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428B1 -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 - Google Patents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428B1
KR101376428B1 KR1020120056603A KR20120056603A KR101376428B1 KR 101376428 B1 KR101376428 B1 KR 101376428B1 KR 1020120056603 A KR1020120056603 A KR 1020120056603A KR 20120056603 A KR20120056603 A KR 20120056603A KR 101376428 B1 KR101376428 B1 KR 101376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lbow
fastening
bind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394A (ko
Inventor
장기운
Original Assignee
장기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운 filed Critical 장기운
Priority to KR102012005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42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2Bends; Siphons adapted to make use of special secur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조립되는 엘보우의 길이 조절은 물론 다각도로 형성시킬 수 있음에 따라 파이프 배치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되, 각각의 엘보우를 구성하는 구성품이 서로 용이하게 상호결합되는 구조를 채택하여 엘보우를 형성함에도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누수가 없도록 긴밀하게 체결되는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에 관련된 것이다.
적층형태로 하측에 제1 결속관(11)과 상측에 체결관(14)으로 구성되는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와, 일면에 형성된 체결관안착부(23)와, 상기 체결관안착부(23)의 반대측 일면에 형성된 엘보우체결관(25)으로 구성되는 엘보우부재(20);와, 적층형태로 하측에 제2 결속관(31)과 상측에 삽착관(33)으로 구성되는 제2 파이프결속부재(30);로 구분 구성되되, 상기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의 체결관(14)은 엘보우부재(20)의 체결관안착부(23)와 체결되고, 상기 엘보우부재(20)의 엘보우체결관(25)은 제2 파이프결속부재(30)의 삽착관(33)과 체결되어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Assembly Elbow Having A Free Control Apparatus For Angle Or Length}
본 발명은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 속에 흐르는 유체의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사용되는 관이음인 엘보우를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길이와 각도로 형성하도록 하되, 조립이 간편하여 취급이 용이하며 보다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설비 시공에 있어서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립식 엘보우에 관한 것이다.
나날이 발전 되어가는 생활과 기술력에 발맞춰 건축현장 내지 산업현장의 기술도 진보해짐에 따라 복잡해진 구조와 기술방식에 의해 요구되는 작업현장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중에서도 건축을 비롯한 모든 작업현장의 기본요소라 할 수 있고, 또는 없어서는 안될 배관시공도 기술력과 설비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요구를 피할 수 없는 실정인데 그에 따라서 배관에 사용되는 엘보우의 역할은 더욱 증대된다고 할 수 있다.
배관시공은 유체의 흐름을 위한 경로를 만들어주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건물이나 현장의 배관설비에 파이프를 사용하되, 관 속에 흐르는 유체를 교차시키거나 방향을 바꾸어주기 위하여 파이프 끝단에 엘보우를 장착하게 된다. 엘보우는 영어로 팔꿈치라는 말에서 유래하여 관의 방향을 팔꿈치처럼 휘어지게 연결하기 위한 부품으로 양끝에 파이프를 통삽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하여 두 개의 파이프를 서로 이어준다. 엘보우는 90°의 각도로 이루어진 것이 보통이나 용도나 특정 부분에 설치하기 위해 45°엘보우를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종래의 기성품 엘보우는 파이프 배치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배관설비에 있어서 상당히 제한적인 사항이 아닐 수 없는데, 이에 따라서 설비시 필요로 하는 각도, 모양 등의 엘보우를 제작업체에 주문을 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태이다. 그러나 필요시마다 주문 생산을 해야함에 따라 배관설비 소요 일에 차질이 생기게 되고, 작업시간이 더디어지는 한편, 다양한 각도로 파이프를 배치하기에는 상당한 무리가 따르게 된다.
그리고 파이프의 길이를 고려하여 엘보우의 길이를 측정하고 가공하여줌은 작업공정의 번거로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시간적인 손실도 크다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의 기성품인 엘보우의 정해진 각도에서 탈피하여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형태와 길이와 각도로 자유로이 만들어낼 수 있으며, 조립구조 또한 쉬운 구조를 채택하여 작업을 한결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조립되는 엘보우의 길이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다각도로 형성시킬 수 있음에 따라 파이프 배치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되, 각각의 엘보우를 구성하는 구성품이 서로 용이하게 상호결합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를 형성함에도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누수가 없도록 긴밀하게 체결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를 구성함에 있어서,
적층형태로 하측에 제1 결속관(11)과 상측에 체결관(14)으로 구성되는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와, 일면에 형성된 체결관안착부(23)와, 상기 체결관안착부(23)의 반대측 일면에 형성된 엘보우체결관(25)으로 구성되는 엘보우부재(20);와, 적층형태로 하측에 제2 결속관(31)과 상측에 삽착관(33)으로 구성되는 제2 파이프결속부재(30);로 구분 구성되되, 상기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의 체결관(14)은 엘보우부재(20)의 체결관안착부(23)와 체결되고, 상기 엘보우부재(20)의 엘보우체결관(25)은 제2 파이프결속부재(30)의 삽착관(33)과 체결되어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파이프결속부재(10)는 제1 통삽구(12)를 내측에 구비하여 파이프를 삽착할 수 있도록 하는 원통 형상의 제1 결속관(11)과, 외주연에 간격조절구(16)가 다수 구비된 원형의 결속링(15)이 등간격으로 적층되되 상기 결속링(15)과 결속링(15) 사이 공간에 유동홈(17)을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내측에 중공부(18)를 형성하며 제1 결속관(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관(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엘보우부재(20)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위해 내부에 이동로(26)가 구비되는 이음관(21)과, 상기 이음관(21)의 일측 끝단 내면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주연을 따라 다수의 체결돌기(22)가 등간격 배치되는 체결관안착부(23)와, 상기 체결관안착부(23)의 반대측 끝단에 형성되고 외주연에 간격조절구(16)가 다수 구비된 원형의 결속링(15)이 등간격으로 적층되되 상기 결속링(15)과 결속링(15) 사이 공간에 유동홈(17)을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엘보우체결관(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파이프결속부재(30)는 제2 통삽구(32)를 내측에 구비하여 파이프를 삽착할 수 있도록 하는 원통 형상의 제2 결속관(31)과, 상기 제2 결속관(31)의 상측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체결관안착부(23)를 형성하고 내주연을 따라 체결돌기(22)가 다수 구비된 삽착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관(14)을 구성하는 결속링(15)은 등간격 배치됨에 따라 이격된 공간에 유동홈(17)을 다수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동홈(17)에 안착되는 체결돌기(22)로 인해 길이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각도조절이 자유로움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관(14)은 제1 결속관(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의 내측에 파이프안착턱(1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형 엘보우에 의하면, 엘보우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이 체결관과 체결관안착부의 구비로 더욱 긴밀하게 체결되는 것은 물론, 시공환경이나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와 각도로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를 구성할 수 있음에 따라 배관시공에서 보다 간편한 방식에 의해 길이 연장과 다각도로 형성이 가능한 엘보우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엘보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제1 파이프결속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엘보우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2 파이프결속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식 엘보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엘보우부재의 결합과 길이조절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식 엘보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조립되는 엘보우를 길이 조절은 물론, 다각도로 형성시킬 수 있음에 따라 파이프 배치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되, 각각의 엘보우를 구성하는 구성품이 서로 용이하게 상호결합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를 형성함에도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누수가 없도록 긴밀하게 체결되는 엘보우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엘보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파이프결속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엘보우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2 파이프결속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식 엘보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엘보우부재의 결합과 길이조절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식 엘보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립식 엘보우(100)는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와, 엘보우부재(20);와, 제2 파이프결속부재(30);로 구분구성되어 이들의 상호 결합으로 조립식 엘보우(100)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상기 조립식 엘보우(100)에 기초하여 각 구성요소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면 도 1은 조립식 엘보우(100)의 결합된 형상을 도시화한 것으로, 양 끝단에는 파이프를 내부에 통삽할 수 있는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와 제2 파이프결속부재(30)가 위치되고, 각 엘보우부재(20)로 인해 체결된다.
상기 제1 파이프결속부재(10)는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상세히 나타나 있는바, 먼저 내부에 파이프를 삽착할 수 있는 공간인 제1 통삽구(12)를 구비하는 제1 결속관(11)은 파이프의 형상과 같은 원통의 모양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엘보우는 파이프의 끝단에 장착되어 유체의 이동경로를 변경하여주는 부속품으로 파이프를 결속하여줄 수 있는 삽입구인 제1 통삽구(12)를 구비하는 것이다. 계속하여 상기 제1 결속관(11)의 상면에 형성되는 체결관(14)은 제1 통삽구(12)와 마찬가지로 원형으로 형성되나 그 형태는 약간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체결관(14)을 구성하는 각각의 결속링(15)들은 원형의 링 형태로 외주연에 직사각형의 간격조절구(16)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엘보우부재(20)와 제2 파이프결속부재(30)에 형성된 체결돌기(22)가 통과하기 위한 통로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외주연에 간격조절구(16)가 형성된 결속링(15)은 적층형태로 등간격 배치되는데, 이때 결속링(15)과 결속링(15)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즉, 상기 결속링(15)은 일정한 이격된 공간을 가지면서 등간격 배치되어 결속링(15)과 결속링(15) 사이에 유동홈(17)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체결관(14)의 내측에는 중공부(18)를 형성하여 제1 결속관(11)의 내측에 형성된 제1 통삽구(12)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관(14)은 제1 결속관(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1 결속관(11)의 내측에 파이프안착턱(13)이 형성되도록 한다. 파이프안착턱(13)은 파이프가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도와주며 또한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제1 통삽구(12)의 내측에 삽입된 파이프로부터 흘러나오는 유체를 체결관(14)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18)를 통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엘보우부재(20)는 첨부된 도면 도 3에서 잘 나타나 있는바, 먼저 엘보우부재(20) 또한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는 체결관안착부(23)가 내측에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관안착부(23)의 내벽을 따라 체결돌기(22)가 일정한 등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체결돌기(22)는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의 체결관(14)을 구성하는 결속링(15)에 구비된 간격조절구(16)와 같은 개수로 구비되도록 한다. 계속하여 엘보우부재(20)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관안착부(23)의 하부에는 상기 체결관안착부(2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구비되는 고정턱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체결관안착부(23)의 반대편 일측에는 엘보우체결관(25)이 형성되는데 상기 엘보우체결관(25)은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에 형성된 체결관(14)과 동일한 구조와 크기로 형성된다. 엘보우체결관(25)을 구성하는 각각의 결속링(15)들은 원형의 링 형태로 외주연에 직사각형의 간격조절구(16)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엘보우부재(20)와 제2 파이프결속부재(30)에 형성된 체결돌기(22)가 통과하기 위한 통로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외주연에 간격조절구(16)가 형성된 결속링(15)은 적층형태로 등간격 배치되는데, 이때 결속링(15)과 결속링(15)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즉, 상기 결속링(15)은 일정한 이격된 공간을 가지면서 등간격 배치되어 결속링(15)과 결속링(15) 사이에 유동홈(17)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일측에 체결돌기(22)가 구비된 체결관안착부(23)를 형성하고, 이와 상반되는 반대편 일측에는 다수의 결속링(15)이 적층형태로 취합되어 구비된 엘보우체결관(25)을 형성하되, 둘은 이음관(21)에 의해 서로 이어지도록 하며, 상기 이음관(21)은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이동로(26)을 구비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준다. 따라서, 엘보우부재(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이동로(26)는 일측에 형성된 체결관안착부(23)는 물론, 상기 체결관안착부(23)의 반대편 일측에 형성된 엘보우체결관(25)과도 이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파이프결속부재(30)는 첨부된 도면 도 4에서 잘 도시되어있는바, 그 전체적인 형상은 앞서 설명한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나 구조적으로 상이한 차이를 보인다. 먼저 제2 파이프결속부재(30)도 내부에 파이프를 삽착할 수 있는 공간인 제2 통삽구(32)를 구비하는 제2 결속관(31)은 파이프의 형상과 같은 원통의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파이프의 끝단에 장착되어 결속하여줄 수 있는 삽입구가 제2 통삽구(32)인 것이다. 계속하여 제2 결속관(31)의 상면에 형성되는 삽착관(33)은 제2 통삽구(32)와 마찬가지로 원형으로 형성되나 상기 삽착관(33)의 내주연을 따라 직사각형의 체결돌기(22)가 등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도록 형성하며 이때 체결돌기(22)는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의 체결관(14)을 구성하는 결속링(15)에 구비된 간격조절구(16)와 같은 개수로 구비되도록 하고, 삽착관(33)의 중심은 중공부(18)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삽착관(33)은 앞서 설명한 엘보우부재(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관안착부(23)과 동일한 크기와 구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착관(33) 역시 제2 결속관(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2 결속관(31)의 내측에 파이프안착턱(13)이 형성되도록 한다. 파이프안착턱(13)은 파이프가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도와주며 또한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제2 통삽구(32)의 내측에 삽입된 파이프로부터 흘러나오는 유체를 삽착관(33)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18)를 통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이제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의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와, 엘보우부재(20)와, 제2 파이프결속부재(30)를 바탕으로 체결되는 과정과 방식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 도 5는 본원 발명의 조립식 엘보우(100)를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와, 엘보우부재(20)와, 제2 파이프결속부재(30)로 각각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먼저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관(14)에 엘보우부재(2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관안착부(23)가 체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상기 제1 파이프결속부재(10)과 연결된 엘보우부재(20)의 체결관안착부(23)와 상반되는 반대편 일측인 엘보우체결관(25)은 연장배치되는 새로운 엘보우부재(20)의 체결관안착부(23)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순차적인 결합을 하다가 마지막 엘보우부재(20)의 끝단에 위치하는 엘보우체결관(25)에 제2 파이프결속부재(30)의 상면에 형성된 삽착관(33)이 체결되어 조립식 엘보우(100)로 구성된다.
그 체결방식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우선 첨부된 도면 도 6은 서로 상호결합되는 두 개의 엘보우부재(20)의 결합방식을 자세히 나타낸 엘보우부재의 결합과 길이조절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엘보우부재(20)의 양측면에 구비된 각각의 체결관안착부(23)와 엘보우체결관(25)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안착부(23)에 엘보우체결관(25)이 삽착되는 방식이다. 엘보우체결관(25)을 구성하는 각각의 결속링(15)들은 원형의 링 형태로 외주연에 직사각형의 간격조절구(16)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고 하였는데 상기 간격조절구(16)를 통하여 엘보우안착부(23)의 내주연에 형성된 체결돌기(22)가 진입하여 실질적인 체결이 되는 것이다. 예컨대, 작업자가 엘보우부재(20)의 체결관안착부(23)에 형성된 체결돌기(22)의 방향을 확인할 필요없이 엘보우체결관(25)에 취합시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다보면 결속링(15)의 외주연에 형성된 간격조절구(16)에 체결돌기(22)가 맞아들어가게 되어 쉬운 결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속링(15)은 적층의 형태로 등간격 배치되는데, 결속링(15)과 결속링(15)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결속링(15)은 일정한 이격된 공간을 가지면서 등간격 배치되어 결속링(15)과 결속링(15) 사이에 유동홈(17)을 형성한다고 하였다. 항기 유동홈(17)은 결속링(15)의 외주연에 형성된 간격조절구(16)을 통과한 체결돌기(22)가 유동될 수 있는 길을 제공하여주는 가이드와 같은 역할로서 흔들림과 이탈없이 체결돌기(22)를 바로 잡아주며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엘보우부재(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결속링(15)과 결속링(15) 사이에 마련된 유동홈(17)에 안착된 체결돌기(22)로 인하여 엘보우부재(20)는 자유로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의 결속링(15) 다수를 취합시켜 적층의 형태로 엘보우체결관(25)을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깊이만큼 체결관안착부(23)를 밀어넣을 수 있어 단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엘보우부재(20)와 엘보우부재(20) 사이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6의 a는 엘보우부재(20)의 체결돌기(22)가 구비된 체결관안착부(23)를 엘보우체결관(25)의 첫 단에 결합시켜 엘보우부재(20)와 엘보우부재(20) 사이 공간이 확보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b는 엘보우부재(20)의 체결돌기(22)가 구비된 체결관안착부(23)를 엘보우체결관(25)의 마지맏 단에 결합시켜 엘보우부재(20)와 엘보우부재(20) 사이 공간이 없이 긴밀하게 체결시킨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체결 방식으로 인하여 도 7에서와 같이 각각의 엘보우부재(20)는 물론,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와 제2 파이프결속부재(30) 가지도 길이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각도 조절도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100)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조립방법으로도 외면상으로도 자연스러운 곡면을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18)들도 전혀 부자연스러움 없이 서로 면밀하게 맞닿아 있다. 그리고, 서로 결합되는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와 엘보우부재(20);와 제2 파이프결속부재(30);는 긴밀하게 체결되나 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해 각각의 체결부위에 고무패킹을 삽입하여 체결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체결 후 미세한 홈을 완전히 차단시켜 누수가 없는 완전한 조립식 엘보우(100)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 파이프결속부재 11: 제1 결속관
12: 제1 통삽구 13: 파이프안착턱
14: 체결관 15: 결속링
16: 간격조절구 17: 유동홈
18: 중공부 20: 엘보우부재
21: 이음관 22: 체결돌기
23: 체결관안착부 24: 고정턱
25: 엘보우체결관 26: 이동로
30: 제2 파이프결속부재 31: 제2 결속관
32: 제2 통삽구 33: 삽착관
100: 조립식 엘보우

Claims (6)

  1. 삭제
  2. 적층형태로 하측에 제1 결속관(11)과 상측에 체결관(14)으로 구성되는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와, 일면에 형성된 체결관안착부(23)와, 상기 체결관안착부(23)의 반대측 일면에 형성된 엘보우체결관(25)으로 구성되는 엘보우부재(20);와, 적층형태로 하측에 제2 결속관(31)과 상측에 삽착관(33)으로 구성되는 제2 파이프결속부재(30);로 구분 구성되되, 상기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의 체결관(14)은 엘보우부재(20)의 체결관안착부(23)와 체결되고, 상기 엘보우부재(20)의 엘보우체결관(25)은 제2 파이프결속부재(30)의 삽착관(33)과 체결되는 조립식 엘보우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결속부재(10)는 제1 통삽구(12)를 내측에 구비하여 파이프를 삽착할 수 있도록 하는 원통 형상의 제1 결속관(11)과, 외주연에 간격조절구(16)가 다수 구비된 원형의 결속링(15)이 등간격으로 적층되되 상기 결속링(15)과 결속링(15) 사이 공간에 유동홈(17)을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내측에 중공부(18)를 형성하며 제1 결속관(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관(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부재(20)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위해 내부에 이동로(26)가 구비되는 이음관(21)과, 상기 이음관(21)의 일측 끝단 내면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주연을 따라 다수의 체결돌기(22)가 등간격 배치되는 체결관안착부(23)와, 상기 체결관안착부(23)의 반대측 끝단에 형성되고 외주연에 간격조절구(16)가 다수 구비된 원형의 결속링(15)이 등간격으로 적층되되 상기 결속링(15)과 결속링(15) 사이 공간에 유동홈(17)을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엘보우체결관(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14)을 구성하는 결속링(15)은 등간격 배치됨에 따라 이격된 공간에 유동홈(17)을 다수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동홈(17)에 안착되는 체결돌기(22)로 인해 길이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각도조절이 자유로움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14)은 제1 결속관(1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1 파이프결속부재(10)의 내측에 파이프안착턱(1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
KR1020120056603A 2012-05-29 2012-05-29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 KR101376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603A KR101376428B1 (ko) 2012-05-29 2012-05-29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603A KR101376428B1 (ko) 2012-05-29 2012-05-29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394A KR20130133394A (ko) 2013-12-09
KR101376428B1 true KR101376428B1 (ko) 2014-03-19

Family

ID=4998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603A KR101376428B1 (ko) 2012-05-29 2012-05-29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4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222B1 (ko) * 2002-06-19 2004-07-14 (주) 다정 홍삼 음료
KR102189321B1 (ko) * 2019-05-29 2020-12-09 하이닥트 주식회사 주름관의 관절부 클로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3342A (zh) * 2016-08-23 2018-03-06 德梅斯特(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管道系统及管道连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3342B1 (en) 1991-05-07 1996-10-30 Joti Vvs A/S An adjustable pipe bend for drain pipes
JPH1030770A (ja) * 1996-05-15 1998-02-03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KR0128056Y1 (ko) * 1993-06-11 1998-12-01 김광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샤프트
KR20000021090U (ko) * 1999-05-20 2000-12-15 박옥수 호스의 커플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3342B1 (en) 1991-05-07 1996-10-30 Joti Vvs A/S An adjustable pipe bend for drain pipes
KR0128056Y1 (ko) * 1993-06-11 1998-12-01 김광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샤프트
JPH1030770A (ja) * 1996-05-15 1998-02-03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KR20000021090U (ko) * 1999-05-20 2000-12-15 박옥수 호스의 커플링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222B1 (ko) * 2002-06-19 2004-07-14 (주) 다정 홍삼 음료
KR102189321B1 (ko) * 2019-05-29 2020-12-09 하이닥트 주식회사 주름관의 관절부 클로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394A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5912B2 (en) Snap-on tube and pipe support clamp
KR101376428B1 (ko) 길이와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엘보우
KR200473891Y1 (ko) 배관 고정구
KR101376361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 조립구조
RU2013132390A (ru) Впуск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17538073A (ja) パイプ連結装置
EP2730830B1 (en) Pipe pre-fixing sound-insulating clamp
GB2585736A (en) Flow characteristic control using tube inflow control device
CA3017218A1 (en) Valve support apparatus
KR101376448B1 (ko) 전방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의 조립구조
KR10142433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엘보우
US20090057497A1 (en) Innovative Duct Bank Spacer
US20160109039A1 (en) Tube and locking cap assembly for axially aligning and supporting elongate members
JP6465881B2 (ja) 配管の連結システム
KR20140005173U (ko)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EP3076101A3 (en) Heat exchanger and assembly of a heat exchanger and a burner
RU18456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центрирования труб
KR101985225B1 (ko) 더미 스풀
JP2021076159A5 (ko)
CN204153406U (zh) 一种拍摄设备套件中的底座
ITMI20110319U1 (it) Impianto per il trattamento di aria, in particolare per il condizionamento di ambienti
JP5777097B2 (ja) 集合住宅の給水立管の耐圧試験方法
KR20180103439A (ko) 덕트 고정 장치
JP6689647B2 (ja) 管状体支持ユニット
KR20140028815A (ko) 가변형 관체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