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307B1 -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307B1
KR101375307B1 KR1020130128832A KR20130128832A KR101375307B1 KR 101375307 B1 KR101375307 B1 KR 101375307B1 KR 1020130128832 A KR1020130128832 A KR 1020130128832A KR 20130128832 A KR20130128832 A KR 20130128832A KR 101375307 B1 KR101375307 B1 KR 101375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folding
ventilation window
roof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봉
Original Assignee
(주)두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진건설 filed Critical (주)두진건설
Priority to KR1020130128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지로 시공되는 비닐하우스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비닐하우스의 온도유지를 위하여 지붕에 일측에서 절첩되면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절첩환기창이 비닐하우스의 크기 또는 작물의 재배조건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환기상태를 감안하여 일정한 환기창의 크기로 적용이 가능토록 할 수 있고, 이러한 것이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비닐지의 손상이 없으면서도 누수의 우려도 없이 구현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A VINYL HOUSE}
본 발명은 비닐지로 시공되는 비닐하우스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비닐지가 덮여진 상태에서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유지를 위하여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면서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구비토록 하고, 상기 절첩환기창이 비닐하우스의 크기 또는 작물의 재배조건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환기상태를 감안하여 일정한 크기로 비닐하우스의 지붕의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적용이 가능토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절첩환기창이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설치가능하면서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비닐지의 손상이 없으면서도 열림의 단속을 제한하면서도 누수의 우려도 없이 구현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안정적인 생육을 위하여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는 환기가 필수적인데 이러한 환기의 방식으로는 통상 측면 윈도우(Windows)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측면 윈도우에 의하여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가장자리에 있는 공기는 원활하게 환기시킬 수는 있지만, 비닐하우스 내부의 상측, 특히 지붕에 위치된 공기의 환기 효율이 현저하게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가온된 공기가 비중이 낮아 상승하게 됨으로 지붕에 다양한 방식의 환기창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중의 하나는 지붕에 환기창을 수직에 가깝게 형성한 후 그 상부를 개폐하여 외부의 기류의 흐름에 따라 바깥쪽 공기가 안쪽으로 또는 안쪽 공기가 바깥쪽으로 자연통풍되도록 하고 이러한 기류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형태의 환기창을 복수개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문제점은 외부의 기류의 변화에 따라 차가운 공기가 급속하게 교환될 경우에 갑작스런 기후 변화에 따라 작물에 스트레스를 주게 되어 생육에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고, 이러한 수직구조의 환기창은 비닐하우스의 지붕의 구조를 변경시켜야 함은 물론 사용빈도에 의한 내구 수명에 따라 각 구조의 유격이 발생됨으로써 덜 닫히는 문제로 환기창의 틈새로 보온력이나 누수가 따르게 되는 문제로 인하여 비닐지로 시공되는 비닐하우스에서의 실내온도를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비닐하우스의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면서 경사지게 개폐토록 하는 절첩환기창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으로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피스톤과 실린더의 구조와 또는 기어물림에 의한 회동으로 지지대의 승강으로 개폐토록 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문제점은 비닐하우스의 지붕에 절첩환기창을 구비하기 위하여는 비닐하우스의 지붕의 구조를 절첩환기창의 개폐를 위한 구조로 변경하여 절첩환기창을 설치하여야 함으로 그 크기의 다양성 즉 비닐하우스의 지붕의 전체를 개폐토록 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비닐지를 사용한 상태에서 비닐지의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누수의 우려가 존재하다라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외부의 환경조건(강풍 등)에 의하여 비닐하우스의 골격의 변화가 발생될 경우에는 절첩환기창의 위치변화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과 이러한 절첩환기창의 설치는 그 시공이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단순 조립에 의하여는 설치가 불가능하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설치는 물론 유지보수에 상당히 곤란한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다.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10-0250966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56378호 출원번호: 10-2006-0035608 “2중 비닐하우스용 자동통풍기” 출원번호: 20-2004-0024595 “비닐하우스용 구동력 환풍기” 출원번호: 20-2005-0032547 “비닐하우스용 통풍기” 출원번호: 20-2007-0006869 “비닐하우스용 환풍기” 공개특허 10-2012-0017761 출원번호: 20-2006-002809 [0007] “비닐하우스용 통풍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닐하우스의 골격이나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비닐지를 그대로 사용한 상태에서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는 절첩환기창의 크기를 비닐하우스의 크기 또는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환기율을 감안하여 간단한 조립으로 다양한 크기로 설치가 가능하고 이러한 절첩환기창이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만곡되어진 다단의 횡대와 직교하게 장착되는 다단의 종대로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다단의 횡대의 만곡되어진 정점에 상기 정점을 가로질러 하나의 종대를 장착토록 한 후 상기 종대에 비닐하우스를 덮어주는 비닐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쫄대가 상면에 장착되는 사각대를 종대의 상측으로 지지간에 의하여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장착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종대에는 베어링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을 감싸면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홀더에는, 상기 쫄대에 의하여 고정되는 비닐지가 연장된 상태에서 비닐지가 덮여진, 절첩환기창을 형성하는 후레임의 일측변이 장착연결되는 것이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절첩환기창을 형성하는 후레임의 일측변과 대응되는 타측변에는 직하방으로 구동랫치에 의하여 승강되는 랫치바를 장착하여 구동랫치의 구동에 의하여 랫치바가 승강되면서 절첩환기창을 형성하는 후레임의 일측변이 베어링에 의하여 절첩되면서 개폐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랫치의 구동에 의하여 절첩되는 절첩환기창이 비닐하우스의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후레임의 타측변에는 브라켓을 장착하고, 상기 브라켓에 유동가능하게 축에 의하여 치차를 구비한 만곡되어진 랫치바를 장착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랫치바의 상하 승강을 위한 구동랫치는 상기 랫치바의 치차와 맞물리는 맞물림치차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랫치는 구동바에 장착되어 구동바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서 이러한 구동바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랫치가 회전되면 구동랫치와 맞물려 있는 랫치바가 단계적으로 상하로 강제로 승강되면서 절첩환기창이 비닐하우스의 지붕의 전체에는 물론 일부분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면서 개폐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랫치의 구동에 의하여 절첩환기창이 일측으로 정확하게 절첩토록 하기 위하여 절첩환기창을 형성하는 후레임의 일측변이 베어링의 홀더에 받쳐진 상태에서 홀더와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이 다단의 횡대의 정점에 위치되는 종대에 장착되어 회동됨으로 비닐하우스의 지붕의 골격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절첩환기창의 장착을 용이토록 함은 물론 절첩환기창의 크기가 변화할 경우에도 비닐하우스의 지붕의 골격의 변화가 없이도 설치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구동랫치도 다단의 횡대의 정점을 기준으로 정점의 하측의 하단에 연결부속에 의하여 구동바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바는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구동수단의 구동력이 구동바를 구동토록 하면 구동바에 장착된 구동랫치가 회전되면서 구동랫치에 맞물림되어진 랫치바가 상하로 승강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비닐하우스의 기본 골격의 변화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결부속에 의하여 구동바가 횡대에 조립 장착됨으로 설치와 수선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결부속을 다단의 횡대에 의하여 이동시킴에 의하여 절첩환기창의 크기변화가 용이하게 되면서도 구동랫치의 장착이나 구동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절첩환기창은 필요시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다단의 횡대와 다단의 종대가 교차되면서 구비되는 구획칸을 활용하여 다양한 크기로 절첩환기창이 설치됨으로 이러한 구획칸을 형성하는 외곽라인을 덮어줄 수 있도록 절첩환기창의 후레임의 외곽테두리에 탄성재질의 날개(고무판 등)를 장착함으로서 절첩환기창을 닫았을 경우에 비닐하우스의 비닐지를 따라흐르는 빗물등이 비닐하우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긴밀한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비닐하우스 또는 지붕의 구조를 2중구조로 구현토록 할 경우에는 내측의 지붕에 덮여지는 비닐지에 렛치바가 출입할 수 있도록 관통홀을 구비토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관통홀이 만곡되어진 래칫바의 출입을 위한 크기로 절취되어짐으로서 인장력의 저하 방지는 물론 비닐지의 손상방지와 안정적인 가이드를 위하여 상하로 조립되는 가이드 틀을 장착토록 하고, 이러한 내측의 지붕도 다단으로 분리되어 개폐가능토록 함으로서 환기를 위한 다양한 위치의 선택과 개폐폭을 적용함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환기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지붕에 형성되는 절첩환기창이 종대의 직상부로 일정간격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사각대에 의하여 절첩환기창이 절첩될 경우 특히 열림시 절첩환기창을 형성하는 후레임이 사각대와 밀착되면서 열림 상태를 간단하게 단속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사각대의 상면에 쫄대가 장착됨으로 비닐하우스를 덮어주고 있는 비닐지가 상기 쫄대에 의하여 장착고정됨으로 사각대의 하단에 위치되어 절첩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의 개폐시 절첩환기창을 덮고 있는 비닐지가 사각대를 덮고 있는 비닐지와 이격되어짐으로 절첩환기창이 열림시 비닐하우스의 지붕을 덮고 있는 비닐지의 이격된 부분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비닐지의 손상이 없으면서도 절첩환기창의 개폐시 열림상태를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절첩환기창이 비닐하우스의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토록 하기 위하여 절첩환기창을 형성하는 후레임의 일측변이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다단의 횡대의 상측에 장착되는 종대를 축으로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절첩유도베어링이 절첩환기창의 후레임을 형성하는 일측변과 연결토록 하기 위한 홀더와 상기 홀더와 일체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되는 홀더본체에 의하여 베어링이 감싸여지게 형성됨으로 베어링이 종대에 장착되어 회동될 경우에 절첩환기창의 하중에 의한 보강은 물론 홀더에 전달되는 절첩환기창의 하중을 베아링에서 동시에 균일하게 분산토록 함으로서 간단하면서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홀더본체를 베어링을 감싸는 부와 상기 베어링을 감싸는 부에서 일체로 연결되어지는 연결간과 상기 연결간에 장착되는 홀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간에는 홀더와 홀더본체와의 연결시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감싸는 부는 좌우변을 일정간격으로 절개하여 절곡편을 형성함으로서 베어링을 감싸게 되는 것이고, 홀더는 절첩환기창의 후레임을 형성하는 일측변의 밑면과 좌우면을 감쌀 수 있도룩 격벽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절첩환기창이 절첩토록 하면서 절첩환기창의 열림을 단속하게 되면서 동시에 비닐지를 덮어주게 되는 쫄대가 장착되는 사각대는 종대와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종대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르면서 감싸게 되는 만곡누름부와 만곡누름부의 상측으로 이격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사각대를 수용토록 하는 수용부를 형성하고, 수용부는 양측으로 격벽을 형성하여 사각대의 수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지지대를 사용하여 종대의 장착고정을 용이토록 하면서 동시에 사각대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사각대가 열림의 단속을 위한 스토퍼의 기능과 스토퍼의 기능을 보강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상태에 따라 절첩환기창의 크기를 지붕에 일측으로 또는 양측으로 또는 전체 또는 일정부분에 일정한 크기로 선택적으로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설치 또는 설치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절첩환기창이 개폐시 비닐하우스를 덮어주는 비닐지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면서도 철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절첩환기창을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다단의 횡대와 종대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획칸의 외곽라인을 덮어주게 형성토록 한 후 상기 절첩환기창의 후레임을 형성하는 테두리에 탄성날개를 장착함으로서 닫힌 상태에서는 비닐지와의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절첩환기창의 개폐가 만곡된 랫치바에 의한 개폐로 2중 구조의 비닐하우스의 지붕이 외측의 지붕과 내측의 지붕이 작은 공간고 적은 파워만으로도 절첩환기창의 개폐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랫치바의 구동을 위한 구동랫치가 구동바에 의하여 구동되고 구동바의 장착이 횡대에서의 탈착가능하게 장착됨으로 비닐하우스의 골격의 변화가 없이도 장착의 용이성과 작동의 안정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비닐하우스의 지붕이 내측와 외측의 2중구조로 형성하면서도 내측의 지붕이 좌우로 구분되어 단계적으로 개폐되어짐으로 내측의 지붕의 개폐를 열이 많은 부분을 집중적으로 환기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균일한 비닐하우스의 내부의 온도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절첩환기창의 장착이 지지대를 사용하여 장착되는 종대를 축으로 회전됨으로 절첩환기창이 절첩되게 장착되는 종대의 고정과 이러한 절첩환기창이 종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서 지지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사각대에 비닐지가 고정된 상태에서의 절첩환기창의 절첩이 용이하게 되면서도 절첩환기창이 열림시 열림의 정도를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지지대의 사용에 의하여 다단의 횡대의 정점에 종대의 장착이 용이토록 되면서 종대의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사각대가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되면서도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의 지붕에 절첩환기창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비닐하우스의 전체적인 골격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절첩환기창의 후레임의 일측변에 절첩환기창이 종대를 축으로 절첩유도를 위한 베어링의 홀더가 조립되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첩환기창의 절첩개폐를 유도하는 랫치바와 구동랫치의 조립구조도.
도3a는 본 발명의 렛치바가 절첩환기창의 타측변에 장착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첩환기창이 비닐하우스의 종대와 횡대로 인하여 구획되는 구획칸의 외곽라인을 덮어주면서 긴밀한 기밀유지를 위한 장착상태도,
도4a는 도4의 긴밀한 기밀유지를 위한 날개가 장착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의 지붕이 스페이스바에 의하여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비닐지가 절첩환기창의 개폐시 접혀짐과 펼쳐지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베어링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나타낸 조립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랫치바가 내측의 지붕을 형성하는 비닐지에 장착된 가이드 틀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상태도,
도8a는 도8의 가이드틀의 조립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종대와 비닐지가 장착되는 사각대의 이격을 위하여 사용되는 지지대의 외관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지지대가 종대를 감싸면서 횡대에 고정되고, 종대의 상측으로 사각대를 수용한 상태에서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11은 본 발명의 지지대에 사각대가 장착된 상태도.
도12는 본 발명의 지지대의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구동바가 구동수단과 연결된 상태도.
도14는 본 발명의 구동바가 장착된 연결부속이 클램프에 의하여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횡대에 장착된 상태도.
도15는 본 발명의 렛치바가 유동되는 상태도.
도16은 본 발명의 절첩환기창의 일 실시 예의 조립도.
도17은 본 발명의 구동렛치가 커버판에 조립된 상태도.
도18은 본 발명의 절첩환기창이 닫힌 상태에서 기밀유지됨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비닐하우스의 크기에 따라 적당하게 벤딩되어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만곡된 다단의 횡대(10,10a,…)와 상기 다단의 횡대(10,10a,…)와 직교하게 장착되면서 거의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종대(20,20a,…)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갖는 지붕(1)을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벤딩되어 만곡되게 구부러진 다단의 횡대(10,10a,…)의 만곡되어진 정점의 상측에 교차되게 하나의 종대(20)를 장착하고, 상기 종대(20)에는 절첩환기창(30)의 회동요소로 사용되는 베어링(4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40)에는 베어링(40)을 감싸면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홀더(41)룰 구비하고, 상기 홀더(41)에는 절첩환기창(30)을 형성하는 후레임의 일측변(31)이 장착되어 절첩환기창이 종대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사각대의 상면에 장착되는 쫄대에 의하여 고정되는 비닐지(100)가 연장된 상태에서 절첩환기창(30)의 상면에도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절첩환기창(30)의 개폐시에도 비닐지(100)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절첩환기창(30)을 형성하는 후레임의 일측변(31)과 대응되는 타측변(32)의 직하방으로는 구동랫치(50)에 의하여 맞물림되어 승강되는 랫치바(60)를 장착하여 구동랫치(50)의 구동에 의하여 랫치바(60)가 승강되면서 상기와 같이 절첩환기창(30)을 형성하는 후레임의 일측변(31)이 회동요소로 사용되는 베어링(40)에 의하여 종대(20)를 축으로 회전되면서 절첩되면서 개폐토록 한 것이다.
이때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랫치(50)의 구동에 의하여 렛치바(60)가 승강되면서 절첩되는 절첩환기창(30)이 비닐하우스의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후레임의 타측변(32)에는 브라켓(61)을 장착하고, 상기 브라켓(61)에 유동가능하게 축(62)를 구비하고, 상기 축(62)에 의하여 직하방으로 치차(63)를 구비한 랫치바(60)를 유동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다.
이때 렛치바(60)는 판상의 좌우변을 직립되게 절곡하여 저중량이면서도 보강이 가능토록 하고, 이러한 절곡에 의한 랫지바의 격벽(64)을 형성한 후 상기 격벽의 상단으로 각각 치차(63)를 구비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치차(63)가 구비된 격벽(64)의 사이에는 공간(65)을 구비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65)에 의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렛치(50)가 구동바(51)와 연동을 위하여 구동렛치(50)에 구동바(51)가 끼임된 상태에서 조임요소(52)로 조임되어지는 구동렛치몸통(53)을 수용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렛치바(60)의 상하 승강을 유도하는 구동렛치(50)는 상기 랫치바(60)의 치차(63)와 맞물리는 맞물림치차(54)를 구비하고, 구동렛치(50)를 구동토록 하기 위하여 구동바(51)를 구동렛치(50)에 관통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맞물림치차(54)를 양측으로 이격되게 형성토록 한 후 그 중앙에 구동렛치몸통(53)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구동렛치몸통(53)에는 조임요소(52)를 구비하여 조임요소(52)의 조임에 의하여 구동렛치(50)에 관통되게 끼워진 구동바(51)를 고정토록 함으로서 구동바(51)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렛치(50)가 연동되는 것이다.
또한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렛치(50)는 대응되게 절곡되어진 커버판(55)의 커버의 내공간에 위치되어지고, 그 상태에서 커버판(55)에는 관체(56)를 구비하여 구동렛치(50)를 회동가능하면서 정위치에 고정토록 하고, 이때 정위치 고정을 위하여 맞물림치차(54)가 관체(56)에 걸림되어져 회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관체(56)는 커버판(55)과 동일재질이거나 또는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가능하면 구동렛치(50)가 금속일 경우에 회동시 마찰력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재질의 특성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관체(56)가 커버판(55)과 다른 재질로 조립될 경우에는 관체(56)가 커버판(55)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56a)이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커버판(55)에 의하여 형성되는 커버의 내공간에 구동렛치(50)가 위치되는 것이고, 이러한 구동렛치(50)의 맞물림치차(54)에 렛치바(60)의 치차(63)가 맞물림되는 것이다.
이때 커버판(55)의 하단 즉 구동렛치(50)의 하단에는 렛치바(60)의 치차(63)가 구동렛치(50)의 맞물림치차(54)와 맞물림된 상태에서 커버판(55)의 내공간에서 용이한 승강을 유도하기 위하여 렛치바(60)의 진입방향과 진출방향에 각각 가이드롤러(57)가 장착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가이드롤러(57)는 렛치바(60)와 마찰될 경우에 소음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개폐되는 절첩환기창(30)의 절첩을 위한 렛치바(60)가 정확하게 승강되어지는 것이고 맞물림 또한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판(55)으로 보호되어지는 구동렛치(50)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구동바(51)는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구비하는 횡대(10a)의 하단에 위치되면서 횡대(10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부속(58)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부속(58)이 클램프(59)에 의하여 조임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속(58)은 횡대(10a)와 클램프(59)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부속(58)에는 베어링이 장착되어 구동바(51)가 구동수단(200)에 의하여 구동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속(58)은 가능하면 구동바(51)의 양단에 장착되어져 정확한 수평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구동바(51)는 일단에는 별도의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수단(200)과 연결되어 구동수단(200)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바(51)가 정회전과 역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수단(200)에 의하여 구동바(51)가 정회전이나 역회전을 하게 됨으로 이러한 구동바(51)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바(51)와 조임요소(52)에 의하여 고정되어져 연결된 구동렛치(50)가 연동되게 회전되면 구동렛치(50)를 수용하고 있는 커버판(55)에 의하여 구동렛치(50)의 맞물림치차(54)와 렛치바(60)의 치차(63)의 맞물림이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정확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렛치(50)의 구동에 의하여 렛치바(60)의 승강에 따라 절첩환기창(30)이 일측으로 정확하게 절첩토록 하기 위하여 절첩환기창(30)을 형성하는 후레임의 일측변(31)이 축회전토록 하기 위하여 회동요소로 사용되는 절첩유도베어링(40)은 절첩환기창(30)을 형성하는 후레임의 일측변(31)을 받쳐주게 되는 홀더(41)가 절첩유도베어링(4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홀더(41)와 일체로 형성된 절첩유도베어링(40)은 다단의 횡대(10,10a,…)의 정점에 위치되어 장착되는 종대(20)에 끼임된 상태로 장착되어 회동토록 되는 것이어서 비닐하우스의 지붕의 골격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절첩환기창(30)의 절첩을 위한 장착을 용이토록 하게 되는 것이고, 동시에 절첩환기창(30)의 크기가 변화할 경우에도 절첩유도베어링(40)의 갯수만 증가토록 함으로서 비닐하우스의 지붕의 골격의 변화가 없이도 지붕의 전체로도 절첩환기창(30)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절첩환기창(30)은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다단의 횡대와 다단의 종대가 교차되면서 구비되는 구획칸(11)을 활용하여 다양한 크기로 절첩환기창(30)이 설치되고, 이러한 구획칸(11)을 형성하는 횡대와 종대의 외곽라인(12)을 덮어줄 수 있도록 절첩환기창(30)의 후레임의 외곽테두리에 탄성재질의 날개(33)(고무판 등)를 하향되면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장착함으로서 절첩환기창(30)을 닫았을 경우에 비닐하우스의 비닐지를 따라 흐르는 빗물등이 비닐하우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긴밀한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날개(33)의 장착은 절첩환기창을 덮어주는 비닐지를 쫄대(34)를 이용하여 고정할 경우에 쫄대의 하단에 위치토록 한 후 쫄대에 의하여 고정토록 함으로서 비닐지(100)의 고정과 동시에 날개(33)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날개(33)로 인하여 절첩환기창에 덮여진 비닐지에서 흐르는 빗물등이 날개의 외부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단의 횡대의 상면과 다단의 횡대(10)를 가로질러 쫄대(14)가 장착되어 비닐지(100)가 상기 쫄대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이고, 그 상태에서 구획되는 구획칸의 외곽테두리의 외측(내측은 절첩환기창이 덮여지게 개구되어지는 부분임)을 감싸게 되면서 날개(33)가 덮어지는 것이다.
또한 비닐하우스 또는 지붕의 구조를 2중구조로 구현토록 할 경우에는 내측의 지붕(2)에 덮여지는 비닐지(100a)에 렛치바(60)가 출입할 수 있도록 관통홀(3)을 구비토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관통홀(3)이 래칫바(60)의 출입을 위한 그 이상의 크기로 절취되어짐으로서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비닐지(100a)의 인장력에 의하여 비닐지(100a)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안정적인 가이드는 물론 비닐지(100a)의 인장력이 유지되도록 상하로 조립되는 가이드 틀(70)을 장착토록 하고, 이러한 내측의 지붕(2)도 다단으로 분리되어 개폐가능토록 함으로서 환기를 위한 다양한 위치의 선택과 개폐폭을 적용함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환기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닐지(100a)의 관통홀(3)의 절취가 너무 크게 형성될 경우에는 비닐지(100a)의 팽팽한 당김에 의하여 임의적인 찢어짐이 발생될 수 있어 상기한 관통홀(3)에 가이드홀(91)이 구비되는 상하로 조립되는 가이드 틀(90)이 장착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 틀(90)은 고정틀(91)과 작동틀(92) 및 캡(93)으로 구분되고, 고정틀에는 후렌지(91a)의 중앙에 비닐지의 관통홀에 끼움토록 하기 위한 돌출부(94)가 돌출형성되어지고, 돌출부의 하단에는 후렌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끼움돌편(94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틀의 돌출부에 끼움되어져 회동되는 작동틀은 돌출부에 끼움토록 하기 위한 끼움홀(95)과 끼움홀의 내측으로는 끼움돌편에 끼움토록 하기 위한 개구부(95a)가 형성되는 날개(96)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는 작동틀의 회전작동시 고정틀의 돌출부에 끼워져 후렌지에 받쳐지는 비닐지를 가압하기 위한 경사면(96a)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경사면의 후단에는 스토퍼(97)가 형성되어 더이상의 조임시에도 회전되어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틀의 돌출부에 끼워지기 위한 끼움홀은 내벽테두리(98)를 형성하여 밀착면을 크게 하게 되는 것이고, 외벽테두리(99)는 작동틀의 작동시 조작이 용이토록 하면서 전체적인 외관을 부드럽게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립된 가이드틀(90)에는 렛치바(60)가 끼움되어지는 개구홀(93a)이 형성된 캡(93)이 장착되어 렛치바의 안정적인 가이드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지붕에 형성되는 절첩환기창(30)이 종대(20)의 직상부로 지지간(7)에 의하여 일정간격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사각대(5)에 의하여 절첩환기창이 절첩될 경우 특히 열림시 절첩환기창(30)을 형성하는 후레임이 사각대(5)와 밀착되면서 열림 상태를 간단하게 단속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사각대(5)의 상면에 쫄대(6)가 장착됨으로 비닐하우스를 덮어주고 있는 비닐지가 상기 쫄대(6)에 의하여 장착고정됨으로 절첩환기창(30)의 개폐시 절첩환기창(30)을 덮고 있는 비닐지가 사각대(5)의 상면을 덮어주면서 쫄대(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비닐지와 이격되어짐으로 절첩환기창(30)이 열림시 비닐하우스의 지붕을 덮고 있는 비닐지의 이격된 부분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비닐지의 손상이 없으면서도 절첩환기창의 개폐시 열림상태를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절첩환기창이 비닐하우스의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토록 하기 위하여 절첩환기창을 형성하는 후레임의 일측변(31)이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다단의 횡대의 상측에 장착되는 종대를 축으로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절첩유도베어링(40)은 절첩환기창의 후레임을 형성하는 일측변(31)과 연결토록 하기 위한 홀더(41)와 상기 홀더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되는 홀더본체(42)에 의하여 감싸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절첩유도베어링(40)이 종대(20)에 장착되어 회동될 경우에 절첩환기창(30)의 하중에 의한 보강은 물론 홀더(41)에 전달되는 절첩환기창(30)의 하중을 절첩유도베아링(40)에서 동시에 균일하게 분산토록 함으로서 간단하면서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홀더본체(42)를 절첩유도베어링을 감싸는 부와 상기 절첩유도 베어링(40)을 감싸는 부에서 일체로 연결되어지는 연결간(43)과 상기 연결간(43)에 장착되는 홀더(41)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간(43)에는 홀더(41)와 홀더본체(42)와의 연결시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44)가 형성되고, 감싸는 부는 좌우변을 일정간격으로 V홈으로 절개하여 다수개의 절곡편(45)을 형성함으로서 원형의 절첩유도베어링(40)을 정확하고 균일하게 감싸게 되는 것이고, 상기 홀더(41)는 절첩환기창(30)의 후레임을 형성하는 일측변(31)의 후레임을 형성하는 밑면과 좌우면을 받쳐주면서 감쌀 수 있도룩 외벽(41a)을 갖도록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절첩환기창(30)이 절첩토록 하면서 절첩환기창(30)의 열림을 단속하게 되면서 동시에 비닐지를 덮어주게 되는 쫄대(6)가 장착되는 사각대(5)는 종대(20)와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장착하기 위한 지지간(7)을 상기 종대(2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르면서 감싸게 되는 만곡누름부(71)와 상기 만곡누름부(71)의 상측으로 이격공간부(72)를 형성하면서 사각대(5)를 수용토록 하는 수용부(73)를 형성하고, 수용부(73)는 양측으로 격벽(74)을 형성하는 지지대(70)를 사용함으로서 사각대(5)의 수용은 물론 만곡되어진 횡대(10,10a…)의 정점에 종대(20)의 고정이 용이하면서 종대(20)와 사각대(5)를 일정거리 이격이 용이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종대(20)를 감싸게 되는 만곡누름부(71)의 외측으로는 벌어짐편(75)이 형성되어 횡대(10,10a…)의 정점에 장착고정이 용이하면서 지지대(7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지지대(70)를 사용하여 횡대(10,10a…)에 종대(20)의 장착고정을 용이토록 하면서 동시에 사각대(5)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사각대(5)가 열림의 단속을 위한 절첩환기창(30)의 스토퍼의 기능과 스토퍼의 기능을 보강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비닐하우스 또는 지붕이 2중의 구조를 취할 경우에 상기 외측의 지붕(1)의 내측으로 적당하게 벤딩되어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만곡된 다단의 횡대(10',10a',…)와 상기 만곡된 다단의 횡대(10',10a',…)와 직교하게 장착되면서 거의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종대(20',20a',…)로 이루어지는 내측의 지붕(2)으로 구성하고, 이때 내측의 지붕(2)은 외측의 지붕(1)과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일정공간의 형성은 상기 적당하게 벤딩되어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만곡되어지는 외측의 지붕(1)을 형성하는 다단의 횡대(10,10a,…)와 내측의 지붕(2)을 형성하는 다단의 횡대(10',10a',…)의 사이에 즉 외측의 지붕(1)과 내측의 지붕(2)의 사이가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스페이서 바(4)를 수직으로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스페이서 바(4)는 외측의 지붕(1)을 형성하는 횡대의 하단을 받쳐주게 되고 내측의 지붕의 횡대의 상단을 감싸게 되면서 조립되어져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닐하우스의 내측의 지붕(2)은 외측의 지붕(1)과 스페이서 바(4)를 이용하여 일정간격이 이격토록 되고, 상기 스페이서 바(4)에 의하여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내측의 지붕(2)이 외측의 지붕(1)에 형성되는 절첩환기창(30)이 개폐될 경우에 비닐하우스의 내공간의 통기 상태를 조절토록 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구분되어지게 내측의 지붕(2)이 일정간격으로 좌우로 등분(2,2a)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좌우로 등분된 내측의 지붕(2,2a)이 풀림과 감김에 의하여 등분된 내측의 지붕(2,2a)을 부분적으로 개폐토록 하여 좌우로 등분된 내측의 지붕(2,2a)이 좌우로 등록된 내측의 지붕(2,2a)의 펼쳐지는 위치와 펼쳐지는 정도에 따라 비닐하우스의 내공간의 환기상태가 변화되면서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일조량의 차이에 따라 비닐하우스의 환기는 물론 실내온도의 일정한 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좌우로 등분된 내측의 지붕(2)은 4개의 권취롤(8,8a)을 이용하여 좌우로 2개씩 구분하여 권취롤(8,8a)에 비닐지(100a)가 권취된 상태에서 권취롤(8,8a)의 감김과 풀림에 의하여 좌우로 등분된 내측의 지붕(2)이 개폐토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함으로서 비닐하우스의 내공간의 일조량의 변화에 따라 가온된 공기가 몰리게 되는 부분을 적당하게 선택적으로 개폐토록 함으로서 항상 일정한 온도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로 등분된 내측의 지붕(2)에 좌우로 대응되게 설치된 각각의 권취롤(8,8a)은 브레이크모터(300)에 의하여 권취롤(8,8a)이 정회전이나 역회전되면서 권취롤(8,8a)에 권취되어진 비닐지(100a)가 풀리거나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권취롤(8,8a)은 내측의 지붕(2)을 형성하는 만곡되어진 횡대(10'10a'…)의 상측면에 위치되어져 비닐지(100a)를 감김과 풀림에 의하여 내측의 지붕을 개폐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좌우로 등분된 내측의 지붕(2)의 만곡되어진 횡대(10'10a'…)의 상측면에 위치되어진 상단의 권취롤(8)에 감겨져 감김과 풀림되어지는 비닐지는 상하 승강은 하단의 권취롤(8a)에 의하여 일정부분이 펼쳐져 있는 비닐지와 중첩토록 되는 하단의 비닐지는 필요에 따라 하단까지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1:외측의 지붕 2:내측의 지붕
3:관통홀 4:스페이서 바
5:사각대 6:쫄대
7:지지간 8:권취롤
10:횡대 11:구획칸
12:외곽라인
20:종대
30:절첩환기창 31:일측변
32:타측변

Claims (2)

  1.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비닐하우스의 크기에 따라 벤딩되어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만곡된 다단의 횡대(10,10a,…)와 상기 다단의 횡대(10,10a,…)와 직교하게 장착되면서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종대(20,20a,…)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갖는 지붕(1)을 비닐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벤딩되어 만곡되게 구부러진 다단의 횡대(10,10a,…)의 만곡되어진 정점의 상측에 교차되게 하나의 종대(20)를 장착하고,
    상기 종대(20)에는 절첩환기창(30)의 회동요소로 사용되는 절첩유도 베어링(40)은 절첩환기창의 후레임을 형성하는 일측변(31)과 연결토록 하기 위한 홀더(41)와 상기 홀더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연결되는 홀더본체(42)에 의하여 감싸여지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본체(42)를 절첩유도베어링을 감싸는 부와 상기 절첩유도 베어링(40)을 감싸는 부에서 일체로 연결되어지는 연결간(43)과 상기 연결간(43)에 장착되는 홀더(41)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간(43)에는 홀더(41)와 홀더본체(42)와의 연결시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44)가 형성되고,
    감싸는 부는 좌우변을 일정간격으로 V홈으로 절개하여 다수개의 절곡편(45)을 형성함으로서 원형의 절첩유도베어링(40)을 정확하고 균일하게 감싸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1)는 절첩환기창(30)의 후레임을 형성하는 일측변(31)의 후레임을 형성하는 밑면과 좌우면을 받쳐주면서 감쌀 수 있도룩 외벽(41a)을 갖도록 형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KR1020130128832A 2013-10-28 2013-10-28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KR101375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832A KR101375307B1 (ko) 2013-10-28 2013-10-28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832A KR101375307B1 (ko) 2013-10-28 2013-10-28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809A Division KR101375310B1 (ko) 2013-09-13 2013-10-28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307B1 true KR101375307B1 (ko) 2014-03-19

Family

ID=5064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832A KR101375307B1 (ko) 2013-10-28 2013-10-28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218B1 (ko) * 2020-07-07 2020-11-27 김태식 스마트 천창 개폐 시스템을 포함하는 온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5291A (ja) * 1994-03-28 1995-10-09 Tomita Tekkosho:Kk 2層構造のビニル温室
JP2004187578A (ja) 2002-12-11 2004-07-08 Ishiguro Nouzai Kk 温室天窓用害虫侵入防止装置及び温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5291A (ja) * 1994-03-28 1995-10-09 Tomita Tekkosho:Kk 2層構造のビニル温室
JP2004187578A (ja) 2002-12-11 2004-07-08 Ishiguro Nouzai Kk 温室天窓用害虫侵入防止装置及び温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218B1 (ko) * 2020-07-07 2020-11-27 김태식 스마트 천창 개폐 시스템을 포함하는 온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310B1 (ko)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US5520236A (en) Greenhouse curtain system
US9765565B2 (en) Cordless shade automatic lift regulator
KR101656040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
KR101375303B1 (ko)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US9255418B2 (en) Retractable curtain system
EP2236731A2 (en) Covering arrangement for architectural openings
KR101375307B1 (ko)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KR101408883B1 (ko)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KR101375305B1 (ko)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KR101442135B1 (ko)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환기 시스템
JP2012075405A (ja) エアハウス又はエアカーテンの空気給・排気システム
KR101922033B1 (ko) 비닐하우스 측창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형 이중 비닐하우스 고정장치
JP5798464B2 (ja) 温室シートバタつき防止部材
JP4620080B2 (ja) ビニールハウスの開閉機構
KR102038002B1 (ko)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환기창 개폐장치
KR20180015008A (ko) 비닐하우스 측창 개폐기의 바람막이
EP3626047A1 (en) A method of applying a transparent foil material on a gable roof of a greenhouse, a foil supplying device and an installing device
JP6576700B2 (ja) ビニールハウス
EP1698223A1 (en) System for total and partial opening and covering of a greenhouse covered by a sheet or film
EP1334655B1 (en) Device for winding a screen
JP2005318823A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ハウスの天窓開閉装置
JP3142989U (ja) ハウス換気装置
KR20120029841A (ko) 선루프용 롤러 블라인드 장치
JP3113480U (ja) ビニールハ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