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682B1 -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682B1
KR101374682B1 KR1020120150650A KR20120150650A KR101374682B1 KR 101374682 B1 KR101374682 B1 KR 101374682B1 KR 1020120150650 A KR1020120150650 A KR 1020120150650A KR 20120150650 A KR20120150650 A KR 20120150650A KR 101374682 B1 KR101374682 B1 KR 101374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cable
hole
guide ba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상회
Original Assignee
인천항만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항만공사 filed Critical 인천항만공사
Priority to KR1020120150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Abstract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제공된 선박용 전우너공급케이블 보호장치는 항만시설이나 선박에 설치된 제1 지주; 상기 제1 지주의 상단에 수평방향 힌지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공간의 내벽에 연결축이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연결관이 형성된 함체; 여유 전원공급케이블을 권취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관통공을 갖는 권취드럼이 상기 연결축을 감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권취드럼의 외면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을 이루어 전원공급케이블이 배선되는 배선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과 권취드럼 사이에는 상기 권취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발생구가 구비된 권취수단;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 체결되며, 내측에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을 이루는 배선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배선공간과 연통을 이루는 배선공과 힌지공을 갖는 연결브라켓이 형성되며, 상단에 결속공을 갖는 연결편이 마련된 수직프레임; 상기 연결브라켓에 힌지핀을 통해 일단이 수직방향으로 힌지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전원공급케이블이 배선되는 배선로가 마련되고, 전,후방에 연결공을 갖는 결속편이 마련된 가이드바; 상기 연결편의 결속공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결속편의 연결공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바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가변조절구 및 상기 제1 지주가 설치된 선박의 인접한 위치에 있는 선박에 설치되며, 내측에 제2 힌지축이 수평방향 힌지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제2 힌지축의 상부에 연결홀을 갖는 결속브라켓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타단과 힌지핀을 통해 연결된 제2 지주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선박과 선박 간의 거리 및 위치가변에 긴밀하게 대처하여 견고하게 전원공급케이블을 연결함은 물론, 안전하게 전원공급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Power supply cable protecting apparatus for ship}
본 발명은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선박과 선박 간의 거리 및 위치가변에 긴밀하게 대처하여 견고하게 전원공급케이블을 연결함은 물론, 안전하게 전원공급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상선, 군함, 어선 및 특수 작업선 등으로 구분되고, 그 용적에 따라 대형, 중형, 소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선박에는 각종 전기 설비들이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에 필요한 전원케이블의 설치 및 포설작업이 수반된다.
또한, 선박의 경우 활동영역이 유선상으로는 외부에서 직접적인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기 때문에 그 내부에 설치된 발전기를 이용하여 선박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실정이다. 이때, 선박에 설치된 발전기는 선박의 동력수단에 사용되는 연료를 소비하면서 선박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한다.
그러나, 발전기를 통한 연료 소비 과정에서 대기오염 및 수질오염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항구에 정박한 선박의 경우 육상에서 외부 전원을 연결하여 선박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육상 전원과 선박에서 사용하는 전원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상호 간의 원활한 전원공급을 위해 전원을 강압하는 변압기나 기타 전기장치가 사용된다.
한편, 육상에서 해상의 선박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육상의 전원공급장치에 전원공급케이블을 연결하고, 선박에 설비된 전원공급 제어부에 육상의 전원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상기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의 대표적인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7591호로 선등록된 "전선케이블 보호장치"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등록특허 제10-0817591호는 제1바지선(10)에 설치되는 제1수직포스트(11)와; 제2바지선(200)에 설치되는 제2수직포스트(210)와: 상기 제1수직포스트(11)와 제2수직포스트(210)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로프(500)와; 상기 와이어로프(500)에 행거(600)에 지지되는 전선케이블(4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수직포스트(210)는 그 상측에 와이어로프(500)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구(240)가 구비되고, 일측벽에는 전선케이블(400) 을 지지고정하는 제2브라켓(212)이 고정설치된 구성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등록특허 제10-0817591호는 파수나 조수간만의 차이 등으로 인해 바지선들이 움직이더라도 그와 같은 바지선들 사이에 설치되는 전선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높은 설치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는 전선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기능이 미약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즉, 종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는 전선케이블의 자중에 의해 처지도록 함으로써, 여유 전선케이블을 확보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는 기상변화로 강한 바람이 발생시 길게 늘어진 여유전선케이블이 와이어로프에 감기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전선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는 선박 간의 위치 변화가 발생시 전선케이블이 제1 수직포스트에서 쉽게 이탈되어 절손 및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의 전선케이블은 상기 제1 수직포스트의 상단에서 도르레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나, 이러한 도르레는 그 구조 특성상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이에 연결된 케이블이 쉽게 이탈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그 구조개선을 통해 전체적인 구성요소들을 집약하여 제작 및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보다 안정적으로 전원공급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공급케이블의 권취 및 권해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선박과 선박 간의 간격변화에 긴밀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의 구조 개선을 통해 선박에 설치된 지주를 수평방향으로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선박과 선박 간의 위치변화에도 안전하게 전원공급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항만시설이나 선박에 설치된 제1 지주;
상기 제1 지주의 상단에 수평방향 힌지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공간의 내벽에 연결축이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연결관이 형성된 함체;
여유 전원공급케이블을 권취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관통공을 갖는 권취드럼이 상기 연결축을 감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권취드럼의 외면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을 이루어 전원공급케이블이 배선되는 배선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과 권취드럼 사이에는 상기 권취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발생구가 구비된 권취수단;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 체결되며, 내측에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을 이루는 배선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배선공간과 연통을 이루는 배선공과 힌지공을 갖는 연결브라켓이 형성되며, 상단에 결속공을 갖는 연결편이 마련된 수직프레임;
상기 연결브라켓에 힌지핀을 통해 일단이 수직방향으로 힌지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전원공급케이블이 배선되는 배선로가 마련되고, 전,후방에 연결공을 갖는 결속편이 마련된 가이드바;
상기 연결편의 결속공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결속편의 연결공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바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가변조절구 및
상기 제1 지주가 설치된 선박의 인접한 위치에 있는 선박에 설치되며, 내측에 제2 힌지축이 수평방향 힌지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제2 힌지축의 상부에 연결홀을 갖는 결속브라켓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타단과 힌지핀을 통해 연결된 제2 지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지주는
그 중앙에 제1 포스트가 직립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포스트의 내측에 제1 통공을 갖는 제1 단턱이 형성되어 제1 안착공간과 제1 연결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1 안착공간에 제1 베이링의 외륜이 억지끼움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함체는
하부에 제1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힌지축의 하단에 제1 이탈방지편이 볼트체결되며, 연결축의 인접한 외측에는 권취드럼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의 외면을 소정간격 이격되게 감싸는 다수의 마감편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동력발생구는
스파이럴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파이럴스프링은 그 일단이 상기 연결축의 외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의 내벽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의 배선로 내벽에는 상기 배선로에 배선된 전원공급케이블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는 2조 1쌍으로 구비되며, 그 중간이 힌지연결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힌지연결핀을 기준으로 굽힘과 펴짐동작을 수행하는 관절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가변조절구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지주는
그 중앙에 제2 포스트가 직립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포스트의 내측에 제2 통공을 갖는 제2 단턱이 형성되어 제2 안착공간과 제2 연결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2 안착공간에 제2 베어링의 외륜이 억지끼움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공간에는 제2 이탈방지편이 삽입되어 상기 제2 힌지축의 하단과 볼트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함체와 가이드바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바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이드바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가변조절구를 구비하되,
상기 제2 가변조절구는
상기 함체의 상부에 볼트체결되며, 상부에 연결봉이 돌출형성된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봉에 그 하단이 끼움연결되는 압축스프링 및
상기 가이드바의 단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힌지회전동작과정에서 상기 압축스프링의 상단과 맞닿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과 선박 간의 거리 가변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전원공급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케이블의 여유분을 안전하게 권취드럼에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공급케이블 손상으로 인한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는 선박과 선박 간의 위치 가변에 긴밀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동작 안정성 확보 및 선박과 선박 간의 전원공급케이블을 더욱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선등록된 등록특허 제10-0817591호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중 함체와 권취수단을 나타낸 요부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를 나타낸 수직방향 동작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를 나타낸 수평방향 동작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100)는 항만시설이나 선박에 설치된 제1 지주(110)와, 상기 제1 지주(110)의 상단에 수평방향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함체(120)와, 상기 함체(120) 내에 설치된 권취수단(130)과, 상기 함체(120)의 상부에 설치된 수직프레임(140)과, 상기 수직프레임(14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힌지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바(150)와, 상기 수직프레임(140)과 가이드바(150) 사이에 설치된 제1 가변조절구(160)와, 상기 제1 지주(110)가 설치된 선박의 인접한 위치에 있는 선박에 설치된 제2 지주(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지주(110)는 항만시설이나 선박에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주(110)는 그 중앙에 제1 포스트(111)가 직립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포스트(111)의 내측에 제1 안착공간(117)과 제1 연결공간(118)이 제1 단턱(115)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제1 단턱(115)의 내측에 제1 통공(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안착공간(117)에는 제1 베어링(119)의 외륜이 억지끼움연결된다.
한편, 상기 함체(120)는 상기 권취수단(130)을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함체(120)는 그 내부에 설치공간(122)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공간(122)의 내벽에 연결축(124)이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설치공간(122)과 연통을 이루는 연결관(1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함체(120)는 그 하부에 상기 제1 베어링(119)의 내륜에 축결합되는 제1 힌지축(127)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힌지축(127)의 하단에 제1 이탈방지편(128)이 볼트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이탈방지편(128)은 상기 제1 연결공간(118)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단턱(115)과 걸림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힌지축(127)은 상기 제1 이탈방지편(128)을 통해 제1 지주(110)와 수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결속관계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124)의 인접한 외측에는 회전운동하는 권취드럼(133)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133)의 외면을 소정간격 이격되게 감싸는 다수의 마감편(129)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권취수단(130)은 선박과 선박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졌을 경우 여유 전원공급케이블(L)을 권취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선박과 선박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경우 그 권취된 여유 전원공급케이블(L)을 권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권취수단(130)은 관통공(131)을 갖는 권취드럼(133)이 상기 연결축(124)을 감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권취드럼(133)의 외면에 상기 관통공(131)과 연통을 이루는 배선홀(135)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배선홀(135)에는 상기 관통공(131)을 통해 유입된 전원공급케이블(L)이 배선되며, 상기 배선홀(135)을 통해 배선된 전원공급케이블(L)은 상기 권취드럼(133)의 외면에 권취된다.
또한, 상기 연결축(124)과 권취드럼(133) 사이에는 상기 권취드럼(133)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발생구(137)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동력발생구(137)는 스파이럴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파이럴스프링은 그 일단이 상기 연결축(124)의 외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131)의 내벽에 고정된다.
이에, 상기 권취드럼(133)에서 전원공급케이블(L)의 권해동작이 발생할 경우, 상기 동력발생구(137)는 상기 권취드럼(133)을 권해동작 하기 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려는 탄성력이 발생하며, 이렇게 발생한 탄성력은 권취드럼(133)에 전달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40)은 상기 연결관(126)의 상단에 볼트체결되며, 내측에 상기 설치공간(122)과 연통을 이루는 배선공간(142)이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배선공간(142)과 연통을 이루는 배선공(144)이 형성되며, 상기 배선공(144)의 인접한 하부에는 힌지공(145)을 갖는 연결브라켓(14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40)은 그 상단에 한 쌍의 연결편(149)이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편(149)은 그 내측에 결속공(14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150)는 전원공급케이블(L)을 이웃하는 선박으로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150)는 그 일단이 상기 연결브라켓(147)에 힌지핀(P)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힌지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에 전원공급케이블(L)이 배선되는 배선로(151)가 마련되며, 전,후방에 연결공(153)을 갖는 결속편(15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선로(151)는 그 내벽에 상기 배선로(151)에 배선된 전원공급케이블(L)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157)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150)는 2조 1쌍으로 구비되며, 그 중간이 힌지연결핀(158)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힌지연결핀(158)을 기준으로 굴곡동작하는 관절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150)는 선박과 선박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 경우 상기 힌지연결핀(158)을 기준으로 굽힘동작을 수행하고, 선박과 선박간의 거리가 멀어질 경우 상기 힌지연결핀(158)을 기준으로 펴지는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 가변조절구(160)는 상기 가이드바(15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제1 가변조절구(160)는 상기 연결편(149)의 결속공(148)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결속편(155)의 연결공(153)에 타단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가변조절구(160)는 상기 연결편(149)과 결속편(155)의 거리가 멀어질 경우 이들을 상기 제1 가변조절구(160) 측으로 당기기 위한 탄성력을 발생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지주(170)는 상기 제1 지주(110)가 설치된 선박의 인접한 위치에 있는 선박에 앵커볼트를 통해 설치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 지주(170)는 그 중앙에 제2 포스트(171)가 직립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포스트(171)의 내측에 제2 통공(173)을 갖는 제2 단턱(175)이 형성되어 제2 안착공간(177)과 제2 연결공간(178)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2 안착공간(177)에 제2 베어링(179)의 외륜이 억지끼움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베어링(179)의 내륜에는 제2 힌지축(172)이 축결합된다. 이에 상기 제2 힌지축(172)은 상기 제2 베어링(179)에 의해 수평방향 힌지회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힌지축(172)은 그 상부에 연결홀(174)을 갖는 결속브라켓(176)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150)의 단부와 힌지핀(P)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공간(178)에는 제2 이탈방지편(T)이 삽입연결되어 상기 제2 힌지축(172)의 하단과 볼트체결된다. 이에, 상기 제2 힌지축(172)은 상기 제2 이탈방지편(T)을 통해 제2 단턱(175)과 걸림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주(170)과 수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결속관계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함체(120)와 가이드바(150)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바(15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이드바(15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가변조절구(180)를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 가변조절구(180)는 상기 함체(120)의 상부에 볼트체결되는 받침플레이트(183)와, 상기 받침플레이트(183)의 상부에 연결된 압축스프링(185)과 상기 가이드바(150)의 단부하단에 형성된 가압플레이트(1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183)는 판상체의 형상으로 그 상부에 연결봉(181)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185)은 그 하단이 상기 연결봉(181)의 외면에 끼움연결된다.
끝으로, 상기 가압플레이트(187)는 상기 가이드바(150)의 힌지회전동작과정에서 상기 압축스프링(185)의 상단과 맞아 상기 압축스프링(185)의 탄성력을 가이드바(150)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가아드바(150)에 처짐현상이 발생하면, 상기 압축스프링(185)은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플레이트(187)에 탄성력을 전달하여 상기 가이드바(15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는 선박과 선박 간에 전원공급을 위해 연결되는 전원공급케이블을 보다 안전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중 함체와 권취수단을 나타낸 요부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를 나타낸 수직방향 동작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를 나타낸 수평방향 동작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전원공급케이블(L)의 배선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권취드럼(133)의 관통공(131)을 통해 배선홀(135)로 배선된 전원공급케이블(L)은 상기 권취드럼(133)의 외면에 권취된다.
이때, 상기 권취드럼(133)에 권취된 전원공급케이블(L)은 여유 전원공급케이블(L)이 된다.
이후, 상기 권취드럼(133)에 권취되고 남은 전원공급케이블(L)은 연결관(126)과 배선공간(142) 및 배선공(144) 및 배선로(151)를 경우하여 상기 제2 지주(170)가 설치된 선박의 전원수단(미도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선박에서 전원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1 지주(110)가 설된 선박과 제2 지주(170)가 설치된 선박 간의 거리가 멀어질 경우, 상기 가이드바(150)는 힌지연결핀(158)을 기준으로 펴짐동작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전원공급케이블(L)은 선박과 선박 간의 거리가 멀어진 만큼 당겨져 상기 권취드럼(133)에 권취된 여유 전원공급케이블(L)이 권해된다.
또한, 상기 권취드럼(133)에 권취된 여유 전원공급케이블(L)이 권해됨과 동시에 상기 동력발생구(137)는 상기 권취드럼(133)을 전원공급케이블(L)이 권해되기 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려는 탄성력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지주(110)가 설치된 선박과 제2 지주(170)가 설치된 선박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 경우, 상기 가이드바(150)는 힌지연결핀(158)을 기준으로 굽힘동작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전원공급케이블(L)의 당겨졌던 힘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케이블(L)은 선박과 선박 간의 거리가 좁아진 만큼 여유 전원공급케이블(L)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여유 전원공급케이블(L)은 상기 동력발생구(137)에 의해 발생한 권취드럼(133)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권취드럼(133)의 외면에 권취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는 선박과 선박 간의 거리 가변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전원공급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원공급케이블의 여유분을 안전하게 권취드럼에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공급케이블 손상으로 인한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선박과 선박 위치가 직선가변이 아닌 엇갈리도록 가변이 발생할 경우, 제1 지주(110)에 구비된 제1 힌지축(127)과 제2 지주(170)에 구비된 제2 힌지축(172)이 제1 베어링(119)과 제2 베어링(179) 내에서 수평방향 힌지회동하여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의 파손 및 전원공급케이블의 단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110 : 제1 지주 111 : 제1 포스트
120 : 함체 122 : 설치공간
124 : 연결축 129 : 마감편
130 : 권취수단 133 : 권취드럼
137 : 동력발생구 140 : 수직프레임
144 : 배선공 150 : 가이드바
151 : 배선로 160 : 제1 가변조절구
170 : 제2 지주 171 : 제2 포스트
180 : 가변조절구 183 : 받침플레이트
185 : 압축스프링 P : 힌지핀

Claims (9)

  1. 항만시설이나 선박에 설치된 제1 지주(110);
    상기 제1 지주(110)의 상단에 수평방향 힌지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며, 내부에 설치공간(122)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공간(122)의 내벽에 연결축(124)이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연결관(126)이 형성된 함체(120);
    여유 전원공급케이블(L)을 권취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120)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관통공(131)을 갖는 권취드럼(133)이 상기 연결축(124)을 감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권취드럼(133)의 외면에 상기 관통공(131)과 연통을 이루어 전원공급케이블(L)이 배선되는 배선홀(135)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124)과 권취드럼(133) 사이에는 상기 권취드럼(133)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발생구(137)가 구비된 권취수단(130);
    상기 연결관(126)의 상단에 체결되며, 내측에 상기 설치공간(122)과 연통을 이루는 배선공간(142)이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배선공간(142)과 연통을 이루는 배선공(144)과 힌지공(145)을 갖는 연결브라켓(147)이 형성되며, 상단에 결속공(148)을 갖는 연결편(149)이 마련된 수직프레임(140);
    상기 연결브라켓(147)에 힌지핀(P)을 통해 일단이 수직방향으로 힌지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전원공급케이블(L)이 배선되는 배선로(151)가 마련되고, 전,후방에 연결공(153)을 갖는 결속편(155)이 마련된 가이드바(150);
    상기 연결편(149)의 결속공(148)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결속편(155)의 연결공(153)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바(15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가변조절구(160) 및
    상기 제1 지주(110)가 설치된 선박의 인접한 위치에 있는 선박에 설치되며, 내측에 제2 힌지축(172)이 수평방향 힌지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제2 힌지축(172)의 상부에 연결홀(174)을 갖는 결속브라켓(176)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150)의 타단과 힌지핀(P)을 통해 연결된 제2 지주(17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주(110)는
    그 중앙에 제1 포스트(111)가 직립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포스트(111)의 내측에 제1 통공(113)을 갖는 제1 단턱(115)이 형성되어 제1 안착공간(117)과 제1 연결공간(118)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1 안착공간(118)에 제1 베이링(119)의 외륜이 억지끼움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20)는
    하부에 제1 힌지축(127)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힌지축(127)의 하단에 제1 이탈방지편(128)이 볼트체결되며, 연결축(124)의 인접한 외측에는 권취드럼(133)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133)의 외면을 소정간격 이격되게 감싸는 다수의 마감편(129)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구(137)은
    스파이럴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파이럴스프링은 그 일단이 상기 연결축(124)의 외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131)의 내벽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150)의 배선로(151) 내벽에는 상기 배선로(151)에 배선된 전원공급케이블(L)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157)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150)는 2조 1쌍으로 구비되며, 그 중간이 힌지연결핀(158)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힌지연결핀(158)을 기준으로 굽힘과 펴짐동작을 수행하는 관절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조절구(160)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주(170)는
    그 중앙에 제2 포스트(171)가 직립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포스트(171)의 내측에 제2 통공(173)을 갖는 제2 단턱(175)이 형성되어 제2 안착공간(177)과 제2 연결공간(178)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2 안착공간(177)에 제2 베어링(179)의 외륜이 억지끼움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공간(178)에는 제2 이탈방지편(T)이 삽입되어 상기 제2 힌지축(172)의 하단과 볼트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20)와 가이드바(150)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바(15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이드바(15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가변조절구(180)를 구비하되,
    상기 제2 가변조절구(180)는
    상기 함체(120)의 상부에 볼트체결되며, 상부에 연결봉(181)이 돌출형성된 받침플레이트(183)와,
    상기 연결봉(181)에 그 하단이 끼움연결되는 압축스프링(185) 및
    상기 가이드바(150)의 단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150)의 힌지회전동작과정에서 상기 압축스프링(185)의 상단과 맞닿는 가압플레이트(187)를 포함하여 구성됨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KR1020120150650A 2012-12-21 2012-12-21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KR101374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650A KR101374682B1 (ko) 2012-12-21 2012-12-21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650A KR101374682B1 (ko) 2012-12-21 2012-12-21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682B1 true KR101374682B1 (ko) 2014-03-17

Family

ID=5064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650A KR101374682B1 (ko) 2012-12-21 2012-12-21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6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122B1 (ko) * 2015-05-21 2017-08-04 유한회사 주하나 가두리 양식장 전력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KR20200027672A (ko) * 2018-09-05 2020-03-1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선박 육상전력공급케이블 지지장치
CN114243604A (zh) * 2021-12-22 2022-03-25 武昌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一种电缆安装装置
CN114825202A (zh) * 2022-04-01 2022-07-29 华能国际电力江苏能源开发有限公司 一种岸电电缆保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91B1 (ko) 2006-09-15 2008-03-31 인천항만공사 바지선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
KR100955519B1 (ko) 2009-01-19 2010-04-30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승하강 작동간을 이용한 전기식 건설기계의 전선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100072945A (ko) * 2008-12-22 2010-07-01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식 건설기계의 전원 케이블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120105333A (ko) * 2011-03-15 2012-09-25 이한준 굴삭기용 전선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91B1 (ko) 2006-09-15 2008-03-31 인천항만공사 바지선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
KR20100072945A (ko) * 2008-12-22 2010-07-01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식 건설기계의 전원 케이블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0955519B1 (ko) 2009-01-19 2010-04-30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승하강 작동간을 이용한 전기식 건설기계의 전선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120105333A (ko) * 2011-03-15 2012-09-25 이한준 굴삭기용 전선 보호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122B1 (ko) * 2015-05-21 2017-08-04 유한회사 주하나 가두리 양식장 전력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KR20200027672A (ko) * 2018-09-05 2020-03-1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선박 육상전력공급케이블 지지장치
KR102159582B1 (ko) 2018-09-05 2020-09-2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선박 육상전력공급케이블 지지장치
CN114243604A (zh) * 2021-12-22 2022-03-25 武昌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一种电缆安装装置
CN114825202A (zh) * 2022-04-01 2022-07-29 华能国际电力江苏能源开发有限公司 一种岸电电缆保护装置
CN114825202B (zh) * 2022-04-01 2024-01-26 华能国际电力江苏能源开发有限公司 一种岸电电缆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682B1 (ko) 선박용 전원공급케이블 보호장치
KR102343417B1 (ko)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CN102869566B (zh) 船舶舱口
JP5148708B2 (ja) 風力発電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ケーブル支持構造
KR100927116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
KR20140141442A (ko) 해상파일 설치장치
JP2013043717A (ja) 電気車両用充電装置
KR20160016390A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KR20050002773A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KR102348864B1 (ko) 피뢰기능을 갖춘 안전형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KR101991253B1 (ko) 내진 성능을 갖는 배전용 지중 전력케이블 구조
JP6090714B2 (ja) 発電システム
KR100817591B1 (ko) 바지선의 전선케이블 보호장치
KR100865356B1 (ko) 배전선로 지지형 애자
KR100879126B1 (ko) 가공송전선로의 연결구조
CN110603191A (zh) 漂浮式水上支撑装置
JP6187737B2 (ja) 海流発電装置及び海流発電装置の送電ケーブル設置方法
KR20150145454A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807212B1 (ko) 배전선로의 고정기능을 갖는 전주용 완철구조
KR20160098795A (ko) 침수방지용 분전반
KR101509567B1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지그
KR101979421B1 (ko) 해상발전용 선박
KR102199147B1 (ko) 도시 배전선로의 조류 퇴치시스템
KR20160142103A (ko) 해상풍력발전타워가 구비된 부유식 수중터널구조물
JP2016181967A (ja) ケーブル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