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780B1 - 절수 어댑터 - Google Patents

절수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780B1
KR101371780B1 KR1020120051428A KR20120051428A KR101371780B1 KR 101371780 B1 KR101371780 B1 KR 101371780B1 KR 1020120051428 A KR1020120051428 A KR 1020120051428A KR 20120051428 A KR20120051428 A KR 20120051428A KR 101371780 B1 KR101371780 B1 KR 101371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adapter
coupling
wa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706A (ko
Inventor
김창원
김영주
심명호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780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결합축을 구비하며, 수전의 선단부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일측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바닥부에 다수의 제1 통공이 형성되는 소켓; 상기 소켓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결합되는 소켓 결합부와, 에어레이션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결합되는 에어레이션 결합부가 중간격벽을 사이에 두고 각각 반대편에 형성되며, 상기 중간격벽에 상기 결합축이 통과되는 축공과 상기 축공의 주변으로 장공홀이 형성되는 어댑터 바디; 상기 소켓과 상기 어댑터 바디 사이 영역에서 상기 소켓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제1 통공들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다수의 제2 통공이 형성되는 디스크; 및 상기 소켓, 상기 어댑터 바디 및 상기 디스크가 하나의 몸체가 되도록 상기 에어레이션 결합부 쪽에서 상기 결합축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수 어댑터{ADAPTER}
본 발명은, 절수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처럼 이탈방지링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립이 가능함은 물론 어댑터 바디의 외주면에 종래처럼 다각형의 돌출부를 필히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며, 수전의 선단부에 절수 어댑터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수 어댑터의 풀림 현상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절수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공공시설이나 가정에서 수도꼭지를 사용하다보면 무의식중으로 다량의 물을 흘려보내게 되므로 원하지 않게 물을 낭비하게 된다. 낭비되는 물을 절약하기 위해 수도꼭지의 핸들을 매번 조정하여 물의 양을 조절한다.
그러나 수도꼭지의 핸들을 미세 각도로 조정하여 물을 사용하기에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이 있고, 사용할 때마다 매번 미세 각도로 조정하기에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수도꼭지의 핸들을 조정하는 사이에 물이 토출되어 낭비되므로 실질적인 물 절약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와 같이 세면용 수도꼭지 등의 수전에서 유체의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 토수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종래 장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09234호에 공지되어 있지만 이러한 종래 장치는 구성부품이 많고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물 배출량을 조절하는데도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절약형 에어레이터(aerator)를 수도꼭지의 토수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이 많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큰 불편함을 호소하였다. 이로 인해 절약형 에어레이터를 일반 에어레이터로 재시공함으로써 이와 같은 절약형 에어레이터는 의미 없는 장치에 전락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메인 앵글 밸브를 조정하여 세팅하는 방식은 원하는 유량을 얻기 위해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는 세면 도기 하부에 허리를 숙여 다시 세팅해야 하므로 이 또한 큰 불편이 있다.
이와 같이, 수도꼭지와 같은 수전의 사용 시 개인별 습관과 사용 장소에 의해 의미 없이 흘려보내는 물을 절약하고, 편리하게 원하는 양만큼의 물을 세팅하고 고정할 수 있는 절수 어댑터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절수 어댑터에 대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13533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절수 어댑터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상기 선행문헌(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135338호)에 개시된 도면들로서 이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본다.
첫째, 수전결합부재(10)에 결합축(11)이 돌출 형성되며, 결합축(11)의 단부에는 링결합 오목부(15)가 마련되어 이탈방지링(50)이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데, 이처럼 종래기술의 경우, 이탈방지링(50)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링결합 오목부(15)를 마련해야 하는 등의 가공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이탈방지링(50)에 의해 절수 어댑터를 조립한 상태에서 이 절수 어댑터를 수전의 선단부에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수전의 선단부에 절수 어댑터를 결합시킬 때에는 절수 어댑터의 어댑터 바디를 돌려가면서 나사 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시켜야 한다. 때문에, 종래기술의 경우, 어댑터 바디의 외주면에 다각형의 돌출부가 필히 형성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수전의 선단부에 절수 어댑터를 견고하게 결합시킨 상태에서 회전 하우징(3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복수 개의 제2 통수구(23) 중에서 개방통수구(31)와 일치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는 제2 통수구(23)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토출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회전 하우징(3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수전의 선단부로로부터 절수 어댑터가 풀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1353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처럼 이탈방지링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립이 가능함은 물론 어댑터 바디의 외주면에 종래처럼 다각형의 돌출부를 필히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며, 수전의 선단부에 절수 어댑터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수 어댑터의 풀림 현상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절수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측으로 돌출되는 결합축을 구비하며, 수전의 선단부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일측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바닥부에 다수의 제1 통공이 형성되는 소켓; 상기 소켓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결합되는 소켓 결합부와, 에어레이션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결합되는 에어레이션 결합부가 중간격벽을 사이에 두고 각각 반대편에 형성되며, 상기 중간격벽에 상기 결합축이 통과되는 축공과 상기 축공의 주변으로 장공홀이 형성되는 어댑터 바디; 상기 소켓과 상기 어댑터 바디 사이 영역에서 상기 소켓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제1 통공들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다수의 제2 통공이 형성되는 디스크; 및 상기 소켓, 상기 어댑터 바디 및 상기 디스크가 하나의 몸체가 되도록 상기 에어레이션 결합부 쪽에서 상기 결합축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어댑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결합부재는 와셔를 매개로 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스크루(screw)일 수 있다.
상기 소켓과 상기 디스크 간의 비회전 맞물림 결합을 위해 상기 소켓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단차부에 형상맞춤되는 단차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의 측벽에 형성되는 오링 수용부와 상기 어댑터 바디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O-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처럼 이탈방지링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립이 가능함은 물론 어댑터 바디의 외주면에 종래처럼 다각형의 돌출부를 필히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며, 수전의 선단부에 절수 어댑터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수 어댑터의 풀림 현상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절수 어댑터의 배면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 어댑터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에어레이션을 제거한 절수 어댑터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도,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소켓, 디스크 및 어댑터 바디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 어댑터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에어레이션을 제거한 절수 어댑터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소켓, 디스크 및 어댑터 바디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절수 어댑터(100)는 수전(101)의 선단부(102)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소켓(110), 어댑터 바디(120), 디스크(130), 결합부재(140), 그리고 오링(O-Ring, 150)을 포함한다.
소켓(110)은 실질적으로 수전(101)의 선단부(102)에 결합된다.
통상적인 나사 방식에 의해 소켓(110)이 수전(101)의 선단부(10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소켓(110)의 일측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11)가 형성되고 수전(101)의 선단부(102)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03)가 형성된다. 소켓(110)이 수전(101)의 선단부(102)에 결합되는 초기에는 약한 힘으로 결합될 수 있다.
소켓(110)에는 어댑터 바디(120)를 향해 연장된 결합축(112)이 형성된다. 결합축(112)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내벽면에는 나사산(112a)이 형성된다. 나사산(112a)은 결합부재(140)로서의 스크루가 견고하게 체결되는 장소를 이룬다.
소켓(110)의 측벽에는 오링(150)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오링 수용부(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소켓(110)의 바닥부에 다수의 제1 통공(114)이 형성된다.
또한 디스크(130)가 회전되지 않으면서 소켓(110)에 결합되기 위해 소켓(110)에는 단차부(115)가 형성된다.
어댑터 바디(120)는 본 실시예의 절수 어댑터(100)에서 가장 부피가 큰 부분을 이룬다.
이러한 어댑터 바디(120)의 중간 영역에는 완전히 막힌 구조는 아닌 중간격벽(121)이 형성되며, 중간격벽(121)을 사이에 두고 소켓(110)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결합되는 소켓 결합부(122)와, 에어레이션(160)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결합되는 에어레이션 결합부(123)가 형성된다.
에어레이션(160)은 물에 기포를 공급하여 부드럽게 배출되도록 하는 부품의 일종이며, 에어레이션(160)은 에어레이션 결합부(123)에 결합되어 그 내벽의 나사산(123a)에 나사 결합된다.
어댑터 바디(120)의 중간격벽(121)에는 축공(124)과 장공홀(125)이 형성된다. 축공(124)은 소켓(110)의 결합축(112)이 통과되는 부분이고, 장공홀(125)은 소켓(110)의 제1 통공(114)들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부분이다. 축공(124)은 원형의 구멍인데 반해 장공홀(125)은 아크(arc) 형상의 구멍일 수 있다.
소켓(110)과 어댑터 바디(120) 사이에는 오링(150)이 개재된다. 오링(150)은 소켓(110)의 측벽에 형성되는 오링 수용부(113)에 수용된 상태에서 어댑터 바디(120)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어 소켓(110)과 어댑터 바디(120) 사이를 기밀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스크(130)는 소켓(110)과 어댑터 바디(120) 사이 영역에서 소켓(110)에 결합된다.
디스크(130)의 임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디스크(130)는 소켓(110)의 단차부(115)에 결합되는데, 디스크(130)가 소켓(110)의 단차부(115)에 형상맞춤될 수 있도록 디스크(130)에는 소켓(110)의 단차부(115)에 형상맞춤되는 단차홈부(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디스크(130)의 중앙 영역에는 소켓(110)의 결합축(112)이 통과되는 통공(132)이 형성되며, 통공(132)의 외측으로 다수의 제2 통공(133)이 형성된다. 다수의 제2 통공(133)은 소켓(110)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 통공(114)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면서 물의 양을 조절한다.
마지막으로, 결합부재(140)는 소켓(110), 어댑터 바디(120) 및 디스크(130)가 하나의 몸체가 되도록 어댑터 바디(120)의 에어레이션 결합부(123) 쪽에서 소켓(110)의 결합축(112)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재(140)는 와셔(141)를 매개로 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스크루(screw)로 적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절수 어댑터(100)의 조립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소켓(11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11)가 수전(101)의 선단부(102)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03)에 약한 힘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어댑터 바디(120), 디스크(130) 및 오링(150)을 해당 위치에 배치하고 결합부재(140)로서의 스크루를 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수전(101)에 대한 절수 어댑터(100)의 결합 방향과 스크루의 체결 회전 방향이 동일해지므로 스크루의 체결과 동시에 소켓(110), 어댑터 바디(120) 및 디스크(130)가 하나의 몸체가 되면서 절수 어댑터(100)가 수전(101)의 선단부(10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어댑터 바디(120)에 에어레이션(160)을 결합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종전처럼 어댑터 바디(120)의 외주면에 별도의 다각형 돌출부(미도시)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즉 어댑터 바디(120)의 외관을 단순하게 또는 임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처럼 이탈방지링(50, 도 1b 참조)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립이 가능함은 물론 어댑터 바디(120)의 외주면에 종래처럼 다각형의 돌출부를 필히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며, 수전(101)의 선단부(102)에 절수 어댑터(100)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수 어댑터(100)의 풀림 현상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 : 수전 102 : 선단부
103 : 암나사부 100 : 절수 어댑터
110 : 소켓 111 : 수나사부
112 : 결합축 112a : 나사산
113 : 오링 수용부 114 : 제1 통공
115 : 단차부 120 : 어댑터 바디
121 : 중간격벽 122 : 소켓 결합부
123 : 에어레이션 결합부 124 : 축공
125 : 장공홀 130 : 디스크
131 : 단차홈부 132 : 통공
133 : 제2 통공 140 : 결합부재
141 : 와셔 150 : 오링(O-Ring)
160 : 에어레이션

Claims (4)

  1. 일측으로 돌출되는 결합축을 구비하며, 수전의 선단부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일측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바닥부에 다수의 제1 통공이 형성되는 소켓;
    상기 소켓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결합되는 소켓 결합부와, 에어레이션이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결합되는 에어레이션 결합부가 중간격벽을 사이에 두고 각각 반대편에 형성되며, 상기 중간격벽에 상기 결합축이 통과되는 축공과 상기 축공의 주변으로 장공홀이 형성되는 어댑터 바디;
    상기 소켓과 상기 어댑터 바디 사이 영역에서 상기 소켓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제1 통공들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다수의 제2 통공이 형성되는 디스크; 및
    상기 소켓, 상기 어댑터 바디 및 상기 디스크가 하나의 몸체가 되도록 상기 에어레이션 결합부 쪽에서 상기 결합축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먼저 상기 소켓을 수전 선단부에 약한 힘으로 나사결합한 다음, 상기 어뎁터 바디, 디스크 및 오링을 해당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결합부재로서의 스크류를 상기 소켓의 나사결합 방향과 동일방향인 정방향으로 결합하게됨으로써, 스크류 체결과 동시에 상기 소켓, 어뎁터 바디 및 디스크가 하나의 몸체가 되면서 절수 어뎁터가 수전의 선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어댑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과 상기 디스크 간의 비회전 맞물림 결합을 위해 상기 소켓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단차부에 형상맞춤되는 단차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어댑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측벽에 형성되는 오링 수용부와 상기 어댑터 바디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O-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어댑터.
KR1020120051428A 2012-05-15 2012-05-15 절수 어댑터 KR101371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28A KR101371780B1 (ko) 2012-05-15 2012-05-15 절수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28A KR101371780B1 (ko) 2012-05-15 2012-05-15 절수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06A KR20130127706A (ko) 2013-11-25
KR101371780B1 true KR101371780B1 (ko) 2014-03-07

Family

ID=4985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428A KR101371780B1 (ko) 2012-05-15 2012-05-15 절수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7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224B1 (ko) * 2019-11-28 2020-03-23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KR102096569B1 (ko) * 2019-11-28 2020-04-02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WO2021107245A1 (ko) * 2019-11-28 2021-06-03 권복민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9619A (zh) * 2016-07-12 2016-10-26 张艺琳 一种水龙头缓冲起泡器壳
KR102449617B1 (ko) * 2021-03-03 2022-09-30 케이제이바스컬렉션 주식회사 친환경 수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79A (ja) * 1996-07-10 1998-01-27 Inax Corp 自動水栓
JP2005120691A (ja) 2003-10-16 2005-05-12 Yoshiki Tatemori 節水具及び節水装置
KR20060050649A (ko) * 2004-09-07 2006-05-19 아이랜드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유량제어밸브
KR101135338B1 (ko) * 2011-09-07 2012-04-17 대림산업 주식회사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79A (ja) * 1996-07-10 1998-01-27 Inax Corp 自動水栓
JP2005120691A (ja) 2003-10-16 2005-05-12 Yoshiki Tatemori 節水具及び節水装置
KR20060050649A (ko) * 2004-09-07 2006-05-19 아이랜드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유량제어밸브
KR101135338B1 (ko) * 2011-09-07 2012-04-17 대림산업 주식회사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224B1 (ko) * 2019-11-28 2020-03-23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KR102096569B1 (ko) * 2019-11-28 2020-04-02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WO2021107245A1 (ko) * 2019-11-28 2021-06-03 권복민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US11933030B2 (en) 2019-11-28 2024-03-19 Rüscho-Schotenröhr GmbH Fluid flow control device for faucet pie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06A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780B1 (ko) 절수 어댑터
US20070200013A1 (en) Shower head that is detached easily and quickly
US6076747A (en) Spray-adjustment structure of shower head
US20050189438A1 (en) Pull-out water sprayer
US20060180222A1 (en) Mesh-type angle-adjustable faucet
US20090277520A1 (en) Faucet attachment device
JP5001766B2 (ja) シャワーヘッドの取付け構造
US6302339B1 (en) Continuously adjustable water flow control apparatus
US20160339455A1 (en) Side-knob type multi-function shower arm and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US7090195B1 (en) Faucet assembly
JP3150500U (ja) 蛇口用制御弁
JP6381237B2 (ja) 配管カバー、その取り付け方法及び水栓
JP6366965B2 (ja) 取付構造及び取付構造を備える吐水装置
US5713391A (en) Water temperature setting structure of a combination faucet
US10655751B2 (en) Hose bib handle replacement system
GR20030100105A (el) Κρουνος δια νεροχυτες κουζινας με μια οπη
KR200343801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샤워기
EP1004710A2 (en) Unit for fixing knobs to a water delivery tap
KR102167037B1 (ko) 수전용 카트리지의 결합 구조
JP7432393B2 (ja) 水栓装置
JP2002348923A (ja) シャワーヘッドの支持装置
JP7262967B2 (ja) 水栓装置
JP3108430U (ja) 流量を節約できる蛇口
KR200458414Y1 (ko) 음용수 일체형 수도꼭지
JP2021171196A (ja) 固定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