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338B1 -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 - Google Patents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338B1
KR101135338B1 KR1020110090705A KR20110090705A KR101135338B1 KR 101135338 B1 KR101135338 B1 KR 101135338B1 KR 1020110090705 A KR1020110090705 A KR 1020110090705A KR 20110090705 A KR20110090705 A KR 20110090705A KR 101135338 B1 KR101135338 B1 KR 101135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aucet
plate
coupling member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길
정민호
박준일
한송연
박찬영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0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수전의 유체 토수구에 결합되며, 마감판(17)에 복수개의 제1통수구(13)와 결합축(1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판(17)의 하면에는 한 쌍의 스톱퍼부(12)와 핀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전결합부재(10)와;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제1축관통공(24)과 복수개의 제2통수구(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 이동홈에 대응하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판(17)의 하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마찰저감판(20)과; 하부판(34)에는 제2축관통공(33)과 장공으로 이루어진 개방통수구(31)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34)에는 위치조정 핀(60)이 연직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전결합부재(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치조정 핀(60)의 상단이 상기 핀 이동홈에 끼워져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하우징(30)을 상기 한 쌍의 스톱퍼부(12) 사이의 구간 내에서 회전시켜 상기 제1통수구(13)와 연통하고 있는 제2통수구(23)가 상기 개방통수구(31)와 중복된 위치에 있게 되는 갯수를 조절함으로써, 유체 토수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Water-saving Adapter for Controling Fluid Flow}
본 발명은 물 자원을 절약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세면용 수도꼭지 등의 수전에서 유체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즉,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adapter)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수전의 토수구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을 원하는 대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구성 부품이 간소화되어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의 사용시에도 동일한 세팅 값에 의해 유량이 토출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시설이나 가정에서 수도꼭지를 사용하다보면 무의식중으로 다량의 물을 흘려보내게 되므로 원하지 않게 물을 낭비하게 된다. 낭비되는 물을 절약하기 위해 수도꼭지의 핸들을 매번 조정하여 물의 양을 조절한다. 그러나, 수도꼭지의 핸들을 미세 각도로 조정하여 물을 사용하기에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이 있고, 사용할 때마다 매번 미세 각도로 조정하기에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수도꼭지의 핸들을 조정하는 사이에 물이 토출되어 낭비되므로 실질적인 물 절약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와 같이 세면용 수도꼭지 등의 수전에서 유체의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 토수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종래 장치의 일예로는 아래에서 선행기술문헌으로 기재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09234호(2001. 01. 16. 공고)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장치는 구성부품이 많고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물 배출량을 조절하는데도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절약형 에어레이터(aerator)를 수도꼭지의 토수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이 많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큰 불편함을 호소하였다. 이로 인해 절약형 에어레이터를 일반 에어레이터로 재시공함으로써 이와 같은 절약형 에어레이터는 의미 없는 장치에 전락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메인 앵글 밸브를 조정하여 세팅하는 방식은 원하는 유량을 얻기 위해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는 세면 도기 하부에 허리를 숙여 재세팅해야 하므로 이 또한 큰 불편이 있다.
이와 같이, 수도꼭지와 같은 수전의 사용시 개인별 습관과 사용장소에 의해 의미 없이 흘려보내는 물을 절약하고, 편리하게 원하는 양만큼의 물을 세팅하고 고정할 수 있는 절수 장치(절수 어댑터)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09234호(2001. 01. 16. 공고)의 도 1 참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전의 토수구 끝에 설치하여, 토수구로부터 배출되는 유량을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용이하게 조절하고 셋팅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정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전의 토수구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을 원하는 대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구성 부품이 간소화되어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의 사용시에도 동일한 세팅 값에 의해 유량이 토출되도록 하는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하단부는 마감판에 의해 막혀 있는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수전의 유체 토수구에 결합되며, 상기 마감판에는 복수개의 제1통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판에는 결합축이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판의 하면에는 한 쌍의 스톱퍼부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스톱퍼부 사이에는 원호형상의 핀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전결합부재와;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축이 관통하게 되는 제1축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제2통수구가 상기 복수개의 제1통수구와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 이동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원주 가장자리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판의 하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마찰저감판과;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하부는 하부판에 의해 막혀 있는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판에는 결합축이 관통하게 되는 제2축관통공과 장공으로 이루어진 개방통수구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에는 위치조정 핀이 마찰저감판 방향을 향하도록 연직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전결합부재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치 조정핀의 상단이 상기 핀 이동홈에 끼워져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하우징을 상기 한 쌍의 스톱퍼부 사이의 구간 내에서 회전시켜 상기 제1통수구와 연통하고 있는 제2통수구가 상기 개방통수구와 중복된 위치에 있게 되는 갯수를 조절함으로써, 유체 토수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를 유체 토수구 끝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손쉽게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체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는, 유지 보수시 사용 여부에 구애받지 않으며, 수압에 의한 부하가 없고, 범용적인 수전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를 위쪽에서 내려다본 상태와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상태로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를 위쪽에서 내려다본 상태와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상태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마찰저감판의 상면이 마감판의 하면과 마주하도록 마찰저감판이 수전결합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가 조립된 상태에서 토출되는 유량이 달라지는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 5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바라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6a의 선 B-B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6c의 선 C-C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를 위쪽에서 내려다본 상태(도 1)와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상태(도 2)로 도시한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를 위쪽에서 내려다본 상태(도 3)와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상태(도 4)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는, 수전결합부재(10), 마찰저감판(20) 및 회전 하우징(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전결합부재(10)는 세면용 수도꼭지 등과 같은 수전의 유체 토수구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하단부는 막혀 있는 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수전결합부재(10)의 중앙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하부는 마감판(17)에 의해 막혀 있는 원통형의 중공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중공부(16)로 수전의 유체 토수구 끝단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전결합부재(10)가 수전과 결합된다. 상기 수전결합부재(10)의 통형상 측면에는 방수를 위한 오링(40)이 끼워지는 오목한 오목부(14)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감판(17)에는 복수개의 제1통수구(13)가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복수개의 제1통수구(13)는 원호형태를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 토수구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는 상기 중공부(16)로 유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1통수구(13) 중에서 후술하는 것처럼 마찰저감판(20)의 제2통수구(23)에 의해 막혀 있지 않은 제1통수구(13)를 통과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감판(17)의 하면에서 수전결합부재(10)의 중심에는 결합축(11)이 돌출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축(11)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이탈방지링(50)이 결합되는 링결합 오목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판(17)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상기 제1통수구(13)의 외측 위치에서 마감판(17)의 중심으로부터 원주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며 마감판(17)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 한 쌍의 스톱퍼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형상의 두께를 가지는 돌출두께부(18)가 마감판(17)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두께부(18)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한 쌍의 스톱퍼부(12)가 상기 돌출두께부(18)로부터 마감판(17)의 지름 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돌출두께부(18)와 스톱퍼부(12)가 마감판(17)의 하면에서 두께를 가지고 돌출된 형태로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출두께부(18)의 양측면에서 연장되어 있는 양측 스톱퍼부(12) 사이에서의 상기 마감판(17)의 하면 원주 부분은 오목한 형태의 "핀 이동홈"을 이루게 되며, 후술하는 것처럼, 위치조정 핀(60)은 상기 양측 스톱퍼부(12) 사이를 마감판(17)의 원주를 따라 즉, 상기 핀 이동홈을 따라 원호형태의 궤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복된 분해 조립시의 손상이나, 사용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전결합부재(10)는 상기 마감판(17)을 비롯한 전체가 큰 강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스테인레스 스틸, 황동 등과 같은 금속재 또는 그에 준하는 강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도 4에서 마찰저감판(20)의 상면이 마감판(17)의 하면과 마주하도록 마찰저감판(20)이 수전결합부재(10)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마찰저감판(20)은 판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마감판(17)의 하면에 결합되어 마감판(17) 하면과 후술하는 회전 하우징(30)의 하부판(34)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부재로서, 원형의 판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마찰저감판(20)의 중앙에는 상기 수전결합부재(10)에 돌출 구비된 결합축(11)이 관통하게 되는 제1축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제2통수구(23)가 상기 복수개의 제1통수구(13)와 대응되는 위치와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통수구(23)가 배치되어 있는 원호와 상기 마찰저감판(20)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마감판(17)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마감판(17)에 관통 형성된 제1통수구(13)가 배치되는 원호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며, 복수개의 제2통수구(23) 사이의 간격과, 복수개의 제1통수구(13)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1통수구(13)와 상기 제2통수구(23)는 각각의 구멍의 위치가 서로 동일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마찰저감판(20)의 상면에는 고정편(22)이 돌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22)은 상기 마찰저감판(20)을 수전결합부재(10)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마찰저감판(20)의 상면이 상기 마감판(17)의 하면과 마주하도록 마찰저감판(20)이 수전결합부재(10)와 결합될 때, 상기 2개의 고정편(22) 사이에 돌출두께부(18)가 끼워지게 되어 마찰저감판(20)이 마감판(17)의 하면에 결합 설치된다. 그러나 마찰저감판(20)이 상기 마감판(17)의 하면에 결합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마찰저감판(20)의 원주에서 일부 구간은 그 지름이 타 구간보다 축소되어 있다. 즉, 마찰저감판(20)의 전체 원주에서, 상기 마감판(17)에 형성된 스톱퍼부(12) 사이의 원호형 "핀 이동홈"에 대응되는 구간에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절취부와, 지름이 축소되지 아니한 구간과 만나는 위치에는 단차(2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단차(24)가 형성되는 위치는, 마감판(17)의 스톱퍼부(12)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것이다. 상기 절취부에는 후술하는 위치조정 핀(pin)(60)이 지나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찰저감판(20)은 서로 마주하는 마감판(17)과 후술하는 회전 하우징(30)의 하부판(34)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마감판(17)과 하부판(34) 사이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부재와 같은 합성수지 등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하우징(30)은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하부는 하부판(34)에 의해 막혀 있는 내부삽입공간을 가지는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삽입공간에는 마찰저감판(20)과 수전결합부재(10)의 하부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위치한다. 즉, 내부삽입공간에서 수전결합부재(10)의 마감판(17) 하면에 결합된 마찰저감판(20)이 하부판(34)의 상면과 마주하여 위치하도록 수전결합부재(10)의 하부가 내부삽입공간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판(34)의 중앙에는 제2축관통공(33)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전결합부재(10)의 하부가 내부삽입공간에 끼워지게 되면 수전결합부재(10)의 마감판(17)에 구비되어 있던 결합축(11)은 마찰저감판(20)의 제1축관통공(23) 및 회전 하우징(30)의 제2축관통공(33)을 관통하여 하부판(34)의 하면으로 돌출된다. 하부판(34)의 하면으로 돌출된 결합축(11)의 하단부에서 링결합 오목부(15)에 이탈방지링(50)이 결합되어, 상기 결합축(11)이 제2축관통공(33)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되 빠져나가지 않는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 하우징(30)의 하부판(34)에는 원호형상의 장공으로 이루어져 관통 형성된 개방통수구(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통수구(31)의 위치는 마찰저감판(20)의 제2통수구(23)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복수개의 제2통수구(23) 전부가 상기 개방통수구(31) 위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 하우징(30)의 하단부 즉, 하부판(34)의 아래쪽으로는 사용자가 붙잡고 회전 하우징(30)을 돌릴 수 있으며 개방통수구(31)를 통과한 유체가 원활하게 아래로 흐를 수 있도록 흐름유도부(35)가 원통형으로 더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붙잡고 용이하게 돌릴 수 있도록 흐름유도부(35)의 외면에는 돌기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판(34)의 상면에는 위치조정 핀(pin)(60)의 하단이 끼워지는 핀고정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 고정공(32)은 상기 원호형의 개방통수구(31)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위치조정 핀(60)의 하단이 상기 핀 고정공(32)에 끼워지며, 상기 위치조정 핀(60)의 상단은 연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마찰저감판(20)의 원주에 형성된 절취부를 지나 상기 마감판(17)에서 양측 스톱퍼부(12) 사이에 형성된 원호형태의 "핀 이동홈"에 끼워져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전결합부재(10)와 마찬가지로, 반복된 분해 조립시의 손상이나, 사용시의 과도한 회전력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하우징(30) 역시 하부판(34) 및 위치조정 핀(60)을 비롯한 전체가 큰 강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스테인레스 스틸, 황동 등과 같은 금속재 또는 그에 준하는 강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서는 도 6a 내지 도 7b를 각각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가 조립된 상태에서 토출되는 유량이 달라지는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올려다본 상태 즉, 도 5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6a 내지 도 6c에서 상기 회전 하우징(30)의 구성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마찰저감판(20) 및 위치조정 핀(60)은 은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도 6a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6c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7a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 즉, "완전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인데,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수전결합부재(10)에 형성된 제1통수구(13)와 연통하고 있는 복수개의 제2통수구(23) 전부가 회전 하우징(30)에 형성된 개방통수구(31)와 중복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수전의 유체 토수구에 수전결합부재(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체 토수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는 제1통수구(13)와 제2통수구(23)를 지나 개방통수구(31)를 통과하여 흐르게 된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의 개방 상태를 조절하여 일부 개방 상태로 만든 것을 보여주는 것인데, 사용자가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로부터의 유체 배출량을 조절하기 원하는 경우, 수전결합부재(10)가 수전의 유체 토수구에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하우징(30)을 회전시켜서 제2통수구(23)의 위치가 개방통수구(31)와 어긋나게 만들어서, 원하는 유체 배출량이 되도록 복수개의 제2통수구(23) 중에서 개방통수구(31)와 일치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는 제2통수구(23)의 갯수를 조절하게 된다. 즉,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통수구(31)와 일치하는 위치에 놓인 제2통수구(23)를 통해서만 유체가 배출되므로, 위와 같이 회전 하우징(30)을 돌려서, 개방통수구(31)와 일치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는 제2통수구(23)의 갯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원하는 양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하단이 회전 하우징(30)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위치조정 핀(60)은, 그 상단이 마찰저감판(20)의 원주에 형성된 절취부를 지나 상기 마감판(17)의 하면에서 양측 스톱퍼부(12) 사이에 형성된 원호형의 오목한 "핀 이동홈"에 끼워져 위치하고 있으므로, 회전 하우징(3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위치조정 핀(60)은 그 상단이 상기 "핀 이동홈"에 끼워진 상태로 양측 스톱퍼부(12) 사이를 상기 "핀 이동홈"을 따라 원호 형태로 움직이게 된다.
도 6c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인데, 회전 하우징(30)을 계속 회전시켜 복수개의 제2통수구(23) 전부가 개방통수구(31)와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놓이게 되면, 제1통수구(13)와 제2통수구(23)를 지나온 유체는 회전 하우징(30)의 하부판(34)에 막히게 되어 더 이상 흐르지 못하게 된다. 즉,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로부터 유체가 배출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가 완전 폐쇄 상태에 이르거나 또는 설정된 최소유량 상태에 이르게 될 때, 상단이 마감판(17)의 오목한 "핀 이동홈"에 끼워져 있는 위치조정 핀(60)은 스톱퍼부(12)에 그 측면이 닿게 되고, 그에 따라 회전 하우징(30)은 더 이상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스톱퍼부(12)에 의해 위치조정 핀(60)의 이동이 저지됨에 따라 회전 하우징(30)의 회전이 중지되는 것이다.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로부터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려면 사용자는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하우징(30)을 회전시켜 복수개의 제2통수구(23) 중에서 개방통수구(31)와 일치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는 제2통수구(23)의 갯수를 조절하게 되며, 완전 개방 상태에 이르게 되면, 완전 폐쇄 상태와 마찬가지로 위치조정 핀(60)의 측면이 반대편 스톱퍼부(12)(완전 폐쇄 상태일 때 위치조정 핀의 측면이 닿게 되는 스톱퍼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스톱퍼부)에 닿게 되어, 회전 하우징(30)이 계속해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가 사용자가 수전의 토수구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을 원하는 대로 정밀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유체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구성 부품이 간소화되어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에서는 개방통수구(31)와 일치하는 위치에 놓이는 제2통수구(23)의 갯수에 의해 배출 유량이 결정되므로, 다른 사용자의 사용시에도 회전 하우징(30)을 동일한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에 따라 개방통수구(31)와 일치하는 위치에 놓이는 제2통수구(23)의 갯수가 자동적으로 결정되어 동일한 유량이 배출되므로,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는데 매우 유리하다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는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범용적인 수전에 모두 적용 가능하므로 사용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에서 수전결합부재(10), 위치조정 핀(60), 스토퍼부(12), 회전 하우징(30) 등의 각 부품은 스테인레스 강재 등과 같이 강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의 각 부품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과도한 회전력을 가하여 회전 하우징(30)을 회전시키더라도 파손이나 탈락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크게 향상되어, 청소나 유지 관리를 위하여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를 수시로 분해하고 조립하는 것을 반복하여도 애초에 가지는 성능을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전결합부재(10)와 회전 하우징(30)이 강재와 같이 내구성이 큰 강한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유량조절을 위하여 회전 하우징(30)을 회전시킬 때, 서로 마주하게 되는 수전결합부재(10)의 마감판(17)과 회전 하우징(30)의 하부판(34) 사이에는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하거나 스케일이 발생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사용시 회전 하우징(30)의 회전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에서는, 서로 마주하는 마감판(17)과 하부판(34) 사이에, 합성수지 등과 같이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재질의 마찰저감판(20)이 위치하므로, 서로 마주하는 마감판(17)과 하부판(34)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나 스케일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1)에서는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스캐일이나 마찰로 인한 불편함이 없이, 회전 하우징(30)을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유량조절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발휘된다.
1: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
10: 수전결합부재
20: 마찰저감판
30: 회전 하우징

Claims (2)

  1.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하단부는 마감판(17)에 의해 막혀 있는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수전의 유체 토수구에 결합되며, 상기 마감판(17)에는 복수개의 제1통수구(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판(17)에는 결합축(11)이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마감판(17)의 하면에는 한 쌍의 스톱퍼부(12)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스톱퍼부(12) 사이에는 원호형상의 핀 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전결합부재(10)와;
    판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축(11)이 관통하게 되는 제1축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제2통수구(23)가 상기 복수개의 제1통수구(13)와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 이동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원주 가장자리에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판(17)의 하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마찰저감판(20)과;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하부는 하부판(34)에 의해 막혀 있는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판(34)에는 결합축(11)이 관통하게 되는 제2축관통공(33)과 장공으로 이루어진 개방통수구(31)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34)에는 위치조정 핀(60)이 마찰저감판(20) 방향을 향하도록 연직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전결합부재(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치조정 핀(60)의 상단이 상기 핀 이동홈에 끼워져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하우징(30)을 상기 한 쌍의 스톱퍼부(12) 사이의 구간 내에서 회전시켜 상기 제1통수구(13)와 연통하고 있는 제2통수구(23)가 상기 개방통수구(31)와 중복된 위치에 있게 되는 갯수를 조절함으로써, 유체 토수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결합부재(10)와 상기 회전 하우징(30)은 금속재로 제작되며;
    상기 마찰저감판(20)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
KR1020110090705A 2011-09-07 2011-09-07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 KR101135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705A KR101135338B1 (ko) 2011-09-07 2011-09-07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705A KR101135338B1 (ko) 2011-09-07 2011-09-07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338B1 true KR101135338B1 (ko) 2012-04-17

Family

ID=4614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705A KR101135338B1 (ko) 2011-09-07 2011-09-07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3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796A (ko) * 2000-05-01 2000-08-05 하우청 산딸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323466B1 (ko) 2013-06-17 2013-10-29 최의택 유량 조절 기능을 갖는 수도기기 장착용 절수장치
KR101371780B1 (ko) * 2012-05-15 2014-03-07 대림통상 주식회사 절수 어댑터
KR20170011030A (ko) 2015-07-21 2017-02-02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절수형 수전 카트리지
KR102027417B1 (ko) * 2018-08-22 2019-11-14 주식회사 동아아이디 분사량 조절장치를 갖는 샤워기
KR102092224B1 (ko) 2019-11-28 2020-03-23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KR102096569B1 (ko) 2019-11-28 2020-04-02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79A (ja) 1996-07-10 1998-01-27 Inax Corp 自動水栓
JP2007154975A (ja) 2005-12-02 2007-06-21 Tsuneaki Ito 流量制御弁
KR100804725B1 (ko) 2004-09-07 2008-02-19 아이랜드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유량제어밸브
JP2011033133A (ja) 2009-08-03 2011-02-17 Toyo Keiki Co Ltd 流量調整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79A (ja) 1996-07-10 1998-01-27 Inax Corp 自動水栓
KR100804725B1 (ko) 2004-09-07 2008-02-19 아이랜드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유량제어밸브
JP2007154975A (ja) 2005-12-02 2007-06-21 Tsuneaki Ito 流量制御弁
JP2011033133A (ja) 2009-08-03 2011-02-17 Toyo Keiki Co Ltd 流量調整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796A (ko) * 2000-05-01 2000-08-05 하우청 산딸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371780B1 (ko) * 2012-05-15 2014-03-07 대림통상 주식회사 절수 어댑터
KR101323466B1 (ko) 2013-06-17 2013-10-29 최의택 유량 조절 기능을 갖는 수도기기 장착용 절수장치
KR20170011030A (ko) 2015-07-21 2017-02-02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절수형 수전 카트리지
KR102027417B1 (ko) * 2018-08-22 2019-11-14 주식회사 동아아이디 분사량 조절장치를 갖는 샤워기
KR102092224B1 (ko) 2019-11-28 2020-03-23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KR102096569B1 (ko) 2019-11-28 2020-04-02 주식회사 미소지음 수전금구용 유체 흐름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338B1 (ko)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
US10203038B2 (en) Controlling mechanism for a three-way valve
US20140054484A1 (en) Switching Valve
US10744522B2 (en) Flow rate controller
US20100058534A1 (en) Pressure balancing spool mixing valve
CN211796083U (zh) 一种淋浴器
KR101323466B1 (ko) 유량 조절 기능을 갖는 수도기기 장착용 절수장치
US7334604B1 (en) Faucet having multiple different water outlet manners
CA2114855C (en) Diverter and volume control valve
KR101364886B1 (ko) 절수형 샤워기 헤드
US20060016001A1 (en) Ceramic diverter for tub spout
US7448403B2 (en) Faucet co-operating with shower head
JP5695264B1 (ja) シャワー設備用節水装置
US20050247353A1 (en)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emperature of water
JP4237025B2 (ja) 節水具及び節水装置
US7121303B1 (en) Mixed water faucet
CN210097978U (zh) 具有开闭结构的花洒
JP2005076273A (ja) 節水具及び節水装置
CN210673164U (zh) 双喷头淋浴套装
CN112568761A (zh) 淋浴器
CN220060695U (zh) 一种入墙式面盆龙头
CN216666613U (zh) 一种水龙头出水组件和水龙头
KR101256128B1 (ko)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CN108843820B (zh) 一种阀体预埋盒
CN210318629U (zh) 内置于出水管的分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