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128B1 -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 Google Patents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128B1
KR101256128B1 KR1020110011158A KR20110011158A KR101256128B1 KR 101256128 B1 KR101256128 B1 KR 101256128B1 KR 1020110011158 A KR1020110011158 A KR 1020110011158A KR 20110011158 A KR20110011158 A KR 20110011158A KR 101256128 B1 KR101256128 B1 KR 101256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housing
ring
circumferential surfac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627A (ko
Inventor
오병길
정민호
박준일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1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는 유체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 접속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인서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인서트와 연결되는 조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링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조정링과 연결된 상기 인서트가 회전하여 상기 유체 토수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Water-saving Apparatus for Controling Fluid Flow}
본 발명은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용 수도꼭지 등의 수전에서 유체의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의 사용시에도 동일한 세팅 값에 의해 유량이 토출되도록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 시설이나 가정에서 수도꼭지를 사용하다보면 무의식중으로 다량의 물을 흘려보내게 되므로 원하지 않게 물을 낭비하게 된다. 낭비되는 물을 절약하기 위해 수도꼭지의 핸들을 매번 조정하여 물의 양을 조절한다. 그러나, 수도꼭지의 핸들을 미세 각도로 조정하여 물을 사용하기에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이 있고, 사용할 때마다 매번 미세 각도로 조정하기에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수도꼭지의 핸들을 조정하는 사이에 물이 토출되어 낭비되므로 실질적인 물 절약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한편, 종래의 절약형 에어레이터(aerator)를 수도꼭지의 토수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이 많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큰 불편함을 호소하였다. 이로 인해 절약형 에어레이터를 일반 에어레이터로 재시공함으로써 이와 같은 절약형 에어레이터는 의미 없는 장치에 전락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메인 앵글 밸브를 조정하여 세팅하는 방식은 원하는 유량을 얻기 위해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는 세면 도기 하부에 허리를 숙여 재세팅해야 하므로 이 또한 큰 불편이 있다.
이와 같이, 수도꼭지 사용시 의미 없이 흘려보내는 물을 절약하고, 편리하게 원하는 양만큼의 물을 세팅하고 고정할 수 있는 절수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의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지며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정링(adjustment ring)과, 이에 동심으로 조립되어지는 오링(O-ring) 및 인서트(insert)와, 상기 오링과 인서트를 수용하는 하우징(housing)으로 구성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손쉽게 유체 토수구 끝에서 유량을 조절하고 고정할 수 있어 물 절약을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는 유체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 접속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인서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인서트와 연결되는 조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링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조정링과 연결된 상기 인서트가 회전하여 상기 유체 토수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부면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개구가 형성되며, 외주면의 일정 길이를 따라 내외부를 관통하는 연결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유체의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정링은 상기 하우징의 연결개구를 통해 상기 인서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는 상기 조정링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유입개구와 상기 유입홀의 교차면적의 크기가 조정됨으로써 유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는 상기 인서트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인서트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공기를 포함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는 외주면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홈에는 오링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인서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부드럽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는 상기 인서트의 유입홀의 상부에 상기 유입홀의 모양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저면과 접촉하여 유체 토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정링의 내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조정링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의 외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인서트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링 연결홈 및 상기 인서트 연결홈 사이에 상기 하우징의 연결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홈들에 삽입부착되는 연결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정링은 외주면이 요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를 유체 토수구 끝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손쉽게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체를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정링을 한번 고정해 놓으면 매번 사용시마다 조절할 필요가 없어 일정량의 유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지 보수시 사용 여부에 구애받지 않으며, 수압에 의한 부하가 없고, 범용적인 세면기 수전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자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B-B선을 따라 자른 인서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C-C선을 따라 자른 인서트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D-D선을 따라 자른 조정링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E-E선을 따라 자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링을 구비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링을 구비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가 유체 토수구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회전에 따라 유입개구와 유입홀의 교차면적의 크기가 조정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가 완성 조립된 상태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100)는 하우징(10), 인서트(20) 및 조정링(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인서트(20)를 수용하고, 상기 조정링(30)은 링 형태로서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에어레이터(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면 즉, 유체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 접속되는 부분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 토수구는 수도꼭지 토수구일 수 있고, 상기 유체는 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레이터(40)는 유체가 마지막으로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상용적으로 사용되는 망의 형태로 형성되어 망을 통하여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100)의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100)의 상부 평면도 및 하부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하우징(10)의 내주면에 인서트(2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조정링(30)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인서트(20) 및 조정링(30)은 상기 하우징(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어, 상기 조정링(30)을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인서트(20)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함께 회전한다. 즉, 상기 조정링(30)을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조정링(30)과 연결된 상기 인서트(20)가 회전하여 상기 유체 토수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인서트(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인서트(20)의 외주면에 오링(24)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오링(24)이 끼워지는 오링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20)의 상부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저면과 접촉하여 유체 토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26)은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20)의 내부를 관통하는 유체의 유입홀(28)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유체 유입개구(12)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인서트(20)의 유체의 유입홀(28)로 들어가서 하부의 에어레이터(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자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상기 조정링(30)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인서트(20)도 함께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인서트(20)의 외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인서트 연결홈(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정링(30)의 내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조정링 연결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 연결홈(34)과 조정링 연결홈(32)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연결개구(14)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홈들(32, 34)에 삽입부착되는 연결돌기(29)가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살펴보면, 인서트(20)에는 유입홀(28)이 형성되어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상기 인서트(2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20)의 외주면에는 오링(24)이 끼워질 수 있도록 외주면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오링홈(22)에는 오링(24)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인서트(20)가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 부드럽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20)의 외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인서트 연결홈(34)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인서트 연결홈(34)에 연결돌기(29)가 삽입 부착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B-B선을 따라 자른 인서트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C-C선을 따라 자른 인서트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살펴보면, 인서트(20)의 상부면에 유체 유입홀(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인서트 연결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20)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유체 유입홀(28)은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20)의 외주면에는 오링(24)이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오링홈(22)이 복수개로 상기 인서트(20)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20)가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할 때 상기 오링(24)이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서 부드럽게 회전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D-D선을 따라 자른 조정링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살펴보면, 조정링(30)은 하우징(1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정링(30)의 내경이 상기 하우징(10)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조정링(30)은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조정링(30)의 내주면에는 인서트(20)와 연결돌기(29)로 연결될 수 있도록 조정링 연결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정링 연결홈(32)은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조정링(30)은 하우징(10)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10)의 연결개구(14)를 관통하여 인서트(20)와 연결된다.
상기 조정링(30)을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유체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정링(10)을 회전시키면, 조정링(10)과 연결된 인서트(20)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인서트(20)에 관통 형성된 유입홀(28)과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유입개구(12) 사이의 교차면적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교차면적의 크기를 크게 조정하면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많아지고, 교차면적의 크기를 작게 조정하면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적어진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정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살펴보면, 하우징(10)의 상부면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의 연결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는 인서트(20)가 삽입될 공간으로 남아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는 유체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 접속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연결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상기 조정링(30)이 외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인서트(2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조정링(30)과 인서트(20)는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개구(14)를 통해 연결돌기(29)로 연결되어, 조정링(30)을 회전시킴에 따라 일체적으로 인서트(2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상부 평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하부 평면도이며, 도 22는 도 19의 E-E선을 따라 자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살펴보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면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개구(12)는 하우징(1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유체 토수구로부터 유체가 유입개구(12)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흘러 들어온다.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는 연결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개구(14)는 마주보는 형태로 소정 길이만큼 하우징(10)의 외주면을 따라 개방되어 있다. 상기 연결개구(14)의 개방 각도만큼 조정링(30)이 회전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링을 구비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살펴보면, 상기 조정링(30)은 외주면이 요철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조정링(30)은 앞서 설명한 형태로 하우징(10), 인서트(20) 및 에어레이터(40)와 함께 조립되고, 조정링(30)의 외주면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돌릴 때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그리고 조정링(30)의 회전 각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가 토수구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을 살펴보면, 유체 토수구 끝에 본 발명의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가 부착되어 접속된다. 우선, 하우징(10)의 외주면에 조정링(30)이 부착되고, 하우징(10) 내부에 인서트(20)가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저면과 상기 인서트(20)의 상부면 사이에는 패킹(26)이 끼워질 수 있는데, 상기 패킹(26)은 인서트(20)의 유입홀(28)의 상부에 상기 유입홀(28)의 모양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저면과 접촉하여 유체 토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20)의 외주면에는 오링(24)이 구비되어 하우징(10) 내에서 부드럽게 회전가능하다. 상기 인서트(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인서트 연결홈(34)에는 연결돌기(29)가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된 연결개구(14)를 관통하여 끼워지고, 상기 연결돌기(29)는 상기 조정링(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조정링 연결홈(32)에 끼워진다. 상기 인서트(20)의 하부에는 상기 인서트(20)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인서트(2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공기를 포함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레이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레이터(40)의 유체가 마지막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은 망의 형태일 수 있다. 인서트(20)를 거쳐 망 형태의 에어레이터(40)를 통과함으로써 유체는 잘게 부서질 수 있고, 공기가 포함되어 결과적으로 유체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회전에 따라 유입개구와 유입홀의 교차면적의 크기가 조정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을 살펴보면, 조정링(30)이 하우징(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조정링(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하우징(10)의 상부면에 구비된 유입개구(12)와 인서트(2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유입홀(28)이 정확히 일치하게 되면, 상기 유입개구(12)로부터 상기 유입홀(28)로 유체의 100%가 상기 유입홀(2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조정링(30)을 회전시켜 상기 유입홀(28)과 유입개구(12)의 교차면적의 크기를 줄일수록 그만큼 상기 유입개구(12)로 흘러들어간 유체가 상기 유입홀(28)로 들어가는 양이 줄어든다. 결국, 상기 유입홀(28)과 유입개구(12)의 교차면적이 0인 경우에는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 인서트(20) 및 조정링(30)을 조합한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를 유체 토수구 끝에 부착하고, 조정링(30)을 사용자가 손쉽게 회전시킴으로써, 유체 토수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양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는 유체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조정링(30)을 한번 고정해 놓으면 매번 사용시마다 조절할 필요가 없어 일정량의 유량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하우징 12: 유입개구
14: 연결개구 20: 인서트
22: 오링홈 24: 오링
26: 패킹 28: 유입홀
29: 연결돌기 30: 조정링
32: 조정링 연결홈 34: 인서트 연결홈
40: 에어레이터 100: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Claims (10)

  1. 유체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 접속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인서트(20); 및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1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인서트(20)와 연결되는 조정링(3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에는, 상부면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연결개구(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서트(20)에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유체의 유입홀(2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정링(30)의 내주면에는 깊이를 가지는 조정링 연결홈(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서트(20)의 외주면에는 깊이를 가지는 인서트 연결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링 연결홈(32) 및 상기 인서트 연결홈(34) 사이에 상기 연결개구(14)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홈들에 연결돌기(29)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조정링(30)을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29)를 통해서 상기 조정링(30)과 연결된 상기 인서트(20)가 회전하여 상기 유입개구(12)와 상기 유입홀(28)의 교차면적의 크기가 조정됨으로써, 상기 유체 토수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되며;
    상기 연결개구(14)는 마주보는 형태로 하우징(1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고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개구(14)를 관통하는 연결돌기(29)는 상기 연결개구(14)의 개방된 길이만큼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연결개구(14)의 개방된 길이에 따른 각도만큼만 조정링(30)이 회전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20)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인서트(2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공기를 포함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레이터(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20)는 외주면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홈(22)에는 오링(24)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인서트(20)가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 부드럽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20)의 유입홀(28)의 상부에 상기 유입홀(28)의 모양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저면과 접촉하여 유체 토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링(30)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KR1020110011158A 2011-02-08 2011-02-08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KR101256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158A KR101256128B1 (ko) 2011-02-08 2011-02-08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158A KR101256128B1 (ko) 2011-02-08 2011-02-08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627A KR20120090627A (ko) 2012-08-17
KR101256128B1 true KR101256128B1 (ko) 2013-04-23

Family

ID=4688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158A KR101256128B1 (ko) 2011-02-08 2011-02-08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1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79A (ja) * 1996-07-10 1998-01-27 Inax Corp 自動水栓
KR20060050649A (ko) * 2004-09-07 2006-05-19 아이랜드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유량제어밸브
JP2007154975A (ja) 2005-12-02 2007-06-21 Tsuneaki Ito 流量制御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79A (ja) * 1996-07-10 1998-01-27 Inax Corp 自動水栓
KR20060050649A (ko) * 2004-09-07 2006-05-19 아이랜드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유량제어밸브
JP2007154975A (ja) 2005-12-02 2007-06-21 Tsuneaki Ito 流量制御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627A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830B2 (en) Spin controlled faucet outlet structure
US20090194613A1 (en) Shower head apparatus with adjustable water flow rate control
KR101135338B1 (ko) 수전부착형 절수 어댑터
KR101323466B1 (ko) 유량 조절 기능을 갖는 수도기기 장착용 절수장치
NO147572B (no) Blandeventil for vaesker.
US7448403B2 (en) Faucet co-operating with shower head
CN104791521B (zh) 卫生混合阀
US10005090B1 (en) Shower head structure
KR101256128B1 (ko)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US2134966A (en) Faucet
CN107345588B (zh) 一种按钮带调温旋钮的延时自闭式节水龙头
JP3187887U (ja) 静音及び調圧の多機能蛇口
CN215290402U (zh) 水龙头节水阀
CN205618764U (zh) 一种按钮带调温旋钮的延时自闭式节水龙头
CN205559859U (zh) 带溢水装置的水龙头
KR200396838Y1 (ko) 토출 수량 조절밸브를 갖는 수도밸브
CN212368848U (zh) 一种用于洗浴设备的分流装置
CN207316131U (zh) 一种用于淋浴龙头的前置阀
CN211315204U (zh) 用于延时类水龙头的流量调节阀
CN207278933U (zh) 一种可自封水的龙头结构
CN107420586A (zh) 一种淋浴温控龙头
KR101857349B1 (ko) 수전용 카트리지
CN211395846U (zh) 节能型水龙头
CN210716007U (zh) 一种节约型水龙头
JP3056799U (ja) 給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