다.
지자기센서는 지구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각을 탐지하는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 역시 기존에는 2축 지자기 센서가 주류였으나, 지금은 3축 지자기 센서가 보편화되는 추세이다.
자이로스코프는 물체의 관성력을 전기신호로 검출하며, 주로 회전각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높이와 회전, 기울기 등을 직접 감지할 수 있어서 3축 가속도 센서와 연계할 경우 보다 정교한 모션 센성이 가능하다. 자이로스코프는 본래 인공위성의 자세를 바로 잡기 위해 고안된 자이로스코프의 원리를 활용한 것으로 휴대단말의 상하좌우는 물론 수평/수직 이동 등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가 탑재된 스마트폰은 움직임을 아주 정밀하게 인식하기 때문에 소니사에서 제조된 위(Wii)와 같은 역동적인 모션 컨트롤 게임이나 증강현실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미 출시된 스마트폰 중에는 아이폰4, 갤럭시S2, 넥서스S, 옵티머스2X 등에 자이로스코프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상 컨텐츠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컨텐츠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30)은 표시부(310), 방향 QR코드 독취부(320), 통신부(330), 기억부(340), 방위정보 획득부(350), 영상 컨텐츠 회전부(360), 기울기 감지부(370), 모드 체크부(38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컨텐츠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30)은 표시부(310), 방향 QR코드 독취부(320), 통신부(330), 기억부(340), 방위정보 획득부(350), 영상 컨텐츠 회전부(360), 기울기 감지부(370), 모드 체크부(380) 및 제어부(390)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였을 뿐 2개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복수의 구성요소들로 더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방향 QR코드 독취부(320), 방위정보 획득부(350), 영상 컨텐츠 회전부(360), 기울기 감지부(370) 및 모드 체크부(380) 각각은 하나의 독립된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독립된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방향 QR코드 독취부(320)는 표시부(310)에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를 표시하고,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되고, 상기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됨에 따라, 상기 방향 QR코드의 촬영을 통해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통신부(330)는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0: 도 1에 도시됨)와 네트워크 연결된다.
기억부(340)는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되는 2차원 지도정보를 저장한다.
방위정보 획득부(350)는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한다.
영상 컨텐츠 회전부(360)는 표시되는 지도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울기 감지부(370)는 휴대단말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모드 체크부(38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가 2차원 지도 표시 모드인지 3차원 객체정보 표시 모드인지를 체크한다.
제어부(390)는 상기 휴대단말에 내장된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하여 기준 2축 방위각을 설정하여 기억부(304)에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2축 방위정보를 서버(20: 도 1에 도시됨)에 전송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하고, 서버(20)로부터 2차원 지도정보를 수신하여 기억부(304)에 저장하고, 상기 기준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표시부(310)상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390)는 방위정보 획득부(350)에 의해 획득된 2축 방위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표시부(310)상에 표시되는 2차원 지도를 회전하도록 영상 컨텐츠 회전부(3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90)는 기울기 감지부(370)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지도 표시 동작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기울기 감지부(370)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기준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90)는, 모드 체크부(380)에 의해 3차원 객체정보 표시 모드로 체크되면, 3차원 기울기를 근거로 3차원 객체 표현뷰의 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특히, 2차원 지도로서 아파트 평면도를 표시하는 예로서,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보고자 하는 방향으로 돌리면 자동으로 아파트 평면도를 회전시켜 표시하는 예가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방향 QR코드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에 적응하여 지도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어플 또는 웹)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됨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를 표시한다(단계 S102). 도 5b를 참조하면,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는 정사각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정사각 형상의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의 상변에는 방향 QR코드 촬영의 기준이 되는 마크가 표시된다. 상기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의 상부변의 외곽에는 마크와, <방향 방향 QR코드 크기와 화살표를 맞추어 주세요>라는 멘트가 더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소지하는 휴대단말의 위치를 조정하여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시키고,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시킨다.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되고,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됨에 따라, 방향 QR코드 독취부(320: 도 3에 도시됨)는 방향 QR코드를 촬영한다(단계 S104).
제어부(390: 도 3에 도시됨)는 방향 QR코드가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내에 정렬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6).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 QR코드를 촬영한 후, 촬영된 방향 QR코드가 사각테두리내에 정렬되었는지를 체크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하도록 정렬되고 방향 QR코드가 사각테두리내에 정렬되면, 방향 QR코드를 촬영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방향 QR코드의 정렬 인식을 설명한다.
도 6은 방향 QR코드의 정렬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향 QR코드는 정사각 형상의 꼭지점 부근에 대응하여 제1 포인트, 제2 포인트, 제3 포인트 및 제4 포인트가 배치하고, 방향 QR코드의 외곽 상변에는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배치한다. 일반적으로, 제1 내지 제3 포인트들은 작은 사각 사각테두리 형상과 각각의 사각 사각테두리 내부에는 포함된 사각 포인트가 대응한다. 방향 QR코드의 외곽 상변에는 삼각 형상의 마크가 대응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휴대단말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는 정사각 형상의 꼭지점 부근에 대응하여 제1 센싱 영역, 제2 센싱영역, 제3 센싱영역 및 제4 센싱영역이 배치되고, 외곽 상변에는 삼각형상의 마크가 대응한다.
사용자는 인쇄된 방향 QR코드의 외곽 테두리가 휴대단말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 내에 위치하도록 조정하고, 또한 인쇄된 방향 QR코드의 외곽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와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 외부에 표시되는 마크를 서로 일치시키므로써 특정 위치에서의 위치정보와 방위정보를 획득한다. 즉, 휴대단말은 인쇄된 방향 QR코드의 외곽 테두리가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내에 배치되고,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와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 외부에 표시되는 마크가 서로 중첩됨에 따라 방향 QR코드를 촬영한다.
이러한 방향 QR코드 정렬 인식에 대응하는 의사코드의 일례는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1
도 4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방향 QR코드가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내에 정렬된 것으로 체크되면, 제어부(390: 도 3에 도시됨)는 방향 QR코드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108). 상기 위치정보는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의 인덱스 정보일 수도 있고,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위도경도 정보일 수도 있다.
이어, 방위정보 획득부(350: 도 3에 도시됨)는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110). 상기 휴대단말 내장센서에서는 X축 정보, Y축 정보, Z축 정보로 구성되는 3축 방위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 QR코드의 위치가 특정되므로 3축 방위정보를 획득하지 않더라도 2축 방위정보만의 획득으로 지도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90: 도 3에 도시됨)는 기준 2축 방위각을 설정한다(단계 S112). 상기 기준 2축 방위각은 X-Y 평면상의 방위각일 수도 있다.
통신부(330: 도 3에 도시됨)는 위치정보와 2축 방위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단계 S114).
제어부(390)는 통신부(330)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2축 방위정보에 대응하는 2차원 지도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수신된 2차원 지도정보를 기억부(340: 도 3에 도시됨)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116).
이어, 기울기 감지부(370: 도 3에 도시됨)는 휴대단말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감지한다(단계 S118).
제어부(390)는 단계 S118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20). 상기 임계값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어플 또는 앱)을 개발하는 측에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임계값은 지표면과의 경사각으로서 대략 10도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임계값은 지표면과 경사각으로 20도로 설정될 수도 있고, 30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단계 S120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체크되면 제어부(390)는 표시부(310: 도 3에 도시됨)상에 표시되는 지도 표시 동작을 차단한 후(단계 S122), 단계 S118로 피드백한다.
단계 S120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체크되면, 제어부(390)는 기준 2축 방위각을 근거로 표시부(310) 상에 2차원 지도를 표시한다(단계 S124).
본 실시예에서, 휴대단말기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감지한 후 지도를 표시하는 것은 2차원 지도정보는 지표면과 평행하게 구성되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즉, 휴대단말의 표시창이 지표면과 평행하지 않고 일정 경사각을 갖는다면, 지도를 표시할 때 사용자 관점에서 방향 표시가 부정확하게 표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비록 이동하지는 않으나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 관점에서 방향 표시가 부정확하게 표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2차원 지도정보를 표시할 때 지표면과 평행한지의 여부를 감지하므로, 보다 정확한 방향 표시가 가능하도록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어, 방위정보 획득부(350)는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제공되는 2축 방위정보를 근거로 휴대단말의 회전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26). 휴대단말의 회전은 휴대단말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지도를 관찰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휴대단말이 회전하면,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휴대단말 내장센서는 2축 방위정보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에 대응하는 방위값이 변경된다. 따라서,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제공되는 2축 방위정보를 근거로 휴대단말이 회전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정확한 방향을 모르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지도를 보면서 실제 눈으로 보이는 가게나 통로 등을 볼 수 있고, 이때 사용자는 좌측으로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단계 S126에서 휴대단말이 회전되지 않는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124로 피드백한다.
단계 S126에서 휴대단말이 회전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갱신된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128).
이어, 기울기 감지부(370)는 휴대단말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체크한다(단계 S130).
제어부(390)는 단계 S130에서 체크된 기울기가 기설정된 상기 임계값보다 큰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32).
단계 S132에서 체크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체크되면 제어부(390)는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지도 표시 동작을 차단한 후(단계 S134), 단계 S130로 피드백한다.
단계 S132에서 체크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체크되면, 제어부(390)는 표시부(310) 상에 갱신된 2축 방위각을 근거로 회전된 2차원 지도를 표시한다(단계 S136).
2차원 지도의 회전에 대응하는 의사코드의 일례는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2
위의 의사코드는 휴대단말 내장센서가 자이로스코프인 것을 일례로 한 것이다.
도 4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에 적응하여 지도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어플 또는 앱)의 종료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138), 종료로 체크되면 종료하고, 미종료로 체크되면 단계 S126로 피드백한다.
상기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은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통화기능과 컴퓨팅기능을 갖는 스마트폰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단말은 통화기능과 컴퓨팅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접속 가능하고 컴퓨팅기능을 갖는 테블릿 컴퓨터 등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와 방향 QR코드를 휴대단말에서 인식하는 순간의 휴대단말 내장센서에서 제공되는 2축 방위정보를 근거로 2차원 지도를 사용자의 보는 방향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므로써 정확한 증강현실 2차원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들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특히, 강남역 지하쇼핑센터의 지도가 도시된다. 도 7a 내지 도 7d에서 도시되는 지도들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확대될 수도 있고, 축소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북쪽, 예를들어, 12시 방향을 향한다면, 휴대단말의 표시창에는 노스 업(north up) 방식으로 강남역 지하쇼핑센터에 대응하는 지도가 표시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북동쪽, 예를들어 2시 방향을 향한다면, 휴대단말의 표시창에는 강남역 지하쇼핑센터에 대응하는 지도의 북쪽은 10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어 표시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북서쪽, 예를들어 10시 방향을 향한다면, 휴대단말의 표시창에는 강남역 지하쇼핑센터에 대응하는 지도의 북쪽은 2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어 표시된다.
도 7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북서쪽, 예를들어, 11시 방향이라면, 휴대단말의 표시창에는 강남역 지하쇼핑센터에 대응하는 지도의 북쪽은 7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의 위치에서 어느 방향에 특정 매장이 있는지, 특정 출구가 있는지, 특정 화장실이 있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어 보다 빠르게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장소를 찾을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들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특히,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지도가 도시된다. 도 8a 내지 도 8d에서 도시되는 지도들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확대될 수도 있고, 축소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북쪽, 예를들어, 12시 방향을 향한다면, 휴대단말의 표시창에는 노스 업(north up) 방식으로 서울월드컵경기장에 대응하는 지도가 표시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북서쪽, 예를들어 10시 방향을 향한다면, 휴대단말의 표시창에는 서울월드컵경기장에 대응하는 지도의 북쪽은 2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어 표시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북동쪽, 예를들어 1시 방향을 향한다면, 휴대단말의 표시창에는 서울월드컵경기장에 대응하는 지도의 북쪽은 10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어 표시된다.
도 8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북동쪽, 예를들어 4시 방향을 향한다면, 휴대단말의 표시창에는 서울월드컵경기장에 대응하는 지도의 북쪽은 7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의 위치에서 어느 방향에 W구역이 있는지, E구역이 있는지, 화장실이 있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어 보다 빠르게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좌석이나 원하는 장소를 찾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2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일련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면, 이하에서, 3차원 객체정보를 표시하는 일련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특히, 3차원 객체정보를 표시하는 예로서, 휴대단말 내부의 3차원 회전상태를 알 수 있는 기기를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3차원 회전상태와 2차원지도, 안내도, 3차원 모델링 등의 데이터를 동기화시켜 증강현실로 구현된 예가 도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방향 QR코드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에 적응하여 3차원 객체정보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어플 또는 앱)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됨에 따라,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를 표시한다(단계 S202). 상기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의 상부변의 외곽에는 마크와, <방향 방향 QR코드 크기와 화살표를 맞추어 주세요>라는 멘트가 더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소지하는 휴대단말의 위치를 조정하여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시키고,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시킨다.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되고,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됨에 따라, 방향 QR코드 독취부(320: 도 3에 도시됨)는 방향 QR코드를 촬영한다(단계 S204).
제어부(390: 도 3에 도시됨)는 방향 QR코드가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내에 정렬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06).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 QR코드를 촬영한 후, 촬영된 방향 QR코드가 사각테두리내에 정렬되었는지를 체크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하도록 정렬되고 방향 QR코드가 사각테두리내에 정렬되면, 방향 QR코드를 촬영할 수도 있다.
단계 S206에서 방향 QR코드가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내에 정렬된 것으로 체크되지 않으면 단계 S202로 피드백한다.
단계 S206에서 방향 QR코드가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내에 정렬된 것으로 체크되면, 제어부(390)는 방향 QR코드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208).
이어, 방위정보 획득부(350: 도 3에 도시됨)는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3차원 방위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210). 상기 휴대단말 내장센서에서는 X축 정보, Y축 정보, Z축 정보로 구성되는 3축 방위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어, 제어부(390)는 기준 3차원 기울기를 설정한다(단계 S212).
통신부(330: 도 3에 도시됨)는 공간 위치정보와 3차원 기울기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단계 S214).
제어부(390)는 통신부(330)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공간 위치정보와 상기 3차원 기울기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객체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수신된 3차원 객체정보를 기억부(340: 도 3에 도시됨)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216).
이어, 기준 3차원 기울기를 근거로 3차원 객체 표현뷰를 이동한다(단계 S218).
방위정보 획득부(350)는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제공되는 3축 방위정보를 근거로 휴대단말이 회전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20). 휴대단말의 회전은 휴대단말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3차원 객체 표현뷰를 관찰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휴대단말이 회전하면,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휴대단말 내장센서는 3축 방위정보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축에 대응하는 방위값이 변경된다. 따라서,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제공되는 3축 방위정보를 근거로 휴대단말이 회전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3차원 객체 표현뷰를 휴대단말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상측이나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단계 S220에서 휴대단말이 회전되지 않는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218로 피드백한다.
단계 S220에서 휴대단말이 회전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갱신된 3차원 기울기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222).
이어, 제어부(390)는 갱신된 3차원 기울기를 근거로 3차원 객체 표현뷰를 이동한다(단계 S224).
3차원 객체 표현뷰의 이동에 대응하는 의사코드의 일례는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3
도 9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에 적응하여 3차원 객체정보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어플 또는 앱)의 종료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26), 종료로 체크되면 종료하고, 미종료로 체크되면 단계 S220으로 피드백한다.
상기한 3차원 객체정보 표시 방법은 3차원 객체정보 표시 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3차원 객체정보 표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통화기능과 컴퓨팅기능을 갖는 스마트폰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단말은 통화기능과 컴퓨팅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접속 가능하고 컴퓨팅기능을 갖는 테블릿 컴퓨터 등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와 방향 QR코드를 휴대단말에서 인식하는 순간의 휴대단말 내장센서 정보와 지도 및 3D데이터에 기준점으로 사용하여 정확한 증강현실 2D 지도 및 증강현실 3D 가상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쇼핑몰이나, 지하상가, 공원, 고궁, 전시장, 지하철 주변지역 안내, 이정표가 없는 건설현장, 지하매설물, 대형경기장, 박물관, 전시관, 모델하우스, 건설 시뮬레이션, 외국인 상대의 위치안내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10 : 방향 QR코드 20 : 서버
30 : 휴대단말 310 : 표시부
320 : 방향 QR코드 독취부 330 : 통신부
340 : 기억부 350 : 방위정보 획득부
360 : 영상 컨텐츠 회전부 370 : 기울기 감지부
380 : 모드 체크부 390 : 제어부

Claims (14)

  1.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를 표시하는 단계;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되고, 상기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됨에 따라, 상기 방향 QR코드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방향 QR코드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에 내장된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하여 기준 2축 방위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와 2축 방위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2축 방위정보에 대응하는 2차원 지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지도 표시 동작을 차단하는 단계; 및
    감지된 기울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기준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이 회전되면, 상기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갱신된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하여 갱신된 2축 방위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기울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지도 표시 동작을 차단하는 단계; 및
    감지된 기울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갱신된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기준 마크는 상기 방향 QR코드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4. 방향 QR코드의 촬영을 통해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방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방위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방위정보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지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갱신된 방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갱신된 방위정보를 근거로 지도정보를 회전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6.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를 표시하는 단계;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되고, 상기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됨에 따라, 상기 방향 QR코드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방향 QR코드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3차원 방위정보를 획득하여 기준 3차원 기울기를 설정하는 단계;
    공간 위치정보와 3차원 기울기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상기 공간 위치정보와 상기 3차원 기울기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3차원 객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준 3차원 기울기를 근거로 3차원 객체 표현뷰를 이동하는 단계;
    휴대단말이 회전되면,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갱신된 3차원 기울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갱신된 3차원 기울기를 근거로 3차원 객체 표현뷰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7.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를 표시하고,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되고, 상기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됨에 따라, 상기 방향 QR코드의 촬영을 통해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향 QR코드 독취부;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2차원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기억부;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하는 방위정보 획득부; 및
    상기 휴대단말에 내장된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하여 기준 2축 방위각을 설정하여 상기 기억부에 저장하고,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2축 방위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2축 방위정보에 대응하는 2차원 지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억부에 저장하고, 상기 기준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표시되는 지도를 회전시키는 영상 컨텐츠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위정보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2축 방위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2차원 지도를 회전하도록 상기 영상 컨텐츠 회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영상 컨텐츠 표시 동작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울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기준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
  10.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가 2차원 지도 표시 모드인지 3차원 객체정보 표시 모드인지를 체크하는 모드 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체크부에 의해 3차원 객체정보 표시 모드로 체크되면, 상기 제어부는 3차원 기울기를 근거로 3차원 객체 표현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 내장센서는 자이로스코프, 가속도센서 및 지자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
  13.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를 표시하는 단계;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되고, 상기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됨에 따라, 상기 방향 QR코드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방향 QR코드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준 2축 방위각을 설정하는 단계;
    위치정보와 2축 방위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2차원 지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2차원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휴대단말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지도 표시 동작을 차단하는 단계;
    감지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기준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단계;
    휴대단말이 회전되면,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갱신된 2축 방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휴대단말의 평면상의 기울기를 체크하는 단계;
    체크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지도 표시 동작을 차단하는 단계; 및
    체크된 기울기가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갱신된 2축 방위각을 근거로 2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4.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를 표시하는 단계;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마크와 방향 QR코드에 인쇄된 촬영 기준 마크가 일치되고, 상기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안에 방향 QR코드를 배열됨에 따라, 상기 방향 QR코드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방향 QR코드가 방향 QR코드 촬영용 사각테두리내에 정렬된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방향 QR코드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3차원 방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준 3차원 기울기를 설정하는 단계;
    공간 위치정보와 3차원 기울기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상기 공간 위치정보와 상기 3차원 기울기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3차원 객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준 3차원 기울기를 근거로 3차원 객체 표현뷰를 이동하는 단계;
    휴대단말이 회전되면, 휴대단말 내장센서로부터 갱신된 3차원 기울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갱신된 3차원 기울기를 근거로 3차원 객체 표현뷰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12152A 2013-02-04 2013-02-04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40099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152A KR20140099963A (ko) 2013-02-04 2013-02-04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152A KR20140099963A (ko) 2013-02-04 2013-02-04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963A true KR20140099963A (ko) 2014-08-14

Family

ID=5174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152A KR20140099963A (ko) 2013-02-04 2013-02-04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99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846A (ko) * 2017-03-23 2018-10-04 이종민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
KR102633001B1 (ko) * 2023-03-27 2024-02-05 주식회사 무브먼츠 Qr코드와 nfc 데이터 복합 처리 방식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오프라인 ar 구현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846A (ko) * 2017-03-23 2018-10-04 이종민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
KR102633001B1 (ko) * 2023-03-27 2024-02-05 주식회사 무브먼츠 Qr코드와 nfc 데이터 복합 처리 방식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오프라인 ar 구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4452B2 (en) Directional and x-ray view techniques for navigation using a mobile device
KR102021050B1 (ko)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이동 단말 및 서버
US10187757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 of an inertial computing device in a distributed network
EP3213031B1 (en)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by using earth's magnetic fields
CN104024984B (zh) 便携式设备、虚拟现实系统及方法
CN102388406B (zh) 使用便携式电子设备记录产生三维模型
CN101467062B (zh) 地理参照物识别方法、系统和装置
US9583074B2 (en) Optimization of label placements in street level images
CN103134489A (zh) 基于移动终端进行目标定位的方法
CN107885763B (zh) 室内图中兴趣点信息的更新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KR101413605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04748739A (zh) 一种智能机增强现实实现方法
CN110426725B (zh) 一种精确定位室内用户移动终端的方法
KR20150077607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룡 유적지 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55761B1 (ko) 증강 현실에서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978476B (zh) 利用智能手机进行室内地图现场补测的方法
JP2011060254A (ja) 拡張現実システム、拡張現実装置および仮想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
JPWO2019106847A1 (ja) カメラ撮影画像を用いる位置情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カメラ付き情報機器
KR20130020060A (ko) 정보 제공 시스템, 이동통신단말 및 방법
KR20140099963A (ko)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Hashimoto et al. Outdoor navigation system by AR
KR20120014976A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장치
EP2569958B1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object in sight
US20150358782A1 (en) Catch the screen
KR101377466B1 (ko) 시공간 인지 인증 시스템 , 그 시스템의 시공간 인지 인증 정보 처리 방법, 시공간 인지 인증 지원앱의 정보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