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131B1 - 유저 커맨드의 오디오비주얼 스트림 어헤드 송신 방법 및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신기 및 송신기 - Google Patents

유저 커맨드의 오디오비주얼 스트림 어헤드 송신 방법 및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신기 및 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131B1
KR101372131B1 KR1020070020884A KR20070020884A KR101372131B1 KR 101372131 B1 KR101372131 B1 KR 101372131B1 KR 1020070020884 A KR1020070020884 A KR 1020070020884A KR 20070020884 A KR20070020884 A KR 20070020884A KR 101372131 B1 KR101372131 B1 KR 101372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visual
stream
data channel
request
transmission band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812A (ko
Inventor
레미 호데일레
윌렘 루베르스
에릭 가우티에르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7009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2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layers, e.g.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directed to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1Reference data, e.g. a movie identifier for ordering a movie or a product identifier i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저 및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간에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송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저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특정되는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이 디바이스에 표시된다. 유저는 결정된 스트림의 송신을 위한 통신을 셋업하기 위해 서버로의 스트림을 변경하기 위한 제1 커맨드를 입력한다. 다음에, 서버는 결정된 스트림 및 저감된 대역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트림을 생성한다. 이러한 제2 스트림은 유저로부터의 제2 커맨드에 의해 즉시 액세스가능하게 되는 스트림에 대응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신기 및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유저, 서버, 스트림, 오디오비주얼, 커맨드, 송신기, 수신기

Description

유저 커맨드의 오디오비주얼 스트림 어헤드 송신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신기 및 송신기{METHOD OF TRANSMITTING AUDIOVISUAL STREAMS AHEAD OF THE USER COMMANDS, AND RECEIVER AND TRANSMITTER FOR IMPLEMENT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오디오비주얼 수신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각종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오디오비주얼 수신기와 서버 간 각종 대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스크린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신기
2: 스크린
3: 중앙 처리 유닛
4: 프로그램 메모리
5: 양방향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6: 양방향 네트워크
7: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
8: 원격 제어기
20: 송신기
2.1: 중앙 처리 유닛
2.2: 프로그램 메모리
2.3: 데이터베이스
2.4: 양방향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유저가 제어하는 디바이스와 서버 간에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송신하는 방법,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멀티미디어 수신기 및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에서, 가용 채널 수가 매우 크게 되었다. 유저에게는 수백개의 채널이 이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유저는 일반적으로 "재핑(zapping)"이라 불리는 방식으로 탐색하면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me guide; EPG)를 사용하여 채널을 선택하거나, 또는 수신기와 관계된 원격 제어부의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버튼을 누름으로써 하나의 채널에서 다른 채널로 스위칭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 EPG는 임의의 수의 채널, 전형적으로는 16 채널 상에 송신되는 프로그램의 비디오를 보여주는 이미지 모자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이미지는 작고, 따라서, 이들 각각을 표시하기 위한 오디오비주얼 데이터는 정밀도가 매우 높을 필요는 없고, 이 때문에 비디오를 송신하는 스트림은 저 해상도 모드일 수 있다. 저 해상도 스트림, 즉, 저감 스트림은은 정규 스트림보다 매우 낮은 대역폭을 갖는 스트림이다. 재핑의 경우, 수신기는 채널의 순서 리스트를 구비한다. 정상적으로, 송신 네트워크는, 유저가 다음 채널 또는 이전 채널로 도약할 때, 채널 번호, 순서에 이어 탐색 프로그램을 할당한다. 유저는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로부터 임의의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선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그 다음에 유저는 한 채널에서 다른 채널로 재핑함으로써 자신의 리스트 내에서 탐색한다.
유저의 디바이스에는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 스트림(D)을 수신하는 유닛도 제공된다. 통신은 "멀티캐스트" 모드(글자 그대로 "일 대 다수(point-to-multipoint" 모드) 또는 "유니캐스트" 모드(글자 그대로 "일 대 일(point-to-point)" 모드에서 수행된다. 후자의 경우에, 디바이스는 양방향 통신 수단, 바람직하게는 고속의, 예를 들면, IP DSL 라인(DSL은 "Digital Subscriber Line"을 나타냄)을 구비하여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디바이스는 결정된 채널을 수신하도록 요청을 네트워크의 서버로 어드레싱하고, 멀티캐스트인 경우에, 라우터는 각종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재핑인 경우에는,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프로그램의 이미지가 스크린에 연속하여 나타난다. 모든 경우에, 전환(switchover) 횟수는 특히:
-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 라우터 간 커맨드에 대한 송신 횟수,
- 스트림을 셋업하는 횟수,
- 후자의 도달시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IP 패킷 관리 버퍼의 크기,
- 비디오 프로세싱 버퍼의 크기,
- 그 다음 인트라-코딩 이미지에 대하여 대기를 요구하는 디코딩의 재동기화에 의존한다.
이 때문에, 채널을 변경할 때, 스크린 상의 이미지가 동결되어 때때로 블랙 스크린이 나타나게 된다. 하나의 해결책으로는 모든 채널을 송신하고, 디바이스가 서버에 어떠한 요청도 송신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전환만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ADSL 유형의 액세스시에는, 가용 대역폭이 다수의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병렬로 영구적으로 송신할 수 없을 뿐더러, 수신 디바이스 상의 디코딩 리소스가 디코딩 연산을 병렬로 확장되도록 할 수도 없다. 따라서, 이러한 해결책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톰슨(THOMSON)이 출원한 특허 공개 번호 제WO2005/112465호에는 "정규" 스트림의 비트 레이트를 저감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채널 변경 요청이 오면, 디코더는 풀-선명도(full-definition) 모드에서 새로운 채널과 저 해상도 모드에서 그와 동일한 채널을 수신하도록 서버에 요구한다. 정규 스트림 및 재핑을 위해 유보된 스트림이 동일 채널에서 멀티플렉싱된다. 저 해상도 채널은 거의 즉시 송신가능하고 따라서 재핑 시간이 저감되지만, 제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사실상, 희망하는 채널의 이미지는 디코더가 요청을 서버에 송신한 후에 나타나고, 서버는 그 요청을 품질이 떨어진 스트림으로 전송한다.
OPIE가 출원한 문서 US 2006/020995에는 스트림을 복수의 디코더에 송신하는 서버가 설명되어 있다. 유저는 자신의 디코더에 한 채널에서 다른 채널로의 스위 칭을 명령한다. 서버는 요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I)를 유니캐스트 스트림으로 전송한다. 송신 서버 상의 인코더는 종래의 오디오/비디오 스트림(CONVID)를 생성한다. 또 다른 스트림(FILLVID)이 생성되어 블랙 이미지가 참(true) 이미지로 대체된다. FILLVID 이미지 스트림은 재핑시에 보다 빠르게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유저가 이들 채널을 선택하지 않는다면, 대역폭을 불필요하게 점유하는 그러한 스트림이 일정하게 송신된다.
본 발명은 사용되는 대역폭을 최적화하는 동안 재핑시에 채널 전환 시간을 저감하는 상기 문제점에 새로운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1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을 디바이스 상에서 시청하기 위해 제1 커맨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커맨드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채널에 대응하는 제1 스트림을 풀-선명도 모드로 디바이스(1)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서버로부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커맨드의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트림을 서버로부터 디바이스로 또한 송신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림은 상기 제1 스트림보다 대역폭이 더 작고 제2 채널의 오디오비주얼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커맨드에 이어 제2 커맨드를 입력함으로써 풀-선명도 모드에서 스트림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방식에서, 본 발명은 유저가 커맨드를 사용하여 긴급하게 선택할 수 있는 채널 상에 있는 저 해상도 스트림의 가용성을 활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저 해상도 스트림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긴급 커맨드를 예기할 수 있다.
개선에 따라, 상기 방법은 저감된 대역폭을 갖는 제2 스트림에 의해 수신된 제2 채널을 표시하는 제1 단계를 트리거링하는 제2 커맨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널에 대응하는 제3 스트림을 풀-선명도 모드로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트림을 수신하면 풀-선명도 모드의 제2 채널의 표시를 트리거링한다. 이 방식에서, 유저는 자신이 채널 변경을 요청할 때 저 해상도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이미지를 즉시 본다. 다음에, 풀-선명도 스트림이 올바르게 수신된 경우, 표시는 풀-선명도 스트림으로 전환된다.
또 다른 개선에 따라, 제1 표시 단계는 저감 대역폭을 갖는 채널로부터 추출된 이미지를 묘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식에서, 저 해상도 스트림과 풀-선명도 스트림 간의 전이로 인한 유저의 놀라움을 덜어 줄 것이다. 개선에 따라, 묘화 단계는 전이의 인식을 추가로 저감하는, 풀-선명도 스트림에 의해 송신된 이미지의 표시로 종료된다.
또 다른 개선에 따라, 디바이스는, 풀-선명도 모드에서 또는 저감된 대역폭으로, 서버에 의해 송신된 모든 채널에 의해 송신된 이미지로 구성된 모자이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재핑 커맨드를 다수 선택할 수 있으며, 커맨드가 입력될 때마다, 유저는 새롭게 선택된 채널의 이미지를 즉시 볼 수 있다.
개선에 따라, 저감된 대역폭을 갖는 채널은 모자이크 이미지를 송신하는 채널로부터 추출된다. 이 방식에서, 본 발명은 기존 모자이크 스트림을 사용하여 그 로부터 저감된 대역폭을 갖는 스트림을 추출한다. 개선에 따라, 디바이스는 채널의 선호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고, 다른 채널은 상기 우선 채널을 탐색함으로써 제2 유저 커맨드에 의해 즉시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디바이스가 맞춤화되고 서버는 채널 변경 커맨드를 예기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개선에 따라, 디바이스는 풀-선명도 모드에서의 채널 및 제2 스트림을 식별하는 식별자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네트워크를 통해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송신하는 수단, 및 스트림을 풀-선명도 모드로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송신 수단의 활성화를 트리거링하는 결정된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로부터 발신되는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송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송신기는 저감된 대역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트림을 동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또한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에 의해 활성화되고, 제2 스트림은 결정된 스트림이 표시될 때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액세스에 의해 액세스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스트림을 표시하는 수단, 유저가 선택한 풀-선명도 모드의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요청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기이다. 수신기는 또한,저감된 대역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단, 새로운 스트림의 송신을 위한 요청의 송신을 트리거하는 스트림의 변경하기 위해 커맨드를 입력하는 수단 및 저감된 대역폭으로 수신된 제2 스트림 콘텐츠의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새로운 스트림은 풀-선명도 모드의 수신이 확립되는 경우 표시된다.
표시 디바이스(2)에 접속된 오디오비주얼 수신기(1)의 작동은 도 1을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수신기는 프로그램 메모리(ROM) 및 동작 메모리(RAM)(4)에 연결된 중앙 처리 유닛(3), 및 네트워크와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는 그래픽 스크린이 제공된 컴퓨터이다. 네트워크는 전형적으로 인터넷이지만, 본 발명은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고, 비트 레이트는 충분해야 하지만 풀-선명도 모드에서 모든 스트림을 전송하는 가능성이 가능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는 ADSL 기술을 사용한다. 수신기는 또한 원격 제어부(8)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 수신기(7) 및 텔레비전 스크린(2)에 송신된 오디오비주얼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오디오/비디오 디코딩 로직(10)을 포함한다. 원격 제어부(8)에는 방향 버튼 ↑,↓,→,← 및 버튼 P+, P- 및 OK이 제공되며, 이들 버튼의 사용은 후술될 것이다. 수신기는 또한 종종 OSD(On-Screen Display) 회로라 지칭되는 스크린 상의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회로(11)를 포함한다. OSD 회로(11)는 스크린 상에 메뉴 또는 픽토그램(예를 들면, 시청되는 채널에 대응하는 번호) 표시를 가능하게 하거나, 두개의 오디오비주얼 콘텐츠를 혼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텍스트 및 그래픽의 생성기이다. OSD 회로는 중앙 제어 유닛(3) 및 메모리(4)에 상주하는 "재퍼(zapper)"라 지칭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재퍼는 판독 전용 메모리에 입력된 프로그램 모듈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저장된 파라미터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재퍼는 또한, 예를 들면, ASIC 유형의 맞춤형 회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회로에는 지불의 적용을 받는 송신을 유저가 시청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지불을 가능하게 하는 보안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수신기는 리턴 채널(6)로부터의 또는 송신 네트워크로부터의 오디오비주얼 송신 식별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데이터는 시청될 수 있는 아이템, 예를 들면, 제목, 또는 트레일러 이미지를 포함한다. 유저는 EPG 및 자신의 원격 제어기의 버튼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송신을 선택함으로써 그들을 수신한다.
스트림을 송신하는 송신기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DSLAM 서버(20)로서, 중앙 처리 유닛(2.1), 프로그램 메모리(2.2), 인코딩 로직(2.3) 및 네트워크(6)와 전술된 수신기 양단 간의 복수의 양방향 링크(2.4)를 셋업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DSLAM 서버(20)는 송신기로부터 프로그램 묶음의 모든 채널을 수신한다. 유저의 요청 시에, DSLAM은 희망하는 프로그램을 SD(standard definition) 스트림으로 수신기에 송신한다. 네트워크 종단부는 저 해상도 스트림을 생성하여 DSLAM의 인코딩 로직(2.3)으로 송신한다. 이러한 저감 스트림은 특히 프로그램 가이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저 인터랙션에서, (풀-스크린 비디오의 표시와 병렬인 재핑 패널의 경우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썸네일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 요즘의 경향이다.
저감된 크기의 스트림(전형적으로는 QCIF로도 지칭되는 1/16 이미지)의 송신은 스트림에 부가하여 대역폭에 올려질 수 있다. 저감 스트림과 병렬로 풀-선명도의 실시간 디코딩이 수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각종 구성요소를 설명한 후에, 그들 구성요소가 어떻게 협력하는지를 이제 설명할 것이다.
유저와 서버 간의 각종 대화는 네개의 도면, 즉,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로 설명되는 각종 단계에 의해 설명된다.
도 3a에 도시된 단계 3.1에서, 유저가 자신의 원격 제어기에 채널 번호를 입력하여, DSLAM(20)에 그 요청이 송신되었다. 그러면, 통신이 셋업되고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주얼 콘텐츠가 송신된다. 도 3b에 도시된 단계 3.2에서, 수신기(1)는 배경 작업으로서 재퍼 실행을 시작한다. 재퍼는 수신되는 채널 1을 식별하고, 유저가 자신의 원격 제어기(8)의 P+ 또는 P- 버튼을 누르면 즉시 액세스가능한 프로그램을 그 채널에서 추론한다. 전형적으로, 재핑 순서는 스트림의 번호에 따라 프로그램 송신기에 의해 정의되어, 그 다음 재핑 커맨드가 채널 2를 선택할 것이라는 것을 예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서버는, 채널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저감 스트림을 송신해야하는 채널을 추론한다. 변형예는 선호 리스트를 정의하고 원격 제어기(8)의 P+, P- 버튼을 사용하여 그 리스트 내에서 탐색하는 유저로 구성된다. 재퍼는 요청된 풀-선명도 스트림 및 요청된 그 스트림 이후 및/또는 이전의 프로그램의 저감 스트림을 셋업하기 위한 요청을 DSLAM(20)으로 송신한다. 다음에, 수신기(1)는 유저가 선택한 채널의 풀-선명도 스트림(F1) 및 적어도 저감 스트림(F'2)(아마도 F'3, F'4 등)을 수신한다. 표시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그 즉시 데이터의 동기화가 완료된다.
도 3c에 도시된 단계 3.3에서, 유저는 자신의 원격 제어기(8) 상의 P+ 버튼 을 누른다. 재퍼는 현재 송신되고 있는 채널 F1에 이은 채널 F2을 수신하기 위해 DSLAM에 요청을 송신한다. 동시에, 재퍼는 표시될 데이터를 스트림 F1에서 추출하는 것을 저감 스트림 F'2로 변경하고, 그 데이터는 표시 수단의 비디오 재생 및 오디오 신호의 송신을 위해 오디오/비디오 디코딩 로직(10)으로 전송된다. 이 방식에서, 재핑 커맨드는 희망하는 프로그램의 모양으로 된다. 재퍼가 저감 스트림을 사용하므로, 재생은 보통의 품질로 되지만 유저가 액션을 따르기에는 충분할 것이다. 저감 스트림이, 예를 들면, 모자이크 이미지에 삽입되는 작은 묘화 이미지(즉, "이미지티(imagette)")를 표시하도록 설계되면, 재퍼는 작은 묘화 이미지를 확대하여 스크린 전체에 표시한다. 스트림 F2가 이미지에 도달하여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경우, 표시가 저감 스트림에서 풀-선명도 스트림으로 전환된다.
도 3에 도시된 단계 3.4에서, DSLAM은 희망하는 프로그램을 풀-선명도 스트림 F2을 통해 송신한다. 수신기는 풀-선명도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표시 수단(2)에서의 비디오 재생과 오디오 신호의 송신을 위한 오디오/비디오 디코딩 로직(10)으로 전송한다. 이 때부터, 유저는 최적 재생 품질을 갖는 희망 채널을 수신한다. DVB_IP 표준은 다수의 스트림 간 동기화를 관리하기 위해 RTP 및 RTSP의 사용을 추천한다. 수신기(1)는 이들 신호를 사용하여 저감 스트림 F'i와 그에 대응하는 풀-선명도 스트림 Fi 간 전이의 동기화를 확실히 하고, 그 역도 성립한다. 다음에, 재퍼는 원격 제어기(8) 상의 P+ 또는 P- 버튼을 사용하여 재핑 커맨드를 입력함으로써 유저가 선택하게 되는 가장 큰 확률을 갖는 새로운 프로그램의 저감 스트림을 셋업하기 위해 DSLAM에 요청을 송신한다.
유저가 채널을 변경하면, 대응하는 저감 스트림이 이미 접고되어 있도록 위치를 적용하기 위해 유저가 요청하지 않은 스트림을 수신기가 요청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는 각종 공지된 예기 발견적 방법이 사용가능하다.
개선에 따라, 새로운 채널이 재핑 커맨드에 의해 선택된 직후에, 재퍼에 의해 식별된 이후 및 이전 스트림의 기준이 스크린의 바닥부 패널에 나타나게 된다. 이 패널은 몇 초 후에 사라진다. 이 방식에서, 유저는 이들 채널이 재핑 커맨드에 의해 즉시 시청가능하다는 것을 안다.
상기한 텍스트에서, 본 발명은 유저가 커맨드를 입력함으로써 채널에서 채널로 탐색하는 할 때, 재핑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맥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이벤트가 유저의 행동을 예기하는 요청을 트리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송신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다른 채널 상으로 동시에 송신되는 다른 프로그램을 언급할 때, 수신기(1)는 유저가 선택하는 경우에 이들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채널의 저감 스트림을 그 수신기에 송신할 것을 DSLAM에 요구한다. 또 다른 이벤트는 유저가 원격 제어기를 보유하고 유저가 새로운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해 원격 제어기를 취했다는 것을 수신기에 통지하는 원격 제어기(8) 상의 센서를 핸들링하는 것이다. 수신기(1)는 재핑 리스트의 현재 스트림 이후 및 이전의 프로그램의 스트림을 그 수신기에 송신할 것을 DSLAM에 요구함으로써 재핑 커맨드를 예기한다.
간단한 실시예에 따라, 재퍼는 단지 하나의 저감 스트림을 요청한다. 이 스트림은 동일한 마지막 재핑 커맨드에 의해 유저가 선택한 채널에 대하는 스트림이 다. 현재 프로그램을 액세스하기 위해, 유저가 P+를 누르면, DSLAM이 요청한 그 다음 채널의 저감 스트림이 된다. 현재 프로그램을 액세스하기 위해, 유저가 P-를 누르면, DSLAM이 요청한 이전 채널의 저감 스트림이 된다. 대역폭 집중 모드에서, 재퍼는 P+ 커맨드 또는 P- 커맨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두개의 채널에 대응하는 두개의 저감 스트림을 서버에 요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버는 그 서버상의 저감 스트림을 수집함으로써 구성되는 모자이크 이미지를 수송하는 스트림을 전송한다. 수신기는 모자이크 이미지로부터 재핑 커맨드에 의해 요청된 채널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 이미지를 확대하고 재핑 커맨드에 이어 풀 스크린으로 나타난다. 상기 실시예의 이점은 서버가 모자이크 스트림을 일정하게 송신함으로 서버에 임의의 특정 요청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는 것이다.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서버는 모자이크 스트림을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재퍼는 8개의 저감 스트림, 즉, "P+" 버튼을 한번, 두번, 세번 및 네번 누름으로써 액세스될 수 있는 채널에 대응하는 네개의 스트림과, "P-" 버튼을 한번, 두번, 세번 및 네번 누름으로써 액세스될 수 있는 채널에 대응하는 네개의 스트림을 수신할 것을 요구한다. ("모자이크"에 대한) "M" 버튼을 누름으로써, 재퍼는 여덟개의 저감 스트림 및 풀-선명도 모드로 수신된 스트림에 의해 송신된 비디오를 상영하고, 바람직하게는, 풀-선명도 모드로 수신된 스트림의 비디오 이미지는 아홉개의 이미지의 모자이크의 중앙에 있다. 이 방식에서, 모자이크 이미지는 스트림이 이미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짧은 시간 나타난다. 모자이크 이미지는 아홉개 이외의 다수의 이미지, 예를 들면, 16 또는 25개를 포함할 수 있다. 모자 이크 모드에서, "P+" 또는 "P-"를 누름으로써, 유저는 풀-선명도 모드로 수신된 채널을 변경한다. 디바이스는 새로운 채널을 저감 모드에서 수신할 것을 요구하는 요청을 서버에 전송한다. 초기에, 모자이크는 여덟개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그 다음에, 새로운 저감 스트림 채널에 대응하는 아홉개를 표시한다. 이러한 지연 모양에 의해 유저는 하나의 모자이크 이미지로부터 또 다른 이미지로의 변경 및 특히 새로운 채널의 이미지를 보다 잘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저감 스트림은 정규 이미지보다 저 선명도의 이미지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스트림이다. 저감 스트림은 풀-선명도 시퀀스보다 더 빠른 재핑을 선호하는 짧은 GOP 형태(그러한 이미지 크기에 대하여 이미지 I의 오퍼헤드는 풀-선명도 모드에서 보다 작음)를 가질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재핑 커맨드 전후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대한 변경을 도시한다. 도 4a는 풀-선명도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이미지를 도시한다. 유저는 다음 채널로 전환하기 위한 커맨드를 활성화한다. 재퍼가 저감 스트림으로부터 이미지를 추출하면 도 4b의 스크린 모양이 나타난다. 표시된 이미지는 보통 품질의 이미지이다. 임의의 시간 후에, 수신기는 풀-선명도 스트림을 셋업하고 도 4c에 도시된 최적 품질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재핑 커맨드 직후에, 저감 스트림으로부터 취해진 이미지는 풀-선명도 모드에서의 이미지에 비해 품질이 떨어진다. 유저의 눈에 대하여 이러한 품질의 저하를 일시적으로 마스킹하는 개선이 가능하다. 사실상, 저감 스트림과 풀-선명도 스트림 간의 비주얼 전이가 상대적으로 눈에 띄게 되 어 유저를 놀라게 할 수 있다. 제1 접근법은 시작시에 작은 묘화 이미지를 점진적으로 확장하여 스크린 영역 모두를 커버하도록 "줌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열화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한 애니메이션은 풀-선명도 스트림으로 조정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동일할 수 있는 시간이 걸린다. 시각적으로, 크기가 가변하는 이미지에서, 해상도 문제는 그리 중요하지 않게 된다. 초기에 이미지가 작기 때문에, 저감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되었다는 사실이 상당히 마스킹된다. 또 다른 접근법은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저감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이미지는 때때로 왼쪽, 때때로 오른쪽의 스크린 부분에 나타난다. 또 다른 접근법은 큐브를 회전하고 확대하는 두 변에 저감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회전 말미에, 그 변은 전체 스크린을 점유하고, 이 때 풀-선명도 스트림으로의 전환이 일어난다. 또 다른 접근법은 페이드-인(fade-in), 페이드-아웃(fade-out) 또는 임의의 다른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이것은 초기 이미지의 품질로부터 유저의 주의를 다른 것으로 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경우에, 애니메이션은 풀-선명도 스트림을 셋업하는데 걸리는 시간 동안 지속된다. 풀-선명도 스트림이 셋업되면, 이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풀-선명도 이미지가 표시된다. 이롭게도, 이러한 시간은 이전의 전환에서 측정된 가장 긴 시간에 대응된다.
유저의 눈으로부터 전이를 마스킹하는 또 다른 방식은 필터를 끼우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신기는 저감 스트림으로부터 취해진 확대 이미지와 및 풀-선명도 이미지 간의 가중 평균을 계산한다. 가중치는 풀-선명도 스트림을 셋업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적어도 포함하는 시간 내에서 (100%, 0%)에서 (0%, 100%)까지 가변한다. 이롭게도, 필터링 단계의 시간은 스트림을 셋업하는 시간을 상당히 초과하고, 이는 궁극적으로 풀-선명도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100% 풀-선명도 이미지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대역폭을 최적화하는 동안 재핑시에 채널 전환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18)

  1. 서버(20)로부터 디바이스(1)로 오디오비주얼 스트림들(audiovisual streams)을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서버는 오디오비주얼 스트림들을 정규의 송신 대역폭으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오디오비주얼 스트림들을 저감된 송신 대역폭으로 송신하며, 상기 저감된 송신 대역폭은 상기 정규의 송신 대역폭보다 낮음 -,
    제1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을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라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된 제1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에 대응하는 제1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상기 정규의 송신 대역폭으로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제1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에 후속하거나 선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상기 저감된 송신 대역폭으로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은 상기 요청된 제1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에 후속하거나 선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에 대응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 중 하나를 송신하라는 제2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요청은 상기 제1 요청에 후속함 -, 및
    상기 제2 요청에 응답하여, 제3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상기 정규의 송신 대역폭으로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은 상기 저감된 송신 대역폭으로 송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스트림 중 하나에 대응함 -
    를 포함하는 오디오비주얼 스트림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제1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에 후속하거나 선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프로그램 송신기에 의해 정의된 재핑 순서(zapping order)에 기초하는 오디오비주얼 스트림 송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제1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에 후속하거나 선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요청에 기초하며, 상기 제1 요청은 또한 상기 요청된 제1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에 후속하거나 선행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감된 스트림을 송신하라는 요청을 포함하는 오디오비주얼 스트림 송신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요청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요청되며 상기 서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스트림 중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 중 하나를 저-해상도(low-resolution)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요청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요청되며 상기 서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3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 중 하나를 풀-해상도(full-resolution)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비주얼 스트림 송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저 커맨드들을 통해 액세스가능한 복수의 제2 오디오비주얼 스트림들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2 오디오비주얼 스트림들로부터 추출된 비주얼 콘텐츠를 표시하는 모자이크 이미지를 상기 디바이스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비주얼 스트림 송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트림은 모자이크 이미지를 포함하는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되는 오디오비주얼 스트림 송신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스트림 선호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제2 스트림들 중 하나는 상기 선호 리스트를 탐색(navigating)함으로써 제2 유저 요청에 의해 즉시 액세스가능한 오디오비주얼 스트림 송신 방법.
  8. 송신기(20)로서,
    네트워크(6)를 통해 오디오비주얼 스트림들을 송신하는 수단(2.4),
    오디오비주얼 스트림들을 정규의 송신 대역폭으로 송신하는 수단과 오디오비주얼 스트림들을 저감된 송신 대역폭으로 송신하는 수단 - 상기 저감된 송신 대역폭은 상기 정규의 송신 대역폭보다 낮음 -,
    디바이스(1)로부터, 제1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을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라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2.4),
    상기 요청된 제1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에 대응하는 제1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상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수단,
    상기 요청된 제1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에 후속하거나 선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트림을 상기 정규의 송신 대역폭으로 상기 디바이스(1)에 송신하는 수단(2.4)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트림은 상기 요청된 제1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에 후속하거나 선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에 대응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 중 하나를 송신하라는 제2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제2 요청에 응답하여, 제3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정규의 송신 대역폭으로 송신하는 수단 - 상기 제3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은 상기 저감된 송신 대역폭으로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스트림 중 하나에 대응함 -
    을 포함하는 송신기.
  9. 수신기(1)로서,
    오디오비주얼 스트림들을 정규의 송신 대역?으로 수신하는 수단과, 오디오비주얼 스트림들을 저감된 송신 대역폭으로 수신하는 수단 - 상기 저감된 송신 대역폭은 상기 정규의 송신 대역폭보다 낮음 -,
    제1 오디오비주얼 채널을 송신하라는 제1 요청을 송신하는 수단(3, 4, 5),
    상기 요청된 제1 오디오비주얼 채널에 후속하거나 선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상기 저감된 송신 대역폭으로 수신하는 수단(3, 4, 5)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채널 중 하나를 송신하라는 제2 요청을 송신하는 수단, 및
    제3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상기 정규의 송신 대역폭으로 수신하는 수단 - 상기 제3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은 상기 저감된 송신 대역폭으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스트림 중 하나에 대응함 -
    을 포함하는 수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오디오비주얼 채널들의 리스트를 입력하는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수신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수단(3, 4, 5)은 복수의 제2 저감된 대역폭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비주얼 콘텐츠를 표시하는 모자이크 이미지를 작성하는 OSD(On Screen Display) 회로를 포함하는 수신기.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모자이크 이미지를 송신하는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스트림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디오비주얼 데이터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모자이크 이미지의 부분들로부터 추출되는 수신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70020884A 2006-03-03 2007-03-02 유저 커맨드의 오디오비주얼 스트림 어헤드 송신 방법 및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신기 및 송신기 KR101372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50759A FR2898236A1 (fr) 2006-03-03 2006-03-03 Procede de transmission de flux audiovisuels en anticipant les commandes de l'utilisateurs, recepteur et emetteur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FR0650759 2006-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812A KR20070090812A (ko) 2007-09-06
KR101372131B1 true KR101372131B1 (ko) 2014-03-07

Family

ID=3717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884A KR101372131B1 (ko) 2006-03-03 2007-03-02 유저 커맨드의 오디오비주얼 스트림 어헤드 송신 방법 및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신기 및 송신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206622A1 (ko)
EP (1) EP1830540B1 (ko)
JP (2) JP5627834B2 (ko)
KR (1) KR101372131B1 (ko)
CN (1) CN101031080B (ko)
DE (1) DE602007001988D1 (ko)
FR (1) FR2898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5859B2 (en) * 2003-12-03 2010-04-27 Sony Corporation Transitioning between two high resolution video sources
US9154844B2 (en) * 2006-10-30 2015-10-06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elays due to channel changes
WO2008088015A1 (ja) * 2007-01-19 2008-07-24 Nec Corporation 映像音声ストリーム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および配信用プログラム
JP5061619B2 (ja) * 2007-01-24 2012-10-31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ソース確保方法、中継装置、配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8152550A2 (en) * 2007-06-11 2008-12-18 Nxp B.V. A video receiver
KR101442004B1 (ko) * 2007-06-13 2014-09-23 톰슨 라이센싱 잽핑 시간을 감소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US9699242B2 (en) 2007-12-07 2017-07-04 Dan Atsmon Multimedia file upload
GB2469235B (en) * 2008-01-31 2013-04-03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media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JP2010028232A (ja) * 2008-07-15 2010-02-04 Sony Corp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110042331A (ko) * 2008-07-28 2011-04-26 톰슨 라이센싱 2차 채널 비디오 스트림을 이용한 고속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
JP4912366B2 (ja) * 2008-08-01 2012-04-11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動画再生装置、サーバ装置、動画再生方法、サービス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EP2224728A1 (fr) * 2009-02-27 2010-09-01 France Telecom Procédé pour zapper d'une chaîne d'origine à une chaîne cible sur un écran d'affichage à l'aide d'un dispositif de réception télévisuel, et dispositif de réception associé
US20100272187A1 (en) 2009-04-24 2010-10-28 Delta Vidyo, Inc. Efficient video skimmer
EP2296366A1 (en) * 2009-09-03 2011-03-16 Thomson Licensing, Inc. Method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ideo services
US20110191813A1 (en) * 2010-02-04 2011-08-04 Mike Rozhavsky Use of picture-in-picture stream for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fast channel change
JP5500649B2 (ja) * 2010-09-29 2014-05-21 Kddi株式会社 映像配信サーバ
CN103181182B (zh) * 2010-09-30 2016-03-30 汤姆逊许可公司 用于提供马赛克频道的方法和设备
GB2493498A (en) 2011-07-18 2013-02-13 Nds Ltd Fast channel change using an aggregated video service
CN102421014A (zh) * 2011-11-22 2012-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实现自定义马赛克业务的方法、终端及系统
US8958569B2 (en) * 2011-12-17 2015-02-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ve spatial audio communication
US9247283B1 (en) * 2014-10-27 2016-01-26 Cisco Technology, Inc. Mosaic presentation screen production
EP3425920A1 (en) * 2017-07-06 2019-01-09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Media receiver for avoiding interruption of image display upon channel switch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441A (ja) * 1993-09-30 1995-04-21 Toshiba Corp 映像信号送受信装置
US6118498A (en) 1997-09-26 2000-09-12 Sarnoff Corporation Channel scanning and channel change latency reduction in an ATSC television receiver
US20040003399A1 (en) 2002-07-01 2004-01-01 Cooper J. Carl Channel surfing compressed television sign method and television receiver
WO2005112465A1 (en) * 2004-05-03 2005-11-24 Thomson Research Fund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enabling fast channel change for ds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5282B2 (ja) * 1995-02-06 2006-12-06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4040766B2 (ja) * 1998-09-28 2008-01-30 株式会社東芝 ディジタル放送受信端末装置
US7237251B1 (en) * 1999-03-02 2007-06-26 Bigband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elay time during switching events to display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elements
AU2001250985A1 (en) * 2000-03-29 2001-10-08 Digeo Broadband, Inc. User customizable interface to tv and internet content
JP2001285736A (ja) * 2000-03-31 2001-10-12 Canon Inc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2262190A (ja) * 2001-03-02 2002-09-1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087668A (ja) * 2001-09-13 2003-03-20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3932019B2 (ja) * 2001-11-02 2007-06-2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番組選択方法、番組選択装置及び番組選択プログラム
JP4443833B2 (ja) * 2002-02-27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再生方法、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20030196211A1 (en) * 2002-04-10 2003-10-16 Peter Cha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imulated rapid tuning of digital video channels
US7523482B2 (en) * 2002-08-13 2009-04-21 Microsoft Corporation Seamless digital channel changing
JP3935412B2 (ja) * 2002-09-09 2007-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受信装置の制御方法、ストリームデータ配信システム
JP4612791B2 (ja) 2002-10-22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4408677B2 (ja) * 2002-11-29 2010-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7227583B2 (en) * 2002-12-11 2007-06-05 Lg Electronics Inc. Digital TV method for switching channel automatically
JP2004266704A (ja) * 2003-03-04 2004-09-24 Funai Electric Co Ltd 放送受信装置
JP2004320660A (ja) * 2003-04-18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トリーム受信装置
US20050091693A1 (en) * 2003-10-22 2005-04-28 Rochelle Communications, Inc. Dual mode set-top box that optimizes the delivery and user selection of audio or video programming over data networks
JP2005130087A (ja) * 2003-10-22 2005-05-19 Canon Inc マルチメディア情報機器
US20060020995A1 (en) * 2004-07-20 2006-01-2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Fast channel change in digital media systems
KR100690725B1 (ko) * 2004-09-0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성방송수신기의 채널 전환 장치
US7477653B2 (en) * 2004-12-10 2009-01-13 Microsoft Corporation Accelerated channel change in rate-limited environments
US20060200842A1 (en) * 2005-03-01 2006-09-07 Microsoft Corporation Picture-in-picture (PIP) alerts
JP4609236B2 (ja) * 2005-08-23 2011-01-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配信システム及び受信ルータ
JP4534997B2 (ja) * 2006-02-13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送受信システム、受信装置、受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441A (ja) * 1993-09-30 1995-04-21 Toshiba Corp 映像信号送受信装置
US6118498A (en) 1997-09-26 2000-09-12 Sarnoff Corporation Channel scanning and channel change latency reduction in an ATSC television receiver
US20040003399A1 (en) 2002-07-01 2004-01-01 Cooper J. Carl Channel surfing compressed television sign method and television receiver
WO2005112465A1 (en) * 2004-05-03 2005-11-24 Thomson Research Fund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enabling fast channel change for ds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7001988D1 (de) 2009-10-01
JP2013243771A (ja) 2013-12-05
KR20070090812A (ko) 2007-09-06
JP5744984B2 (ja) 2015-07-08
FR2898236A1 (fr) 2007-09-07
CN101031080A (zh) 2007-09-05
CN101031080B (zh) 2012-12-12
JP2007243947A (ja) 2007-09-20
EP1830540A1 (en) 2007-09-05
US20070206622A1 (en) 2007-09-06
JP5627834B2 (ja) 2014-11-19
EP1830540B1 (en)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131B1 (ko) 유저 커맨드의 오디오비주얼 스트림 어헤드 송신 방법 및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신기 및 송신기
KR101069578B1 (ko) 가상 채널 프리뷰 가이드를 생성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구현 방법,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구현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9674586B2 (en) Data structure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gram guide
US7644425B2 (en) Picture-in-picture mosaic
EP1521468A1 (en) Miniaturized video feed generation and user-interface
US87520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w resolution images in a broadcast system
US70964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position in an image sequence
EP1562374B1 (en) Managing list of channel/program information in video display device
KR101262342B1 (ko) Iptv 방송 시스템 및 수신장치와 iptv시스템의양방향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EP260973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onic program guides
DE112013002234T5 (de) Verbundenes Mehrfachbilschirm-Video
EP09470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look-and-feel in a digital broadcast via an x-y protocol
US9924234B2 (en) Data structure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gram
US20040117830A1 (en)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1101190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EP2963919A1 (en) Method of processing multi-mode service broadcast signal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KR100873949B1 (ko) 클라이언트 기반의 화면 구성 시스템 및 그 방법
US9077935B2 (en) Digital television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s using the same
KR20170116101A (ko)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프레젠테이션 방법, 관련 장치 및 관련 시스템
KR10076787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영상 선택장치 및 방법
JP2024060693A (ja) 番組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テレビ受信機
US201803595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Inserted Material To A Client Device In A Centralize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KR20050074667A (ko) 다채널, 원격 카메라 제어 기능을 가진 개인 휴대용 단말기용 무선 인터넷 실시간 멀티미디어 전송 서버/클라이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