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846A -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846A
KR20180107846A KR1020170036645A KR20170036645A KR20180107846A KR 20180107846 A KR20180107846 A KR 20180107846A KR 1020170036645 A KR1020170036645 A KR 1020170036645A KR 20170036645 A KR20170036645 A KR 20170036645A KR 20180107846 A KR20180107846 A KR 20180107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data
portable terminal
construction
interne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0508B1 (ko
Inventor
이종민
김성곤
Original Assignee
이종민
주식회사 비아이엠스튜디오
김성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민, 주식회사 비아이엠스튜디오, 김성곤 filed Critical 이종민
Priority to KR1020170036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50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은 종이도면(A)의 각부분에는 건축물의 요부의 코드를 나타내는 QR코드(10)가 인쇄되며, 상기 QR코드(10)를 촬영할 수 있도록 된 카메라(21)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된 디스플레이패널(22)이 구비되며 무선으로 인터넷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B)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상기 QR코드(10)에 대응되는 건축물 각 부분의 3D도면의 데이터가 저장된 DB(40)가 구축된 인터넷서버(C)로 구성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는 상기 카메라(21)에 상기 QR코드(10)가 촬영되면 상기 촬영된 QR코드(10)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서버(C)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서버(C)에서 3D도면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전송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열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하는 도면관리프로그램(30)이 탑재되고, 상기 인터넷서버(C)는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으로부터 촬영된 QR코드(10)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DB(40)를 검색하여 전송된 QR코드(10)의 데이터에 해당되는 3D도면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B)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종이도면(A)에 프린트된 설계의 각 부분 중에서 3D도면을 확인하고자 하는 부위의 QR코드(10)를 촬영하면, 촬영된 QR코드(10)에 대응되는 부위의 3D도면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따라서 누구라도 손쉽게 자신이 보고자 하는 건축물 각부분의 3D도면을 손쉽게 열어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3D BLUEPRINT OFFERING SYSTEM FOR CONSTRUCTION AND ARCHITECTURE USING QR CODE}
본 발명은 작업자가 종이도면에 프린트된 설계의 각 부분 중에서 3D도면을 확인하고자 하는 부위의 QR코드를 촬영하면 대응되는 부위의 3D도면이 디스플레이패널에 디스플레이되며,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방위각 또는 기울기를 조절하면 이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3D도면을 회전시키도록 되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3D도면을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방식의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건축할 때는 규모 및 시공방법 등을 고려하여 건축물에 대한 설계를 작성한 후, 이러한 설계에 따라 터널, 교량 등의 건축물을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계는 종이에 프린트된 종이도면형태로 제작되며,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종이도면을 들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마다 건축물의 설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도면은 규정된 형식에 따라 평면형태, 일반적으로 오토 캐드(Auto CAD)를 기반으로 하여 2D로 작성됨으로, 판독에는 전문지식이 필요하며, 도면의 판독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의 경우 정확한 판독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되었다.
특히, 건축현장에서 작업을 하는 사람들 중에는 이러한 도면의 판독에 익숙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러한 사람들의 경우, 필요할 때마다 도면을 판독할 수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 반복적으로 도면의 내용을 물어가면서 작업을 하여야 함으로,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건축물의 전체도면과, 건축물의 각 부분의 세부도면을 모두 갖고 다녀야 함으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본적으로 작업자는 2차원으로 작성된 측면도, 평면도, 단면도 등을 모두 지참해야 하며, 특정 지점이나 구조물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기에 추가적으로 각 지점에 대한 세부도면을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러한 세부도면은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시공이 지연되는 문제도 야기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도면을 제작할 때, 컴퓨터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3D도면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늘어가고 있으며, 일예로 건축물 시공 전에 프로그램 시뮬레이션 상에서 각 수치를 입력하고 이를 매개로 한 설계프로그램의 구동을 통해 최적의 편평율, 최소면적 등을 자동으로 설계하여 도면으로 자동 생성하는 자동설계 시스템이 적용되어 설계 도면이 제작되기도 한다.
이러한 3D도면은 종래의 종이도면과 달리, 건축물의 각 부분의 상세부분까지 자유롭게 확대하거나 방향전환을 하는 것이 가능함으로, 일반적인 평면형태의 도면의 판독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손쉽게 건축물의 각 구조물의 구조 및 시공방법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3D도면을 현장에서 확인하기 위해서는, 노트북컴퓨터나 태블릿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이,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단말기에 3D도면의 데이터를 열 수 있는 프로그램을 탑재함으로써, 작업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3D도면의 데이터를 열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러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D도면을 열고 그 내용을 확인하는 것 역시, 별도의 교육을 통해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배워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건축 형장에서 각각의 작업자가 누구나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3D도면의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하여 자신이 원할 때 3D도면을 열어볼 수 있도록 할 경우, 3D도면의 데이터의 관리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 10-2002-003101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종이도면에 프린트된 설계의 각 부분 중에서 3D도면을 확인하고자 하는 부위의 QR코드를 촬영하면 대응되는 부위의 3D도면이 디스플레이패널에 디스플레이되며,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방위각 또는 기울기를 조절하면 이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3D도면을 회전시키도록 되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3D도면을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방식의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설계가 프린트된 종이도면(A)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컴퓨터로 제작된 3D도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종이도면(A)의 각부분에는 건축물의 요부의 코드를 나타내는 QR코드(10)가 인쇄되며, 상기 QR코드(10)를 촬영할 수 있도록 된 카메라(21)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된 디스플레이패널(22)이 구비되며 무선으로 인터넷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B)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상기 QR코드(10)에 대응되는 건축물 각 부분의 3D도면의 데이터가 저장된 DB(40)가 구축된 인터넷서버(C)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는 상기 카메라(21)에 상기 QR코드(10)가 촬영되면 상기 촬영된 QR코드(10)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서버(C)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서버(C)에서 3D도면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전송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열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하는 도면관리프로그램(30)이 탑재되고, 상기 인터넷서버(C)는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으로부터 촬영된 QR코드(10)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DB(40)를 검색하여 전송된 QR코드(10)의 데이터에 해당되는 3D도면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B)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종이도면(A)에 프린트된 설계의 각 부분 중에서 3D도면을 확인하고자 하는 부위의 QR코드(10)를 촬영하면, 촬영된 QR코드(10)에 대응되는 부위의 3D도면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는 휴대용 단말기(B)의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위각센서(24)와, 휴대용 단말기(B)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25)가 구비되며,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방위각센서(24)와 기울기센서(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B)의 방위각 또는 기울기를 조절하면,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되는 3D도면을 회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는 휴대용 단말기(B)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26)와, 상기 자이로센서(26)에 의해 측정된 휴대용 단말기(B)의 각속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센서(27)가 더 구비되며, 상기 자이로센서(26)는 정지 상태의 휴대용 단말기(B)로부터 사용자의 조절에 따른 방위각 또는 기울기의 각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가속도센서(27)는 휴대용 단말기(B)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자이로센서(26)에 의해 측정된 각속도가 양(+)의 가속도로 변화하는지 또는 음(-)의 가속도로 변화하는지를 측정하여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에 신호를 보내며,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수신된 가속도 값이 0, 즉 등속도로 휴대용 단말기(B)를 회전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패널(22) 상의 3D도면이 회전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초기 정지 상태에서 시작된 가속도 값이 양(+)에서 음(-)으로 변화한 후 제1 정지 상태의 값(0, zero)으로 끝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3D도면이 휴대용 단말기(B)의 회전방향을 따라 계속해서 회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회전방향의 역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 정지 상태, 양(+)의 가속도, 음(-)의 가속도, 제2 정지 상태(0, zero)의 순서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3D도면의 회전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3D도면에 대한 회전조작 도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 대한 사용자의 버튼부 조작에 의해 현재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되는 3D도면이 캡처되어지는 경우,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사용자에 의해 ‘뒤로 가기’ 또는 ‘취소’ 입력이 수신되기 전까지 해당 3D도면의 스크린샷(screen shot)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유지하며, 상기 스크린샷에 대해 JPEG, GIF, PNG, TIFF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생성된 이미지파일은 휴대용 단말기(B)의 휘발성 메모리부에 임시로 저장되어지되, 사용자에 의해 ‘뒤로 가기’ 또는 ‘취소’ 신호가 입력되어지는 경우 상기 휘발성 메모리부 상에서 즉시 영구삭제 되면서 다시 회전 조작이 가능한 3D도면 디스플레이로 되돌아감으로써, 촬영된 QR코드(10)에 대응되는 부위의 세부적인 3D도면이 작업자의 확인 후 바로 현장에서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B)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인터넷서버(C)에 접속하여 다운로드한 후 설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인터넷서버(C)에서 전송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B)의 저장장치(23)에 저장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 저장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3D도면의 데이터에는 해당 부분의 완공예정날짜의 데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3D도면의 데이터를 열어 3D도면과 함께 완공예정날짜가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터넷서버(C)에 구축된 DB(40)에는 건설현장의 시공진행상황에 대한 감리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축된 건설사업관리 DB(41)가 더 구비되어지며,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B)의 카메라(21)를 이용하여 자신이 작업 중인 시공부에 대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을 이용하여 해당 시공부에 대응하는 QR코드(10)의 3D도면 데이터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링크시킬 수 있고, 상기 링크되어진 영상 데이터는 상기 건설사업관리 DB(41)에 전송되어 저장되어지며, 상기 인터넷서버(C)는 감리자격이 부여된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B)에게만 상기 건설사업관리 DB(41)에 대한 접근권한 및 업로드 된 영상 데이터의 조회를 허용함으로써, 시공완료 후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든 건축물의 각각의 요부에 대한 시공 중 현장상태를 실제 영상을 통해 감독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터넷서버(C)는 작업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B)의 촬영에 따른 QR코드(10)들 각각의 3D도면 데이터의 조회수(D)를 상기 건설사업관리 DB(41)에 기록하고 감리자격이 부여된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B)에 가중치가 부여된 조건식에 따른 통계수치정보(E)를 제공하며, 상기 조회수(D)는 세부적으로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시공주간에 대한 작업요일별 3D도면 데이터 조회수를 주단위로 통계수치화 한 요일별조회정보(d1); 제1 작업시간(08:00~09:00), 제2 작업시간(09:20~10:20), 제3 작업시간(10:40~11:40), 제4 작업시간(13:00~14:00), 제5 작업시간(14:20~15:20), 제6 작업시간(15:40~16:40), 제7 작업시간(17:00~18:00)의 총 7구간에 대한 작업시간대별 3D도면 데이터 조회수를 시간구간단위로 통계수치화 한 시간대별조회정보(d2); 및 시공대상 건축물의 골조 또는 기둥 및 슬래브에 의해 구분되어지는 각 층계에 대한 작업층별 3D도면 데이터 조회수를 층계단위로 통계수치화 한 작업층별조회정보(d3);로 분류되어지며, 상기 조회정보(d1, d2, d3)들은 해당 작업부분의 완공예정날짜까지 누적하여 기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조건식에 따라 요일별조회정보(d1), 시간대별조회정보(d2) 및 작업층별조회정보(d3)에 대한 가중치가 부여되어지고, (i) 요일별 가중치 : { MIN(월, 화, 수, 목, 금 조회수) + MAX(토, 일 조회수) } / 2 (단, 조회수 = 0 인 요일은 항목에서 제외), (ii) 시간대별 가중치 : { MIN(제1 작업시간, 제2 작업시간, 제3 작업시간 조회수) + MAX(제4 작업시간, 제5 작업시간, 제6 작업시간, 제7 작업시간 조회수) } / 2 (단, 조회수 = 0 인 작업시간은 항목에서 제외), (iii) 작업층별 가중치 : { MIN(지상층 조회수) + MAX(지하층 조회수) } / 2 (단, 조회수 = 0 인 작업층은 항목에서 제외), 상기 통계수치정보(E)는 아래의 연산식에 따라 산출되어지며, (iv) 통계수치정보(E) = [ { Σ (요일별 가중치 * 요일별 가중치) / 어느 한 특정 요일의 조회수 } / 7 + { Σ(시간대별 가중치 * 시간대별 가중치) / 어느 한 특정 작업시간의 조회수 } + { Σ (작업층별 가중치 * 작업층별 가중치) / 어느 한 특정 작업층의 조회수 } / (시공대상 건축물의 전체 층 수) ] / 3, 상기 연산식 (iv)에 의해 통계수치화 하여 보정된 3D도면 데이터의 조회수(D)는, 상기 건설사업관리 DB(41) 상에 기준구역에 대한 일일 작업량 값으로 기록되어지며, 감리자격이 부여된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B) 디스플레이패널(22)에 상기 일일 작업량 값이 매주 통계산출 후 업데이트되어 팝업 또는 알림메세지로 표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은 종이도면(A)의 각부분에는 건축물의 요부의 코드를 나타내는 QR코드(10)가 인쇄되며, 상기 QR코드(10)를 촬영할 수 있도록 된 카메라(21)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된 디스플레이패널(22)이 구비되며 무선으로 인터넷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B)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상기 QR코드(10)에 대응되는 건축물 각 부분의 3D도면의 데이터가 저장된 DB(40)가 구축된 인터넷서버(C)로 구성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는 상기 카메라(21)에 상기 QR코드(10)가 촬영되면 상기 촬영된 QR코드(10)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서버(C)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서버(C)에서 3D도면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전송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열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하는 도면관리프로그램(30)이 탑재되고, 상기 인터넷서버(C)는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으로부터 촬영된 QR코드(10)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DB(40)를 검색하여 전송된 QR코드(10)의 데이터에 해당되는 3D도면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B)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종이도면(A)에 프린트된 설계의 각 부분 중에서 3D도면을 확인하고자 하는 부위의 QR코드(10)를 촬영하면, 촬영된 QR코드(10)에 대응되는 부위의 3D도면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누구라도 손쉽게 자신이 보고자 하는 건축물 각부분의 3D도면을 손쉽게 열어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의 종이도면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의 회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의 7구간으로 구성된 작업시간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교량의 시공에 적용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은 교량의 설계가 프린트된 종이도면(A)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컴퓨터로 제작된 3D도면을 손쉽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이도면(A)의 각부분에는 교량의 요부의 코드를 나타내는 QR코드(10)가 인쇄된다.
그리고, 상기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은 상기 QR코드(10)를 촬영할 수 있도록 된 카메라(21)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된 디스플레이패널(22)이 구비되며 무선으로 인터넷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B)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상기 QR코드(10)에 대응되는 교량 각 부분의 3D도면의 데이터가 저장된 DB(40)가 구축된 인터넷서버(C)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B)는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저장장치(23), 즉, 메모리가 구비된 일반적인 태블릿PC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는 도면관리프로그램(30)이 탑재된다.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사용자가 태블릿PC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인터넷서버(C)에 접속하여 다운로드한 후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21)에 상기 QR코드(10)가 촬영되면 상기 촬영된 QR코드(10)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서버(C)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서버(C)에서 3D도면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전송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열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B)에는 휴대용 단말기(B)의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위각센서(24)와, 휴대용 단말기(B)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25)가 구비되며,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방위각센서(24)와 기울기센서(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B)의 방위각 또는 기울기를 조절하면,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되는 3D도면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단계를 거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3D도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B)를 측방향 즉, 동서남북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면,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된 3D도면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B)를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기울이면,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된 3D도면이 전후 도는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는 휴대용 단말기(B)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26)와, 상기 자이로센서(26)에 의해 측정된 휴대용 단말기(B)의 각속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센서(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이로센서(26)는 정지 상태의 휴대용 단말기(B)로부터 사용자의 조절에 따른 방위각 또는 기울기의 각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가속도센서(27)는 휴대용 단말기(B)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자이로센서(26)에 의해 측정된 각속도가 양(+)의 가속도로 변화하는지 또는 음(-)의 가속도로 변화하는지를 측정하여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에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이로센서(26)와 가속도센서(27)의 제어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수신된 가속도 값이 0, 즉 등속도로 휴대용 단말기(B)를 회전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패널(22) 상의 3D도면이 회전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초기 정지 상태에서 시작된 가속도 값이 양(+)에서 음(-)으로 변화한 후 제1 정지 상태의 값(0, zero)으로 끝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3D도면이 휴대용 단말기(B)의 회전방향을 따라 계속해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회전방향의 역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 정지 상태, 양(+)의 가속도, 음(-)의 가속도, 제2 정지 상태(0, zero)의 순서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3D도면의 회전이 중지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3D도면에 대한 회전조작 도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 대한 사용자의 버튼부 조작에 의해 현재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되는 3D도면이 캡처되어지는 경우,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사용자에 의해 ‘뒤로 가기’ 또는 ‘취소’ 입력이 수신되기 전까지 해당 3D도면의 스크린샷(screen shot)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유지한다.
이때, 상기 스크린샷에 대해 JPEG, GIF, PNG, TIFF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생성된 이미지파일은 휴대용 단말기(B)의 휘발성 메모리부에 임시로 저장되어진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뒤로 가기’ 또는 ‘취소’ 신호가 입력되어지는 경우 상기 휘발성 메모리부 상에서 즉시 영구삭제 되면서 다시 회전 조작이 가능한 3D도면 디스플레이로 되돌아가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즉, 촬영된 QR코드(10)에 대응되는 부위의 세부적인 3D도면이 작업자의 확인 후 바로 현장에서 삭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에 의한 3D 세부도면 데이터의 무단유출을 시스템적으로 자동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서버(C)는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으로부터 촬영된 QR코드(10)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DB(40)를 검색하여 전송된 QR코드(10)의 데이터에 해당되는 3D도면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B)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가 상기 종이도면(A)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종이도면(A)에 프린트된 설계의 각 부분 중에서 3D도면을 확인하고자 하는 부위의 QR코드(10)를 촬영하면,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촬영된 QR코드(10)의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인터넷서버(C)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서버(C)는 QR코드(10)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DB(40)에 저장된 3D도면의 데이터 중에서 전송된 QR코드(10)에 대응되는 부위의 3D도면의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B)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서버(C)로부터 검색된 3D도면의 데이터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B)로 전송되면,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전송된 3D도면의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B)의 저장장치(23), 즉, 메모리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3D도면의 데이터를 열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3D도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B)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기울이면,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방위각센서(24)와 기울기센서(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된 3D도면의 방향을 바꾸거나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사용자가 3D도면을 다양한 방향과 각도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종이도면(A)의 각부분에는 교량의 요부의 코드를 나타내는 QR코드(10)가 인쇄되며, 상기 QR코드(10)를 촬영할 수 있도록 된 카메라(21)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된 디스플레이패널(22)이 구비되며 무선으로 인터넷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B)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상기 QR코드(10)에 대응되는 교량 각 부분의 3D도면의 데이터가 저장된 DB(40)가 구축된 인터넷서버(C)로 구성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는 상기 카메라(21)에 상기 QR코드(10)가 촬영되면 상기 촬영된 QR코드(10)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서버(C)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서버(C)에서 3D도면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전송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열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하는 도면관리프로그램(30)이 탑재되고, 상기 인터넷서버(C)는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으로부터 촬영된 QR코드(10)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DB(40)를 검색하여 전송된 QR코드(10)의 데이터에 해당되는 3D도면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B)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종이도면(A)에 프린트된 설계의 각 부분 중에서 3D도면을 확인하고자 하는 부위의 QR코드(10)를 촬영하면, 촬영된 QR코드(10)에 대응되는 부위의 3D도면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누구라도 손쉽게 자신이 보고자 하는 교량 각부분의 3D도면을 손쉽게 열어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작업자는 교량 전체가 나타난 전체도면만 소지하면 됨으로, 교량의 전체도면과, 교량의 각 부분의 세부도면을 모두 갖고 다녀야 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는 휴대용 단말기(B)의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위각센서(24)와, 휴대용 단말기(B)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25)가 구비되며,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방위각센서(24)와 기울기센서(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B)의 방위각 또는 기울기를 조절하면,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되는 3D도면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됨으로, 3D도면을 회전시키면서 교량의 각부분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간단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교량의 시공에 적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은 교량 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건축물을 시공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인터넷서버(C)에서 전송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B)의 저장장치(23)에 저장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 저장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일반적인 건설현장의 작업이 완료되는 시간인 오후 6시 또는 오후 7시가 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B)의 저장장치(23)에 저장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 저장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구성하면, 작업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휴대용 단말기(B)에 저장된 3D도면의 데이터가 삭제됨으로, 3D도면의 데이터의 유출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작업이 시작되면 매일 상기 인터넷서버(C)에 저장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사용하여야 함으로, 인터넷서버(C)에 저장된 3D도면의 데이터에 업데이트가 발생될 경우, 이를 자동적으로 수용한 3D도면을 이용하여 시공을 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3D도면의 데이터에는 해당 부분의 완공예정날짜의 데이터가 되고,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3D도면의 데이터를 열어 3D도면과 함께 완공예정날짜가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22)에 3D도면과 함께 완공예정날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면, 작업자가 교각의 해당부분의 완공예정날짜를 환기시켜, 실수로 해당부분의 작업이 늦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터넷서버(C)에 구축된 DB(40)에는 건설현장의 시공진행상황에 대한 감리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축된 건설사업관리 DB(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B)의 카메라(21)를 이용하여 자신이 작업 중인 시공부에 대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을 이용하여 해당 시공부에 대응하는 QR코드(10)의 3D도면 데이터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링크시킬 수 있고, 상기 링크되어진 영상 데이터는 상기 건설사업관리 DB(41)에 전송되어 저장되어진다.
이때, 상기 인터넷서버(C)는 감리자격이 부여된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B)에게만 상기 건설사업관리 DB(41)에 대한 접근권한 및 업로드 된 영상 데이터의 조회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시공완료 후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든 건축물의 각각의 요부에 대한 시공 중 현장상태를 실제 영상을 통해 감독 및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인터넷서버(C)는 작업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B)의 촬영에 따른 QR코드(10)들 각각의 3D도면 데이터의 조회수(D)를 상기 건설사업관리 DB(41)에 기록하고 감리자격이 부여된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B)에 가중치가 부여된 조건식에 따른 통계수치정보(E)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회수(D)는 세부적으로 요일별조회정보(d1)와 시간대별조회정보(d2) 및 작업층별조회정보(d3) 등 세 가지 세부정보로 분류되어진다.
먼저, 요일별조회정보(d1)는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시공주간에 대한 작업요일별 3D도면 데이터 조회수를 주단위로 통계수치화 한 데이터이다.
다음으로, 시간대별조회정보(d2)는 총 7구간에 대한 작업시간대별 3D도면 데이터 조회수를 시간구간단위로 통계수치화 한 데이터로서, 세부적인 작업시간은 제1 작업시간(08:00~09:00), 제2 작업시간(09:20~10:20), 제3 작업시간(10:40~11:40), 제4 작업시간(13:00~14:00), 제5 작업시간(14:20~15:20), 제6 작업시간(15:40~16:40), 제7 작업시간(17:00~18:00)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작업층별조회정보(d3)는 시공대상 건축물의 골조 또는 기둥 및 슬래브에 의해 구분되어지는 각 층계에 대한 작업층별 3D도면 데이터 조회수를 층계단위로 통계수치화 한 데이터이다.
이러한 상기 조회정보(d1, d2, d3)들은 해당 작업부분의 완공예정날짜까지 누적하여 기록되어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용 기간을 달리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 자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짐은 당연하다.
또한, 아래와 같은 조건식에 따라 요일별조회정보(d1), 시간대별조회정보(d2) 및 작업층별조회정보(d3)에 대한 가중치가 부여되어질 수 있다.
(i) 요일별 가중치 : { MIN(월, 화, 수, 목, 금 조회수) + MAX(토, 일 조회수) } / 2 (단, 조회수 = 0 인 요일은 항목에서 제외)
(ii) 시간대별 가중치 : { MIN(제1 작업시간, 제2 작업시간, 제3 작업시간 조회수) + MAX(제4 작업시간, 제5 작업시간, 제6 작업시간, 제7 작업시간 조회수) } / 2 (단, 조회수 = 0 인 작업시간은 항목에서 제외)
(iii) 작업층별 가중치 : { MIN(지상층 조회수) + MAX(지하층 조회수) } / 2 (단, 조회수 = 0 인 작업층은 항목에서 제외)
최종적으로, 상기 통계수치정보(E)는 앞의 조건식들을 이용하여 아래의 연산식에 따라 산출되어진다.
(iv) 통계수치정보(E) = [ { Σ (요일별 가중치 * 요일별 가중치) / 어느 한 특정 요일의 조회수 } / 7 + { Σ(시간대별 가중치 * 시간대별 가중치) / 어느 한 특정 작업시간의 조회수 } + { Σ (작업층별 가중치 * 작업층별 가중치) / 어느 한 특정 작업층의 조회수 } / (시공대상 건축물의 전체 층 수) ] / 3
즉, 최초에 입력되어진 3D도면 데이터의 조회수(D)는 상기 연산식 (iv)에 의해 통계수치화 하여 보정된 값으로 최종 산출되어지고, 이 값은 상기 건설사업관리 DB(41) 상에 기준구역에 대한 일일 작업량 값으로 기록되어진다.
그리고, 감리자격이 부여된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B) 디스플레이패널(22)에 상기 일일 작업량 값이 매주 통계산출 후 업데이트되어 팝업 또는 알림메세지로 표시되어짐에 따라, 감리업무를 할당받은 작업자는 시공의 진척속도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받을 수 있어 주간 작업량 스케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A : 종이도면 B : 휴대용 단말기
C : 인터넷서버 D : 조회수
E : 통계수치정보 10 : QR코드
21 : 카메라 22 : 디스플레이패널
23 : 저장장치 24 : 방위각센서
25 : 기울기센서 26 : 자이로센서
27 : 가속도센서 30 : 도면관리프로그램
40 : DB 41 : 건설사업관리 DB

Claims (5)

  1. 건축물의 설계가 프린트된 종이도면(A)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컴퓨터로 제작된 3D도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종이도면(A)의 각부분에는 건축물의 요부의 코드를 나타내는 QR코드(10)가 인쇄되며,
    상기 QR코드(10)를 촬영할 수 있도록 된 카메라(21)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된 디스플레이패널(22)이 구비되며 무선으로 인터넷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B)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상기 QR코드(10)에 대응되는 건축물 각 부분의 3D도면의 데이터가 저장된 DB(40)가 구축된 인터넷서버(C)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는 상기 카메라(21)에 상기 QR코드(10)가 촬영되면 상기 촬영된 QR코드(10)의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서버(C)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서버(C)에서 3D도면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전송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열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하는 도면관리프로그램(30)이 탑재되고,
    상기 인터넷서버(C)는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으로부터 촬영된 QR코드(10)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DB(40)를 검색하여 전송된 QR코드(10)의 데이터에 해당되는 3D도면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B)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종이도면(A)에 프린트된 설계의 각 부분 중에서 3D도면을 확인하고자 하는 부위의 QR코드(10)를 촬영하면, 촬영된 QR코드(10)에 대응되는 부위의 3D도면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는 휴대용 단말기(B)의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위각센서(24)와, 휴대용 단말기(B)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25)가 구비되며,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방위각센서(24)와 기울기센서(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B)의 방위각 또는 기울기를 조절하면,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되는 3D도면을 회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B)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인터넷서버(C)에 접속하여 다운로드한 후 설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인터넷서버(C)에서 전송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B)의 저장장치(23)에 저장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B)에 저장된 3D도면의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도면의 데이터에는 해당 부분의 완공예정날짜의 데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도면관리프로그램(30)은 상기 3D도면의 데이터를 열어 3D도면과 함께 완공예정날짜가 디스플레이패널(2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
KR1020170036645A 2017-03-23 2017-03-23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 KR101930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645A KR101930508B1 (ko) 2017-03-23 2017-03-23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645A KR101930508B1 (ko) 2017-03-23 2017-03-23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846A true KR20180107846A (ko) 2018-10-04
KR101930508B1 KR101930508B1 (ko) 2019-03-11

Family

ID=6386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645A KR101930508B1 (ko) 2017-03-23 2017-03-23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5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894B1 (ko) * 2020-08-25 2021-02-08 (주)한스타일엔지니어링 건축물의 균열 상태 도면 자동 생성 방법 및 건축물의 균열 상태 도면 자동 생성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작업자 단말기
KR20240071470A (ko) * 2022-11-15 2024-05-23 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3d 정보제공 선박 작업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974B1 (ko) 2019-05-29 2023-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데이터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019A (ko) 2000-10-21 2002-04-26 서경종 컴퓨터에 의하여 운용되는 건축물 설계 방법
JP2006079290A (ja) * 2004-09-08 2006-03-23 Kenchiku Pivot:Kk 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方法
KR20120100230A (ko) * 2011-03-03 2012-09-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시공 구조물의 3차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시공도면 인쇄물
KR20140099963A (ko) * 2013-02-04 2014-08-14 박강현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125238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빔케어교육연구소 Bim 서버의 데이터를 큐알 코드에 연동하는 장치와 방법 및 bim 전용 큐알 코드가 세겨진 인쇄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019A (ko) 2000-10-21 2002-04-26 서경종 컴퓨터에 의하여 운용되는 건축물 설계 방법
JP2006079290A (ja) * 2004-09-08 2006-03-23 Kenchiku Pivot:Kk 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方法
KR20120100230A (ko) * 2011-03-03 2012-09-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시공 구조물의 3차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시공도면 인쇄물
KR20140099963A (ko) * 2013-02-04 2014-08-14 박강현 방향 qr코드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표시 방법, 이를 수행하는 휴대단말 및 영상 컨텐츠 표시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125238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빔케어교육연구소 Bim 서버의 데이터를 큐알 코드에 연동하는 장치와 방법 및 bim 전용 큐알 코드가 세겨진 인쇄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894B1 (ko) * 2020-08-25 2021-02-08 (주)한스타일엔지니어링 건축물의 균열 상태 도면 자동 생성 방법 및 건축물의 균열 상태 도면 자동 생성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작업자 단말기
WO2022045544A1 (ko) * 2020-08-25 2022-03-03 (주)한스타일엔지니어링 건축물의 균열 상태 도면 자동 생성 방법 및 건축물의 균열 상태 도면 자동 생성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작업자 단말기
KR20240071470A (ko) * 2022-11-15 2024-05-23 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3d 정보제공 선박 작업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508B1 (ko)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64370A1 (en) Work project systems and methods
US9165334B2 (en) Pet and people care management system
KR101930508B1 (ko) Qr코드를 이용한 건설 및 건축용 3d 설계도면 제공 시스템
US7415336B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automatic flight logs
CN102483758B (zh) 处理关联数字图像文件的地理位置信息
US9992624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ccurately tracking workers and assets
EP1213659A2 (en) Location/time-based reminder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US20070027732A1 (en) Context-sensitive, location-dependent information delivery at a construction site
KR100980001B1 (ko) 캘린더 시스템 및 캘린더 보기 생성 방법
Apostolopoulos et al. A new model for cadastral surveying using crowdsourcing
EP3767563B1 (en) Work order placement/receiving system, server, and work order placement/receiving method
US20070089056A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rovides a specific service in response to user authority determination based on positional relationships of virtual objects
CN107851289A (zh) 终端装置、服务器装置和用于记录工作状态为影像的计算机程序
CN104428802A (zh) 仓库操作预报的虚拟化
TWM503610U (zh) 巡邏裝置
JP2017167701A (ja) 業務支援システム
JP2022120146A (ja) スケジューリングシステム、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42450B2 (ja) スケジュール作成装置
JP5526473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サーバ装置、表示装置
JP6621779B2 (ja) 位置特定システム、位置特定装置、及び位置特定プログラム
Montaser Automated site data acquisition for effective project control
JP2022058146A (ja) スケジューリングシステム、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185367A (ja) 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情報共有方法
Lee et al. Real-time construction site noise mapping system based on spatial interpolation
JP2022179729A (ja) オペレータ用情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