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451A -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451A
KR20240032451A KR1020220111436A KR20220111436A KR20240032451A KR 20240032451 A KR20240032451 A KR 20240032451A KR 1020220111436 A KR1020220111436 A KR 1020220111436A KR 20220111436 A KR20220111436 A KR 20220111436A KR 20240032451 A KR20240032451 A KR 20240032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ealth
red ginseng
gastric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한
권한올
구기방
장경화
이정선
정윤선
신현정
서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220111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451A/ko
Publication of KR2024003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4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특정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위산과다 분비를 억제하거나, 위 점액 분비를 촉진하거나, 위 조직 항산화능을 향상시키거나 위 손상 정도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천연물질 유래의 추출물을 포함하므로 독성이 낮아 일상적으로 수시로 음용함으로써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cluding Dry Ginger Extract And Red Ginseng Extract}
본 발명은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위산과다는 위 내에서 위산이 과도하게 많이 분비되는 증상으로, 평소 건강했던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인 위장 장애이다. 만성 위장병인 경우에도 발생이 되나, 정신적인 불안이나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사 등의 생활리듬이 깨졌을 경우에 일시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위산과다의 증상은 명치통, 공복시 통증(음식을 먹으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소멸함), 위의 트릿함, 트림, 신물, 반추, 변통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이러한 증상이 누적되면 위염, 소화성 궤양, 역류성 식도염 등의 다양한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소화성 궤양(Peptic ulcer)은 흔히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궤양을 의미하며, 위나 십이지장의 점막이 어떤 원인에 의해 손상, 유실되어 점막하 조직이 드러나는 상태를 말한다. 점막에만 병변이 국한된 경우에는 미란(erosion)이라고 하며, 보통 위나 십이지장이 헐었다고 하여 위염, 또는 십이지장염이라는 말도 사용된다. 소화성 궤양은 세계적으로 5~10%의 인구에서 발생하는 보편적인 질환이고, 남자가 여자보다 약 2~3배 더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십이지장궤양은 위궤양보다 좀 더 젊은 시기에 많이 발병하는데, 십이지장궤양은 30~50세, 위궤양은 40~60세에 잘 발생한다.
위장 장애의 치료에는 제산제(antacid), 히스타민 수용체의 길항 작용제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위염 또는 소화성 궤양 등이 치유되더라도 재발되거나 재현되는 경우가 많아서 완전히 치유된 후에도 장기간에 걸친 유지요법이 필요하다. 이에, 위산과다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위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일상적으로 음용이 가능한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인삼(Panax ginseng)은 식물 분류학상으로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의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음지성 초본식물로서 오래 전부터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로 사용되었다. 인삼은 일반적으로 가공 방법에 따라 백삼과 홍삼으로 구분되며, 백삼은 밭에서 채굴한 가공되지 아니한 인삼 즉, 수삼을 그대로 건조한 것을 지칭하며 홍삼은 수삼을 증숙하여 건조 가공한 것으로 제조 과정에서 사포닌 변형과 아미노산 변화 등 여러 화학적인 변화가 수반된다. 홍삼은 제조 과정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인삼에 존재하지 않는 진세노사이드 Rg2, Rg3, Rh1, Rh2 등의 사포닌 성분이 생성되며, 홍삼 특유의 유효 성분은 암 예방 작용, 암세포 성장 억제 작용, 혈압 강하 작용, 뇌신경세포 보호 및 학습 능력 개선 작용, 항혈전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이 우수하다.
건강(Zingiberis Rhizoma Siccus)은 생강과(Zingiberaceae)의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을 건조한 것으로서, 징지베린(zingiberene), 펠란드렌(phellandrene), 캠펜(camphe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하혈, 설사(diarrhea)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위장 장애를 개선하기 위해 천연물 유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연구하였으며, 천연물 중에서도 홍삼 추출물과 건강 추출물을 특정 비율로 혼합하면, 위산과다 분비 억제, 위 손상 정도 완화 등에 의한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6425호(2009년05월11일)
본 발명은 위장 장애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천연물질인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특정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위산과다 분비를 억제하거나, 위 점액 분비를 촉진하거나, 위 조직 항산화능을 향상시키거나 위 손상 정도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천연물질 유래의 추출물을 포함하므로 독성이 낮아 일상적으로 수시로 음용이 가능하며, 이로써 효과적으로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대조군 대비 실험군의 H+/K+ ATPase 활성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알코올성 위손상 유발 실험 후 대조군 대비 위액 분비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알코올성 위손상 유발 실험 후 위 점막을 촬영한 사진과 대조군 대비 실험군의 위 손상 지수(%)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알코올성 위손상 유발 실험 후 대조군 대비 실험군의 혈중 히스타민 수준(%)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비스테로이드성 위손상 유발 실험 후 위 점막을 촬영한 사진과 대조군 대비 실험군의 위 손상 지수(%)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비스테로이드성 위손상 유발 실험 후 대조군 대비 실험군의 혈중 프로스타글란딘2(PGE2) 농도(pg/㎖)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비스테로이드성 위손상 유발 실험 후 대조군 대비 실험군의 위점액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침수 스트레스성 유발 실험 후 위 점막을 촬영한 사진과 대조군 대비 실험군의 위손상 지수(%)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침수 스트레스성 유발 실험 후 대조군 대비 실험군의 염증성 단백질 INOS, Cox-2, IL-1β, T-AKT 변화 및 항산화 단백질 Acetyl-SOD2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1.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서 건강은 생강과의 생강을 건조한 것으로서, 생강의 잎, 어린 새싹, 본체, 본체 껍질, 줄기, 줄기 껍질, 뿌리, 뿌리 껍질, 뿌리줄기, 종자, 열매, 미숙과, 완숙과, 과육, 과피, 꽃, 수술군(androecium), 암술군(gynoecium), 꽃받침, 수술, 꽃잎, 꽃받침 조각, 심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뿌리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홍삼은 생인삼을 쪄서 익혀 건조한 것으로 건조 과정에서 갈변 반응이 일어나 담황갈색 내지 적갈색을 띄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삼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원료로부터 임의의 방법으로 추출된 물질을 의미하며,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을 제한 없이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추출물을 원료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할 때, 추출 방법으로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 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추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추출물은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초임계 유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C1-C4의 저급 알코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및 유기용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물 및 유기용매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물 및 C1-C4의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물 및 에탄올의 혼합물은 3%(v/v) 내지 70%(v/v) 에탄올 수용액, 예컨대 5%(v/v) 내지 50%(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v/v) 내지 45%(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v/v) 내지 40%(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v/v) 내지 35%(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건강 추출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용매는 물 또는 C1-C4의 알코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20%(v/v) 내지 35%(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건강 추출물 제조시 에탄올 수용액의 농도가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의 추출이 어려워 원하는 정도의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홍삼 추출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용매는 물일 수 있다.
추출은 60℃ 내지 100℃에서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5℃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에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추출은 4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시간 내지 16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추출은 1회 내지 7회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5회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3회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추출물은 각 추출에서 얻어진 단독 추출물 또는 각 추출에서 얻어진 추출물들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추출물로부터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특정 활성 성분을 얻기 위해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하여 수득된 분획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추출에 따라 수득된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물,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으로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물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여러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추출물을 농도 구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통하여 활성 성분의 성질에 따라 분리해서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더 좋은 특정 활성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예를 들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고성능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및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세파덱스, LH-20, ODS 겔, RP-18, 폴리아미드, 도요펄(Toyopearl) 및 XAD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충진제를 이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활성 분획물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충진제를 선택하여 수차례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함에 있어 용출 용매, 용출 속도 및 용출 시간은 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매, 속도 또는 시간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높은 특정 활성 성분을 얻기 위해서, 상기 각 추출물을 유기 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알코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2.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 1.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제조 "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위장 장애는 속쓰림, 위염,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궤양 등의 소화성 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위산의 과도한 분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위산과다 분비 증상은 정신적 불안, 알코올,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복용, 스트레스, 불규칙적인 생활, 또는 만성 위장병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는 위산과다 분비를 억제하거나, 위 점막에서 생리적 항상성에 관여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촉진하거나, 위 내 염증을 억제하거나 항산화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알코올에 의해 위가 손상되어 위산과다 분비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이러한 위산과다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위장 장애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복용으로 인해 위점막의 분비가 감소되어 위가 손상되는 경우 이러한 위점막 항상성에 관여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촉진함으로써 위장 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로 인해 위가 손상된 경우 이러한 위손상에 의한 염증을 억제하거나 항산화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위장 장애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위장 장애를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하며, "치료"는 상기 조성물에 의해 위장 장애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1:0.5 내지 1:4의 중량비, 또는 1:0.5 내지 1:3.5의 중량비, 또는 1:0.75 내지 1:3.5의 중량비, 또는 1:0.75 내지 1:3의 중량비, 또는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1:0.5 내지 1:3의 중량비, 또는 1:0.75 내지 1:2의 중량비, 또는 1:0.5 내지 1: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알코올성 위손상에 의한 위산과다 분비 억제 효과가 우수할 수 있고, 상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1:0.5 내지 1:4의 중량비, 또는 1:0.5 내지 1:3.5의 중량비, 또는 1:0.5 내지 1:3의 중량비, 또는 1:0.75 내지 1:4의 중량비, 또는 1:0.75 내지 1:3.5, 또는 1:2 내지 1:4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비스테로이드성 위손상에 의한 위점막 보호 효과가 우수할 수 있고, 상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1:1 내지 1:4의 중량비, 또는 1:2 내지 1:4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스트레스성 위 손상에 의한 염증을 억제하거나 항산화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건강과 홍삼의 복합물에 대해 히스타민 유도 위벽세포에서 위산과다분비를 개선하는 효능을 확인한 결과, 건/홍(1:1) 복합물이 H+/K+ ATPase 활성도를 유의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건강과 홍삼의 복합물에 대해 알코올성 위손상 동물모델에서 위산분비완화를 개선하는 효능을 확인한 결과, 건/홍(1:1) 복합물이 위액 분비량을 유의적으로 개선시키고, 위 손상 정도를 완화시키고, 혈중 히스타민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건강과 홍삼의 복합물에 대해 비스테로이드성 위손상 동물모델에서 위점액분비 개선 효능을 확인한 결과, 건/홍(1:1)과 건/홍(1:3) 복합물이 위 손상 정도를 완화시키고, 혈중 프로스타글란딘2(PGE2) 수준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고, 비스테로이드성 위손상 기전에 의해 감소된 위점액 분비량을 유의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4에서는 건강과 홍삼의 복합물에 대해 침수 스트레스성 위염 유발 동물모델에서 위 손상 후 위 보호 효능을 확인한 결과, 건/홍(1:3) 복합물이 위 손상 정도를 완화시키고, 위 조직 염증 관련 단백질 및 위 조직 산화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의 발현이 저하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강과 홍삼의 복합물은 알코올 섭취, 스트레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섭취에 의해 발생된 위염에서 위 손상을 억제하여 위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상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은 상기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20.0 중량%, 또는 0.01 내지 10.0 중량%, 또는 0.01 내지 5 중량%, 또는 0.01 내지 3 중량%, 또는 0.1 내지 2 중량%, 또는 0.5 내지 1.5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의 유효 함량이 0.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낮아지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능 상승 효과가 떨어져 비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의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비타민,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 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되고, 예컨대 도포에 의한 국부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병소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배출률, 약물 배합 및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성인 기준으로 0.001 내지 500 ㎎/㎏ 범위 내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고, 70 내지 350 ㎎/㎏, 또는 100 내지 300 ㎎/㎏, 또는 250 내지 350 ㎎/㎏, 또는 270 내지 330 ㎎/㎏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기준으로 1.0 내지 3.0㎖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하는 것이 좋으나,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인간이 아닌 동물,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것에 사용가능하다.
3.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 1.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제조 "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위장 장애에 관해서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위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1:0.5 내지 1:4의 중량비, 또는 1:0.5 내지 1:3.5의 중량비, 또는 1:0.75 내지 1:3.5의 중량비, 또는 1:0.75 내지 1:3의 중량비, 또는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은 상기 위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20.0 중량%, 또는 0.01 내지 10.0 중량%, 또는 0.01 내지 5 중량%, 또는 0.01 내지 3 중량%, 또는 0.1 내지 2 중량%, 또는 0.5 내지 1.5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의 유효 함량이 0.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위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낮아지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능 상승 효과가 떨어져 비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의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및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천연 추출액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위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 증진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실험예,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건강 추출물의 제조
건강(Zingiber officinale, (건조)뿌리) 500g에 중량 대비 8~15배수의 30%(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고, 80℃에서 4~12시간 1~3회 추출하고 추출액을 5㎛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액은 회전감압농축기(BUCHI, R-220)를 이용하여 50~60℃에서 농축하고, 최종적으로 농축액에 멸균된 증류수를 가해 15°Brix가 되도록 희석한 후 동결건조(OPERON, FDT-12012)하여 건강 추출분말 100.9g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홍삼 추출물의 제조
6년근 홍삼(P. ginseng C.A. Meyer, 뿌리 75%, 잔미 25%) 500g을 원적외선 건조기((주)한국에너지기술, HKD-LAB)를 이용하여 100~120℃에서 15~20분간 건조 후 절각하였다. 건조된 홍삼에 4~8배의 증류수를 가해 85℃에서 8~12시간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하여 0~10℃로 냉각하였다. 잔사에 대해서는 4~8배의 증류수를 가해 8~12시간 추출을 1~4회 추가로 실시하여 추출액을 여과 후 모두 합하여 0~10℃로 냉각하였다. 냉각이 완료된 추출액을 4℃에서 10~20분 동안 5,000~8,000rpm으로 원심분리((주)한일사이메드, Supra 22K)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회전감압농축기(BUCHI, R-220)를 이용하여 50~60℃에서 71°Brix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최종적으로 농축액에 멸균된 증류수를 가해 15°Brix로 희석 후 동결건조(OPERON, FDT-12012)하여 홍삼농축액분말 230g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의 제조
제조예 1 및 제조예 2에서 얻어진 단독 추출물을 비율을 다르게 혼합하여 5 종류의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각 복합물에서 건강:홍삼의 중량 비율을 4:1, 3:1, 1:1, 1:3, 1:4로 하였다.
실시예 1. 히스타민 유도 위벽세포에서 위산과다분비 개선 효능 시험
1-1. 위산분비인자 H+/K+ ATPase 활성도 측정
제조예 1 내지 3의 단일 추출물 및 복합물을 100 ㎍/㎖의 농도로 위벽세포에 처리 후 히스타민(Sigma, H7125, USA)을 100μM의 농도로 위벽세포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 후 H+/K+ ATPase 분석 키트(Elabscience사)를 사용하여 제조사에서 제공되는 표준 시약과 분석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키트에 구성된 시약 1~11번을 프로토콜에 따라 전처리 후 실험에 사용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샘플 튜브와 샘플이 가지고 있는 고유 발색정도를 파악하여 실험 값을 제외하기 위한 샘플 컨트롤 튜브에 각각의 시약을 첨가한다. 샘플 컨트롤 튜브와 샘플 튜브에 각각 1번 시약을 130㎕씩 분주하고 2번 시약을 샘플 튜브에 80㎕씩, 3번 시약을 샘플 컨트롤 튜브에 120㎕씩, 4번 시약을 샘플 컨트롤 튜브와 샘플 튜브에 각각 40㎕씩, 5번 시약을 샘플 컨트롤 튜브와 샘플 튜브에 각각 40㎕씩, 6번 시약을 샘플 튜브에 40㎕씩 분주하고 실험하려는 샘플을 샘플 튜브에 100㎕씩 분주하여 혼합한 후 37℃ 수조에서 10분간 반응시킨다. 그 후 7번 시약을 샘플 컨트롤 튜브와 샘플 튜브에 각각 50㎕씩 분주하고 실험하려는 샘플을 샘플 컨트롤 튜브에 100㎕씩 분주하여 35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인(phosphorus) 분석 실험에 사용한다. 표준 튜브에 0.5 μmol/㎖ 표준 인 적용 용액을 400㎕씩 분주하고, 새로운 샘플 컨트롤 튜브에 반응시킨 샘플 컨트롤 튜브 상층액을 400㎕씩 분주하고, 새로운 샘플 튜브에 반응시킨 샘플 튜브 상층액을 400㎕씩 분주하고 인 분석 시약을 새로운 샘플 컨트롤 튜브, 샘플 튜브에 각 2000㎕씩 분주하여 45℃의 수조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엘리사(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O.D값 660nm 측정값으로 활성도를 산출하였다.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H+/K+ ATPase 활성도를 100%로 정하고, 실험군의 H+/K+ ATPase 활성도(%)를 확인한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냈다.
H+/K+ ATPase 활성도(%)
대조군(C) 100
건강 80.2
건/홍(4:1) 61.7
건/홍(3:1) 59.3
건/홍(1:1) 45.7
건/홍(1:3) 59.3
건/홍(1:4) 59.3
홍삼 7.41
상기 결과로부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1:1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을 100 ㎍/㎖ 처리한 군이 H+/K+ ATPase 활성도를 유의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알코올성 위손상 동물모델에서 위산분비완화 개선 효능 시험
2-1. 실험군의 구성
제조예 1 내지 3의 단일 추출물 및 복합물의 알코올성 위손상 동물모델(7주령, SD rat, male)에서 위산 분비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참조문헌 1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상군 및 실험군은 ㈜새론바이오(Gyeonggi-do, Korea)에서 7주령 수컷, SD 랫트를 공급받아 7일간 순화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23±2℃), 습도(55±10%) 및 명암주기(12시간)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안정화 후 체중을 측정하여 군 분리를 실시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표 2).
번호 라벨 마리수 시료 투여량 위손상 물질
1 대조군(C) 6 - -
2 건강 6 건강 100 ㎎/㎏ 40% EtOH / 100 mM HCl 각 1㎖
3 건홍(3/1) 6 건강/홍삼(3/1) 100 ㎎/㎏
4 건홍(1/1) 6 건강/홍삼(1/1) 100 ㎎/㎏
5 건홍(1/3) 6 건강/홍삼(1/3) 100 ㎎/㎏
6 홍삼 6 홍삼 100 ㎎/㎏
군 분리 후, 2주간 1일 1회, 제조예 1 내지 3의 단일 추출물 및 복합물과 40% 에탄올을 경구용 존데를 이용하여 표 2와 같이 각각의 동물에 ㎏/bw의 양만큼 경구투여한다. 총 2주간의 경구투여가 종료되면 24시간 절식 후 100mM HCl을 투여하고 1시간 뒤 부검하여 간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위 조직을 적출하였다.
2-2. 위액 분비량 측정
적출한 위를 사진 촬영 전 유문부를 조금 절개하여 50㎖ 코니칼 튜브에 위액을 수집하여 3,000rpm에 20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수집하여 위액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위액 분비량을 100%로 정하고, 실험군의 위액 분비량(%)을 확인한 결과를 표 3 및 도 2에 나타냈다.
위액분비량(%)
대조군(C) 100
건강 87.5
건홍(3/1) 93.3
건홍(1/1) 59.4
건홍(1/3) 78.3
홍삼 86.4
상기 결과로부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1:1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을 100 ㎍/㎏ 투여한 군이 위액 분비량을 유의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3. 위 손상 정도 측정
적출한 위는 대만부를 따라 절개한 후 식염수로 위벽 표면을 세척하고 면봉이나 핀셋을 이용하여 6웰 플레이트에 잘 펴서 포르말린으로 고정한 뒤 사진 촬영을 하였다. 촬영한 사진은 이미지 프로그램(Image J, USA)을 이용하여 위 손상 면적 및 위 전체 면적을 측정한 후 다음 식에 따라 위벽 손상 지수(Ulcer Index)(%)를 구하였다.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위벽 손상 지수를 100%로 정하고, 실험군의 위벽 손상 지수(%)를 확인한 결과를 표 4 및 도 3에 나타냈다.
위벽 손상 지수(%)=손상 면적/전체 면적.
위벽 손상 지수(%)
대조군(C) 100
건강 89.9
건홍(3/1) 80.2
건홍(1/1) 56.7
건홍(1/3) 85.8
홍삼 89.9
상기 결과로부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1:1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을 100 ㎍/㎏ 투여한 군이 위벽 손상을 유의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4. 혈중 히스타민 수준 측정
혈중 히스타민 수준 측정법은 히스타민 엘리사 키트(abcam사)를 사용하여 제조사에서 제공되는 표준 시약과 분석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500㎕의 혈청을 준비한 후 원심 농축기를 활용하여 건조시킨 후 500㎕ 분석 완충액을 처리하여 실험의 샘플로 사용하였다.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샘플을 100㎕씩 분주한 후 1x 히스타민 추적자(tracer)를 50㎕씩 분주한다. 그 후 1x 히스타민 항체를 50㎕ 분주한 후 오르비탈 쉐이커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섞어 주면서 반응시킨다. 세척 완충액을 이용하여 3회 세척한 후 SA-HRP를 200㎕씩 분주하여 오르비탈 쉐이커를 이용하여 30분 동안 섞어 주면서 반응시킨다. 세척 완충액을 이용하여 3회 세척한 후 TMB 기질 용액을 200㎕ 분주하여 오르비탈 쉐이커를 이용하여 30분 동안 섞어 주면서 반응시킨다. 30분 후 정지 용액을 50㎕씩 분주하여 엘리사 판독기를 이용하여 450nm 파장으로 O.D값을 측정 후 계산하였다.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혈중 히스타민 수준을 100%로 정하고, 실험군의 혈중 히스타민 수준(%)을 확인한 결과를 표 5 및 도 4에 나타냈다.
혈중 히스타민 수준(%)
대조군(C) 100
건강 88.2
건홍(3/1) 88.5
건홍(1/1) 47.6
건홍(1/3) 87.1
홍삼 82.4
상기 결과로부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1:1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을 100 ㎍/㎏ 투여한 군이 혈중 히스타민 함량을 유의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비스테로이드성 위손상 동물모델에서 위 건강 개선 효능 시험
비스테로이드 소염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는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에 의해 이용되고 있다. 이 약물들은 시클로옥시제나제-1(COX-1)과 COX-2 효소를 억제하여, 아라키돈산이 통증을 매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및 PGI2(프로스타시클린)로 변환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서 약리작용을 나타낸다. 다만, 프로스타글란딘이 위장 점막에서 생리적 항상성(physiologic homeostasis)에 관여하기 때문에,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는 부작용으로 위장 점막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이 위손상을 개선하고, Cox-1/PGE2 경로 억제에 의해 감소되었던 혈중 PGE2 량 및 위점액 분비량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3-1. 실험군의 구성
정상군 및 실험군은 ㈜새론바이오(Gyeonggi-do, Korea)에서 7주령 수컷, SD 랫트를 공급받아 7일간 순화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23±2℃), 습도(55±10%) 및 명암주기(12시간)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안정화 후 체중을 측정하여 군 분리를 실시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표 6).
번호 라벨 마리수 시료 투여량 위손상 물질
1 대조군(C) 6 - -
2 건홍(1/1) 6 건강/홍삼(1/1) 150 ㎎/㎏ 0.5% CMC 중의 인도메타신 300 mg/kg
3 건홍(1/3) 6 건강/홍삼(1/3) 150 ㎎/㎏
군 분리 후, 1주간 1일 1회, 제조예 3의 건강/홍삼복합물(1/1, 1/3)을 경구용 존데를 이용하여 표 6과 같이 각각의 동물에 150 ㎎/㎏/bw의 양만큼 경구투여하였다. 총 1주간의 경구투여가 종료되면 24시간 절식 후 0.5% CMC 중의 인도메타신 300 mg/kg을 투여하고 4시간 뒤 부검하여 혈액학적 및 생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3-2. 위 손상 정도 측정
비스테로이드성 약물인 인도메타신(indomethacin)을 투여하여 위염 유발 실험이 종료된 이후 흡입마취제(isoflurane)로 마취하고 위를 적출한다. 적출한 위는 대만부를 따라 절개한 후 식염수에 씻어 면봉으로 잘 펴서 사진 촬영을 하였다. 촬영한 사진은 이미지 프로그램(ImageJ;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USA)을 이용하여 위 손상 부위 및 위 전체 면적을 측정하여 위벽 손상 지수를 계산하였다. 위 점막을 촬영한 사진과 위벽 손상 지수(%)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위벽 손상 지수(%)=(손상 면적/전체 면적)x100
도 5의 결과로부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1:1, 1:3 비율)을 150 ㎎/㎏ 투여한 군이 위손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3. 혈중 PGE2 량
비스테로이드성 과다 섭취로 인하여 억제된 PGE2(PGE2 Elisa kit, Cayman, Ann Arbor, Mu, USA)의 수준을 혈중에서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nzyme-linke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의 결과로부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1:1, 1:3 비율)을 150 ㎎/㎏ 투여한 군이 비스테로이드성 위손상 기전에 의해 감소된 혈중 PGE2 량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4. 위점액 분비량
적출한 위를 사진 촬영 전 유문부를 조금 절개하여 50㎖ 코리칼 튜브에 1㎖ 의 1x TE 완충액과 함께 수집하여 3,000rpm에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적출한 위를 제거한 후 위 점액(㎖)을 수집하고 체중 당 위 무게를 나눈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의 결과로부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1:1, 1:3 비율)을 100 ㎎/㎏ 투여한 군이 비스테로이드성 위손상 기전에 의해 감소된 위점액 분비량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침수 스트레스성 위염 동물모델에서 위 건강 개선 효능 시험
4-1. 실험군의 구성
25~30g 내외의 8주령 C57BL6 생쥐 수컷을 코아택(경기도 평택시)에서 구입하여 일주일 동안 사육실에서 적응시켰다. 사육환경은 온도 23±3℃, 습도 50±5%에서 명암 주기는 12시간으로 유지하였다. 환경 적응기간 중 건강하다고 판정된 동물에 대하여 체중을 측정하고 무작위로 군 분리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표 7).
번호 라벨 시료 투여량 침수 스트레스성(WRIS) 위염 유발 여부
1 대조군(C) 증류수 O
2 건강 건강 300 ㎎/㎏
3 건홍(3/1) 건강/홍삼(3/1) 300 ㎎/㎏
4 건홍(1/1) 건강/홍삼(1/1) 300 ㎎/㎏
5 건홍(1/3) 건강/홍삼(1/2) 300 ㎎/㎏
6 홍삼 홍삼 300 ㎎/㎏
대조군(C)에는 증류수를 경구투여하고 나머지 군에는 총량이 300 mg/kg BW가 되도록 7일간 하루에 한 번 일정 시간에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 하루 전 약 24시간 동안 금식하고 실험 당일 침수시키기 1시간 전에 후보물질을 경구 투여하였다. 이후, 물을 채운 수조에 6시간 동안 침수시켜 침수 스트레스성 위염을 유발하였다. 침수 방법은 수조에 물을 채운 후 25℃가 되도록 물의 온도를 맞춘 후 잠금장치가 설치된 소동물용 케이지에 실험동물을 1마리씩 넣고 수조에 넣어 6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4-2. 위 점막 출혈 면적의 감소
침수 스트레스성 위염 유발 실험이 종료된 후 아베르틴 용액(250 mg/kg)으로 마취하고 위를 절제하여 사진을 찍고, 분석을 위한 조직은 -80℃에 보관하였다. 적출한 위는 대만부를 따라 절개한 후 스티로폼 판 위에 잘 펴서 고정한 뒤, 식염수로 세척 후 사진을 촬영하였다. 촬영한 사진은 이미지 프로그램(ImageJ;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USA)을 이용하여 위 출혈 부위 및 위 전체 면적을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위 손상 정도의 면적 비율을 계산하였다.
위벽 손상 지수(%)=(손상 면적/전체 면적)x100
먼저, 침수 스트레스성 유발 실험을 수행한 군 중에서, 증류수만 투여한 대조군(C)과 건강 단독투여 군, 건강과 홍삼의 복합물을 300 mg/㎏으로 투여한 건홍(3/1) 군, 건홍(1/1) 군, 건홍(1/3) 군, 홍삼 단독투여 군에 대해서 위 점막을 촬영한 사진과 위 손상 정도를 계산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상기 도 8의 결과로부터, 침수 스트레스에 의해 위 내벽에 출혈이 발생하였으나, 증류수를 투여한 대조군(C)과 비교하여 건홍(1/3) 복합물을 300 mg/㎏ 농도로 투여한 군에서 출혈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건강 단독투여 군은 출혈이 두 번째로 많이 감소한 군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0.07), 홍삼 단독투여 군과 건홍(3/1), 건홍(1/1) 군에서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3. 위 조직 염증 관련 단백질 발현 측정
염증 관련 유전자인 iNOS, COX-2, IL-1β 및 위산 분비 신호전달인자인 AKT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적출한 실험동물의 조직에서 HEPES 완충액으로 단백질을 추출하고 브래드포드 분석에 의해 단백질 농도를 결정한 후 단백질 30㎍을 1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을 이용하여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SDS-PAGE)으로 분리한 다음 PVDF 막(Millopore, MA, USA)으로 전이시켰다. 막은 PBST(0.1% v/v Tween-20 in PBS, pH 7.2)에 5%로 녹인 탈지유로 1시간 동안 차단하고, 각 일차 항체를 넣고 4℃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시킨 다음 이차 항체를 넣고 실온에서 한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막은 각 단계마다 TBST로 10분씩 세 번 세척하였다. 단백질 발현 분석은 이모빌론(Immobilon) 웨스턴 화학발광 HRP 기질(Millopore, MA, USA)을 이용하였다.
위 조직 염증 관련 단백질 분석을 위한 항체의 구입처 및 카탈로그 번호는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위 조직 염증 관련 단백질 분석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항체 회사 Cat No.
iNOS cell signaling #13120
COX-2 cell signaling #12282
IL-1β Santacruz sc-1251
AKT cell signaling #9272
상기 도 9의 결과로부터, 대조군(C)에 비해 건홍(1/3) 복합물을 300 mg/kg으로 투여한 군에서 위 염증 관련 인자인 iNOS, COX-2, IL-1β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산 분비 신호전달인자인 AKT도 대조군(C)에 비해 건홍(1/3) 복합물 투여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4. 위 조직 산화스트레스 관련 단백질 발현 측정
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식으로 산화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인 아세틸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acetylated superoxide dismutase, Acetyl-SOD2)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산화스트레스 관련 단백질 분석을 위한 항체의 구입처 및 카탈로그 번호는 하기 표 9에 나타낸다.
항체 회사 Cat No.
Acetyl-SOD2 abcam ab137037
도 9의 결과로부터, 대조군(C)에 비해 건홍(1/3) 복합물을 300 mg/kg으로 투여한 군에서 과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하는 Acetyl-SOD2의 발현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5. 통계 처리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냈으며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Prism7을 이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분석 후 tucky post-hoc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두 그룹 사이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Stu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제조예 4.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4-1. 산제의 제조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4-2. 정제의 제조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4-3. 캡슐제의 제조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4. 환의 제조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 1g
유당 1.5g
글리세린 1g
자일리톨 0.5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4-5. 과립의 제조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5.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5-1. 밀가루 식품의 제조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5-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5-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5-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5-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5-6. 건강기능성 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 5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5-7. 야채 주스의 제조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 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5-8. 과일 주스의 제조
제조예 3의 건강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복합물 1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참조문헌 1. Nam DE1 등, Inhibitory Effects of Chios Mastic Gum on Gastric Acid Secretion by Histamine Related Pathway in a Rat Model and Primary Parietal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4, 43(10), 150-1509

Claims (10)

  1.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1:0.5 내지 1:3.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 추출물 제조시 추출용매는 물 또는 C1~C4의 알코올인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홍삼 추출물 제조시 추출용매는 물인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는 위산과다 분비를 억제하거나 위 점액 분비를 촉진시키거나 위 내 염증을 억제하거나 항산화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달성되는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장 장애는 속쓰림,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8.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1:0.5 내지 1:3.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조성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위장 장애는 속쓰림,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220111436A 2022-09-02 2022-09-02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32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436A KR20240032451A (ko) 2022-09-02 2022-09-02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436A KR20240032451A (ko) 2022-09-02 2022-09-02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451A true KR20240032451A (ko) 2024-03-12

Family

ID=9029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436A KR20240032451A (ko) 2022-09-02 2022-09-02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245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425A (ko) 2007-11-06 2009-05-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또는 위궤양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425A (ko) 2007-11-06 2009-05-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또는 위궤양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04093A (ko)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성물, 호흡기 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항노화 조성물
KR100980819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20120038613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8221B1 (ko) 보스웰리아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강황 추출물, 녹차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백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13284B1 (ko) 총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l Phyllanthus emblica: The superfood with anti-ulcer potential
KR20240032451A (ko) 건강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9283B1 (ko) 건강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4912B1 (ko) 인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92152B1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57214B1 (ko) 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2201313B1 (ko) 홍삼 추출물의 분획물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8334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18405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220157170A (ko) 두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57172A (ko) 두충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41338B1 (ko) 편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34225B1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50102017A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92151B1 (ko) 두충 추출물 및 산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73209B1 (ko) 홍삼 유래 비사포닌 성분을 포함하는 다발성경화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95447B1 (ko)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KR102019974B1 (ko) 감초 및 노랑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장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