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093B1 - 감비경신환 (3)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비경신환 (3)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093B1
KR101377093B1 KR1020110066558A KR20110066558A KR101377093B1 KR 101377093 B1 KR101377093 B1 KR 101377093B1 KR 1020110066558 A KR1020110066558 A KR 1020110066558A KR 20110066558 A KR20110066558 A KR 20110066558A KR 101377093 B1 KR101377093 B1 KR 101377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ggh
weight
preven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694A (ko
Inventor
신순식
윤미정
이희영
이혜림
이형희
박동민
오재호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66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0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울금, 지구자 및 신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울금, 지구자 및 신곡 추출물은 체중감량 효과, 낮은 식이효율, 지방무게 감소, 혈중 ALT,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등의 농도 감소, 지방세포의 수 및 크기 감소, 지방간 감소의 효과를 나타내는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 기능성 식품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감비경신환 (3)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comprising extracts of Gambigyeongsinhwan (3)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울금, 지구자, 신곡 추출물이 비만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기초로, 울금, 지구자 및 신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과다한 체지방 축적으로 인해 건강에 위협을 주는 일종의 질병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국제비만전문위원회(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IOTF)의 보고에 의하면 세계인구의 1/4을 차지하는 약 17 억의 인구가 체중을 감량할 필요가 있다고 하여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게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Hue etal, 1990 ; James et al, 2001 ; Mokdad et al, 2003). 미국의 통계에 의하면 미국인구의 2/3가 과체중이거나 비만의 범주에 든다. 한국에도 비만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비만연구협회(Korean Society of Study of Obesity, KSSO)는 우리나라 비만 인구가 전체 인구의 1/3에 달하게 된다. 프레이밍햄 심장 연구 (Framingham Heart Study)에서 30 ~ 42세의 성인의 체중이 1 파운드(0.45 kg) 증가에 따라 사망률이 1% 증가하며 50 ~ 62세의 경우 2%가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Hubert et al, 1986). 현재까지 비만, 당뇨 등 각종 성인병의 발병기전, 예방, 치료와 관련된 연구에 주로 돼지, 양, 개 등 중동물로부터 렛트, 마우스 등 설치류를 포함한 소동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동물모델들이 개발,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와 관심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Spiegelaman et al, 1996 ; Chua et al, 1997 ; Carey etal, 1997 ; York et al, 1998 ; Bains et al, 2004).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비만모델 동물의 특성을 보면 db/db, 스파이니(spiny) 마우스는 비만, 케토산증 및 고인슐린 분비를 동반한 고혈당을 주 특징으로 하며, ob/ob , yellow, NZO 마우스는 고비만, 고인슐린증과 인슐린 저항성이 나타나지만 고혈당의 빈도는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Johnson et al, 1971 ; Bray et al, 1977 ;Shimabukuro et al, 1998 ; Smith et al, 2000).
급증하는 생활습관병(성인병)의 30 ~ 60%가 비만에 기인하며 일본의 통계로는 5 Kg 체중을 감소시키는데 의료비가 2조엔 (한화 25조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와 있으며, 과체중, 비만의 출현율은 4 ~ 5인당 1명인데 금후에 도 증가가 계속될 예상이다. 이런 경향은 미국, 유럽에서는 더욱 심각한 국가적 문제이며, 한국에서도 식생활이 서구화되어 소아비만 출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생활이 윤택하여 고지방, 고칼로리 식사를 하는 기회는 많아졌으나 운동 부족 등 섭취한 에너지보다 소모하는 에너지가 현저히 작으므로 인해 비만자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젊은 여성은 미용효과를 위해, 결혼 후 여성들 또한 체중과다 내지 비만자가 많아 젊었을 때와 같은 몸매를 유지하기 위해 대단히 노력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비만 인구가 지난 10여 년 동안 약 1.6배 증가하였다고 밝히면서 선진국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앞으로 비만 인구는 더욱 급속도로 증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2006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우리나라 비만 유병률(20세 이상)은 전체 31.8%, 남자 35.2%, 여자 28.3%였으며(비만기준 저체중 : BMI(kg/m2)<18.5, 정상 : 18.5≤BMI(kg/m2)<25, 비만 : 25≤BMI(kg/m2), 연령별로 비교시, 남자는 40대와 50대에서 높았고 여자는 50대와 60대에서 높았으며, 1998년 전체 비만 유병율 26.3% 2001년 29.6% 2005년 31.7%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여자의 경우는 1998년 27%에서 2005년 28%로 변화가 미비하였으나, 남자의 경우 1998년 25%에서 2001년도는 32.3% 2005년에 35.1%의 증가를 보여 남자에서 보다 뚜렷하게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2005년 소아 청소년의 비만율(비만기준: 비만지수 ≥ 20, 비만지수=(실측체중-신장별 50백분위수체중)/신장별 50백분위수 체중*100신장별 50백분위수 체중은 『1998년 한국 소아 및 청소년 신체 발육 표준치』자료)은 전체 10.2%, 남자 11.7%, 여자 8.4%로 남자의 비만율이 높으며, 연령별로 입학 전 소아(0 ~ 6세)의 만율은 남, 여 모두 5%정도였으나 초등학교 이후 비만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남학생의 경우 22 ~ 24%, 여학생의 경우 13 ~ 14%였으며, 1998년과 비교시 모든 연령군에서 비만율이 증가하였고, 특히 남자의 경우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비만율이 각각 1.9배, 2.3배 높았다.
비만과 과체중은 의료측면 및 경제적 부담의 최대요인이 되는 사실도 실증되어 있고, 국민 및 행정기관도 인식을 할 시점에 도래하였다. 의료기술발전으로 많은 정보발전이 있지만 기존의 좁은 의미의 의료분야에는 해결이 될 수 없는 문제로서, 식생활의 개선, 운동 등의 생활스타일 개선으로 예방이 급선무임을 알고 있다. 표준체중범위라 하더라도 18 ~ 20세 시기에 체중이 대폭 늘어난 경우는, 당뇨병, 통풍, 간장질환 등에 걸리는 비율이 40% 정도 된다는 보고가 있어 표준체중에서도 안전하지 않다는 충격적인 보고가 있다. 포식의 시대에 살고 있는 선진국에서 명확한 영양 콘트롤 없이는 비만예방이 될 수 없다는 인식하에 미국정부, 일본정부가 비만 대책을 위한 영양대책과 영양정책이 준비되었다.
비만은 성인병, 만성퇴행성질환의 발생을 높여 총 의료비 중에서 비만 관련 질환 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선진국의 경우 총 국민의료비의 2 ~ 7%가 과체중 및 비만에 의해 발생하고, 비만치료를 위한 비공식적 의료 및 다이어트 식품, 운동, 비만으로 인한 생산성 저해 등의 간접비용과 비만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 질병으로 인한 고통 등의 무형요소를 포함시키면 비만이 차지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은 더욱 높은 비율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에너지와 관련하여 지질섭취에 대해서도 비만에너지 비율로 고콜레스테롤인 사람은 콜레스테롤 섭취량을 1일 300 mg으로 억제하고, 지방 과산화물이 생활습관병을 일으키는 제1의 원인이므로 비타민 E, C, 카로테노이드 등의 항산화 비타민으로 시작하는 항산화물을 섭취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등의 지침이 있다. 따라서, 식품업계, 제약업계가 비만대책을 위한 21세기 식품개발, 의약품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부분의 비만은 과식, 운동부족이 주된 원인인 단순성비만이고 나머지는 내분비계질환이 원인인 증후성비만으로 구별된다. 단순성비만의 원인은 분명하게 한마디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과식, 폭식, 간식, 야식, 불규칙적인 식사 등 잘못된 식생활과 운동부족 약물의 부작용 등이다. 비만인은 지방, 수분, 노폐물 등이 체내에서 활용되거나 밖으로 배설되지 않아 체내에 많은 양이 축적됨으로써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 동안 개발된 다이어트 방법의 원리는 단순한 감식 또는 절식, 지방의 흡수를 제한하거나 지방의 합성을방해하고 과잉식욕을 줄이는 것, 배변을 원활히 돕는 것, 포만감을 주는 것 등이 있다.
비만에 대한 연구로는 2002년 인디아에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로부터 HCA를 분리정제 관련 연구 결과가 발표 되었으며(Bhabani et al, 2002), 2005년 미국에서는 MCH-R1 (Melanin Concentrating Hormone Receptor1)을 포함하는 바이아릴 우레아(Biaryl Ureas)의 비만증 치료에 관한 섭취량 변화에 따른 BW(bodyweight)연구 결과를 발표했다(Palani et al, 2005). 2005년 일본에서는 콩단백질의 섭취에 따른 쥐(Rats)의 체중증가 억제와 섭취량 감소 중성지방 감소, 콜레스테롤 감소 연구결과를 발표(Tachibana et al, 2005)하는 등 세계각국에서 항비만 치료 및 예방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항비만 소재로는 식욕억제제로 덱스플렌플루라민(Dexflenfluram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타이로신 (Tyrosine)과 메싸이오닌(Methionine), 지방결합제 (흡수억제)로 올리스타트(Orlistat), 키토산, 지방연소제로 실부트라민(Silbutramine), 에페드린(Ephedrine), 카페인과 지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과실, L-카르니친, 장기능을 조절하는 식이섬유: 차천자피, 글루코만난 각락토만난, 혈당 안정화 기능을 하는 크롬피콜린산(Chromiumpicolinate)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소재들은 약효가 다소 인정(Pittler et al, 2004)되지만 일시적 체중감소, 신속한 체중손실, 약물들에 의한 심장, 혈압, 신경계에 대한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천연물을 이용하여 인체에 대하여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으며 종래의 비만 억제 물질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효능을 가지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인체에 대하여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으며, 효과적인 비만치료가 가능한 물질 발명을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울금, 지구자 및 신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발하였으며, 그의 체중변화량, 식이효율, 지방무게, 혈액생화학 분석, 형태학과 조직학적 분석을 통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울금, 지구자 및 신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울금이 전체 중량에 있어서 0.1 내지 80 중량부, 상기 지구자가 전체 중량에 있어서 0.1 내지 40 중량부, 상기 신곡이 전체 중량에 있어서 0.1 내지 40 중량부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체중당 0.01 내지 1000mg/kg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울금, 지구자 및 신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울금, 지구자 및 신곡 추출물은 체중감량 효과, 낮은 식이효율, 지방무게 감소, 혈중 ALT,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의 농도 감소, 지방세포의 수 및 크기 감소, 지방간 감소의 효과을 나타내는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 기능성 식품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고지방식 마우스 비만모델에서의 체중변화량에 관한 그래프이다. 데이터는 평균 ± SD로 나타냈다. * P<0.05, ** P<0.01, *** P<0.001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다. GGH(3)은 감비경신환 (3)을 의미한다.
도 2는 고지방식 마우스 비만 모델에서의 식이효율 감소여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데이터는 평균 ± SD로 나타냈다. * P<0.05, *** P<0.001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다. ### P<0.001 이 정상에 비하여 유의적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다.
도 3은 고지방식 마우스 비만 모델에서의 지방조직 무게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EAT = epididymal adipose tissue (생식기 주변 백색 지방조직); RAT = retroperitoneal adipose tissue (후복벽 주변 백색 지방조직); IAT = inguinal adipose tissue (사타구니주변 피하지방조직); BAT = brown adipose tissue (갈색지방조직)을 의미한다.
도 4는 고지방식 마우스 비만 모델의 절식상태의 혈장에서의 AST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고지방식 마우스 비만 모델의 절식상태의 혈장에서의 ALT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고지방식 마우스 비만 모델의 절식상태의 혈장에서의 HDL-cholesterol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고지방식 마우스 비만 모델의 절식상태의 혈장에서의 LDL-cholesterol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고지방식 마우스 비만 모델의 절식상태의 혈장에서의 총 cholesterol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고지방식 마우스 비만 모델의 절식상태의 혈장에서의 triglyceride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고지방식 마우스 비만 모델의 절식상태의 혈장에서의 free fatty acid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고지방식 마우스 비만 모델의 절식상태의 혈장에서의 글루코오즈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고지방식 마우스 비만 모델의 절식상태의 혈장에서의 insulin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고지방식 마우스 비만 모델의 절식상태의 혈장에서의 leptin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고지방식 마우스 비만 모델의 절식상태의 혈장에서의 adiponectin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울금, 지구자 및 신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울금 (鬱金)”이란 Curcuma longa L.의 학명을 갖으며,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열대아시아가 원산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 등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서의 “지구자 (枳?子)”란 Hovenia dulcis Thunb .의 학명을 가지며, 갈매나무과의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의 과병을 가진 열매 또는 씨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신곡 (神?)”란 Massa Medicata Fermentata의 학명을 갖으며 밀가루 또는 밀기울, 적소두가루, 행인니(杏仁泥), 개똥쑥즙, 도꼬마리즙, 버들여뀌즙 등의 재료를 반죽하여 누룩같이 만들어 짚이나 마대 또는 삼잎으로 싸서 온실에서 발효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만”이란 과다한 체지방 축적으로 인해 건강에 위협을 주는 모든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 형성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울금, 지구자 및 신곡은 공지된 용매 추출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울금, 지구자 및 신곡으로부터 물, 에탄올, 주정, 메탄올,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 (isopropanol), 부탄올(butanol)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디에틸에테르, 벤젠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한 것 일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에 의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활성성분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 공지의 방법으로 분획 할 수 있다. 분획의 효율을 위하여 추출물을 감압 농축 할 수 있으며, 분획을 위한 용매로는 물, 에탄올, 주정 및 메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n-헥산(n-Hexane), 디에틸에테르, 아세톤, 벤젠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n-부탄올,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분획할 수 있다. 분획물은 그대로 사용되거나 재분획 할 수 있으며 재분획 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추출공정을 보다 경제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일 또는 혼합 용매로 1회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물, 에탄올, 주정 및 메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n-헥산(n-Hexane), 디에틸에테르, 아세톤, 벤젠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주정,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울금, 지구자 및 신곡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투여 경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적 투여 경로로는 예를 들면, 경피, 비강, 복강, 근육, 피하 또는 정맥 등의 여러 경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경구 투여용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약학적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제형은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에 기술되어 있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만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울금, 지구자 및 신곡의 중량비는 울금이 전체 중량에 있어서 0.1 내지 80 중량부, 지구자가 전체 중량에 있어서 0.1 내지 40 중량부, 신곡이 전체 중량에 있어서 0.1 내지 40 중량부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유효한 양으로는 체중당 0.01 내지1000mg/kg/day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환 및 이의 중증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과 같은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울금, 지구자 및 신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울금, 지구자 및 신곡 추출물은 비만, 비만 합병증 또는 대사증후군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추출물 자체를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과 비만, 비만 합병증 또는 대사증후군의 개선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 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코올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상기 울금, 지구자 및 신곡 추출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01 내지 50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1 >실험 재료 및 방법
1-1: 실험 재료
(1) 실험동물
공시동물로서는 KOATECH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에서 공급한 8주령의 C57BL/6N 수컷 마우스 35마리를 사용하였다. 각 군 당 7마리를 체중범위에 따른 무작위법에 의하여 군 분리를 실시하고, 이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1±2 ℃, 습도 55±5 %, 환기 횟수 15~17 회/hour, 조도 150~300 lux, 그리고 조명은 12시간 명암 (점등: 06:00, 소등: 18:00)으로 조정하여 실험 기간동안 일정하게 SPF (specific pathogen free) 상태로 유지하였다. 고형사료 (Harlan, USA)와 물은 자유 급이와 급수를 시켰다.
(2) 실험물질
실험물질은 감비경신환(減肥輕身丸)(3)의 95%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그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표 1).
① 감비경신환(3)의 조성약물은 화림제약 (Busan, South Korea)에서 구입하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에서 정선한 뒤 분말하였다.
② 분쇄한 감비경신환(3) (1 kg)을 95% 에탄올로 70℃에서 180분간 초음파 추출하고 No2 필터로 여과하여 농축하였다.
③ 농축하여 34.86%의 수율을 얻었다.
한약명 Ingredient %
울금 (鬱金) Curcuma longa L. 60
지구자 (枳?子) Hovenia dulcis Thunb . 20
신곡 (神?) Massa Medicata Fermentata 20
Total amounts 100
(3) 실험군 및 투여방법
군당 7마리 수컷을 공시하였으며, 비만 대조군은 물을, GGH(3)는 125, 250과 500㎎/㎏의 용량으로 8주간 경구투여하였다 (표 2).
Group Treatment Number Sex
Normal Low fat 7 male
High fat + GGH(3) (㎎/㎏ BW)
Control water 7 male
GGH(3)-1 125 7 male
GGH(3)-2 250 7 male
GGH(3)-3 500 7 male
1-2: 실험방법
(1) 체중증가량 측정
GGH(3)-1, GGH(3)-2와 GGH(3)-3이 체중증가량에는 어떤 변화를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매주 2회 8주 동안 체중을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체중증가량을 계산하였다.
(2) 식이효율 측정
GGH(3)-1, GGH(3)-2와 GGH(3)-3이 식욕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중은 매주 2회, 사료섭취량은 매주 1회 8주 동안 측정하였고, 이를 근거로 하여 식이효율을 계산하였다. 식이효율은 아래의 공식에 대입시켜 최종 체중증가량을 총 사료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통계분석하였다.
식이효율 (feeding efficiency ratio: FER%) = 체중증가량 (g)/사료섭취량 (g)×100
식이효율의 공식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사료를 섭취하는 양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의 증가가 적다는 것은 비만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식이효율은 비만을 나타내는 하나의 척도로 사용할 수 있고, 식이효율의 수치가 적을수록 비만조절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3) 혈액생화학 분석
혈액 채취는 실험시작 8주 후 12시간 절식한 뒤 diethyl ether로 마취한 다음 개복하여 복대정맥에서 혈액 1㎖을 채취하였으며, 고속원심분리기 (Micro 12, Hanil, Korea)를 이용하여 13,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장은 냉동고 (-20℃)에 보관하고 혈액생화학분석기 (Selectra 2, Vitalab, Netherlands)를 사용하여 aspar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triglyceride (TG), total cholesterol (T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holesterol), free fatty acid (FFA), glucose, insulin과 leptin의 혈중 농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4) 동물부검
채혈한 뒤에 부검하여 지방조직 (생식기주변 백색지방조직, 후복벽주변 백색지방조직, 사타구니주변 피하지방조직, 갈색지방조직), 간장, 췌장, 비장, 심장과 신장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들의 크기와 색깔을 관찰하였다.
(5) 조직의 형태학적 분석
마우스에서 분리한 조직은 10% phosphate-buffered formalin에서 하루 이상 고정하며 12시간 이상 흐르는 물에서 formalin을 세척한 후 60% ethanol에서 1시간, 70% ethanol에서 1시간, 80% ethanol에서 1시간, 90% ethanol에서 1시간, 95% ethanol에서 1시간, 100% ethanol에서 1시간씩 단계적으로 탈수시켰다. Xylen에 1시간씩 3번의 투명과정 후 paraffin에 1시간씩 2번 침투과정을 실시한다. 포매과정(embedding)을 거쳐 약 3 ㎛의 두께로 박절 (paraffin-section)하여 slide 위에 조직을 얹고 건조시킨 후 hematoxylin-eosin염색을 하였다. Slide의 물기를 없애고 mounting medium (Sigma, MO, USA)을 떨어뜨린 후 조직과 cover glass 주위에 공기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cover glass를 덮어 영구보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직의 사진촬영과 지방세포의 수 및 크기분석은 image analysis system (Image Pro-Plus, MD, USA)을 이용하였다.
1-3: 통계 분석
모든 값은 mean ± standard deviation (SD)으로 표시하며, OriginLab Version 7.5 (OriginLab Corporation, MA, USA)의 ANOVA one way를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 실시예2 > 실험결과
2-1: 체중변화량
대조군에 비하여 GGH(3)-1은 14.66%, GGH(3)-2는 9.63%, GGH(3)-3은 18.99%의 체중 감량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의존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GH(3)-1과 GGH(3)-3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농도 중 GGH(3)-3에서 그 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도1참고).
2-2: 식이효율
대조군에 비하여 GGH(3)-1은 8.08%, GGH(3)-2는 8.00%, GGH(3)-3은 16.74%의 식이효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의존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GH(3)-1과 GGH(3)-3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농도 중 GGH(3)-3에서 그 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도2참고).
2-3: 지방무게
생식기주변 백색지방조직(EAT)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GGH(3)-1은 2.22%, GGH(3)-2는 4.43%, GGH(3)-3은 10.59%로 그 무게가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후복벽주변 백색지방조직(RAT)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GGH(3)-1은 4.71%, GGH(3)-2는 9.81%, GGH(3)-3은 12.02%로 그 무게가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타구니주변 피하지방조직(IAT)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GGH(3)-1은 5.33%, GGH(3)-2는 6.55%, GGH(3)-3은 11.30%로 그 무게가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색지방조직(BAT)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GGH(3)-1은 13.81%, GGH(3)-2는 15.48%, GGH(3)-3은 20.26%로 그 무게가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의존적으로 지방무게가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GGH(3)-3에서 그 감량의 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도3).
2-4: 혈액생화학 분석
① 혈중 asparate aminotransferase ( AST ) 농도
대조군에 비하여 GGH(3)-1, GGH(3)-2와 GGH(3)-3 모두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4).
② 혈중 alanine aminotransferase ( ALT ) 농도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5).
③ 혈중 HDL - cholesterol 농도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6).
④ 혈중 LDL - cholesterol 농도
대조군에 비하여 GGH(3)-1, GGH(3)-2와 GGH(3)-3 모두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7).
⑤ 혈중 total cholesterol 농도
대조군에 비하여 GGH(3)-1, GGH(3)-2와 GGH(3)-3 모두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GGH(3)-2와 GGH(3)-3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8).
⑥ 혈중 triglyceride 농도
대조군에 비하여 GGH(3)-1, GGH(3)-2와 GGH(3)-3 모두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GGH(3)-2에서 그 농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9).
⑦ 혈중 free fatty acid 농도
대조군에 비하여 GGH(3)-1, GGH(3)-2와 GGH(3)-3 모두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10).
⑧ 혈중 glucose 농도
대조군에 비하여 GGH(3)-1, GGH(3)-2와 GGH(3)-3 모두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GGH(3)-1과 GGH(3)-2에서 그 농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11).
⑨ 혈중 insulin 농도
대조군에 비하여 GGH(3)-1, GGH(3)-2와 GGH(3)-3 모두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12).
⑩ 혈중 leptin 농도
대조군에 비하여 GGH(3)-1, GGH(3)-2와 GGH(3)-3 모두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GGH(3)-3에서 그 농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13).
⑪ 혈중 adiponectin 농도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14).

Claims (6)

  1. 울금, 지구자 및 신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울금이 전체 중량에 있어서 0.1 내지 80 중량부, 상기 지구자가 전체 중량에 있어서 0.1 내지 40 중량부, 상기 신곡이 전체 중량에 있어서 0.1 내지 4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체중당 0.01 내지 1000mg/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울금, 지구자 및 신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10066558A 2011-07-05 2011-07-05 감비경신환 (3)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77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558A KR101377093B1 (ko) 2011-07-05 2011-07-05 감비경신환 (3)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558A KR101377093B1 (ko) 2011-07-05 2011-07-05 감비경신환 (3)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694A KR20130007694A (ko) 2013-01-21
KR101377093B1 true KR101377093B1 (ko) 2014-03-25

Family

ID=4783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558A KR101377093B1 (ko) 2011-07-05 2011-07-05 감비경신환 (3)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0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16B1 (ko) 2009-10-29 2010-07-23 (주)한국파비스 알엔디 생약 발효물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16B1 (ko) 2009-10-29 2010-07-23 (주)한국파비스 알엔디 생약 발효물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694A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839B1 (ko)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US20220062366A1 (en) Feijoa fruit extract
KR20120003693A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Li et al. Targeting NF-κB pathway by dietary lignans in inflammation: Expanding roles of gut microbiota and metabolites
Li et al. A review on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potential uses of Portulaca oleracea L.
KR101675064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운동수행능력 증강 및 체력증진용 조성물
KR101263356B1 (ko)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KR101160088B1 (ko) 알코올성 지방간과 고지혈증 억제 및 숙취 억제 조성물
KR101377094B1 (ko) 감비경신환 (4)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23603B1 (ko) 녹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468658B1 (ko) 감비경신환 (1)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75352B1 (ko) 감비경신환 (2)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im et al. Coix lachryma-jobi
KR101377093B1 (ko) 감비경신환 (3)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32685B1 (ko) 항비만용 조성물
JP2010030950A (ja)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予防・治療剤ならびに機能性食品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121849A (ko)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9143B1 (ko) 시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018405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90111726A (ko) 천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8383B1 (ko)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5676B1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07991B1 (ko) 비만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32451A (ko)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