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038B1 - 부착형 자석침 - Google Patents

부착형 자석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038B1
KR101372038B1 KR1020120116656A KR20120116656A KR101372038B1 KR 101372038 B1 KR101372038 B1 KR 101372038B1 KR 1020120116656 A KR1020120116656 A KR 1020120116656A KR 20120116656 A KR20120116656 A KR 20120116656A KR 101372038 B1 KR101372038 B1 KR 101372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s
magnet
magnetic force
encapsulation layer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우
박용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120116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038B1/ko
Priority to EP13163258.0A priority patent/EP2722073A1/en
Priority to US13/861,777 priority patent/US20140114116A1/en
Priority to JP2013087339A priority patent/JP5491654B2/ja
Priority to CN201310184795.1A priority patent/CN103767870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인체의 경락과 경혈에 기를 보강할 수 있는 부착형 자석침에 관한 것으로, 이웃한 자석 간 중심부의 자기력이 0이 되도록 정다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는 다수의 자석; 상기 다수의 자석을 봉지하는 봉지층; 및 상기 봉지층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봉지층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접착면을 제공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착형 자석침{Magnetic acupuncture}
본 발명은 부착형 자석침에 관한 것으로,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인체의 경락과 경혈에 기를 보강할 수 있는 부착형 자석침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동양 의약에서 침구 치료는 중요한 치료기법으로 응용되고 있다. 침구 치료는 인체에 기가 흐르는 통로인 경락과 경혈에 자극을 주는 침구를 시술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침구 치료는 일시적인 효과를 가지며, 시술시에 통증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침구 대신에 자석을 인체의 경락과 경혈에 부착하여 지속적으로 경락과 경혈을 자극하여 치료하는 동시에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자석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석 치료는 자기력을 증가시켜 기의 발생을 증가시킬 수는 있지만 인체에 유해한 자기력을 감소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석 간 중심을 관통하는 자기력이 최소화되도록 자석들을 정다각형 형상으로 배치하여 인체에 미치는 자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부착형 자석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이웃한 자석 간 중심부의 자기력이 0이 되도록 정다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는 다수의 자석; 상기 다수의 자석을 봉지하는 봉지층; 및 상기 봉지층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봉지층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접착면을 제공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부착형 자석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접착층; 이웃한 자석 간 중심부의 자기력이 0이 되도록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정다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는 다수의 자석; 상기 접착층 및 상기 다수의 자석을 봉지하는 봉지층; 및 상기 접착층의 타면에 부착되는 이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석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석을 정다각형으로 배치함으로써 인체에 미치는 자기력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인체의 경락 또는 경혈 부위에 대한 시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1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1실시예에 대한 하측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1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2실시예에 대한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1실시예에 대한 하측 평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1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1실시예에 대한 자기장간의 반발 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2실시예에 대한 자기장간의 반발 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N극 및 S극에 대한 자기력선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에서 자기장간의 반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가우스 분포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자석 배치에 따른 자기력의 변화와 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면, 같은 극을 가진 영구자석을 가까이 배치하면 같은 극 사이에는 같은 자기력이 서로 밀어내므로 자기력이 일부 상쇄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N극에서 나온 자기력은 다시 S극으로 들어가므로 자기력에 의해 유도되는 기는 상쇄되지 않고 N극에서 나온 자기력이 증가한 만큼 유도되는 기는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기의 방향은 자석의 N극과 S극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인체의 기를 보(補) 할 수도 사(瀉)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인체를 시술할 때 기를 보하는 방법이 가장 안전한데 그 이유는 기를 사할 경우 인체의 장부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양 의술에서 사용하는 오행의 상생 상극의 법칙을 적용시에 강한 부분을 사하려면 상극의 법칙을 적용하여 상극의 주체를 보하는 시술을 해야 안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를 보할 수 있는 자석 배치를 갖는 부착형 자석침을 제공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1실시예를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부착형 자석침의 제1실시예는 자석의 배치 형태가 정오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된 경우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1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1실시예에 대한 하측 평면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1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부착형 자석침(10)은, 자석 사이의 자기력이 0이 되도록 정다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는 다수의 자석(11)과, 다수의 자석(11)을 봉지하는 봉지층(12)과, 봉지층(12)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접착면을 제공하는 접착층(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자석, 봉지층 및 접착층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일 수도 있으며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자석(1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기둥 형상이며, 원기둥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하단은 S극과 상단은 N극을 띠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이러한 자석(11)은 그 두께가 2mm 이하이며, 지름이 2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자석(11)은 자속밀도가 2000 가우스 이상의 크기를 갖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봉지층(12)은 실리콘일 수 있으며, 자석(11)이 함입되는 것에 의해 자석(11)을 고정할 수 있다.
접착층(13)은 봉지층(12)을 감싸면서 봉지층(12)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접착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13)은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부착형 자석침(10)은 다수의 자석(11)이 봉지층(12)에 정오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즉, 5개의 자석(11)을 봉지층(12)의 일면상에 정오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되, S극이 봉지층(12)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즉, N극을 봉지층(12)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정오각형의 외접원의 지름은 10mm 이하일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외접원의 지름이 10mm 이상일 경우, 즉, 자석들이 정오각형의 중심부에서 너무 멀어질 경우 중심부의 반발력이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중심부의 자기력 상쇄를 극대화시킬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자석 배치에 의해, 본 부착형 자석침(10)은, 다수의 자석을 통해 자기력을 강화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유도되는 기의 발생은 증가시키고, 또한, 이웃한 자석 간 중심영역과, 정오각형의 중심부와 이웃한 자석 간 중심 영역을 연결하는 영역이 자기력이 0이 되는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자석(11) 간의 중심을 관통하는 자기력을 최소화하여 인체에 미치는 자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인체의 경락 또는 경혈 부위에 대한 시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부착형 자석침(10)의 자석(11)은 상부에 N극을, 하부에 S극을 형성하도록 봉지층(12)에 매립되어 인체 피부 위에 S극이 오도록 시술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오각형의 중심부로 관통하는 자기력선의 방향을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하도록 하여 기를 보해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부착형 자석침(10)은 접착층(13)만 교체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부착형 자석침(10)은, 자석(11) 및 봉지층(12)의 하면에 부착되어 자석(11)이 직접 인체의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고 자석(11)이 봉지층(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베이스 기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부착형 자석침(10)은, 적어도 접착층(13)의 접착면에 부착되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이형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2실시예를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부착형 자석침의 제2실시예는 자석의 배치 형태가 정육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된 경우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2실시예에 대한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2실시예에 대한 하측 평면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2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부착형 자석침(20)은, 자석 사이의 자기력이 0이 되도록 정다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는 다수의 자석(21)과, 다수의 자석(21)을 봉지하는 봉지층(22)과, 봉지층(22)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접착면을 제공하는 접착층(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석(2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기둥 형상이며, 원기둥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하단은 S극과 상단은 N극을 띠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이러한 자석(21)은 그 두께가 2mm 이하이며, 지름이 2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자석(21)은 자속밀도가 2000 가우스 이상의 크기를 갖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그리고, 봉지층(22)은 실리콘일 수 있으며, 자석(21)이 함입되는 것에 의해 자석(21)을 고정할 수 있다. 즉, 자석(22)은 S극이 노출되도록 봉지층(22)에 매립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층(23)은 봉지층(22)을 감싸면서 봉지층(22)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접착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형 자석침(20)은 다수의 자석(21)이 봉지층(22)에 정육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즉, 6개의 자석(21)을 봉지층(22)의 일면상에 정육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되, S극이 봉지층(22)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즉, N극을 봉지층(22)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정오각형의 외접원의 지름은 10mm 이하일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외접원의 지름이 10mm 이상일 경우, 즉, 자석들이 정육각형의 중심부에서 너무 멀어질 경우 중심부의 반발력이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중심부의 자기력 상쇄를 극대화시킬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자석 배치에 의해, 본 부착형 자석침(20)은, 다수의 자석을 통해 자기력을 강화함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유도되는 기의 발생은 증가시키고, 또한, 이웃한 자석 간 중심영역과, 정오각형의 중심부와 이웃한 자석 간 중심 영역을 연결하는 영역이 자기력이 0이 되는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자석(21) 간의 중심을 관통하는 자기력을 최소화하여 인체에 미치는 자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인체의 경락 또는 경혈 부위에 대한 시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부착형 자석침(20)의 자석(21)은 상부에 N극을, 하부에 S극을 형성하도록 봉지층(22)에 매립되어 인체 피부 위에 S극이 오도록 시술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육각형의 중심부로 관통하는 자기력선의 방향을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하도록 하여 기를 보해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부착형 자석침(20)은, 자석(21) 및 봉지층(22)의 하면에 부착되어 자석(21)이 직접 인체의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고 자석(21)이 봉지층(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베이스 기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부착형 자석침(20)은, 적어도 접착층(23)의 접착면에 부착되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이형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1실시예에 대한 자기장간의 반발 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층(12)의 일면에 자석(11)을 정오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할 경우, 자석(11)의 S극에 의해 자석 간의 중심부에서 자기력이 최소화되는 A 영역이 발생한다.
즉, 정오각형을 이루는 자석 간 중심부(A 영역)에서 자기력이 서로 반발하여 자기력 세기가 최소화되고, 이에 유도되는 기는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부착형 자석침에 있어서, A 영역은 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경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제2실시예에 대한 자기장간의 반발 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층(22)의 일면에 자석(21)을 정육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할 경우, 자석(21)의 S극에 의해 자석 간의 중심부에서 자기력이 최소화되는 B 영역이 발생한다.
즉, 정육각형을 이루는 자석 간 중심부(B 영역)에서 자기력이 서로 반발하여 자기력 세기가 최소화되고, 이에 유도되는 기는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부착형 자석침에 있어서, B 영역은 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경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의 N극 및 S극에 대한 자기력선을 나타낸 이미지로, (a)는 N극의 자기력선 분포를, (b)는 S극의 자기력선 분포를 각각 나타낸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을 정육각형으로 배치한 경우, 정육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된 자석 각각에 대한 자기력이 발생하며, 이웃한 자석 간 중심부 및 정육각형의 중심부를 연결한 영역(P)에서 자기력선이 상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한 자석간 중심부 및 정육각형의 중심부를 연결한 영역(P)은 기가 흐르는 경로가 되며, 자기력이 0에 가까워짐에 따라 유도되는 기는 최대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부착형 자석침은 자석 수를 증가시켜 자기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자석을 정오각형 또는 정육각형으로 배치하여 자석간의 중심의 자기력 상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에서 자기장간의 반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가우스 분포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 2개(31, 32)를 30mm 간격으로 배치한 경우, 두 자석의 S극에 대한 자기력의 가우스 분포도에서 초록색 육각형으로 표시된 지점에서 그 값이 0이 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부착형 자석침에 있어서, 자석을 정오각형 또는 정육각형이 되도록 배치할 경우, 자기력이 0이 되는 반발 영역이 이웃한 자석 간 중심부 및 정오각형 또는 정육각형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영역으로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형 자석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부착형 자석침은 자석 사이의 자기력이 0이 되도록 접착층(42)의 일면에 정다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는 다수의 자석(43)과, 접착층(42) 및 다수의 자석(43)을 봉지하는 봉지층(44)과, 접착층(42)의 타면에 부착되는 이형층(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정다각형은 정오각형 또는 정육각형일 수 있다.
본 부착형 자석침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자석(43)은 얇은 두께를 갖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기둥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하단은 S극과 상단은 N극을 띠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이러한 자석(43)은 그 두께가 2mm 이하이며, 지름이 2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자석(43)은 자속밀도가 2000 가우스 이상의 크기를 갖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이러한 자석(43)은 봉지층(44)의 일면에 정오각형 또는 정육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즉, 5개 또는 6개의 자석(43)을 봉지층(44)의 일면상에 정오각형 또는 정육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되, S극이 봉지층(44)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즉, N극을 봉지층(44)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정오각형 또는 정육각형의 외접원의 지름은 10mm 이하일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외접원의 지름이 10mm 이상일 경우, 즉, 자석들이 정다각형의 중심부에서 너무 멀어질 경우 중심부의 반발력이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중심부의 자기력 상쇄를 극대화시킬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봉지층(44)은 실리콘일 수 있으며, 자석(43)이 함입되는 것에 의해 자석(43)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층(41)은 자석(43) 및 봉지층(44)의 하면에 형성되며, 자석(43) 및 봉지층(44)과 접하는 반대면을 접착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형층(42)은 접착층(41)의 접착면에 부착되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을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부착형 자석침 11, 21. 자석
12, 22. 봉지층 13, 23. 접착층

Claims (13)

  1. 이웃한 자석 간 중심부의 자기력이 0이 되도록 정다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는 다수의 자석;
    상기 다수의 자석을 봉지하도록 형성된 봉지층; 및
    상기 봉지층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봉지층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접착면을 제공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자석 각각은 상기 봉지층에 의해 봉지되는 측이 N극, 상기 봉지층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측이 S극이 되도록 배치된 영구 자석으로 구성되되, 상기 S극이 상기 N극보다 인체 피부와 더 가깝도록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자석 각각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은 상기 인체의 피부에 대해 수직하며 상기 인체 피부를 향하여 들어가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다각형의 중심부와 상기 정다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는 자석 중 이웃한 자석 간 중심부들을 연결하는 영역의 자기력이 0이 되어 상기 자기력이 0이 되는 영역에서 인체의 피부 쪽으로 기의 흐름을 최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석침.
  2. 접착층;
    이웃한 자석 간 중심부의 자기력이 0이 되도록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정다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는 다수의 자석;
    상기 접착층 및 상기 다수의 자석을 봉지하는 봉지층; 및
    상기 접착층의 타면에 부착되는 이형층;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자석 각각은 상기 봉지층에 의해 봉지되는 측이 N극, 상기 봉지층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측이 S극이 되도록 배치된 영구 자석으로 구성되되, 상기 S극이 상기 N극보다 인체 피부와 더 가깝도록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자석 각각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은 상기 인체의 피부에 대해 수직하며 상기 인체 피부를 향하여 들어가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다각형의 중심부와 상기 정다각형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는 자석 중 이웃한 자석 간 중심부들을 연결하는 영역의 자기력이 0이 되어 상기 자기력이 0이 되는 영역에서 인체의 피부 쪽으로 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석침.
  3. 청구항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석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석 각각은 자속밀도가 2000 가우스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석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다각형은 정오각형이며, 상기 다수의 자석은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석침.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다각형은 정육각형이며, 상기 다수의 자석은 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석침.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석 각각은 두께가 2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석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석 각각은 지름이 2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석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다각형 형상의 외접원의 지름이 10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석침.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석 각각은 두께와 지름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석침.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은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석침.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석 및 상기 봉지층 하면에 부착되는 베이스 기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석침.
  13.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중 적어도 접착면에 부착되는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자석침.
KR1020120116656A 2012-10-19 2012-10-19 부착형 자석침 KR101372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656A KR101372038B1 (ko) 2012-10-19 2012-10-19 부착형 자석침
EP13163258.0A EP2722073A1 (en) 2012-10-19 2013-04-11 Attachable magnetic acupuncture
US13/861,777 US20140114116A1 (en) 2012-10-19 2013-04-12 Attachable magnetic acupuncture
JP2013087339A JP5491654B2 (ja) 2012-10-19 2013-04-18 付着型磁石針
CN201310184795.1A CN103767870A (zh) 2012-10-19 2013-05-17 附着式磁性针灸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656A KR101372038B1 (ko) 2012-10-19 2012-10-19 부착형 자석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038B1 true KR101372038B1 (ko) 2014-03-07

Family

ID=4813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656A KR101372038B1 (ko) 2012-10-19 2012-10-19 부착형 자석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14116A1 (ko)
EP (1) EP2722073A1 (ko)
JP (1) JP5491654B2 (ko)
KR (1) KR101372038B1 (ko)
CN (1) CN1037678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7107B2 (en) 2014-04-08 2020-08-11 Ori Ledany LED-laser biomagnetic wave therapy device
CN203989490U (zh) * 2014-04-08 2014-12-10 奥利·莱德尼 便携式按摩及磁光治疗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393Y1 (ko) 2001-11-10 2002-02-19 김태문 육각형 세라믹 자석 지압구
KR20020052607A (ko) * 2000-12-26 2002-07-04 이현수 다점자석침
JP2002315839A (ja) 2001-04-19 2002-10-29 Aso Seiyaku Kk 磁石付き絆創膏
KR200432319Y1 (ko) 2006-09-12 2006-11-30 변인택 인체의 기혈조절용 기파스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3422U (ko) * 1979-10-24 1981-05-28
DE3718333A1 (de) * 1986-10-31 1988-05-11 Rakovic Milorad 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von magneten fuer die magnetakupunktur
US5312321A (en) * 1986-11-21 1994-05-17 Holcomb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neuron action potential firings
EP0334141A1 (en) * 1988-03-22 1989-09-27 Robert Ray Holcomb Magnetic treatment device
JP2000070385A (ja) * 1998-08-28 2000-03-07 Ryujiro Kasugaoka 磁気治療具
JP2001003017A (ja) * 1999-06-22 2001-01-09 Hiroharu Shimizu 貼付具
KR100334560B1 (ko) * 1999-12-15 2002-05-03 김치경 경혈 지압구
JP2001187153A (ja) * 1999-12-28 2001-07-10 Tokin Corp トルマリンを含む磁気治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87109A (ja) * 2000-01-04 2001-07-10 Jiro Abe 肩こり指圧盤
US6344021B1 (en) * 2000-03-03 2002-02-05 Robert W. Juster Magnetic therapy patch
JP2002052087A (ja) * 2000-08-08 2002-02-19 Taichi Hanmyo 貼り付け剤
US6632168B2 (en) * 2001-03-13 2003-10-14 Advanced Recording Technologies Magnetic therapeutic device and method of use
JP2004113707A (ja) * 2002-09-30 2004-04-15 Asahi Bussan Kk 健康マット
US6783504B1 (en) * 2003-02-26 2004-08-31 Robert Be Xie Method of acupuncture and magnetic treatment for weight loss
JP2005328951A (ja) * 2004-05-19 2005-12-02 Han Seo Koo 磁気力を利用した経絡調節具及び調節方法
JP2006325716A (ja) * 2005-05-24 2006-12-07 Aso Seiyaku Kk 磁石付き絆創膏
CN2917633Y (zh) * 2006-01-11 2007-07-04 王景新 梅花药磁针
KR20080023800A (ko) * 2006-09-12 2008-03-17 변인택 인체의 기혈조절용 기파스
NL1035583C2 (nl) * 2008-06-13 2009-03-24 Lier Johannes Jacobus Cornelia Matras dat 3 centimeter onder de bovenkant is voorzien van eenzelfde type regelmatige veelhoeken gevormd door een specifieke plaatsing van dipoolmagneten. In iedere veelhoek, gevormd door de dipool-magneten, bevindt zich één plaatje van bergkristal bergkristal is dat het voor degene die er op slaapt leidt tot verbeterd slaapcomfort, reductie van stress, in het centrum. Het doel van deze specifieke combinatie van dipool-magneten en plaatjes van reductie van stralingsbelasting en een verbeterde gezondheid.
CN201930410U (zh) * 2010-11-13 2011-08-17 刘勇 穴位按压刺激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607A (ko) * 2000-12-26 2002-07-04 이현수 다점자석침
JP2002315839A (ja) 2001-04-19 2002-10-29 Aso Seiyaku Kk 磁石付き絆創膏
KR200264393Y1 (ko) 2001-11-10 2002-02-19 김태문 육각형 세라믹 자석 지압구
KR200432319Y1 (ko) 2006-09-12 2006-11-30 변인택 인체의 기혈조절용 기파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67870A (zh) 2014-05-07
EP2722073A1 (en) 2014-04-23
JP5491654B2 (ja) 2014-05-14
US20140114116A1 (en) 2014-04-24
JP2014083429A (ja)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2720A (en) Magnetic massage wand
KR101372038B1 (ko) 부착형 자석침
KR100334560B1 (ko) 경혈 지압구
CN103100142A (zh) 保健磁条及制作该保健磁条的方法
US20110048069A1 (en) Germanium ionic/Magnetic Bracelet
CN108939299A (zh) 一种磁疗装置
US6913663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magnetic therapeutic device
JP2006325716A (ja) 磁石付き絆創膏
KR101129155B1 (ko) 자기력에 의한 건강용 자석링
JP2005081037A (ja) 磁気発生装置
JP3133270U (ja) 磁気治療器
US20200046993A1 (en) Magnetic heal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10054238A1 (en) Titanium ionic/Magnetic Bracelet
RU2051660C1 (ru) Щетка для массажа
JP3236355U (ja) 磁気治療器
JPS63290582A (ja) 磁気治療用偏平マグネツトピ−ス
KR200404561Y1 (ko) 치료용 자석
JP2017023286A (ja) 磁気治療具および磁気治療具の製造方法
KR101486309B1 (ko)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이용한 척추 교정벨트
KR20160087194A (ko) 마스크 팩
JP2013031612A (ja) 磁気治療器
JP3112248U (ja) 健康リング治療具
SU1834655A3 (en) Device for segmental reflexotherapy (modifications)
CN206518777U (zh) 一种经颅磁刺激仪手柄的激光对准装置
KR200230426Y1 (ko) 자석을 이용한 건강 와이셔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